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군 (1963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산군은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산군 갑, 서산군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이다. 제6대부터 제8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이상희, 박승규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당진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서산군·당진군 선거구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3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여군 (1963년 선거구)
부여군(1963년 선거구)은 1963년 신설되어 1971년 폐지된 선거구로, 제6대와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김종필이, 제8대 선거에서는 신민당에서 민주공화당으로 당적을 변경한 이상익이 당선되었으며, 1968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신민당 이상익이 당선되는 이변이 있었다. - 1963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1963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63년 서울 선거구)는 1963년 신설되어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정일형과 신인우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서산시의 정치 - 서산군 을
서산군 을은 서산군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으나, 서산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며 폐지되었고, 제헌 국회부터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총 5번의 선거에서 김동준, 안만복, 류순식 등이 당선되었다. - 서산시의 정치 - 서산시·태안군
서산시·태안군은 1995년 서산군의 서산시 편입 후 신설된 충청남도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1996년부터 현재까지 총선과 재보궐선거가 치러졌으며 보수와 진보 후보 간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최근에는 국민의힘 성일종 후보가 다수 승리하였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아산시 (선거구)
아산시 선거구는 1995년 아산시 출범과 함께 설치되어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아산시 갑, 아산시 을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서산군 (1963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서산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충청남도 |
연도 | 1963 |
폐지 | 1973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서산군 갑 서산군 을 |
이후 선거구 | 서산군·당진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산군 갑, 서산군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당진군 선거구와 통합, 서산군·당진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1. 역대 국회의원
이 섹션에서는 1963년 서산군 선거구에서 실시된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를 간략하게 소개한다. 각 선거 결과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역대 선거 결과
3. 1.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서산군 선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이상희 | 민주공화당 | 18,924 | 24.66 | |
한영수 | 민정당 | 13,491 | 17.58 | |
장경순 | 민주당 | 12,365 | 16.11 | |
김영수 | 국민의당 | 9,295 | 12.11 | |
조제현 | 보수당 | 7,832 | 10.21 | |
이경진 | 한국독립당 | 7,316 | 9.53 | |
이풍우 | 자유민주당 | 5,074 | 6.61 | |
이두연 | 자유당 | 2,412 | 3.14 | |
총 득표수 | 76,709 | 100 |
3. 2.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상희 | 민주공화당 | 57,559 | 60.67% |
한영수 | 신민당 | 24,053 | 25.35% |
나창헌 | 자유당 | 6,835 | 7.20% |
정헌제 | 대중당 | 2,879 | 3.03% |
정동훈 | 통일사회당 | 1,930 | 2.03% |
이경진 | 민주당 | 1,603 | 1.68% |
합계 | 94,859 | 100% |
3. 3.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박승규 | 민주공화당 | 42,150 | 46.90 |
한영수 | 국민당1971 | 30,585 | 34.03 |
명화섭 | 신민당 | 13,606 | 15.13 |
정현제 | 대중당 | 1,823 | 2.02 |
이원근 | 통일사회당 | 949 | 1.05 |
정재복 | 민중당1967 | 758 | 0.84 |
합계 | 89,871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