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반도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반도체는 LED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주요 기술로는 아크리치, 엔폴라, Deep UV LED 등이 있으며, 다양한 특허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2009년 니치아, 오스람, 크리와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여 특허 분쟁을 해결하고 기술 경쟁력을 강화했다. 자회사인 서울바이오시스를 통해 LED 칩, 패키징 및 모듈을 제작하며, UV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설립된 전자 기업 - 쿨러 마스터
    쿨러 마스터는 1992년 대만에서 설립되어 PC 케이스, 쿨러, 파워서플라이, 게이밍 기어 등을 생산하는 컴퓨터 하드웨어 제조사로, 알루미늄 PC 케이스를 최초로 출시하고 Hyper 212 Evo CPU 쿨러로 잘 알려져 있으며, 국제적인 사업을 펼치고 CM 스톰이라는 자회사 브랜드를 운영한 이력이 있다.
  • 1992년 설립된 전자 기업 - 팜 (기업)
    팜은 1992년 설립되어 PDA와 스마트폰을 개발, 판매하며 1990년대 후반 PDA 시장을 선도했으나, HP에 인수된 후 TCL에 브랜드가 인수되었고, 2018년에는 초소형 안드로이드 기반 컴패니언 기기를 출시했다.
  • 1987년 설립된 전자 기업 - 삼성전기
    삼성전기는 1973년 삼성산요파츠로 설립되어 MLCC, 카메라 모듈, 반도체용 기판 등을 생산하며 스마트폰, 자동차 전장용 부품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글로벌 생산 거점 확보 및 지속가능경영을 추구하는 대한민국의 전자 부품 제조 기업이다.
  • 1987년 설립된 전자 기업 - TSMC
    TSMC는 대만 정부 지원으로 설립된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으로, 첨단 공정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기업들을 고객으로 확보하며 성장했지만, 지정학적 갈등, 비용 증가, 경쟁사 추격 등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 대한민국의 전자 기업 -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는 1983년 현대전자로 설립되어 SK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반도체 제조 기업으로, DRAM, NAND 플래시, CIS 등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HBM과 같은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 개발에 주력하며 AI 시대를 선도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전자 기업 - 코웨이
    코웨이는 198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생활가전 기업으로 정수기, 공기청정기 등을 제조, 판매, 렌탈하며 웅진그룹 계열사였다가 MBK 파트너스, 웅진그룹을 거쳐 현재는 넷마블에 인수되었고, 렌탈 비즈니스 모델과 코디 서비스, 해외 시장 진출, 디자인 경쟁력 강화, 기술 혁신 추구를 통해 성장하고 있다.
서울반도체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 명칭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영문 명칭Seoul Semiconductor Co., Ltd.
로고
형태주식회사
코스닥 상장true
코스닥 코드046890
설립일1987년 3월 5일
국가대한민국
소재지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산단로163번길 97-11 (원시동)
산업전자 제품 제조업
주요 제품발광 다이오드 (LED)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경영진
대표 이사이정훈, 유현종
최고 경영자 (CEO)Chung Hoon Lee
재무 정보 (2018년 기준)
자본금29,152,700,000원
매출액1,194,179,669,046원
영업 이익94,887,633,317원
순이익62,601,339,283원
자산 총액1,293,763,889,127원
재무 정보 (2016년 기준)
매출액953,800,000,000 KRW
주주 정보
주요 주주이정훈 외 특수관계인: 34.13%
고용 정보
직원 수1,052명 (2018년 12월 기준)
관련 회사
자회사서울바이오시스
광명반도체유한공사

2. 주요 기술 및 제품

서울반도체는 LED(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매출 기준 세계 4위[4]의 글로벌 기업이다. 엔폴라(nPola) 등 10,000개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매년 매출의 10% 이상을 연구개발(R&D)에 투자하고 있다.

2. 1. 아크리치 (Acrich)

서울반도체는 독자 기술 제품으로 ‘아크리치(Acrich)’를 보유하고 있다.[4] 아크리치는 교류(AC) 전원에서 직접 구동 가능한 LED 기술로, 전력 효율을 높이고 제품 수명을 연장하는 데 기여한다. 아크리치와 Deep UV(자외선) LED 등은 세계에서 유일한 기술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4]

2. 2. Deep UV LED

서울반도체는 Deep UV(자외선) LED 제품 등 독자적인 기술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4] Deep UV LED는 서울바이오시스가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분야로, 살균 및 정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2. 3. 기타 특허 기술

서울반도체는 ‘아크리치(Acrich)’와 ‘엔폴라(nPola)’를 비롯해 Deep UV(자외선) LED 등과 같은 세계적인 LED 기술력과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10,000개 이상의 다양한 특허를 출원 혹은 확보하고 있다.[4] 특히 아크리치와 Deep UV LED는 세계에서 유일한 기술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3. 글로벌 협력 및 경쟁 현황

서울반도체는 니치아사(Nichia), 오스람사(OSRAM), 크리사(CREE) 등 글로벌 LED 기업들과 특허 공유를 위한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며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1]

3. 1. 크로스 라이선스

서울반도체는 2009년 2월 2일 고휘도 LED 시장 1위 업체인 일본 니치아사(Nichia)와 LED 및 레이저 다이오드 기술을 총망라하는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1] 이로써 서울반도체와 니치아는 양사 간에 진행되고 있던 특허 관련 모든 소송 및 법적 분쟁에 합의했다.[1] 또한 서울반도체는 고휘도 LED 분야 2위인 독일 오스람사(OSRAM)와 백색 및 가시광 LED 분야 관련 특허를 서로 제공하는 내용의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으며,[1] 미국의 LED 기업인 크리사(CREE)와도 백색 LED 관련 특허를 공유하는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1]

3. 2. 경쟁 환경 및 전망

세계 LED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과거 LED 강자 중에서는 니치아, 서울반도체, 광전자 등 일부 기업만이 경쟁력을 유지하며 선전하고 있다. 향후 업계 구조조정이 가속화되는 과정에서 서울반도체의 입지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1]

키움증권 등은 서울반도체의 차별적인 수익성과 성장성이 조명과 차량용 매출의 높은 비중, 글로벌 스마트폰 고객 신규 진입 효과, WICOP 등 신제품의 경쟁력에 기반한다고 언급했다.[2]

4. 자회사

서울반도체는 2002년에 LED 칩 제조 전문 업체인 서울옵토디바이스를 자회사로 설립했다. 서울바이오시스는 현재 전 세계에 4개의 현지법인을 포함한 미주, 유럽, 중국 등 5대 생산거점, 40개 해외영업소, 그리고 150개의 대리점 망을 갖추고 있으며, UV 시장에서 글로벌 MS 1위로 독보적인 위치를 선점하고 있다.

4. 1. 서울옵토디바이스 (현 서울바이오시스)

2002년 LED 칩 제조 전문 업체인 서울옵토디바이스를 설립하였고, 2013년에 '서울바이오시스(SEOUL VIOSYS)'로 회사명을 변경했다. 현재는 LED 칩부터 패키징 및 모듈 제작에 이르는 토탈 LED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서울반도체는 고객사의 영역인 LED 조명용 전구 등 LED 조명 완제품 시장에는 진출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5. 생산 거점 및 네트워크

서울반도체는 전 세계에 4개의 현지법인을 포함하여 미주, 유럽, 중국 등 5대 생산 거점, 40개 해외영업소, 150개의 대리점 망을 갖추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Seoul Semiconductor http://seoulsemicon.[...] Seoul Semiconductor 2017-02-02
[2] 웹사이트 About Seoul Semiconductor http://seoulsemicon.[...] Seoul Semiconductor 2017-07-03
[3] URL https://www.premierg[...]
[4] 보고서 Strategies Unlimited 보고서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