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건축의 다섯 가지 요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 코르뷔지에의 '새로운 건축의 다섯 가지 요소'는 1920년대에 제시된 건축 원칙으로, 필로티, 옥상 정원, 자유로운 평면, 자유로운 입면, 띠 유리창을 포함한다. 필로티는 건물을 지상에서 띄워 공간 활용과 채광을 개선하고, 옥상 정원은 녹지 공간을 확보하며 단열 효과를 제공한다. 자유로운 평면은 내부 공간의 자유로운 구성을 가능하게 하고, 자유로운 입면은 건물의 외관을 구조적 제약에서 벗어나게 한다. 띠 유리창은 채광을 극대화하고 주변 경관을 파노라마로 즐길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물, 특히 빌라 사보이, 빌라 쿡, 카펜터 시각 예술 센터에 구현되었으며, 현대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실용성 부족과 같은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새로운 건축의 다섯 가지 요소 | |
---|---|
개요 | |
명칭 | 근대 건축의 5원칙 |
원어 명칭 | Les Cinq Points d'une Architecture Nouvelle (프랑스어) |
창시자 | 르 코르뷔지에 |
발표 연도 | 1923년 |
주요 내용 | 필로티 옥상 정원 자유로운 평면 가로로 긴 창 자유로운 입면 |
상세 내용 | |
필로티 (Piloti) | 건물을 지상에서 들어올려 습기, 어둠, 전망의 문제 해결, 교통 흐름 원활화 |
옥상 정원 (Toit-terrasse) | 건물 옥상을 녹지로 만들어 단열 효과, 도시 환경 개선 |
자유로운 평면 (Plan Libre) | 벽이 구조적 역할을 하지 않아 공간 구성의 자유 증대 |
가로로 긴 창 (Fenêtre en Longueur) | 실내 채광 극대화, 넓은 시야 확보 |
자유로운 입면 (Façade Libre) | 건물의 외관을 자유롭게 디자인 가능 |
영향 | |
건축 | 근대 건축에 지대한 영향 |
관련 건축물 | 빌라 사보아 바이스호프 주거단지 라 로슈-잔느레 주택 (Villa La Roche-Jeanneret) 또는 라 로슈 주택 (Villa La Roche) 빌라 쿠크 (Villa Cook) |
2. 르 코르뷔지에의 새로운 건축의 5원칙
1920년대에 개발된 르 코르뷔지에의 '현대 건축의 5원칙'(프랑스어: ''Cinq points de l'architecture moderne'')은 다섯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된 건축 이념이다.[6] 이 원칙들은 외젠 비올레르 뒤크의 가르침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지붕에 관한 다섯 번째 원칙은 시카고 학파에 의해 추가되었다.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5원칙은 다음과 같다.
- 필로티: 건물의 구조적 무게를 지탱하는 얇은 철근 콘크리트 기둥 격자로, 지면의 자유로운 순환과 습기 방지, 정원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3][4]
- 자유로운 평면: 하중을 지지하는 칸막이 벽이 없어 설계 및 생활 공간 활용에 유연성을 제공하며, 건물 내부 사용에 제약이 없다.[2]
- 자유로운 파사드: 건물 외부가 구조적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가벼우며 개방적이다.[2]
- 가로 창: 파사드 길이를 따라 배치된 리본 창은 방을 균등하게 비추고 공간감과 고립감을 높이며, 실내에 더 나은 빛과 주변 경관을 제공한다.[2][5]
- 옥상 정원: 정원 테라스가 있는 평평한 지붕은 조화와 가정적 유용성을 제공하며, 콘크리트 지붕에 자연적인 단열층을 제공하고 공간을 창출한다.[5][6]
사부아 저택은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5원칙을 모두 구현한 대표적인 예시이다.[7] 푸아시에 위치한 이 건물은 1928년부터 1931년까지 건축되었으며, 르 코르뷔지에와 그의 협력자 피에르 잔느레가 설계를 맡았다.[7] 빌라 쿡은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5원칙을 보여주는 초기 작품 중 하나이다.[16] 불로뉴쉬르센에 위치한 이 건물은 1926년에 르 코르뷔지에와 피에르 잔느레에 의해 지어졌으며, 미국 언론인 윌리엄 쿡과 그의 프랑스인 아내 잔느의 의뢰를 받아 건설되었다.[17] 하버드 대학교의 카펜터 시각 예술 센터는 르 코르뷔지에가 미국에 남긴 유일한 작품이다. 1963년에 완공된 이 건물은 그의 초기 모더니즘 작품을 구현했으며, 현대 건축의 다섯 가지 요소의 마지막 구현 중 하나였다.[5]
2. 1. 필로티 (Les pilotis)
필로티는 건물을 지상 위로 들어올리는 기둥 구조를 말한다. 철근 콘크리트 기둥으로 건물 전체를 지탱하며, 1층은 기둥만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2층 이상에 실내 공간을 만드는 건축 방법이다.[30] 필로티는 건물 내부 배열을 고려하지 않고, 특정한 동일 간격으로 배치된다. 건축 구조의 대부분을 공중으로 띄우고 비워진 1층의 공간은 정원, 주차장 등으로 활용한다. 기존 벽체 구조에서는 건축물의 무게를 지탱해야 하는 벽의 두께가 두꺼웠고, 채광이 어려우며 실내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하지 못했다. 최소한의 콘크리트 기둥으로 필로티를 만들어 건축하며 벽체의 부담을 덜고 채광과 공간의 자유로움을 얻게 되었다.필로티는 르 코르뷔지에의 '현대 건축의 5원칙' 중 하나로, 건물의 구조적 무게를 감당하는 얇은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격자를 의미한다. 이는 지면의 자유로운 순환을 허용하여 표면 습기를 방지하고, 정원이 주거지 아래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3][4]
사부아 저택은 필로티를 포함한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5원칙을 모두 구현한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필로티는 구조물을 지면에서 들어 올려 자동차가 집 주위를 돌아 직접 입구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굽이진 공간을 통해 그 아래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공간은 자동차의 회전 반경에 맞게 설계되었다.[8] 기둥의 배치는 주로 실용적이며, 구조적으로 효율적인 구성으로 조직되어 있다.[9]
빌라 쿡 또한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5원칙을 보여주는 초기 작품 중 하나이다. 둥근 필로티는 건물을 지면에서 들어 올려, 차고로 이어지는 진입로를 만들었고, 이에 따라 주 출입구도 전체 구조물 아래에 위치하게 되었다.[17]
하버드 대학교의 카펜터 시각 예술 센터는 르 코르뷔지에의 유일한 미국 내 프로젝트로, 필로티가 구조물을 들어 올려 건물의 정면에 낮고 거의 묻힌 공간을 만들어낸다.
2. 2. 옥상 정원 (Roof garden)
옥상 정원은 건물 옥상에 정원을 설치해 필로티로 인해 생긴 면적 손실을 회복하고 녹지를 마련하는 개념이다. 옥상 정원은 비나 눈이 내릴 때 누수를 방지하고 습도를 조절해 준다. 또한 물리적, 기능적으로 건축 면적을 넓히고 조형미를 더하며, 사람에게는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건축적 산책로 구조를 형성하는 경사로는 지면에서 3층 옥상 테라스까지 이어진다. 르 코르뷔지에는 기술적, 경제적, 기능적, 정신적인 이유로 옥상 정원 채택을 권유한다.[31] 르 코르뷔지에의 '현대 건축의 5원칙'에서 옥상 정원은 정원 테라스가 있는 평평한 지붕으로, 조화와 가정적 유용성을 제공하며 콘크리트 지붕에 자연적인 단열층을 제공하고 공간을 창출하는 요소이다.[5][6]2. 3. 자유로운 평면 (Free plan)
'열린 평면(Free plan)', '자유로운 평면'은 건물 구조에 영향을 받지 않고 건물의 내부를 건축가가 원하는 개방형 평면으로 자유롭게 구성하는 방식이다. 필로티의 기둥 체계로 내부 칸막이 벽들은 필요한 곳에 배치되고, 각 층은 다른 층과 완전하게 독립된다.[32] 지지벽 없이 바닥 공간을 자유롭게 배열하여 실내의 모든 바닥이 각 방과 연결된다. 필로티로 인해 실내 공간 계획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으며, 건축 면적과 금전적으로도 절약된다.- “평면을 만든다는 것은 생각을 명확하게 결정하는 일이다. 그것은 여러 가지 생각을 가졌다는 것이다. 즉 이러한 생각을 정리하여 알기 쉽고 실현 가능하며 전달 가능한 형태로 만드는 일이다. 평면이라는 것은 재료의 분석표처럼 다소 요약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요약된 상태는 수정처럼 맑으며, 기하학의 도식과 같은 것이다. 거기에는 많은 생각과 추구하려고 한 동기가 담겨 있다.”(르 코르뷔지에, 1923)[33]
자유로운 평면 설계는 일반적으로 5원칙의 핵심으로 간주되며, 새로운 건축적 틀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하중을 지지하는 칸막이 벽이 없으면 설계 및 생활 공간 활용에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즉, 건물 내부 사용에 제약이 없다.[2],[3]
2. 4. 자유로운 입면 (Free facade)
파사드(facade)는 건물의 정면, 측면 등에서 수평으로 바라본 입면을 의미하며, 주로 출입구가 있는 정면 외벽을 가리킨다. 르 코르뷔지에는 철근 콘크리트와 도미노 시스템을 통해 입면 또한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보았다.[34] '자유로운 입면(Free facade)'은 기둥(구조체)을 건물 뒤쪽에 배치하여, 건물의 외부를 구조적 기능에서 분리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건축가는 벽면이 건물을 지탱하는 하중이나 구조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고 독창적인 건축을 할 수 있게 된다.1920년대 르 코르뷔지에가 제시한 '현대 건축의 5원칙'(프랑스어: ''Cinq points de l'architecture moderne'')은 다섯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된 건축 이념이다.[6] 이 중 자유로운 파사드 설계는 건물 외부가 기존 구조적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가벼우며 개방적인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다.[2]
사부아 저택(Villa Savoye)은 르 코르뷔지에가 모더니즘 건축(modernist architecture)에 기여한 대표작으로, 그의 건축 5원칙을 모두 구현하고 있다.[7] 이쑤시개 모양의 필로티가 수평 리본 창을 지지하며, 파사드 모든 면을 둘러싸고 있다. 의도적으로 배치된 창은 보는 이의 시선을 지평선으로 향하게 하여 풍경의 상하 가시성을 제한하고,[9] 파사드 뒤의 다양한 기능과 내부를 감추는 추상적인 형태를 띤다.[10] 흰색 파사드는 모든 면이 개방되어 있어 앞뒤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11]
빌라 쿡(Villa Cook)(메종 쿡)은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5원칙을 보여주는 초기작 중 하나이다.[16] 파사드의 자유로운 디자인 덕분에 건물의 모든 면을 동시에 볼 수 있으며, 지지 구조물은 눈에 띄지 않게 숨겨져 있다. 줄무늬 미닫이 창문은 건물 외부를 따라 길게 설치되어 있다.[16]
2. 5. 띠 유리창 (Ribbon windows)
띠 유리창(Ribon Windows)은 '가로로 긴 창'으로 불리며, 르 코르뷔지에가 제안한 새로운 건축의 다섯 가지 요소 중 하나이다. 가로로 긴 창을 연속적으로 배치해 채광을 높이며 파노라마 뷰로 주변의 경관을 볼 수 있게 한다. 필로티를 사용함으로 벽이 건물을 지탱하지 않아 창문을 가로로 길게 만들 수 있게 되었다. 르 코르뷔지에는 실내를 밝게 하는 것이 수평창을 사용한 이유라고 설명하며, 가로로 긴 창을 사용하면 방들은 일정하게 채광되고, 동일한 창문 면적의 수직창보다 여덟 배 높은 조도를 얻는다고 하였다.[35]- 빌라 사부아(Villa Savoye)에서 르 코르뷔지에는 파사드의 전체를 활용해 가로로 긴 창을 건축했다. 파사드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리본 창은 방을 균등하게 비추면서 공간감과 고립감을 높인다. 또한 실내 공간에 더 나은 빛과 주변 경관을 제공한다.[2][5] 사부아 저택의 수평 리본 창은 이쑤시개 모양의 필로티에 의해 지지되며, 파사드의 모든 면을 둘러싸고 있다. 의도적인 위치 지정은 보는 사람의 시선을 지평선으로 향하게 하여 풍경의 상단과 하단의 가시성을 제한한다.[9] 파사드 뒤의 다양한 기능과 내부를 숨기는 추상적인 형태를 참조하기도 한다.[10]
- 빌라 쿡(Villa Cook)의 경우, 줄무늬 미닫이 창문이 외부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16]
-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의 카펜터 시각 예술 센터(Carpenter Center for the Visual Arts)의 창문은 더 이상 리본 형태의 띠가 아니라, 내부의 스튜디오와 갤러리를 묘사하는 크고 삼중 유리 패널이다.[20]
3.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물
르 코르뷔지에는 사부아 저택(Villa Savoye), 빌라 쿡(Villa Cook), 카펜터 시각 예술 센터(Carpenter Center for the Visual Arts) 등 여러 건축물을 통해 자신의 건축 철학을 구현했다. 이 건축물들은 그의 '건축의 5원칙'을 다양한 방식으로 보여준다.
- 사부아 저택 (Villa Savoye): 모더니즘 건축의 대표작으로, 건축의 5원칙(필로티, 자유로운 평면, 수평 창, 옥상 정원, 자유로운 파사드)을 모두 구현한 것으로 평가받는다.[7] 하지만, 거주에는 여러 문제점이 발견되어 비판받기도 했다.[12][13]
- 빌라 쿡 (Villa Cook): 르 코르뷔지에의 초기 작품 중 하나로, 건축의 5원칙을 잘 보여준다.[16] 입방체 형태, 필로티, 자유로운 파사드, 옥상 정원 등의 요소를 통해 기능성과 심미성을 조화시켰다.
- 카펜터 시각 예술 센터 (Carpenter Center for the Visual Arts): 하버드 대학교에 있는 건물로, 르 코르뷔지에가 미국에 남긴 유일한 작품이다.[5] 건축의 5원칙을 수정, 발전시켜 적용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3. 1. 빌라 사부아 (Villa Savoye)
사부아 저택(Villa Savoye)은 르 코르뷔지에가 모더니즘 건축에 기여한 가장 중요한 건축물로 여겨지며, 그의 건축의 5원칙을 모두 구현하고 있다.[7] 푸아시에 위치해 있으며, 1928년부터 1931년까지 건축되었다. 르 코르뷔지에와 그의 협력자인 피에르 잔느레는 피에르 사부아와 외제니 사부아 부부에게 설계를 의뢰받았고, 무제한적인 자유를 부여받았다.[7]
필로티는 구조물을 지면에서 들어 올려 자동차가 집 주위를 돌아 직접 입구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굽이진 공간을 통해 그 아래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공간은 자동차의 회전 반경에 맞게 설계되었다.[8] 기둥의 배치는 주로 실용적이며, 구조적으로 효율적인 구성으로 조직되어 있다. 일부 배치는 방 내부에 구획을 만들어 지상 평면의 자유로운 설계를 촉진한다.[9] 수평 리본 창은 이쑤시개 모양의 필로티에 의해 지지되며, 파사드의 모든 면을 둘러싸고 있다. 의도적인 위치 지정은 보는 사람의 시선을 지평선으로 향하게 하여 풍경의 상단과 하단의 가시성을 제한한다.[9] 또한 파사드 뒤의 다양한 기능과 내부를 숨기는 추상적인 형태를 참조하기도 한다.[10] 옥상 테라스는 마담 사부아의 침실 스위트에서 자연스럽게 이어져 자유 평면의 정점을 이루고, 내부와 외부 공간의 구분을 무너뜨리면서 목가적인 풍경을 조망할 수 있다.[7] 흰색 파사드는 모든 면이 열려 있어 뒤쪽이나 앞쪽이 뚜렷하지 않다.[11] 부지의 언덕 위치를 극대화하여 르 코르뷔지에가 파리의 도시 생활의 걱정으로부터 탈출구로 이 저택을 구상했기 때문에 모든 면에서 멀리 있는 풍경을 볼 수 있다.[9]
자유로운 설계, 특히 집을 관통하는 램프와 계단의 순환이 가지는 공간적 특성은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적 산책(promenade architecturale)" 개념의 표현으로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11] 본질적으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는 움직임의 시나리오 경로로, 일부 측면은 의도적으로 외부를 향하고, 다른 측면은 공간의 내부를 반영한다.[9] 또한, 나선형 계단과 다층 램프는 서로 조화롭게 오르내리며,[7] 램프의 기울어진 평면은 여러 층을 끊임없이 연결하여 테라스 위에 위치한 곡선형 일광욕실에서 끝난다.[9] 반면에, 계단은 르 코르뷔지에가 선호하는 움직임의 방향을 점진적으로 방해하여 "산책"에 모순된다.[7]
이 집은 기계적 및 구조적 문제로 시달렸으며, 비실용성으로 인해 거주가 불가능했다. 사부아 부부의 불만은 잘 기록되었지만, 부지 전체에 만연한 누수와 침수를 언급하며 대부분 해결되지 않았다. 그러나 르 코르뷔지에는 이러한 기능적 결함의 상당 부분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고, 공간은 계속해서 문제에 시달렸으며, 광범위한 누수로 인해 결국 소유주가 1939년경에 거주를 포기하게 되었다.[12] 역설적으로, 건축가가 "집은 생활을 위한 기계이다"(une maison est une machine-à-habiter프랑스어)라고 선언했지만, 사부아 저택은 범주적으로 살 수 없는 구조물이 되었다.[13]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과 미군에 의해 잠시 점유된 것을 제외하고는, 1950년대 후반에 국제 보존 캠페인이 시작될 때까지 대부분 비어 있었고 황폐한 상태로 남아 있었다.[12] 구조물의 철거 가능성을 알게 된 르 코르뷔지에는 세계적인 명성을 이용하여 현대 미술관(Museum of Modern Art)과 타임 (잡지)(Time magazine)을 포함한 영향력 있는 인물과 기관으로부터 전 세계적인 지원을 얻어 결국 성공적인 캠페인에 기여했다.[14] 2016년에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UNESCO World Heritage Site)으로 등재되어,[15] 건축적 명성을 강화하고, 완벽한 주택은 아니었지만, 르 코르뷔지에의 창의적인 미학을 보여주는 전형으로 작용하며, 그의 선언문을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동시에 건축의 5원칙을 모두 구현한 마지막 프로젝트임을 확인했다.[14]
3. 2. 빌라 쿡 (Villa Cook)
빌라 쿡(메종 쿡)은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의 5원칙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초기 작품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16] 1926년 불로뉴-쉬르-센에 르 코르뷔지에와 피에르 잔느레가 지었으며, 미국 언론인 윌리엄 쿡과 그의 프랑스인 아내 잔느의 의뢰를 받아 건설되었다.[17]
르 코르뷔지에는 이 집을 "진정한 입방체 주택"(la vraie maison cubique프랑스어)이라고 칭했는데, 건설 계획이 사각형에서 시작되어 입방체 형태를 나타내기 때문이다.[16] 둥근 필로티는 건물을 지면에서 들어 올려 차고로 이어지는 진입로를 만들었고, 주 출입구도 전체 구조물 아래에 위치하게 되었다.[17] 파사드의 자유로운 디자인은 건물의 모든 관점을 동시에 볼 수 있게 해주며, 눈에 보이는 지지 구조물을 숨긴다. 줄무늬 미닫이 창문이 외부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어 있고, 옥상 정원은 이전의 열린 평면도의 자연스러운 연장선을 보여준다.[16]
이 집은 기둥 격자에 의해 결정되는 네 개의 구역으로 나뉘며, 최상층에 위치한 주요 생활 공간을 분리하여 가장 접근하기 쉬운 외부 공간인 옥상 정원과 연결한다.[3] 1층 침실은 주거 공간의 전통적인 수직 구성을 뒤집어, 자유로운 평면을 명확하게 보여준다.[18] 이러한 수직적 구성은 제한된 외부 치수로 인해 도시 환경의 제약에 부분적으로 기인했으며, 네 개의 층으로 나뉘어 하단 입구와 넓은 옥상 정원으로 마감된 쌓을 수 있는 입방체를 구상하는 것이 논리적이었다.[3] 이 주택의 중심은 옥상 테라스로, 불로뉴 숲(Bois de Boulogne) 공원의 먼 경치를 볼 수 있도록 구형으로 확장되어 혼잡한 주변 환경에서 벗어날 수 있는 피난처 역할을 한다.[9]
빌라 쿡의 건축적 산책로는 웅장한 옥상 정원으로 구성된 명확한 시작, 중간, 그리고 극적인 피날레로 구성되어 있다.[9] 그러나 구조물의 대부분은 내부 공간과 외부 풍경을 통합하려 하기보다는, 리본 창문과 평평한 지붕이 복층 거실을 가림으로써 파사드의 모든 면에서 공간 배치를 더 촘촘하게 가린다.[18] 또한, 중심 기둥이 내부 공간을 짝수로 나누면서, 이동 경로는 덜 다양해지고, 좁고 불연속적인 축을 따라 올라가는 더 논리적인 이동 계층 구조를 낳는다.[9]
3. 3. 카펜터 시각 예술 센터 (Carpenter Center for the Visual Arts)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 카펜터 시각 예술 센터(Carpenter Center for the Visual Arts)는 르 코르뷔지에가 미국에서 유일하게 작업한 건물이다. 1963년에 완공되었으며, 그의 초기 모더니즘 작품의 특징을 담고 있고 현대 건축의 다섯 가지 요소가 마지막으로 구현된 사례 중 하나이다.[5] 기예르모 훌리안 데 라 푸엔테(Guillermo Jullian de la Fuente)와 함께 설계했으며, 건축, 시각 예술, 영화가 융합되는 공간으로 구상되었다.[19]
건물의 필로티는 건물을 들어 올려, 너비와 깊이에도 불구하고 건물 앞쪽에 낮고 거의 묻힌 듯한 공간을 만든다. 정면 파사드는 벽 전체에 긴장감을 조성하며, 건설 방식은 체계적이면서도 무질서하게 보인다.[5] 창문은 더 이상 리본 형태가 아니라, 내부의 스튜디오와 갤러리를 보여주는 크고 삼중 유리 패널이다.[20] 지붕 정원은 중앙 주 경사로 양쪽에 있는 두 개의 곡선형 스튜디오 위에 있다.[5] 자유로운 평면 디자인은 대형 필로티의 지원을 받아 기능적 유연성을 높이고, 개방형 창작 공간과 전시회 또는 영화 상영을 위한 다양한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19]
주요 산책로는 건물 중간을 통과하는 경사로를 통해 제공되며, 부지의 앞면과 뒷면을 모두 둘러싸는 대부분 외부 통로를 따른다.[5] 내부 산책로는 필로티의 하향 궤적을 따라 계단을 통해 위로 올라가는 또 다른 경로를 통해 나타난다.[5] 중앙 경사로는 명확한 이동 선을 제공하여 내부 공간을 매끄럽게 연결하는 점진적인 상승을 제공하는 동시에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스튜디오와 갤러리를 엿볼 수 있게 한다. 이는 르 코르뷔지에가 하버드 야드(Harvard Yard)를 캠퍼스 건너편의 더 현대적인 건물과 연결하는 주요 통로로 의도한 것이다.[5] 르 코르뷔지에의 이전 건축 방식과 다섯 가지 요소의 수정된 요소를 결합함으로써, 카펜터 센터는 이전 개념과 새로운 구성을 결합하여 다양한 가능성을 갖춘 정교한 구성을 구현한다.[19]
4. 비판
건축의 다섯 가지 요소의 관례는 실제로 적용하기에 항상 실용적인 것은 아니다. 빌라 사보이 완공 후 르 코르뷔지에는 자신의 선언문에서 명시한 원칙에서 벗어나 자연과 더 조화로운 구조물을 선호하기 시작했다.[21] 이러한 이념적 이탈은 주로 토착 건축에 대한 경향과 천연 자원의 활용에 기반을 두었으며, 모든 실천에서 자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모든 형태는 자연에서 유래해야 한다고 결정했다.[22] 이는 다섯 가지 요소의 순수주의 디자인에서 벗어난 것이었으며, 르 코르뷔지에는 자신의 다섯 가지 분류를 더 큰 유연성으로 조화시키려 노력하여 기계적 질서와 자연적 혼돈 사이의 융합을 만들었다.[23]
다섯 가지 요소의 특정 원칙은 실제 거주와 일치하지 않아 일상생활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지 않은 설계를 낳았다. 빌라 사보이의 물리적 손상은 르 코르뷔지에가 고객의 필요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가정 소비보다 미적 야망을 우선시한 데 기인한다.[11] 넓은 유리창은 따뜻한 계절에는 과열을 유발할 수 있으며, 추운 기후에서는 상당한 열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유리창이 건물 전체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다.[24] 광범위한 누수와 악천후로 인해 빌라는 잦은 수리가 필요했고, 결국 거주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빌라는 건축가의 선구적인 역량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았다.[25]
5. 영향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력은 부인할 수 없으며, 그의 "새로운 건축의 다섯 가지 요소"는 많은 건축물의 지침이 되었다. 다섯 가지 요소의 특징들은 수많은 현대 디자인에 등장하며, 그의 선언이 지속적인 유산임을 보여준다.[2] 이러한 합리화의 핵심 아이디어는 여전히 많은 현대 건축가들에게 영감과 토대가 되며, 그들은 르 코르뷔지에의 틀을 자신들의 프로젝트에 통합하고 있다.[26]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작품, 특히 판스워스 하우스와 필립 존슨의 유리 집에서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적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이 걸작들은 모더니즘 주거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이 현대 건축 환경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27]
참조
[1]
논문
Les Cinq Points d'une Architecture Nouvelle
https://www.jstor.or[...]
1987
[2]
웹사이트
The 5 Points of Modern Architecture in Contemporary Projects
https://www.archdail[...]
2022-03-15
[3]
서적
Raumplan Versus Plan Libre: Adolf Loos, Le Corbusier
010 Publishers
[4]
논문
Les Cinq Points d'une Architecture Nouvelle
[5]
서적
The Le Corbusier Guide
[6]
논문
Les Cinq Points d'une Architecture Nouvelle
[7]
서적
The Le Corbusier Guide
[8]
논문
The Vernacular, Modernism, and Le Corbusier
https://www.jstor.or[...]
1997
[9]
논문
Savoye Space
http://www.harvardde[...]
[10]
서적
Raumplan Versus Plan Libre: Adolf Loos, Le Corbusier
[11]
논문
The Villa Savoye and the Modernist Historic Monument
https://www.jstor.or[...]
2002
[12]
논문
The Villa Savoye and the Modernist Historic Monument
[13]
논문
The Villa Savoye and the Modernist Historic Monument
[14]
논문
The Villa Savoye and the Modernist Historic Monument
[15]
웹사이트
The Architectural Work of Le Corbusier, an Outstanding Contribution to the Modern Movement
https://whc.unesco.o[...]
[16]
서적
The Le Corbusier Guide
[17]
서적
The Le Corbusier Guide
[18]
서적
Raumplan Versus Plan Libre: Adolf Loos, Le Corbusier
[19]
웹사이트
AD Classics: Carpenter Center for the Visual Arts / Le Corbusier
https://www.archdail[...]
2011-03-13
[20]
서적
The Le Corbusier Guide
[21]
서적
Being Modern: The Cultural Impact of Scienc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UCL Press
[22]
서적
Being Modern: The Cultural Impact of Scienc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23]
서적
Being Modern: The Cultural Impact of Scienc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24]
웹사이트
The Darker Side of Villa Savoye
https://misfitsarchi[...]
2011-09-02
[25]
웹사이트
5 Examples of Iconic Modern Architecture That Have Serious Flaws
https://www.architec[...]
2016-09-05
[26]
웹사이트
Corbusier Manifesto: Five Points of New Architecture
https://www.studio2a[...]
2020-02
[27]
웹사이트
Machines for Living In: Le Corbusier's Pivotal "Five Points of Architecture"
https://99percentinv[...]
2018-02-19
[28]
서적
建築という対話 僕はこうして家をつくる
筑摩書房
[29]
서적
NHK 夢の美術館 世界の名建築100選
新建築社
[30]
서적
20세기 건축 선언과 프로그램
마티
[31]
간행물
Le Corbusier의 '새로운 건축의 5원칙'을 통해 분석한 'Villa Savoye의 설계과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32]
서적
20세기 건축 선언과 프로그램
마티
[33]
서적
Modern Architecture since 1900
Phaidon Press
[34]
간행물
Le Corbusier의 '새로운 건축의 5원칙'을 통해 분석한 'Villa Savoye의 설계과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35]
서적
20세기 건축 선언과 프로그램
마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