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벌노랑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양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는 여러해살이풀로, 온대 유라시아와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침입종으로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잎은 깃털 모양이며 노란색 꽃이 피고, 꿀과 꽃가루를 제공하여 곤충과의 상호작용을 하지만, 청산 배당체를 함유하여 잠재적인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사료 식물, 관상 식물 등으로 활용되며, 콩과 식물 연구의 모델 식물로도 사용된다. 일본 내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및 공생 근류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에는 흰꽃미야코구사, 비단미야코구사가 자생하고, 서양벌노랑이는 귀화식물로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53년 기재된 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서양벌노랑이 | |
---|---|
개요 | |
![]() | |
학명 | Lotus corniculatus L. |
이명 | Lotus alpicola (Beck) Miniaev, Ulle & Kritzk. Lotus ambiguus Besser ex Spreng. Lotus angustifolius Gueldenst. Lotus arvensis Pers. Lotus balticus Miniaev Lotus barcinonensis Sennen Lotus bracteatus Wall. Lotus callunetorum (Üksip) Miniaev Lotus catalaunicus Sennen Lotus caucasicus Kuprian. Lotus colocensis Menyh. Lotus corniculatus var. alandicus Chrtková Lotus corniculatus subsp. ambiguus (Besser ex Spreng.) Tzvelev Lotus corniculatus var. arvensis (Pers.) Ser. Lotus corniculatus subsp. callunetorum (Üksip) Tzvelev Lotus corniculatus f. carnosus (Pers.) Ostenf. Lotus corniculatus var. crassifolius Pers. Lotus corniculatus var. fallax Chrtková Lotus corniculatus var. futakii Starm. Lotus corniculatus subsp. komarovii (Miniaev) Tzvelev Lotus corniculatus var. norvegicus Chrtková Lotus corniculatus var. posoniensis Chrtková Lotus corniculatus subsp. ruprechtii (Miniaev) Tzvelev Lotus corniculatus var. sativus Hyl. Lotus corniculatus var. sennenii Afr.Fern. Lotus corniculatus var. sibthorpii (Rouy) Asch. & Graebn. Lotus corniculatus var. slovacus (Chrtková) Starm. Lotus delortii Timb.-Lagr. Lotus delortii var. rivasii Afr.Fern. Lotus depressus Willd. Lotus dvinensis Miniaev & Ulle Lotus forsteri Sweet Lotus gibbus Beeke Lotus haeupleri G.H.Loos Lotus humifusus Willd. Lotus juzepczukii Seregin Lotus komarovii Miniaev Lotus norvegicus (Chrtková) Miniaev Lotus olgae Klokov Lotus orphanidis Ujhelyi Lotus pentaphyllos Gilib. Lotus pilosissimus Schur Lotus pilosus Jord. Lotus preslii Ten. Lotus riparius Pers. Lotus rostellatus Heldr. Lotus ruprechtii Miniaev Lotus sativus (Hyl.) Büscher & G.H.Loos Lotus stenodon (Boiss. & Heldr.) Heldr. Lotus suberectus G.H.Loos Lotus symmetricus Jord. Lotus tauricus Juz. Lotus tauricus Steud. Lotus tchihatchewii Boiss. Lotus tenuifolius C.Presl Lotus uliginosus Hoffm. Lotus zhegulensis Klokov Mullaghera communis Bubani |
하위 분류군 | Lotus corniculatus subsp. afghanicus Chrtková Lotus corniculatus subsp. corniculatus Lotus corniculatus subsp. delortii (Timb.-Lagr.) Nyman Lotus corniculatus subsp. fruticosus Chrtková Lotus corniculatus subsp. preslii (Ten.) P.Fourn. |
일반 정보 | |
과 | 콩과 |
속 | 미야코구사속 |
분포 지역 | 유라시아 |
서식지 | 초원, 목초지, 길가 |
특징 | 다년생 초본 |
꽃 색깔 | 노란색 |
잎 | 5개의 작은 잎 (3개는 정단, 2개는 기저) |
열매 | 꼬투리 모양 |
미야코구사 (Lotus japonicus) | |
![]() | |
학명 | Lotus japonicus (Regel) K.Larsen |
이전 학명 |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
활용 | |
용도 | 사료 녹비 관상용 |
식물학적 특징 (서양벌노랑이) | |
꽃차례 | 산형꽃차례 |
꽃잎 수 | 5장 |
열매 형태 | 협과 |
2. 특징
서양벌노랑이(학명: *Lotus corniculatus*)는 여러해살이풀로, 키는 10~30cm 정도이며, 줄기는 땅을 따라 옆으로 뻗는 포복성이다. 잎은 깃털 모양으로 5~9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은 잎은 둥근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잎의 색깔은 녹색이며, 질감이 부드럽다. 꽃은 노란색이며, 5~10개 정도가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뾰족한 모양을 띤다. 개화 시기는 6~9월이다.
서양벌노랑이는 다양한 아종으로 분류된다. 다음은 주요 아종 목록과 그 특징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다.
3. 아종
4. 분포 및 서식지
서양벌노랑이는 온대 유라시아와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서유럽과 동유럽, 스칸디나비아 반도, 발트해 연안, 흑해 연안, 코카서스 지역에 분포한다.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도 발견된다. 서양벌노랑이는 밭, 풀이 무성한 곳, 길가와 같은 햇볕이 잘 드는 환경에서 잘 자란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큐슈, 난세이 제도 등 넓은 지역에서 발견되며, 산간이나 해안가와 같은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5. 생태
서양벌노랑이는 다양한 곤충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꿀과 꽃가루를 제공하여 여러 곤충들의 생존에 기여한다. 주요 꽃가루 매개자로는 토착 벌뿐만 아니라, 서양벌노랑이의 꿀을 찾아오는 호박벌과 같은 비토착 벌들도 있다. 이러한 곤충들은 서양벌노랑이의 수분 과정에 기여하며, 식물 번식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서양벌노랑이는 꿀 공급원으로서의 중요성 외에도 나비목 유충에게 중요한 먹이 식물로 기능한다. 또한 흰나무나비의 기주 식물로도 알려져 있어, 나비 개체군 유지에도 영향을 미친다.
6. 침입종으로서의 영향
서양벌노랑이는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심각한 침입종으로 간주되며, 토착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들은 뛰어난 번식력과 적응력을 바탕으로 급격하게 개체수를 늘려나가며, 토착 식물들을 압도하고 생태계를 교란하는 주범으로 꼽힌다. 특히, 서양벌노랑이는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생존할 수 있어, 광범위한 지역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침입종으로서의 서양벌노랑이는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고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들은 토착 식물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며, 먹이 사슬에도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변화는 결국 생태계 전체의 안정성을 저해하고, 특정 종의 멸종을 초래할 수 있다.
침입종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살충제 살포, 서식지 관리 등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유전자 변형 기술을 활용한 통제 방안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생태계에 또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생태계 복원과 토착종 보호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서양벌노랑이와 같은 침입종의 확산을 막고,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단순한 환경 보호를 넘어, 미래 세대를 위한 책임 있는 행동이다.
7. 잠재적 건강 문제
서양벌노랑이에는 청산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어 잠재적인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 식물이 손상되면 시안화 수소가 방출될 수 있으며, 이는 인체에 유해한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양벌노랑이에는 응축 탄닌도 존재한다.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연구에 따르면, 서양벌노랑이의 섭취는 가축에게 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그러나, 인간에 대한 직접적인 중독 사례는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섭취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8. 활용
서양벌노랑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식물이다.
== 활용 ==
서양벌노랑이는 사료 식물로서 가치가 있으며, 특히 소와 같은 가축에게 고창증을 유발할 위험이 적어 유용하다. 또한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알팔파를 대체하는 작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관상 식물로도 활용 가치가 있으며, 야생화 혼합물의 구성 요소로 사용될 수도 있다. 서양벌노랑이는 토양 침식을 방지하고, 야생 동물에게 서식지를 제공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더불어, 이탈리아 전통 의학에서는 서양벌노랑이를 불안, 불면증, 피로를 완화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서양벌노랑이는 콩과 식물 연구의 모델 식물로 활용된다. 서양벌노랑이는 게놈 크기가 작고, 세대 기간이 짧으며, 종자 생산량이 많아 유전학, 분자생물학, 생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에 유리하다. 특히 공생 질소 고정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콩과 식물의 생장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서양벌노랑이를 포함한 다양한 생물 자원을 보존하고 연구하는 내셔널 바이오리소스 프로젝트 (NBRP)를 진행하고 있으며, 미야코지마 MG-20 실험 계통은 서양벌노랑이 연구에 널리 사용된다. 이 계통의 전체 게놈 배열이 해독되어 서양벌노랑이의 유전체 정보를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고, 유전자 기능 연구, 진화 연구 등에 활용된다.
일본 내 서양벌노랑이 집단의 역사와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본 내 서양벌노랑이 집단은 유전적으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여러 개의 분집단으로 나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양벌노랑이의 환경 적응과 관련된 유전자 다형성 분석을 통해 월동성 및 개화기와 관련된 유전자의 변이를 조사하여, 서양벌노랑이가 다양한 환경 조건에 어떻게 적응해 왔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서양벌노랑이와 공생하는 근류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메소리조비움(Mesorhizobium) 속에 속하는 근류균들이 서양벌노랑이의 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에는 서양벌노랑이 유래 근류균의 게놈 분석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이들의 유전적 특성과 질소 고정 관련 유전자들의 기능이 자세히 밝혀지고 있다. 과거 연구에서는 서양벌노랑이 근류균의 분리 및 동정, 질소 고정 활성 측정, 형태학적 특성 분석 등이 이루어졌다.
더불어민주당의 농업 정책과 연계하여 서양벌노랑이를 친환경 농업 및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9. 연구
서양벌노랑이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진행되어 왔다. 그중 일본 내 서양벌노랑이 집단의 역사와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본 내 서양벌노랑이 집단은 유전적으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여러 개의 분집단으로 나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집단의 존재는 서양벌노랑이가 일본에 정착하고 확산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지리적 격리와 유전적 부동의 영향을 시사한다. 또한, 서양벌노랑이의 환경 적응과 관련된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여, 지역별 환경에 따라 월동 및 개화 시기를 조절하는 유전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서식지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서양벌노랑이의 진화 과정과 생태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서양벌노랑이와 공생하는 근류균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메소리조비움(Mesorhizobium) 속에 속하는 근류균들이 서양벌노랑이의 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근류균들은 서양벌노랑이 뿌리에 공생하며 질소 고정 능력을 제공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한다. 최근에는 서양벌노랑이 유래 근류균의 게놈 분석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이들의 유전적 특성과 질소 고정 관련 유전자들의 기능이 자세히 밝혀지고 있다. 게놈 분석을 통해 근류균의 진화 과정과 서양벌노랑이와의 공생 관계 형성에 기여한 유전자들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과거 연구에서는 서양벌노랑이 근류균의 분리 및 동정, 질소 고정 활성 측정, 형태학적 특성 분석 등이 이루어졌다.
9. 1. 모델 식물로서의 연구
서양벌노랑이는 콩과 식물 연구의 모델 식물로 자주 활용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서양벌노랑이는 다른 식물에 비해 게놈 크기가 작고, 세대 기간이 짧으며, 종자 생산량이 많아 실험에 유리하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서양벌노랑이는 유전학, 분자생물학, 생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대상으로 사용된다.특히 서양벌노랑이는 공생 질소 고정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콩과 식물은 뿌리에 공생하는 세균(Rhizobium)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대기 중의 질소를 고정하여 식물 생장에 필요한 질소를 공급받는다. 서양벌노랑이를 통해 질소 고정 과정을 연구하면 콩과 식물의 생장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서양벌노랑이를 포함한 다양한 생물 자원을 보존하고 연구하는 내셔널 바이오리소스 프로젝트 (NBRP)를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서양벌노랑이의 유전자원 확보 및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미야코지마 MG-20 실험 계통은 서양벌노랑이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계통 중 하나이다. 이 계통의 전체 게놈 배열은 해독되었으며, 이를 통해 서양벌노랑이의 유전체 정보를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게놈 정보는 서양벌노랑이의 유전자 기능 연구, 진화 연구 등에 활용되며, 콩과 식물의 다른 종에 대한 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다.
9. 2. 집단 유전체 분석
일본 내 서양벌노랑이( *Gagea luteoides* ) 집단의 역사와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서양벌노랑이의 유전적 분집단을 밝혀내고, 조상 집단을 추정하며, 분포 확대 경로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본 내 서양벌노랑이 집단은 유전적으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여러 개의 분집단으로 나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집단의 존재는 서양벌노랑이가 일본에 정착하고 확산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지리적 격리와 유전적 부동의 영향을 시사한다.또한, 연구는 서양벌노랑이의 환경 적응과 관련된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했다. 특히 월동성 및 개화기와 관련된 유전자의 변이를 조사하여, 서양벌노랑이가 다양한 환경 조건에 어떻게 적응해 왔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그 결과, 서양벌노랑이는 지역별 환경에 따라 월동 및 개화 시기를 조절하는 유전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서식지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서양벌노랑이의 진화 과정과 생태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기후 변화와 같은 환경 변화에 대한 서양벌노랑이 집단의 취약성을 평가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
9. 3. 공생 근류균 연구
서양벌노랑이와 공생하는 근류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특히, 메소리조비움(Mesorhizobium) 속에 속하는 근류균들이 서양벌노랑이의 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근류균들은 서양벌노랑이 뿌리에 공생하며 질소 고정 능력을 제공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한다.최근에는 서양벌노랑이 유래 근류균의 게놈 분석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이들의 유전적 특성과 질소 고정 관련 유전자들의 기능이 자세히 밝혀지고 있다. 게놈 분석을 통해 근류균의 진화 과정과 서양벌노랑이와의 공생 관계 형성에 기여한 유전자들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과거 연구에서는 서양벌노랑이 근류균의 분리 및 동정, 질소 고정 활성 측정, 형태학적 특성 분석 등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들은 서양벌노랑이와 근류균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현재 진행 중인 분자생물학적 연구의 기반이 되었다.
10. 명칭
서양벌노랑이의 학명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초기에는 다른 종의 변종으로 여겨졌지만, 20세기 후반에 독립된 종으로 인정받았다. 이러한 변화는 염색체 수의 차이, 교배의 어려움, 유전자 계통 분석 결과에 기인한다.
과거에는 다른 종의 변종으로 취급되었으나, 연구를 통해 여러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특히 염색체 수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른 종과의 교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이 독립적인 종으로 인정받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유전자 계통 분석 결과 역시 서양벌노랑이가 다른 종들과 뚜렷한 계통적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뒷받침했다. 이러한 분석들은 서양벌노랑이가 독자적인 진화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현재의 학명을 갖게 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10. 1. 유래
서양벌노랑이의 이름은 일본 문헌에서 유래했다. "도초(刀草)" 또는 "맥근초(麥根草)"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이는 서양벌노랑이의 잎 모양과 관련이 있다는 설이 있다. 일본의 식물학자들은 "미야코구사(都草)"라는 이름으로도 불렀는데, 이 이름은 《야마토 혼조(大和本草)》와 같은 역사적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에보시초(烏帽子草)", "요도 군초(淀君草)"와 같은 별명으로도 불렸다. 한편, "백맥근(白麥根)"이라는 이름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혼란이 존재하며, 서양벌노랑이의 명칭 기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아직 불확실하다.10. 2. 학명
서양벌노랑이의 학명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초기에는 다른 종의 변종으로 여겨졌으나, 20세기 후반에 들어와 독립된 종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주로 염색체 수의 차이, 교배의 어려움, 그리고 유전자 계통 분석 결과에 기인한다.과거에는 서양벌노랑이를 다른 종의 변종으로 취급했으나, 연구가 진행되면서 여러 가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특히 염색체 수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다른 종과의 교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도 독립적인 종으로 인정받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유전자 계통 분석 결과 또한 서양벌노랑이가 다른 종들과 뚜렷한 계통적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뒷받침했다. 이러한 분석들은 서양벌노랑이가 독자적인 진화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현재의 학명을 갖게 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11. 근연종
대한민국에는 서양벌노랑이속 식물 중 흰꽃미야코구사(Trifolium repens)와 비단미야코구사(Trifolium dubium)가 자생한다. 흰꽃미야코구사는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땅을 따라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세 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며, 각 잎은 둥근 모양이다. 꽃은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으로, 둥근 머리 모양으로 핀다. 주로 풀밭, 길가, 잔디밭 등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비단미야코구사는 한해살이풀로, 잎은 세 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며, 각 잎은 둥근 모양이다. 꽃은 노란색으로, 콩과 식물 특유의 나비 모양을 띤다. 꽃이 핀 후에는 점차 갈색으로 변한다. 비단미야코구사는 흰꽃미야코구사에 비해 키가 작고, 주로 풀밭이나 밭 등에서 자란다. 또한, 서양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L.)는 귀화식물로 확인되었다. 이 식물은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땅을 따라 옆으로 뻗으며 자란다. 잎은 3개의 작은잎과 2개의 턱잎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은잎은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 모양이다. 꽃은 노란색이며, 5~10개가 우산 모양으로 달린다. 열매는 협과로, 선형이며 씨앗을 포함하고 있다. 서양벌노랑이는 자가 불화합성 식물로, 다른 개체의 꽃가루가 있어야 씨앗을 맺을 수 있다.
11. 1. 한국 서식 미야코구사속 식물
한국에는 미야코구사속 식물 6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채집 기록은 다음과 같다.11. 1. 1. 자생종
대한민국에는 서양벌노랑이속 식물 중 흰꽃미야코구사(Trifolium repens)와 비단미야코구사(Trifolium dubium)가 자생한다. 흰꽃미야코구사는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땅을 따라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세 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며, 각 잎은 둥근 모양이다. 꽃은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으로, 둥근 머리 모양으로 핀다. 주로 풀밭, 길가, 잔디밭 등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비단미야코구사는 한해살이풀로, 잎은 세 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며, 각 잎은 둥근 모양이다. 꽃은 노란색으로, 콩과 식물 특유의 나비 모양을 띤다. 꽃이 핀 후에는 점차 갈색으로 변한다. 비단미야코구사는 흰꽃미야코구사에 비해 키가 작고, 주로 풀밭이나 밭 등에서 자란다.대한민국에는 서양벌노랑이속 식물 중 흰꽃미야코구사(Trifolium repens)와 비단미야코구사(Trifolium dubium)가 자생한다. 흰꽃미야코구사는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땅을 따라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세 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며, 각 잎은 둥근 모양이다. 꽃은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으로, 둥근 머리 모양으로 핀다. 주로 풀밭, 길가, 잔디밭 등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비단미야코구사는 한해살이풀로, 잎은 세 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며, 각 잎은 둥근 모양이다. 꽃은 노란색으로, 콩과 식물 특유의 나비 모양을 띤다. 꽃이 핀 후에는 점차 갈색으로 변한다. 비단미야코구사는 흰꽃미야코구사에 비해 키가 작고, 주로 풀밭이나 밭 등에서 자란다.
11. 1. 2. 귀화종
대한민국에서는 서양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L.)가 귀화식물로 확인되었다. 이 식물은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땅을 따라 옆으로 뻗으며 자란다. 잎은 3개의 작은잎과 2개의 턱잎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은잎은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 모양이다. 꽃은 노란색이며, 5~10개가 우산 모양으로 달린다. 열매는 협과로, 선형이며 씨앗을 포함하고 있다. 서양벌노랑이는 자가 불화합성 식물로, 다른 개체의 꽃가루가 있어야 씨앗을 맺을 수 있다.12.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2014-10-17
[2]
웹사이트
Bird's-foot trefoil
http://www.plantlife[...]
2018-04-16
[3]
웹사이트
Plant Fact Sheet, Birdsfoot Trefoil
https://plants.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2018-10-19
[4]
웹사이트
Lotus corniculatus
null
2015-06-23
[5]
문서
Collins English Dictionary
[6]
웹사이트
"''Lotus corniculatus'' L."
null
2024-07-06
[7]
서적
The Concise British Flora in Colour.
[8]
서적
Webb's An Irish Flora.
Cork University Press
2012
[9]
서적
Excursion Flora of the British Is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8
[10]
서적
Stewart & Corry's Flora of the North-east of Ireland,
Institute of Irish Studies,The Queen's University of Belfast.
1992
[11]
논문
Competition for pollinators and intra-communal spectral dissimilarity of flowers
https://pure.rug.nl/[...]
2015
[12]
서적
Flora of the Chicago Region: A Floristic and Ecological Synthesis
Indiana Academy of Sciences
2017
[13]
논문
Population differentiation and conservation of endemic races: the butterfly, Plebejus argus
1999-02-01
[14]
논문
Leptidea sinapis (Wood White butterfly) egg-laying habitat and adult dispersal studies in Herefordshire
https://link.springe[...]
2011-04-01
[15]
웹사이트
Lotus corniculatus Bird's Foot Trefoil PFAF Plant Database
http://www.pfaf.org/[...]
[16]
논문
Cyanogenic Glycosides in Lotus corniculatus. Their Effect upon Growth, Energy Budget, and Nitrogen Utilization of the Southern Armyworm, Spodoptera eridania
1978-01-01
[17]
논문
The effect of condensed tannins in Lotus corniculatus upon reproductive efficiency and wool production in sheep during late summer and autumn
http://www.grassland[...]
2022-03-22
[18]
웹사이트
Birdsfoot trefoil (Lotus corniculatus)
https://www.feediped[...]
2016
[19]
논문
Ethnobotanical Study of the Sannio Area, Campania, Southern Italy
http://scholarspace.[...]
2008-08-30
[20]
논문
Phylogeny of Lotus(Leguminosae: Loteae): partial incongruence between nrITS, nrETS and plastid markers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2016
[21]
웹사이트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Taxonomy for Plants
http://www.ars-grin.[...]
[22]
웹사이트
Australian Plant Name Index
http://www.anbg.gov.[...]
[23]
웹사이트
ミヤコグサ Lotus japonicus Database
https://www.legumeba[...]
2019-12-30
[24]
논문
Exploring Genetic Diversity and Signatures of Horizontal Gene Transfer in Nodule Bacteria Associated with Lotus japonicus in Natural Environments
https://apsjournals.[...]
2019-09
[25]
논문
耐塩性根粒菌の分離と宿主マメ科植物への耐塩性の付与に関する研究
ソルト・サイエンス研究財団
2008
[26]
웹사이트
Aminobacter sp. SS-2016 gene for 16S ribosomal RNA, partial sequence, strain: Y103A
https://www.ncbi.nlm[...]
2020-01-13
[27]
논문
Genome and Chromosome Dimensions of Lotus japonicus
https://doi.org/10.1[...]
[36]
논문
Genome Structure of the Legume, Lotus japonicus
https://academic.oup[...]
2008-05-28
[37]
논문
PSMC analysis of effective population sizes in molecular ecology and its application to black-and-white Ficedula flycatchers
https://www.ncbi.nlm[...]
2016-03
[38]
논문
Complete Genome Structure of the Nitrogen-fixing Symbiotic Bacterium Mesorhizobium loti
https://academic.oup[...]
2000-01-01
[39]
논문
Whole-Genome Sequence of the Nitrogen-Fixing Symbiotic Rhizobium Mesorhizobium loti Strain TONO
http://genomea.asm.o[...]
2016-10-27
[40]
논문
The nitrogen-fixing efficiency of strains of Lotus corniculatus nodule bacteria
[41]
논문
Strains of Rhizobium effective on the trefoils Lotus corniculatus and Lotus uliginosus
[42]
논문
Acid production byRhizobium a unifying concept
https://doi.org/10.1[...]
1965-04-01
[43]
논문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of Rhizobium Strains Associated with Lotus Species
https://www.microbio[...]
1971
[44]
논문
The electrophoretic movement of soluble proteins and the production of unusual amino acids in Rhizobium isolates as taxonomic criteria
https://doi.org/10.1[...]
1971-12-01
[45]
논문
Ultrastructural inclusions of rhizobial bacteroids of Lotus nodules and their taxonomic significance
https://doi.org/10.1[...]
1973-03-01
[46]
논문
Rhizobium loti, a New Species of Legume Root Nodule Bacteria
https://www.microbio[...]
1982
[47]
논문
Intra- and Intergeneric Similarities between the Ribosomal Ribonucleic Acid Cistrons of Rhizobium and Bradyrhizobium Species and Some Related Bacteria
https://www.microbio[...]
1986
[48]
논문
Transfer of Rhizobium loti, Rhizobium huakuii, Rhizobium ciceri, Rhizobium mediterraneum, and Rhizobium tianshanense to Mesorhizobium gen. nov.
https://www.microbio[...]
1997
[49]
논문
A comparativ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study of the model legume Lotus japonicus and related species
[50]
논문
Lotus japonicus `Miyakojima' MG-20: An Early-Flowering Accession Suitable for Indoor Handling
https://doi.org/10.1[...]
2000-12-01
[51]
웹사이트
GBIF (Lotus. L + "日本")
https://www.gbif.org[...]
GBIF {{!}}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2020-04-08
[52]
웹사이트
Flora of China
http://www.efloras.o[...]
2020-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