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영등포우체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영등포우체국은 1944년 영등포역전우편국으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우체국이다. 여러 차례의 명칭 변경과 이전을 거쳐 현재의 서울영등포우체국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관할 우체국 및 폐국된 우체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2017년부터 재건축을 시작하여 2020년 여의도 포스트 타워로 이전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영등포구 소재의 관공서 - 한국방송공사
    한국방송공사(KBS)는 1927년 경성방송국으로 시작하여 대한민국 공영방송으로 자리 잡았으며, 텔레비전과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수신료와 광고 수익으로 재원을 마련하며 정치적 편향성 등 문제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서울 영등포구 소재의 관공서 - 서울영등포경찰서
    서울영등포경찰서는 1945년 창설되어 영등포구의 치안을 담당하며, 현재 5개 지구대, 3개 파출소, 5개 치안센터와 여러 부서를 산하 기관으로 두고 있다.
  • 서울특별시 소재의 우체국 - 서울우편집중국
    서울특별시의 우편물을 집중 처리하던 서울우편집중국은 특정 구역의 우편물 취급 기능이 중지되었다.
  • 서울특별시 소재의 우체국 - 광화문우체국
    광화문우체국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하며 서울지방우정청과 청사를 공유하고, 종로구 전 지역의 우편물 배달과 다양한 우편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여러 관할 우체국과 우편취급국을 두고 있다.
서울영등포우체국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서울영등포우체국
종류우체국
위치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동2로 6
관할 지역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일원
공식 웹사이트http://www.koreapost.go.kr/se/150/

2. 연혁

서울영등포우체국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 초기 (1944년 ~ 1975년): 이 시기에는 영등포역전우편국, 국가재건최고회의구내우체국, 여의도우체국 등이 설치되었다.
  • 확장기 (1983년 ~ 2000년): 이 시기에는 여러 우체국과 우편취급소가 설치되거나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0년대에는 편제 개편이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주요 시설로는 서울대림동우체국, 서울양평동우체국, 서울당산2동우편취급소, 서울신길3동우편취급소, 여의도우체국 대한생명분국(이후 대한생명빌딩우체국, 한화생명빌딩우체국으로 변경), 맨하탄호텔우편취급소, 한국방송공사분국(이후 서울한국방송공사우체국으로 변경), 서울신길7동우편취급소, 서울영등포시범A우편취급소, 서울영등포우성A우편취급소, 서울영등포우체국, 서울당산동우체국, 서울문래동우체국, 서울신길5동우체국, 서울여의도광장우체국, 서울문래현대우편취급소, 서울신길2동우편취급소, 서울양평1가우편취급소, 제일증권빌딩우체국(이후 한화증권빌딩우체국으로 변경), 서울영등포3동우편취급소, 서울대림1동우편취급소, 서울백조아파트우편취급소, 서울증권타운우편취급소(이후 서울전경련우편취급소로 변경) 등이 있다.
  • 현대화 시기 (2001년 ~ 현재): 이 시기에는 서울전경련우편취급소 위탁계약 체결, 한화생명빌딩우체국으로 명칭 변경, 우편구역 변경 고시, 여의도 KTB빌딩 및 여의도 포스트 타워로 이전, 한국방송공사우체국 폐국 및 한국방송공사우편취급국 신설, 서울당산동우체국 영업 종료, 서울영등포우체국으로 개명 등의 변화가 있었다.

2. 1. 초기 (1944년 ~ 1975년)


  • 1944년 3월 6일: 영등포역전우편국 설치[1]
  • 1956년 3월 20일: 국가재건최고회의구내우체국 개국[2]
  • 1962년 12월 26일: 국가재건최고회의구내우체국을 국회구내우체국으로 명칭 변경[3]
  • 1963년 4월 1일: 영등포우체국 공군본부구내분국, 영등포우체국 해군본부구내분국 개국[4]
  • 1967년 8월 15일: 서울신길동우체국 개국
  • 1975년 10월 10일: 여의도우체국 개국 (체신부령 제535호 2과 8계)

2. 2. 확장기 (1983년 ~ 2000년)

1983년 8월 1일 서울대림동우체국이 개국되었고,[5] 9월 1일에는 서울양평동우체국이 개국되었다.[5] 1984년 10월 5일 서울당산2동우편취급소가 신설되었고,[6] 10월 10일에는 서울신길3동우편취급소가 신설되었다.[6] 1985년 8월 1일 여의도우체국 대한생명분국이 개국되었고,[7] 12월 30일에는 맨하탄호텔우편취급소가 신설되었다.[8] 1986년 6월 14일 여의도우체국 대한생명분국은 대한생명빌딩우체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9] 11월 1일에는 여의도우체국 한국방송공사분국이 개국되었다.[10]

1987년 12월 21일 여의도우체국 한국방송공사분국은 서울한국방송공사우체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11] 12월 30일에는 서울신길7동우편취급소, 서울영등포시범A우편취급소, 서울영등포우성A우편취급소가 신설되었다.[12] 1988년 5월 1일 서울영등포우체국이 개국되었고, 10월 10일에는 서울당산동우체국, 서울문래동우체국, 서울신길5동우체국이 개국되었다.[13] 10월 18일에는 서울맨하탄호텔우편취급소가 재설치되었다.[14] 1989년 8월 10일에는 서울여의도광장우체국이 개국되었다.[15]

1990년 11월 1일에는 편제개편이 이루어져 4과 14계, 집배2계가 신설되었다. 1991년 1월 21일 서울문래현대우편취급소가 신설되었고,[16] 1992년 11월 10일에는 서울신길2동우편취급소가 신설되었다.[17] 1992년 12월 28일에는 청사 2개층 증축 및 대수선이 이루어졌다. 1994년 7월 1일에는 편제개편으로 4과 15계, 우편운용계가 신설되었고, 10월 1일에는 다시 편제개편으로 4과 1실, 지도실이 신설되었다. 12월 15일에는 서울양평1가우편취급소가 신설되었다.

1995년 11월 20일 제일증권빌딩우체국이 개국되었고,[18] 12월 20일에는 서울신길2동우편취급소가 재개국했다. 1996년 12월 2일 서울신길3동우편취급소가 재개국되었고,[19] 12월 20일에는 제일증권빌딩우체국이 한화증권빌딩우체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0] 1997년 11월 10일 서울영등포3동우편취급소가 개국되었고,[21] 1998년 11월 2일에는 서울대림1동우편취급소와 서울백조아파트우편취급소가 개국되었다.[22] 1999년 1월 1일 한화증권빌딩우체국이 폐국되었고,[23] 2월 1일에는 서울증권타운우편취급소가 개국되었다.[24]

2. 3. 현대화 시기 (2001년 ~ 현재)


  • 2002년 1월 25일: 서울증권타운우편취급소 위탁계약을 체결하였다.[25]
  • 2004년 7월 1일: 서울증권타운우편취급소를 서울전경련우편취급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26]
  • 2004년 12월 1일: 편제를 3과 1실로 개편하였다.
  • 2011년 9월 19일: 서울여의대방로우편취급국이 개국하였다.
  • 2012년 10월 1일: 대한생명빌딩우체국을 한화생명빌딩우체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27]
  • 2014년 1월 1일: 우편구역이 영등포구 전 지역(07200 ~ 07448)으로 변경 고시되었다.[28]
  • 2015년 7월 1일: 편제를 4과 1실로 개편하였다.
  • 2017년 10월 23일: 여의도 KTB빌딩으로 이전하였다.
  • 2017년 12월 29일: 재건축을 시작하였다.
  • 2020년 9월 4일: 한국방송공사우체국이 폐국되었다.[29]
  • 2020년 9월 14일: 한국방송공사우편취급국이 신설되었다.[30]
  • 2020년 9월 16일: 재건축이 완료되었다.
  • 2020년 12월 14일: 여의도 포스트 타워로 이전하였다.
  • 2021년 10월 29일: 서울당산동우체국 영업이 종료되었다.
  • 2021년 11월 1일: 여의도우체국에서 서울영등포우체국으로 개명, 기존 영등포우체국은 서울영등포동4가우체국으로 명칭 변경, 여의도우체국이 개국되었다.

3. 관할 우체국

우체국명사진주소비고
국회구내우체국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1(여의도동)입장시 관계자의 허락이 필요함
국회구내우체국구내회관출장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1(여의도동)입장시 관계자의 허락이 필요함
서울당산2동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 172-1(당산동4가)1984년 10월 5일 신설
서울대림1동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로 146(대림동)1998년 11월 2일 신설
서울대림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로 85(대림동)1983년 8월 1일 신설
서울문래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도림로 429(문래동2가)1988년 10월 10일 신설
서울문래현대A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문래로4길 4(문래동6가)1991년 1월 21일 신설
서울신길2동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도신로 195(신길동)1992년 11월 10일 신설
서울신길3동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가마산로51길 1(신길동)1984년 10월 10일 신설
서울신길5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로 65(신길동)1988년 10월 10일 신설
서울신길7동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 422(신길동)
서울신길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161(신길동)
서울양평1가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서로26길 24(양평동1가)
서울양평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로 92 (양평동4가)
서울여의대방로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379(여의도동)2011년 9월 19일 신설
서울여의도광장우체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 7(여의도동)1989년 8월 10일 신설
서울영등포3동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산로 214(영등포동5가, 영등포현대프라자)1997년 11월 10일 신설
서울영등포시범A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버드나루로19길 3(당산동)1987년 12월 30일 신설
서울전경련우편취급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9(여의도동)1999년 2월 1일 신설
2004년 7월 1일 서울증권타운우편취급소에서 명칭 변경
서울영등포동4가우체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841(영등포동4가)1988년 5월 1일 신설
여의도우체국
서울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2021년 11월 1일 신설
한국방송공사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3 (여의도동)2020년 9월 14일 신설
한국방송공사 건물 안에 있어 입장시 관계자의 허락이 필요함
한화생명빌딩우체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63로 50(여의도동)2012년 10월 1일 대한생명빌딩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4. 조직

서울영등포우체국은 영업과, 경영지도실, 지원과, 우편물류과를 두고 있다.

'''영업과'''


  • 금융영업실
  • 우편영업실
  • 보험영업실


'''경영지도실'''

'''지원과'''

'''우편물류과'''

  • 소포실
  • 물류실
  • 민원사서함실
  • 소통(발착)팀
  • * 집배1실
  • * 집배2실

5. 재건축 (여의도 포스트 타워)

2017년 12월 29일부터 2020년 9월 16일까지 여의도 포스트 타워 재건축 공사가 진행되었다.[1] 지상 33층, 지하 4층, 높이 150.80m(파라펫 156.80m) 규모로 건설되었으며, 시공사는 태영건설, 설계사는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가 맡았고, 용도는 업무시설 및 근린생활시설이다.[1]

참조

[1]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總告312 1944-02-28
[2] 부령 체신부령 제70호 1956-03-29
[3] 부령 체신부령 제242호 1963-12-02
[4] 고시 체신부고시 제1887호 1963-03-29
[5] 부령 체신부령 제737호 1983-06-15
[6] 공고 서울지방체신청공고 제608호 1984-10-10
[7] 공고 서울지방체신청공고 제655호 1985-06-11
[8] 고시 체신부고시 제189호 1985-12-18
[9] 공고 서울지방체신청공고 제726호 1986-06-21
[10] 공고 서울지방체신청공고 제753호 1986-11-01
[11] 공고 여의도우체국공고 제1호 1987-12-29
[12] 고시 체신부고시 제147호 1988-01-04
[13] 공고 여의도우체국공고 제2호 1988-10-11
[14] 공고 여의도우체국공고 제2호 1988-10-18
[15] 공고 여의도우체국공고 제3호 1989-08-08
[16] 고시 체신부고시 제135호 1990-12-18
[17] 고시 체신부고시 제1992-94호 1992-10-27
[18] 공고 여의도우체국공고 제1995-8호 1995-11-23
[19] 고시 서울지방체신청고시 제1996-30호 1996-12-02
[20] 고시 정보통신부고시 제1996-105호 1996-12-11
[21] 고시 서울지방체신청고시 제1997-47호 1997-11-10
[22] 고시 서울지방체신청고시 제1998-33호 1998-11-02
[23] 고시 정보통신부고시 제1998-133호 1998-11-24
[24] 고시 서울지방체신청고시 제1999-2호 1999-01-28
[25] 고시 서울체신청고시 제2002-1호 http://gwanbo.mois.g[...] 2002-01-24
[26] 고시 서울체신청고시 제2004-20호 http://gwanbo.mois.g[...] 2004-05-15
[27] 고시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12-7호 http://gwanbo.mois.g[...] 2012-09-05
[28] 고시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13-7호 http://gwanbo.mois.g[...] 2013-12-26
[29] 공고 서울지방우정청공고 제2020-76호 2020-06-12
[30] 고시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20-8호 http://gwanbo.mois.g[...] 2020-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