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곤은 삼국시대 오(吳)나라의 장수로, 젊어서 지방관으로 일하다가 손견을 따라 동탁 토벌에 참여하여 편장군이 되었다. 손견 사후에는 손책을 섬기며 횡강진과 당리구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특히 어머니의 제안으로 뗏목을 만들어 강을 건너 장영을 격파하는 데 기여했다. 손책은 서곤을 단양 태수로 임명했으나, 오경에게 자리를 넘겨주고 서곤은 독군중랑장이 되었다. 이후 이술 토벌에 참여하여 평로장군까지 승진했지만, 황조 토벌 중 전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오 사람 - 시삭
    시삭은 삼국시대 오나라의 무위사로, 손침의 모반을 고발하고 제거 계획에 참여했으며, 손침 제거 후 그의 일족 처형에 협력했고 그의 아들 시참은 진나라의 도교 도사였다.
  • 동오 사람 - 사광 (삼국지)
    사광은 삼국시대 오나라 사람으로, 사촌 사휘 등의 반란에 가담하지 않고 여대의 부탁으로 그들을 설득하여 항복시켰으나, 사휘 등은 처형되고 사광은 관직을 박탈당해 서민으로 강등되었다.
서곤
기본 정보
이름서곤
원어 이름徐琨
로마자 표기Xu Kun
시대후한
출신지양주 오군부춘현
직책평로장군, 광덕후
섬긴 세력손견, 손책, 손권

2. 생애

서곤은 젊어서 지방관으로 출사했다가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관직을 떠나 손견을 따라 공을 세워 편장군이 되었다.[2] 손견 사후, 손책을 따라 번능, 우미를 격파하고, 장영을 공격할 때 배가 부족하자, 서곤의 어머니가 갈대로 뗏목을 만들어 진군하는 계책을 내놓았다. 손책은 이를 받아들여 장영을 무찌르고 착융과 유요를 격파했다.

손책은 서곤을 단양태수로 임명했으나, 원술에게서 광릉태수를 지내던 오경이 손책에게 귀순하자 오경을 단양태수로 삼고, 서곤은 독군중랑장이 되었다. 이후 여강태수 이술을 토벌하여 광덕후, 평로장군으로 승진했다. 황조 토벌 중 유시에 맞아 전사했다.[2]

서곤 사후, 아들 서교(서부인의 오빠)가 광덕후를 이었으나 요절했다. 서조가 뒤를 이어 무호독·평위장군이 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손견과의 관계

서곤은 젊어서 지방관으로 출사했다가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관직을 떠나 손견을 따라 공을 세워 편장군이 되었다.[2] 서씨 가문은 오군(吳郡)의 호족으로, 손씨 가문과 교류가 있었기에 손견의 의향에 따라 서진은 손견의 여동생을 아내로 맞아 서곤을 낳았다. 서곤은 젊은 시절부터 군의 관청에서 일했으며, 초평 원년(190년)에 손견이 동탁 토벌에 병사를 일으키자 부곡을 이끌고 손씨 가문을 따랐으며, 공을 세워 한(漢)으로부터 편장군이 되었다. 손견의 가신 중에서는 최고의 관위를 얻었다고 한다.[2]

2. 2. 손책을 도와 강동을 평정하다

젊어서 지방관으로 출사했다가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관직을 떠나 손견(孫堅)을 좇아 공을 세워 편장군이 되었다.[2] 손견 사후에는 손책(孫策)을 좇아, 횡강진에 주둔한 번능(樊能), 우미(于糜)를 치고, 당리구의 장영(張英)을 치는데, 배가 부족했으므로 군대를 머무르기를 구했다.[2] 군중에 있던 서곤의 어머니가 갈대로 뗏목을 만들고 그것과 배로 강을 건너는 방책을 말해주자, 서곤은 이를 손책에게 말하고, 손책은 그대로 시행하여 강을 건너 마침내 장영을 무찌르고 착융(笮融)과 유요(劉繇)마저 달아나게 했다.[2] 손책은 표를 올려 서곤을 단양태수로 삼았는데, 마침 원술(袁術)을 섬겨 광릉태수를 지내던 오경(吳景)이 황제를 자칭한 원술을 버리고 손책에게 오자 손책은 오경으로 단양태수를 삼고[2] 서곤은 독군중랑장으로 병사를 거느리게 했다.[2]

2. 3. 이술 토벌과 최후

젊어서 지방관으로 출사했다가 세상이 어지러워 관직을 떠나고, 손견을 좇아 공을 세워 편장군이 되었다. 손견 사후에는 손책을 좇아, 횡강진에 주둔한 번능, 우미를 치고, 당리구의 장영을 쳤다. 이때 배가 부족했으므로 군대를 머무르려 했는데, 서곤의 어머니가 갈대로 떼를 만들어 강을 건너는 방책을 제시했고, 손책은 이를 받아들여 장영을 무찌르고 착융과 유요마저 달아나게 했다.

손책은 서곤을 단양태수로 삼았으나, 원술을 섬겨 광릉태수를 지내던 오경이 원술을 버리고 손책에게 오자 오경을 단양태수로 삼고, 서곤은 독군중랑장으로 병사를 거느리게 했다. 이후 여강태수 이술을 무찌르는 데 종군하여 광덕후가 되고 평로장군으로 옮겼다. 황조 토벌 중 유시에 맞아 죽었다.[2]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서진(徐眞)
어머니손씨(孫氏)
배우자서부인(徐夫人)
장남서교(徐矯)
차남서조(徐祚)


참조

[1] 문서 没年は[[203年]]または[[207年]]または[[208年]]。呉志「徐夫人伝」では「琨以督軍中郎将領兵、従破廬江太守李術、封広徳侯、遷平虜将軍。後従討黄祖、中流矢卒」。黄祖との戦いが具体的にどの戦いを指しているのかは不明である。
[2] 문서 《강표전》에 따르면, 손책의 명령으로 원술이 임명한 단양태수(丹陽太守) [[원윤]](袁胤)을 무찌르고 원윤을 대신했으나, 오경이 단양에서 민심을 얻고 있었으며, 또 손책이 서곤이 거느린 병사가 많은 것을 싫어했으므로, 서곤이 거느린 무리를 거두고 오경을 단양태수에 복직하고 서곤은 오군으로 돌려보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