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턴 로켓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턴 로켓은 195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미국에서 개발된 일련의 대형 발사체이다. 베르너 폰 브라운의 제안으로 시작되어, 다양한 모델을 거쳐 아폴로 계획의 달 착륙 임무에 사용된 새턴 V 로켓으로 완성되었다. 새턴 로켓 시리즈는 새턴 I, IB, V로 구성되며, 아폴로 계획, 스카이랩 계획, 아폴로-소유즈 테스트 계획 등에서 발사체로 사용되었다. 새턴 V는 역사상 가장 크고 강력한 로켓 중 하나로, 달 착륙선, 사령선, 기계선을 달로 운반하는 데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새턴 로켓 - 새턴 V
새턴 V는 미국의 아폴로 계획과 스카이랩 계획에 사용된 다단식 액체 추진 로켓으로, NASA에 의해 13회 발사되어 인류 최초의 달 착륙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현재 3기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새턴 로켓 - 새턴 I
새턴 I은 아폴로 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NASA에서 개발한 2단 액체 연료 로켓으로, 10회의 성공적인 발사를 통해 기술적 완성도를 입증하고 새턴 IB 및 새턴 V 로켓 개발의 기반이 되었다. - 1958년 과학 -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
국제 지구물리 관측년은 1957년부터 1958년까지 67개국이 참여하여 전 지구적 규모의 지구물리 현상을 연구하고 우주 개발 경쟁을 촉발했으며 남극 조약 체결에 영향을 미친 과학 관측 프로그램이다. - 1958년 과학 - 밴 앨런대
밴 앨런대는 지구 자기장에 붙잡힌 하전 입자들의 방사선대로, 1958년 익스플로러 위성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내대와 외대로 나뉘어 태양 활동에 따라 변화하며 우주 탐사에 영향을 준다. - NASA의 우주발사체 - 타이탄 로켓
타이탄 로켓은 마틴 회사에서 개발한 일련의 발사체로, 타이탄 I부터 IV까지 다양한 모델이 존재했으며, ICBM 및 우주 발사체로 사용되다가 2005년에 퇴역했다. - NASA의 우주발사체 - 머큐리-레드스톤 로켓
머큐리-레드스톤 로켓은 머큐리 계획의 일환으로 미국 육군의 레드스톤 미사일을 개조하여 준궤도 유인 우주 비행에 사용되었으며, 앨런 셰퍼드와 거스 그리섬을 우주로 보낸 발사체로 추진력 증강 및 안전 시스템 추가 등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새턴 로켓 | |
---|---|
개요 | |
유형 | 다단식 액체 연료 로켓 |
개발 국가 | 미국 |
제작사 | 크라이슬러 (1단계), 더글라스 (2단계), 노스 아메리칸 (3단계), 보잉 (5단계) |
운용 기관 | 미국 항공 우주국(NASA) |
역할 | 중량물 로켓 |
첫 발사 | 1961년 10월 27일 |
마지막 발사 | 1975년 7월 15일 |
발사 횟수 | 13회 |
성공 횟수 | 12회 |
실패 횟수 | 1회 |
제원 | |
총 길이 | 363 ft (111 m) |
직경 | 33 ft (10.1 m) |
질량 | 6,200,000 lb (2,800,000 kg) |
단수 | 2 ~ 3단 |
추진체 | 액체 산소, RP-1, 액체 수소 |
추력 | 3,400,000 lbf (15,000 kN) |
새턴 I | |
유형 | 2단 중량물 로켓 |
길이 | 56.1 m |
질량 | 468,279 kg |
추력 | 6,670 kN |
탑재 하중 | 20,865 kg (저궤도) |
새턴 IB | |
유형 | 2단 중량물 로켓 |
길이 | 68.3 m |
질량 | 587,000 kg |
추력 | 7,117 kN |
탑재 하중 | 21,000 kg (저궤도) |
새턴 V | |
유형 | 3단 중량물 로켓 |
길이 | 110.6 m |
질량 | 2,965,000 kg |
추력 | 33,400 kN |
탑재 하중 | 140,000 kg (저궤도), 43,500 kg (달 궤도) |
역사 | |
개발 | 1960년대 초 |
제작 | 1960년대 |
주요 임무 | 아폴로 계획 |
새턴 1호 | 1961년 발사 |
새턴 5호 | 1967년 발사 |
주요 사건 | |
아폴로 1호 화재 사고 | 새턴 로켓을 이용한 아폴로 프로그램에서 아폴로 1호의 화재 사고 발생 |
2. 개발
베르너 폰 브라운은 1957년 미국 국방부에 추력 6.7 MN을 갖는 대형 추진체 개발을 제안했다. 이는 10~20톤의 하중을 지구 궤도에, 3~6톤의 하중을 태양계 다른 곳에 보낼 수 있는 능력이다. 1958년 방위 고등 연구 계획국(ARPA)는 이 제안을 승인하고 "주노 V형"으로 명명했다.
폰 브라운의 연구팀은 여러 엔진을 결합하는 방식과 단일 대형 엔진을 개발하는 방식 모두 연구했다. 가장 실용적인 방법은 기존 로켓을 연결한 다단계 엔진을 만드는 것이었다. 폰 브라운은 8개의 레드스톤 미사일을 주피터 미사일과 묶는 설계를 제안했고, S-3D 엔진을 개량한 H-1 엔진을 사용했다. 한편, 로켓다인 사는 H-1 엔진 묶음을 이용한 단일 엔진인 F-1 엔진을 설계하고 있었다.
1959년 폰 브라운은 추진체 이름을 "새턴"으로 변경할 것을 제안했고, ARPA는 이를 승인했다.
2. 1. 초기 개발
1950년대 초, 미국은 소련과의 냉전 경쟁 속에서 장거리 미사일 개발에 힘을 쏟았다. 해군은 바이킹 로켓, 육군은 주피터와 레드스톤 미사일을 개발했고, 공군은 아틀라스와 타이탄 미사일 개발에 집중했다. 그러나 각 군 간의 경쟁은 효율적인 로켓 개발을 방해하는 요소였다.[5] 1956년, 미국 국방부는 대형 발사체에 대한 요구 사항을 발표했고,[6] 이는 육군탄도미사일국(ABMA)이 자체 대형 로켓 프로젝트를 추진할 기회를 주었다.베르너 폰 브라운은 가능한 한 빨리 건설할 수 있는 전용 발사체 설계를 연구하도록 지시했다.[7] ABMA 팀은 기존 미사일 여러 개를 묶어 단일 대형 부스터를 만드는 방식을 제안했다. 이는 기존 제작 및 설계 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비교적 저렴하고 빠른 방법이었다.[8] 슈퍼 주피터는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되었으며, 여러 엔진을 사용하여 높은 추력을 얻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단일 대형 엔진을 사용하는 방식도 고려되었다. 이 방식은 더욱 안정적이고 성능이 높을 수 있지만, 개발에 많은 비용과 위험이 따랐다. 공군은 이러한 엔진에 대한 관심을 표명했고, 이는 F-1 로켓 엔진으로 발전했지만, 당시에는 개발 초기 단계였다.[7]
1957년 12월, ABMA는 "국가 통합 미사일 및 우주선 개발 프로그램 제안"을 통해 클러스터 방식을 상세히 설명했다.[12] 이 제안에는 8개의 레드스톤을 연료탱크로 사용하는 주피터 미사일 동체, 추력판, 그리고 4개의 로켓다인 E-1 엔진(각각 1,690kN 추력)으로 구성된 부스터가 포함되었다. ABMA는 단일 6,672kN 엔진을 사용하는 설계로의 확장 가능성도 열어 두었다.
1958년, 고등 연구 계획국(ARPA)는 폰 브라운의 대형 추진체 개발 제안을 승인하고 "주노 V형"으로 명명했다. 폰 브라운은 기존 로켓을 연결한 다단계 엔진 방식과 단일 엔진 방식을 모두 연구했다. 다단계 엔진 방식은 8개의 레드스톤 미사일을 주피터 미사일과 묶는 설계로, S-3D 엔진을 개량한 H-1 엔진을 사용했다. 한편, 로켓다인 사는 H-1 엔진 묶음을 이용한 단일 엔진인 F-1 엔진을 설계하고 있었다.
1959년, 폰 브라운은 추진체 이름을 "새턴"으로 변경할 것을 제안했고, ARPA는 이를 승인했다.
2. 2. 스푸트니크 충격과 주노 V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스푸트니크 1호(Sputnik I)를 발사하면서 세계는 큰 충격에 빠졌다. 특히 미국은 소련이 우주 개발 경쟁에서 앞서가고 있다는 사실에 큰 홍보 타격을 입었다.[14] 미국 해군의 방어 프로젝트 뱅가드(Project Vanguard) 발사가 실패하고 언론이 이를 "카푸트니크(Kaputnik)"[15] 등으로 비판하면서, 미국의 자존심은 더욱 상처를 입었다.이러한 상황에서 베르너 폰 브라운은 90일 안에 위성을 궤도에 올릴 수 있다고 주장하며, 주피터 C(Jupiter C) 로켓과 뱅가드의 고체 연료 엔진을 결합한 주노 1호(Juno I) 로켓을 제안했다. 폰 브라운은 1958년 2월 1일 익스플로러 1호(Explorer I)를 성공적으로 발사하며 미국의 우주 개발 경쟁 참여를 알렸다.[16]

한편, 소련의 연이은 성공에 자극받은 미국 국방부는 군 부서 간의 경쟁과 비효율적인 연구 개발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1958년 2월 7일 방위 고등 연구 계획국(ARPA)을 설립했다. ARPA는 소련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기 위해 대형 우주선 부스터 개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ARPA는 여러 가지 설계를 검토한 끝에, 육군탄도미사일국(ABMA)의 '''주노 V''' 설계를 채택했다. 주노 V는 기존 S-3D 엔진을 개량한 H-1 엔진 8개를 묶어 사용하는 방식으로,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18] ARPA는 1958년 8월 15일 ABMA에 주노 V 개발을 정식으로 요청했고,[19] 1958년 9월 11일에는 H-1 엔진 개발 계약이 체결되었다.[20]

1959년 2월, 폰 브라운은 이 추진체의 이름을 "주피터"(목성)에서 한 단계 나아간 "새턴"(토성)으로 변경할 것을 제안했고, ARPA는 이를 승인했다.[22] 또한, 군사적 응용 가능성이 낮은 이 계획은 새로 설립된 NASA로 이관되었다.
2. 3. 실버스테인 위원회
1959년, 미국 정부는 "새턴 발사체 평가 위원회"(일명 실버스테인 위원회)를 구성하여 NASA의 우주 개발 방향을 제시했다.[1] 이 위원회는 새턴 로켓에 수소 연소 상단부를 개발할 것을 권고하고, 다양한 중량물 운반 로켓 부스터 구성을 제안했다.[1] 제안된 구성은 다음과 같다.[1]- A-1: 새턴 1단, 타이탄 2단, 켄타우루스 3단 (폰 브라운의 초기 개념).[1]
- A-2: 새턴 1단, 클러스터형 주피터 2단, 켄타우루스 3단.[1]
- B-1: 새턴 로켓 1단, 클러스터드 타이탄 2단, S-IV 3단, 켄타우루스 4단.[1]
- C-1: 새턴 1단 로켓, S-IV 2단계 (실제 새턴 1호와 유사).[1]
- C-2: 새턴 1단 로켓, S-II 2단계, S-IV 3단계.[1]
- C-3, C-4, C-5: F-1 엔진을 사용하는 새로운 1단 로켓, S-II 2단계, S-IV 3단계 (C-5는 실제 새턴 5호와 유사).[1]
새로운 수소 연소 엔진 개발 계약은 1960년 로켓다인(Rocketdyne)에 체결되었고, 새턴 IV 단계 개발 계약은 같은 해 더글러스에 체결되었다.[1]
3. 아폴로 계획
1961년 5월,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1960년대 말까지 우주비행사를 달에 보내겠다는 목표를 제시하면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아폴로 계획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NASA는 달 착륙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평가했는데, 이 과정에서 노바 로켓과 새턴 로켓이 모두 고려되었다.[24] 하지만 새턴 로켓은 생산 용이성과 기존 기술 활용 가능성이 높아 최종적으로 선택되었다. 새턴 로켓은 대부분의 부품을 항공 수송할 수 있었고, 제안된 가장 큰 하단부 단계에 대해서만 새로운 공장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실버스테인 위원회의 제안 중 가장 강력한 새턴 C-5(후에 새턴 V로 명명됨)가 달 착륙 임무에 가장 적합한 설계로 선택되었다. 당시에는 임무 방식이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충분한 추진력을 확보하기 위해 가장 강력한 부스터 설계를 선택한 것이었다. 이후 달 궤도 랑데부 방식이 채택되면서 발사 중량 요구 사항이 C-5의 범위 내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이 시점에서 세 단계 모두 설계도 상에만 존재했고, 실제 달 착륙선이 부스터보다 훨씬 빨리 개발되어 테스트 준비를 마칠 가능성이 높았다. 따라서 NASA는 하단부 단계가 기존 기술(레드스톤과 주피터 연료 탱크)을 기반으로 하고 상단부 단계가 이미 개발 중이었기 때문에 C-1(나중에 새턴 I로 명명됨)을 시험 비행체로 계속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통해 S-IV에 대한 귀중한 시험을 수행하고 저궤도에서 캡슐 및 기타 구성 요소를 발사할 수 있었다.
4. 새턴 로켓 시리즈
새턴 로켓 시리즈는 크게 새턴 I, 새턴 IB, 새턴 V로 나눌 수 있다. 각 로켓의 개발 순서, 기능, 발사 횟수는 아래 표와 같다.
이름 | 일련 번호 | 기능 | 초도 비행 | 최종 비행 | 발사 횟수 | 비고 | ||
---|---|---|---|---|---|---|---|---|
총계 | 성공 | 실패 | ||||||
새턴 I 블록 I | SA–1–4 | 개발 | 1961년 10월 27일 | 1963년 3월 28일 | 4 | 4 | 0 | 1단계만 실시 |
새턴 I 블록 II | SA–5–10 | 개발 | 1964년 1월 29일 | 1965년 7월 30일 | 6 | 6 | 0 | 아폴로 시험용 사령선 및 페가수스 미소유성 위성 탑재 |
새턴 IB | SA–200 | 아폴로 우주선 지구 궤도 운반체 | 1966년 2월 26일 | 1975년 7월 15일 | 9 | 9 | 0 | 아폴로 7호, 스카이랩 승무원 및 아폴로-소유즈 테스트 계획에 사용됨 |
새턴 V | SA–500 | 아폴로 우주선 달 궤도 운반체 | 1967년 11월 9일 | 1973년 5월 14일 | 13 | 12 | 1 | 9번의 유인 달 탐사 임무와 스카이랩 우주 정거장 발사 |
새턴 I은 새턴 로켓 시리즈의 첫 번째 모델이다. 당초 C1, C2, C3, C4, C5로 발전할 예정이었으나, 기간과 비용 절감을 위해 C2~C4는 폐지되었다. C5는 후의 새턴 V에 해당한다. 새턴 IB는 C2 이후에 테스트를 예정했던 J-2를 2단에 탑재하여 개발되었다.
새턴 II는 새턴 V에서 파생된 일회용 로켓으로 계획되었으나, 실제로 제작되지는 않았다. 새턴 V의 부품을 재활용하여 새턴 IB에 상응하는 로켓을 만드는 것이 목적이었다. 새턴 로켓 시리즈에는 이 외에도 여러 파생 기종이 계획되었지만, 대부분 계획 단계에서 그치고 실제로 제작되지는 않았다.
4. 1. 새턴 I
새턴 I은 새턴 로켓 시리즈의 첫 번째 모델이다. 저궤도 발사 능력은 일본의 H-IIA와 거의 동등하다. 당초 새턴 로켓은 C1, C2, C3, C4, C5로 발전할 예정이었으며, 새턴 I은 이 C1에 해당한다. 기간과 비용 절감을 위해 C2~C4는 폐지되었다.1961년 5월 케네디 대통령의 연설에 따라 NASA는 1960년대 말까지 우주비행사를 달에 보내기로 결정했다. 노바 로켓과 새턴 로켓 모두 이 계획에 대해 검토되었는데, 설계가 유사하고 일부 부품을 공급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조기에 생산이 가능하고 대부분의 부품을 항공 수송할 수 있는 새턴 로켓 안이 선택되었다.
NASA는 시험 기체로 C-1(후의 새턴 I) 개발을 계속하기로 결정했다. C-1은 기존의 레드스톤 로켓과 주피터 미사일의 연료 탱크 기술을 활용한 1단계와 이미 개발 중인 상단 로켓을 결합한 것이었다. 이를 통해 S-IV 시험뿐만 아니라 캡슐 및 기타 구성 요소의 시험도 저궤도에서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
새턴 I은 총 10기가 발사되었으며, 1단계에는 S-I가 사용되었고, 2단계에는 S-IV가 사용되었다.
블록 | 일련 번호 | 기능 | 초도 비행 | 최종 비행 | 총 발사 횟수 | 성공 | 실패 | 비고 |
---|---|---|---|---|---|---|---|---|
블록 I | SA–1–4 | 개발 | 1961년 10월 27일 | 1963년 3월 28일 | 4 | 4 | 0 | 1단계만 실시 |
블록 II | SA–5–10 | 개발 | 1964년 1월 29일 | 1965년 7월 30일 | 6 | 6 | 0 | 아폴로 시험용 사령선 및 페가수스 미소유성 위성 탑재 |
4. 2. 새턴 IB
아폴로 계획 초기, 주로 사령선과 기계선의 운용 시험을 위해 지구 궤도에 발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2단 로켓이다. 아리안 5호와 비슷한 약 18톤의 탑재량을 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었다. 1단에는 8기의 케로신/액체 산소 로켓 엔진을 클러스터 방식으로 탑재하고 있다. 2단에는 신형 수소 로켓 엔진 J-2를 탑재하고 있는데, 이 엔진은 성능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여러 번 연소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후 스카이랩 계획에서는 스카이랩 2호부터 4호(아폴로 사령선·기계선을 전용)를 수송하기 위해, 사턴 V의 발사대에서 부스터를 장착하여 발사되었다.[25] 1975년 아폴로-소유즈 테스트 계획에서도 소유즈 19호와 도킹할 아폴로 우주선을 발사할 때, 스카이랩 2호부터 4호와 같은 발사 방식이 사용되었다.
일련 번호 | 기능 | 초도 비행 | 최종 비행 | 총 발사 횟수 | 성공 | 실패 | 비고 |
---|---|---|---|---|---|---|---|
SA–200 | 아폴로 우주선 지구 궤도 운반체 | 1966년 2월 26일 | 1975년 7월 15일 | 9 | 9 | 0 | 아폴로 7호, 스카이랩 승무원 및 아폴로-소유즈 테스트 계획에 사용됨 |
4. 3. 새턴 V
아폴로 달 탐사선의 사령선, 기계선, 달 착륙선을 달로 보내기 위해 개발된, 길이 110m, 지름 10m에 달하는 역사상 가장 큰 로켓이다. 3단식 액체 연료 로켓으로, 1단에 케로신/액체 산소 로켓 엔진 5기, 2단에 액체 수소/액체 산소 엔진 5기, 3단에 1기를 탑재한다. 총 중량의 무려 93%가 추진제일 정도로, 추진제 덩어리와 같은 로켓이다. 또한 1단 로켓 5기의 총 출력을 마력으로 환산하면 약 1억 6천만 마력에 달하는데, 이는 지금까지 인류가 개발한 것 중 가장 높은 출력의 엔진이다.새턴 V는 지구 근처 고도 약 300km의 저궤도에 120ton에 달하는 페이로드를 투입할 수 있으며, 말 그대로 달에 가기 위해 만들어진 로켓이다. 그러나 예산 삭감으로 아폴로 계획은 20호까지 예정되어 있었던 것을 17호에서 중단되었고, 남은 새턴 부스터와 아폴로 우주선은 후속 스카이랩 계획이나 소련의 소유즈 우주선과의 도킹 미션에 사용되었다.
이름 | 일련 번호 | 기능 | 초도 비행 | 최종 비행 | 총계 | 성공 | 실패 | 비고 |
---|---|---|---|---|---|---|---|---|
새턴 V | SA–500 | 아폴로 우주선 달 궤도 운반체 | 1967년 11월 9일 | 1973년 5월 14일 | 13 | 12 | 1 | 9번의 유인 달 탐사 임무와 스카이랩 우주 정거장 발사 |
4. 4. 기타 파생형
새턴 V에서 파생된 일회용 로켓인 새턴 II는 미국의 아폴로 계획에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계획 단계에만 머물렀다. 새턴 II의 기본적인 목적은 새턴 V의 부품을 재활용하여 새턴 IB에 상응하는 로켓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S-IB 단을 사용하는 새턴 IB의 생산 라인을 폐쇄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더욱 효율적인 로켓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했다.새턴 IB의 생산 라인을 폐쇄하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새턴 IB에서 수행했던 아폴로 우주선의 지구 궤도 진입이 가능한 수준의 능력을 갖추도록 설계되었다. 새턴 II는 새턴 V에서 1단계인 S-IC를 제거하고, 1단계를 새턴 V의 2단계 S-II, 2단계를 새턴 V의 3단계이자 새턴 IB의 2단계인 S-IVB로 구성된 2단계 로켓이다.
파생 기종도 몇 가지 고려되었지만, 어느 것도 생산되지 않았고, 새턴 로켓의 생산은 모든 기종이 종료되어 페이로드 발사는 스페이스 셔틀로 이관되었다. 새턴 로켓 시리즈에는 여러 가지 파생 기종이 계획되었지만, 계획만으로 끝나고 실현되지 않은 기종도 많다.
5. 발사 기록
새턴 로켓 시리즈의 발사 기록은 다음과 같다.[23][26]
프로그램 | 발사체 | 임무 | 발사일 | 발사대 |
---|---|---|---|---|
사턴 1호 | SA-1 | SA-1 | 1961년 10월 27일 | 34 |
사턴 1호 | SA-2 | SA-2 | 1962년 4월 25일 | 34 |
사턴 1호 | SA-3 | SA-3 | 1962년 11월 16일 | 34 |
사턴 1호 | SA-4 | SA-4 | 1963년 3월 28일 | 34 |
사턴 1호 | SA-5 | SA-5 | 1964년 1월 29일 | 37B |
사턴 1호 | SA-6 | A-101 | 1964년 5월 28일 | 37B |
사턴 1호 | SA-7 | A-102 | 1964년 9월 18일 | 37B |
사턴 1호 | SA-9 | A-103 | 1965년 2월 16일 | 37B |
사턴 1호 | SA-8 | A-104 | 1965년 5월 25일 | 37B |
사턴 1호 | SA-10 | A-105 | 1965년 7월 30일 | 37B |
새턴 IB | SA-201 | AS-201 | 1966년 2월 26일 | 34 |
새턴 IB | SA-203 | AS-203 | 1966년 7월 5일 | 37B |
새턴 IB | SA-202 | AS-202 | 1966년 8월 25일 | 34 |
새턴 5호 | SA-501 | 아폴로 4호 | 1967년 11월 9일 | 39A |
새턴 IB | SA-204 | 아폴로 5호 | 1968년 1월 22일 | 37B |
새턴 5호 | SA-502 | 아폴로 6호 | 1968년 4월 4일 | 39A |
새턴 IB | SA-205 | 아폴로 7호 | 1968년 10월 11일 | 34 |
새턴 5호 | SA-503 | 아폴로 8호 | 1968년 12월 21일 | 39A |
새턴 5호 | SA-504 | 아폴로 9호 | 1969년 3월 3일 | 39A |
새턴 5호 | SA-505 | 아폴로 10호 | 1969년 5월 18일 | 39B |
새턴 5호 | SA-506 | 아폴로 11호 | 1969년 7월 16일 | 39A |
새턴 5호 | SA-507 | 아폴로 12호 | 1969년 11월 14일 | 39A |
새턴 5호 | SA-508 | 아폴로 13호 | 1970년 4월 11일 | 39A |
새턴 5호 | SA-509 | 아폴로 14호 | 1971년 1월 31일 | 39A |
새턴 5호 | SA-510 | 아폴로 15호 | 1971년 7월 26일 | 39A |
새턴 5호 | SA-511 | 아폴로 16호 | 1972년 4월 16일 | 39A |
새턴 5호 | SA-512 | 아폴로 17호 | 1972년 12월 7일 | 39A |
새턴 5호 | SA-513 | 스카이랩 1호 | 1973년 5월 14일 | 39A |
새턴 IB | SA-206 | 스카이랩 2호 | 1973년 5월 25일 | 39B |
새턴 IB | SA-207 | 스카이랩 3호 | 1973년 7월 28일 | 39B |
새턴 IB | SA-208 | 스카이랩 4호 | 1973년 11월 16일 | 39B |
새턴 IB | SA-210 | ASTP | 1975년 7월 15일 | 39B |
참조
[1]
서적
Origin of NASA Names
NASA Science and Technical Information Office
[2]
서적
Chasing the Moon: The People, the Politics, and the Promise That Launched America into the Space Age
Ballantine Books
2019
[3]
웹사이트
Saturn I & IB Rockets
http://historicspace[...]
[4]
웹사이트
Apollo 1
https://www.nasa.gov[...]
2024-12-10
[5]
서적
2006
[6]
웹사이트
p. 25
https://history.nasa[...]
1996
[7]
논문
Juno V Space Vehicle Development Program, Phase I: Booster Feasibility Demonstration
ABMA
1958-10-13
[8]
서적
2007
[9]
서적
2007
[10]
서적
2004
[11]
서적
2004
[12]
논문
Proposal: A National Integrated Missile and Space Vehicle Development Program
ABMA
1957-12-10
[13]
웹사이트
The Apollo Spacecraft – A Chronology
http://www.hq.nasa.g[...]
NASA
[14]
뉴스
Project Vanguard, Why it failed to live up to its name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1957-10-21
[15]
뉴스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1957-12-08
[16]
웹사이트
Explorer 1 Mission Overview
http://www.nasa.gov/[...]
NASA
2008-01-30
[17]
웹사이트
Vanguard 1
https://nssdc.gsfc.n[...]
NASA
2012-04-20
[18]
웹사이트
p. 27
https://history.nasa[...]
1996
[19]
웹사이트
p. 28
https://history.nasa[...]
1996
[20]
웹사이트
p. 31
https://history.nasa[...]
1996
[21]
서적
2006
[22]
웹사이트
p. 37
https://history.nasa[...]
1996
[23]
문서
Saturn Illustrated Chronology, Appendix H. Moonport, Appendix A. Apollo Program Summary Report, Appendix A.
[24]
웹사이트
SATURN I Fact Sheet
http://spaceline.org[...]
[25]
문서
サターンVの発射塔は、IBにとって大きすぎた。
[26]
문서
Saturn Illustrated Chronology, Appendix H. Moonport, Appendix A. Apollo Program Summary Report, Appendix 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