맨위로가기

상온 초전도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온 초전도체는 특정 온도 조건 없이 초전도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하며, 1986년 고온 초전도체 발견 이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아직까지 상온에서 초전도성을 보이는 물질은 확인되지 않았다. 2023년 퀀텀에너지연구소 등 한국 연구진이 LK-99라는 물질을 상온 초전도체라고 주장하며 논문을 발표했으나, 과학자들 사이에서 재현성 및 증거 부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며 논란이 일었다. 상온 초전도체는 전력 손실 없는 송전, 자기 부상 열차, 초고속 컴퓨터, 의료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압과학 - 퍼시 윌리엄스 브리지먼
    퍼시 윌리엄스 브리지먼은 고압 물리학에 기여하고 조작주의 철학을 주창한 미국의 물리학자이자 과학 철학자로, 고압 상태 물질 연구를 통해 새로운 밀봉 장치를 개발하고 획기적인 압력 수준을 달성하여 1946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초전도체 - BSCCO
    비스무트계 고온 초전도체(BSCCO)는 비스무트, 스트론튬, 칼슘, 구리, 산소로 구성된 물질로, 다양한 조성비를 가지며 110 K 이상의 높은 임계온도를 나타내는 상을 형성하고, 초전도선 제작에 사용되는 등 여러 분야에서 응용 가능성을 보인다.
  • 초전도체 - 쿠퍼 쌍
    쿠퍼 쌍은 금속 내 전자 간의 인력으로 형성되어 페르미 에너지보다 낮은 에너지를 가지며 초전도 현상의 원인이 되는 전자 쌍으로, BCS 이론으로 설명되고 전자-폰온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며, 다른 페르미온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한 응집 물질 이론 연구에 기여한다.
  • 가상 기술 - 인공 일반 지능
    인공 일반 지능(AGI)은 추론, 지식 표현, 학습 등의 능력을 갖춘 인공지능 시스템을 의미하며, 기아와 빈곤 해결 등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통제력 상실과 같은 위험도 존재한다.
  • 가상 기술 - 초지능
    초지능은 모든 분야에서 인간의 인지 능력을 능가하는 가설상의 지능으로, 인공지능 기술 발전과 함께 인공 초지능의 실현 가능성이 논의되며 윤리적, 안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상온 초전도체
일반 정보
명칭상온 초전도체
영어 명칭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RTSC)
설명0 °C 이상의 온도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내는 물질
연구 및 개발
연구 목표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내는 물질 개발
관련 연구고압 하에서의 초전도 현상 연구
새로운 물질 합성 방법 연구
초전도 메커니즘 규명 연구
주요 연구 결과
1993년Theodore Henry Geballe, 고온 초전도체 연구 동향 발표
2012년IBM Almaden 연구소, 297 K에서 초전도 가능성 제시
2020년 (철회)Nature, 탄소질 황화수소에서 상온 초전도성 발견 발표 (후에 데이터 문제로 철회됨)
Elliot Snider, Nathan Dasenbrock-Gammon, Raymond McBride, Mathew Debessai, Hiranya Vindana, Kevin Vencatasamy, Keith V. Lawler, Ashkan Salamat, Ranga P. Dias 참여
초전도 현상
초전도 온도0 °C (273.15 K) 이상
최고 기록HgBa₂Ca₂Cu₃O₈₊δ: 138 K (-135 °C)
*탄소질 황화수소: 288 K (15 °C) (철회)*
기타 정보고압 환경에서 더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내는 물질 존재
미해결 문제
과제상온 및 상압에서 동작하는 초전도체 물질 개발 가능성

2. 상온 초전도체 연구 개발의 역사

1986년 액체 질소의 끓는점 이상을 의미하는 고온 초전도체가 발견된 이후, 여러 물질이 상온 초전도체라고 보고되었지만 이 중 실제로 상온 초전도체로 확인된 물질은 없다.[76][4]

2. 1. 2000년대 초반

2000년 존 프린스는 이온 주입 과정 중 다이아몬드에서 전자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진공 상태에서 산소가 도핑된 IIa형 다이아몬드 표면에서 상온 초전도을 관측했다고 주장했다.[77] 2003년 한 연구진은 수소화 팔라듐(PdHx: x>1)에서 고온 초전도 현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고,[78] 2007년에는 같은 연구진이 특정 수소화 팔라듐이 초전도체로 전이된다고 주장하는 연구를 발표했다.[80] 초전도체의 임계 온도는 팔라듐 격자 내부의 수소 밀도가 증가할수록 같이 증가한다고 주장했으나, 이 연구들은 다른 연구진에 의해 검증되지 않았다.

2. 2. 2010년대

2012년 《어드밴스드 매트리얼즈》에 게재된 논문에서는 흑연 분말을 정제수 처리했을 때 초전도 현상을 보였다고 발표했으나,[81] 마이스너 효과는 입증되지 않았다.

2014년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이트륨 바륨 구리 산화물(YBCO)에 적외선 레이저를 이용해 상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82]

2015년 막스 플랑크 연구소 연구진은 《네이처》에 다이아몬드 모루 셀 기술을 이용해 약 150 GPa (대기압의 150배)의 극한 압력에서 황화수소(H2S)가 H3S로 변화하며 초전도 현상을 보였다는 논문을 발표했다.[83] 임계온도는 약 203,000로 당시까지 기록된 가장 높은 온도였으며, 이 연구에서는 기타 수소 화합물의 경우 최대 260,000까지 임계 온도가 올라갈 수 있다고 보고했다.[84][85]

2018년 벵갈루루에 있는 인도 과학 연구소의 쿠마르 타파와 안슈 판데이 연구진은 구조체 사이에 입자가 있는 나노구조물질의 필름과 펠릿에서 상압 상온 초전도 현상이 나타났다고 주장했다.[86]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 추정되는 그래프의 노이즈 패턴과 해당 논문의 노이즈 패턴이 거의 유사했고, 논문이 동료평가를 제대로 거치지 못해 이 결과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었다.[87] 2019년 후속 논문에서 연구진들은 이를 검증했다고 주장했으나, 독립된 다른 연구진들은 이를 검증하거나 확인하지 못했다.[88]

2018년에는 200 GPa의 초고압에서 란타늄화 십수소(H10La)가 260,000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였다는 발표가 있었다.[89] 2019년 논문 검증을 통해 란타늄화 십수소가 가장 높은 전이 온도를 가진 초전도체로 인정받았으며, 공식적으로 확인된 전이 온도는 250,000이다.[90][91]

2. 3. 2020년대

2020년 10월 랑가 P. 디아스 연구진은 황화수소화 탄소에서 288,000의 상온 초전도 현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했으나,[92][93] 데이터 문제로 인해 2022년 논문이 철회되었다.[94]

2021년에는 262,000의 이트륨-팔라듐-히드론 층상물질에서 초전도 현상이 관측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95]

2023년 3월 랑가 P. 디아스 연구진은 질소가 도핑된 수소화 루테늄에서 1 Gpa, 294,000의 온도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였다고 보고했다.[96] 그러나 이 연구는 이전 논문 철회[97][98][99][100][101]와 연구자의 과거 주장[102] 등 여러 문제로 인해 진위 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2023년 7월 퀀텀에너지연구소 등 한국 연구진은 LK-99라는 상온 초전도체 개발을 주장했으나,[103] 전문가들은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2. 3. 1. LK-99 논란 (대한민국)

2023년 7월 23일, 퀀텀에너지연구소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한국 연구진은 arXiv에 "최초의 상압 상온 초전도체"라는 논문을 게시하며, 자신들이 상온 초전도체인 LK-99을 개발했다고 주장했다.[103] 이 논문은 arXiv의 자매 논문,[104] 한국 저널에 게재된 논문,[105] 특허 출원과 함께 게재되었다.[106]

하지만, 옥스퍼드 대학의 재료과학 교수인 수잔나 스펠러는 "자기장 반응이나 비열 변화와 같은 초전도성에 대한 명백한 증거가 없어 이 샘플의 운동으로 초전도에 관한 강력한 증거를 발견했다고 말하기엔 너무 이르다"라고 말하는 등 여러 과학 전문가들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107] 다른 전문가들은 이 데이터가 "실험절차의 오류와 LK-99 샘플의 불순물 등으로 인한 문제점이 결합"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거나, 연구진이 사용한 이론 모델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기도 했다.[107]

같은 날, 한국 연구진은 LK-99라고 명명한 구리 도핑된 납 아파타이트가 최대 370 K까지 초전도성을 띤다고 주장했지만, 이를 완전히 관찰하지는 못했다.[38] 그들은 두 편의 논문을 arXiv에 게시하고,[39]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고,[40] 특허를 출원했다.[41] 보고된 관찰 결과는 초전도성의 명확한 특징이 부족하여 전문가들로부터 회의적인 반응을 받았다.[42]

이 소식은 소셜 미디어에서 널리 논의되었고, 많은 수의 재현 시도가 이어졌지만, 성공적인 경우는 거의 없었다. 8월 중순까지 주요 연구소에서 발표한 일련의 논문들은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상당한 증거를 제시했으며, 구리보다 훨씬 높은 저항을 보였고, 물질 내 불순물과 강자성으로 인해 관찰된 자기 반응 및 저항 강하와 같은 현상을 설명했다.[43][44]

3. 이론적 배경

닐 애시크로프트는 극도로 높은 압력(~ 500 GPa)에서 고체 금속성 수소가 높은 음속과 전도 전자, 격자 진동 포논의 강한 결합으로 상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일 것이라고 예측했다.[108][45] 1964년, 윌리엄 A. 리틀은 유기 고분자에서 고온 초전도체의 가능성을 제안했다.[48] 2004년, 애쉬크로프트는 수소 함유 화합물이 수소보다 낮은 압력에서 금속성을 띠고 초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고 제안하며, IVa족 수소화물을 연구하여 수소를 화학적으로 미리 압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49]

스핀 결합, 바이폴라론 등의 이론이 상온 초전도 현상을 설명하는 데 제시되고 있다. 만약 바이폴라론 설명이 맞다면, 반도체 물질도 격자 내 단일 평면에서 임계 수준 이상의 교번 스핀 결합이 발생하면 특정 조건에서 초전도체로 전이될 수 있다.[54] "양자 바이폴라론"은 물질이 거의 상온까지 초전도성을 나타내는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57]

4. 상온 초전도체의 잠재적 응용 및 사회적 영향

현재 초전도 기술은 MRI 등 특수한 경우에만 쓰이고 있지만, 상온 초전도체가 개발되면 냉각 비용 없이 초전도 현상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상온 초전도체가 실현되면 산업 혁명을 뛰어넘는 큰 영향을 인류에게 줄 것이라고 예상된다.[58]

4. 1. 에너지 분야

상온 초전도체로 전력 손실이 없는 송전선을 개발하면 세계 규모의 전력 시스템 구축이 가능해진다.[59] 또한 핵융합로의 실용화에도 기여하여 에너지 문제 해결도 기대할 수 있다.[60]

4. 2. 교통 분야

상온 초전도체가 실현되면 자기 부상 열차의 세계적인 보급이 가능해진다.[58] 또한, 공중 부양 자동차와 같은 새로운 교통 수단도 실현될 수 있다.[61]

4. 3. 의료 분야

현재 초전도 기술은 MRI 등 특수한 예에만 국한되어 있지만, 상온 초전도체가 달성되면 냉각 비용 없이 초전도의 장점을 누릴 수 있게 된다.[58] 상온 초전도체는 고도로 안전한 체내 삽입형 장치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60]

4. 4. 정보통신 분야

상온 초전도체가 개발되면 냉각 비용 없이 초전도 현상을 활용하여 초절전 초고속 컴퓨터[59], 소형 저가형 양자 컴퓨터[62],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와 같은 새로운 통신 기술[63] 개발이 가능해진다.

참조

[1] 논문 Synthesis and neutron powder diffraction study of the superconductor HgBa2Ca2Cu3O8+δ by Tl substitution
[2] 논문 Paths to Higher Temperature Superconductors 1993-03-12
[3] 웹사이트 Almaden Institute 2012: Superconductivity 297 K – Synthetic Routes to Room 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https://researcher.w[...] 2018-09-18
[4] 웹사이트 Viral New Superconductivity Claims Leave Many Scientists Skeptical https://www.scientif[...] 2023-07-28
[5] 논문 Nonlinear lattice dynamics as a basis for enhanced superconductivity in YBa2Cu3O6.5
[6] 논문 Conventional superconductivity at 203 kelvin at high pressures in the sulfur hydride system http://www.nature.co[...] 2021-06-09
[7] 논문 Superconductivity record sparks wave of follow-up physics 2015-08-18
[8] 논문 First-principles demonstration of superconductivity at {{convert|280|K|°C}} in hydrogen sulfide with low phosphorus substitution https://zenodo.org/r[...] 2017-11-06
[9] 논문 Pressurized superconductors approach room-temperature realm 2018-08-23
[10] 논문 Evidence for Superconductivity above 260 K in Lanthanum Superhydride at Megabar Pressures 2019
[11] 논문 Superconductivity at 250 K in lanthanum hydride under high pressures
[12] 논문 Evidence suggesting superconductivity at 250 K in a sequentially deposited cuprate film
[13] 논문 Room temperature transport properties of new BiSrCaCuO compounds
[14] 논문 The diamond vacuum interface: II. Electron extraction from n-type diamond: evidence for superconduction at room temperature 2003-03-01
[15] 논문 Possibility of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phases in PdH 2003-05
[16] 논문 Superconductivity in PdH: Phenomenological explanation 2004-08
[17] 논문 A review of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property of PdH system
[18] 웹사이트 A material that is superconductive at room temperature and lower pressure https://phys.org/new[...] 2021-03-22
[19] 논문 Global Room-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in Graphite https://onlinelibrar[...] 2023
[20] 논문 Can Doping Graphite Trigger Room 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Evidence for Granular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in Water-Treated Graphite Powder
[21] 간행물 Evidence for superconductivity at ambient temperature and pressure in nanostructures 2018
[22] 뉴스 IISc duo's claim of ambient superconductivity may have support in theory https://www.thehindu[...] 2018-10-04
[23] 뉴스 Finally, IISc team confirms breakthrough in superconductivity at room temperature https://www.thehindu[...] 2019-05-26
[24] 논문 Allegations of Scientific Misconduct Mount as Physicist Makes His Biggest Claim Yet https://physics.aps.[...] 2023-03-21
[25] 뉴스 Finally, the First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https://www.nytimes.[...] 2020-10-14
[26] 논문 Room-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in a carbonaceous sulfur hydride 2020-10
[27] 논문 Comment on Nature 586, 373 (2020) by E. Snider et al 2022-01-19
[28] 뉴스 'Something is Seriously Wrong':Room-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study retracted https://www.science.[...] 2022-09-27
[29] 논문 Evidence of near-ambient superconductivity in a N-doped lutetium hydride https://www.nature.c[...] 2023-03-08
[30] 뉴스 The Scientific Breakthrough That Could Make Batteries Last Longer https://www.wsj.com/[...] 2023-03-08
[31] 웹사이트 'Revolutionary' blue crystal resurrects hope of room 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https://www.science.[...] 2023-03-08
[32] 웹사이트 Room-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Claimed https://spectrum.i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2023-03-09
[33] 웹사이트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Discovery Meets With Resistance https://www.quantama[...] Simons Foundation 2023-03-14
[34] 논문 Allegations of Scientific Misconduct Mount as Physicist Makes His Biggest Claim Yet https://physics.aps.[...] 2023-03-09
[35] 웹사이트 Replication of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claims fails to show superconductivity https://phys.org/new[...] 2023-06-18
[36] 웹사이트 "'Red matter' superconductor may not be a wonder material after all" https://www.newscien[...] 2023-03-17
[37] arXiv Evidence for Near Ambient Superconductivity in the Lu-N-H System 2023-06-09
[38] arXiv The First Room-Temperature Ambient-Pressure Superconductor 2023
[39] arXiv Superconductor Pb10−xCux(PO4)6O showing levitation at room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and mechanism 2023
[40] 간행물 다음논문 Conside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room-temperature ambient-pressure superconductor (LK-99) http://journal.kci.g[...] 2023-07-26
[41] 웹사이트 Room temperature and normal pressure superconducting ceramic compoun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https://patents.goog[...] 2023-07-26
[42] 간행물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breakthrough' met with scepticism https://www.newscien[...] 2023-07-26
[43] 뉴스 A superconductor claim blew up online. Science has punctured it. https://www.washingt[...] 2023-08-09
[44] 간행물 Well, Seems Like LK-99 Isn't a Room Temperature Superconductor After All https://www.popularm[...] 2023-08-09
[45] 간행물 Metallic Hydrogen: A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46] 웹사이트 Hydrogen turned into metal in stunning act of alchemy that could revolutionise technology and spaceflight https://www.independ[...] 2017-12-12
[47] arXiv Observation of a first order phase transition to metal hydrogen near 425 GPa
[48] 간행물 Possibility of Synthesizing an Organic Superconductor
[49] 간행물 Hydrogen Dominant Metallic Alloys: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s
[50] 학위논문 Transient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in Palladium Hydride https://research-rep[...] Griffith University
[51] 간행물 Prediction of Room-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in Quasi-Atomic H2-Type Hydrides at High Pressure 2024
[52] 간행물 Route to a Superconducting Phase above Room Temperature in Electron-Doped Hydride Compounds under High Pressure https://physics.aps.[...] 2022-01-09
[53] 웹사이트 The race is on to make the first room temperature superconductor https://www.chemistr[...]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9-12-30
[54] 간행물 Superconductors with two critical temperatures https://www.scienced[...] 2007
[55] 웹사이트 Physicists Just Discovered an Entirely New Type of Superconductivity https://www.sciencea[...] 2019-02-06
[56] 간행물 Beyond triplet: Unconventional superconductivity in a spin-3/2 topological semimetal 2018
[57] 웹사이트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Exploring quadratic electron-phonon coupling https://phys.org/new[...]
[58] 웹사이트 10-2 強結合超流動の量子渦構造を計算し、室温超伝導の世界を覗く https://rdreview.jae[...] 2022-06-22
[59] 웹사이트 SPring-8が拓く室温超伝導の可能性 http://www.spring8.o[...] 2022-06-22
[60] 웹사이트 エネルギー錬金術は「超伝導+核融合」で:『富豪刑事 Balance:UNLIMITED』最終回ガジェット解説 https://www.gizmodo.[...] 2022-06-22
[61] 웹사이트 人類の夢!室温超伝導を実現する http://www.smart.ecs[...] 2022-06-22
[62] 웹사이트 世界初、15°C「室温超伝導」達成 夢の新技術へ突破口 https://www.technolo[...] 2022-06-22
[63] 웹사이트 脳で直接コミュニケーションする未来へ、必要なブレイクスルーは何なのか聞いてきた。 https://www.gizmodo.[...] 2022-06-26
[64] 웹사이트 物理学:水素化物の室温超伝導 https://www.natureas[...] Nature Japan 2020-10-16
[65] 웹사이트 ついに実現、室温超伝導? それともまたも幻で終わるのか? 100年の歴史の転換点、いま超伝導研究で進行している出来事とは {{!}} JBpress (ジェイビープレス) https://jbpress.isme[...] 日本ビジネスプレスグループ 2023-06-22
[66] 문서 Evidence for Near Ambient Superconductivity in the Lu-N-H System
[67] 웹사이트 室温に近い超伝導 https://www.natureas[...] 2019-05-23
[68] 웹사이트 夢の室温超電導の予兆か 世界で新物質相次ぐ https://www.nikkei.c[...] 日経BP 2017-07-21
[69] 저널 인용 Room-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in a carbonaceous sulfur hydride 2020-10-15
[70] 저널 인용 "'Something is seriously wrong': Room-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study retracted" https://www.science.[...] 2022-09-27
[71] 저널 Retraction Note: Room-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in a carbonaceous sulfur hydride 2022-09-26
[72] 저널 Synthesis and neutron powder diffraction study of the superconductor HgBa2Ca2Cu3O8+δ by Tl substitution
[73] 저널 Paths to Higher Temperature Superconductors 1993-03-12
[74] 웹인용 Almaden Institute 2012: Superconductivity 297 K – Synthetic Routes to Room 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https://researcher.w[...] 2018-09-18
[75] 간행물 Race for the Superconductor Public TV station WGBH Boston 1987
[76] 웹인용 Viral New Superconductivity Claims Leave Many Scientists Skeptical https://www.scientif[...] 2023-07-28
[77] 저널 The diamond vacuum interface: II. Electron extraction from n-type diamond: evidence for superconduction at room temperature 2003-03-01
[78] 저널 Possibility of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phases in PdH 2003-05
[79] 저널 Superconductivity in PdH: Phenomenological explanation 2004-08
[80] 저널 A review of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property of PdH system
[81] 저널 Can Doping Graphite Trigger Room 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Evidence for Granular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in Water-Treated Graphite Powder
[82] 저널 Nonlinear lattice dynamics as a basis for enhanced superconductivity in YBa2Cu3O6.5
[83] 저널 Conventional superconductivity at 203 kelvin at high pressures in the sulfur hydride system http://www.nature.co[...] 2021-06-09
[84] 저널 Superconductivity record sparks wave of follow-up physics 2015-08-18
[85] 저널 First-principles demonstration of superconductivity at {{convert|280|K|°C}} in hydrogen sulfide with low phosphorus substitution https://zenodo.org/r[...] 2017-11-06
[86] ArXiv Evidence for superconductivity at ambient temperature and pressure in nanostructures 2018
[87] 뉴스 IISc duo's claim of ambient superconductivity may have support in theory https://www.thehindu[...] 2018-10-04
[88] 뉴스 Finally, IISc team confirms breakthrough in superconductivity at room temperature https://www.thehindu[...] 2019-05-26
[89] 저널 Pressurized superconductors approach room-temperature realm 2018-08-23
[90] 저널 Evidence for Superconductivity above 260K in Lanthanum Superhydride at Megabar Pressures 2019
[91] 저널 Superconductivity at 250 K in lanthanum hydride under high pressures
[92] 뉴스 Finally, the First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https://www.nytimes.[...] 2020-10-14
[93] 저널 Room-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in a carbonaceous sulfur hydride 2020-10
[94] 뉴스 "'Something is Seriously Wrong':Room-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study retracted" https://www.science.[...] 2022-09-27
[95] 웹인용 A material that is superconductive at room temperature and lower pressure https://phys.org/new[...] 2021-03-22
[96] 뉴스 New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Offers Tantalizing Possibilities https://www.nytimes.[...] 2023-03-09
[97] 저널 Evidence of near-ambient superconductivity in a N-doped lutetium hydride https://www.nature.c[...] 2023-03-08
[98] 웹인용 The Scientific Breakthrough That Could Make Batteries Last Longer https://www.wsj.com/[...] 2023-03-08
[99] 웹인용 'Revolutionary' blue crystal resurrects hope of room 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https://www.science.[...] 2023-03-08
[100] 웹인용 Room-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Claimed https://spectrum.i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2023-03-09
[101] 웹인용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Discovery Meets With Resistance https://www.quantama[...] Simons Foundation 2023-03-14
[102] 저널 Allegations of Scientific Misconduct Mount as Physicist Makes His Biggest Claim Yet https://physics.aps.[...] 2023-03-21
[103] 웹인용 The First Room-Temperature Ambient-Pressure Superconductor https://arxiv.org/ft[...] 2023-07-25
[104] 웹인용 Superconductor Pb10−xCux(PO4)6O showing levitation at room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and mechanism https://arxiv.org/ab[...] 2023-07-26
[105] 웹인용 다음논문 Conside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room-temperature ambient-pressure superconductor (LK-99) http://journal.kci.g[...] 2023-07-26
[106] 웹인용 Room temperature and normal pressure superconducting ceramic compoun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https://patents.goog[...] 2023-07-26
[107] 잡지 Room-temperature superconductor 'breakthrough' met with scepticism https://www.newscien[...] 2023-07-26
[108] 저널 Metallic Hydrogen: A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