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새끼벌림근 (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끼벌림근은 손의 새끼두덩에 위치한 근육으로, 콩알뼈, 콩알갈고리인대, 굽힘근지지띠에서 기시하여 새끼손가락의 벌림 작용을 수행한다. 자신경 깊은가지의 지배를 받으며, 얕은손가락굽힘근, 짧은엄지벌림근과 함께 자쪽 근육 원기에서 발생한다. 새끼두덩근육 중 변이가 가장 많으며, 손허리손가락관절에 작용하여 새끼손가락을 벌리고, 폄근널힘줄과의 연결을 통해 새끼손가락의 폄에도 관여한다. 손으로 물건을 쥘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지 근육 - 광배근
    광배근은 등 부위에 위치하여 팔의 움직임과 척추의 운동에 기여하며, 흉배신경의 지배를 받고 다양한 변이를 보이며, 만성 어깨 통증 등 임상적으로 중요하고, 운동을 통해 강화할 수 있다.
  • 상지 근육 - 승모근
    승모근은 목, 어깨, 흉추에 걸쳐 위치하며 견갑골 안정화와 움직임, 척추 움직임에 기여하는 사다리꼴 모양의 근육으로, 위쪽, 중간, 아래쪽 섬유로 구성되어 어깨 들어올리기, 견갑골 내전, 하강 운동에 관여하며 척추부신경 손상, 얼굴어깨팔 근위축증과 같은 질환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새끼벌림근 (손)
근육 정보
왼쪽 손의 근육. 손바닥 면. 새끼벌림근은 밝은 빨간색으로 칠해져 있다.
왼쪽 손의 근육. 손바닥 면.
이름새끼벌림근
영어 이름Abductor digiti minimi muscle of hand
라틴어 이름Musculus abductor digiti minimi manus
Gray 해부학 주제 번호126
Gray 해부학 페이지 번호463
이는곳 (Origin)
이는곳콩알뼈, 콩알갈고리인대, 굽힘근지지띠
닿는곳 (Insertion)
닿는곳제5 기절골 바닥 자쪽 또는 안쪽
혈액 공급
혈액 공급자골동맥
신경 지배
신경 지배자골신경 깊은가지 (C8, Th1)
작용
작용새끼손가락의 벌림
반대 작용
반대 작용해당 정보 없음
Mesh 정보
Mesh 이름해당 정보 없음
Mesh 번호해당 정보 없음
Dorlands 사전 접두사m_22
Dorlands 사전 접미사12548273

2. 구조

새끼벌림근은 콩알뼈, 콩알갈고리인대, 손의 굽힘근지지띠에서 일어난다.[1] 새끼벌림근 먼쪽의 힘줄은 세 갈래로 나뉘면서 몸쪽손가락뼈 안쪽 모서리, 손허리손가락관절의 손바닥판, (존재하는 경우) 종자뼈에 닿는다. 일부 섬유는 손가락의 폄근널힘줄까지 연결되며, 이 때문에 새끼벌림근은 등쪽뼈사이근과 유사한 작용을 한다.[2]

==== 신경 분포 ====

새끼벌림근은 자신경 깊은가지의 지배를 받는다.[1]

==== 발생 ====

새끼벌림근은 얕은손가락굽힘근(안쪽 원기), 짧은엄지벌림근(노쪽 원기)와 함께, 발생 초기 손의 미분화 중간엽 얕은층에 존재하는 자쪽 근육 원기(ulnar muscle primordium)에서 발생한다.[3] 새끼벌림근을 제외한 나머지 새끼두덩근육은 후기에 보다 깊은층에서 유래한다.[3]

==== 변이 ====

새끼벌림근은 변이가 가장 많은 새끼두덩근육이다.[4] 드물게 새끼벌림근의 부속다발(accessory fascicle)이 아래팔근막, 노뼈, 자뼈에서 일어난다.[3] 자쪽손목굽힘근의 힘줄, 굽힘근지지띠, 먼쪽 아래팔근막, 긴손바닥근 힘줄에서 오는 섬유 일부가 합류하기도 한다. 간혹 다섯째손허리뼈에 새끼벌림근 일부가 닿기도 한다.[5] 다지증이 있는 경우, 여섯째손가락이 있다면 새끼벌림근이 새끼손가락 대신 여섯째손가락에 닿을 수 있다.

2. 1. 신경 분포

새끼벌림근은 자신경 깊은가지의 지배를 받는다.[1]

2. 2. 발생

새끼벌림근은 얕은손가락굽힘근(안쪽 원기), 짧은엄지벌림근(노쪽 원기)와 함께, 발생 초기 손의 미분화 중간엽 얕은층에 존재하는 자쪽 근육 원기(ulnar muscle primordium)에서 발생한다.[3] 새끼벌림근을 제외한 나머지 새끼두덩근육은 후기에 보다 깊은층에서 유래한다.[3]

2. 3. 변이

새끼벌림근은 변이가 가장 많은 새끼두덩근육이다.[4] 드물게 새끼벌림근의 부속다발(accessory fascicle)이 아래팔근막, 노뼈, 자뼈에서 일어난다.[3] 자쪽손목굽힘근의 힘줄, 굽힘근지지띠, 먼쪽 아래팔근막, 긴손바닥근 힘줄에서 오는 섬유 일부가 합류하기도 한다. 간혹 다섯째손허리뼈에 새끼벌림근 일부가 닿기도 한다.[5] 다지증이 있는 경우, 여섯째손가락이 있다면 새끼벌림근이 새끼손가락 대신 여섯째손가락에 닿을 수 있다.

3. 기능

새끼벌림근은 손허리손가락관절에 작용하여[6] 새끼손가락의 벌림근 역할을 한다.[1]

또한 새끼벌림근은 폄근널힘줄까지 연결되므로, 새끼손가락 중간손가락뼈를 펴는 작용에 관여할 수 있다.

손가락을 편 채로 손으로 큰 물건을 쥘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7]

참조

[1] 서적 Color Atlas of Human Anatomy, Vol. 1: Locomotor System Thieme Medical Publishers
[2] 서적 Surgical Anatomy of the Hand https://books.google[...] Thieme
[3] 논문 A rare anomaly of abductor digiti minimi
[4] 논문 Variation in the hypothenar muscles and its impact on ulnar tunnel syndrome 2013-12
[5] 서적 Surgical anatomy of the hand and upper extremit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6] 웹사이트 Origin, insertion and nerve supply of the muscle http://www.meddean.l[...]
[7] 서적 Anatomy and human movement: structure and function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