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전파관리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전파관리소는 전파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1949년 11월 22일 체신부 소속 서울전파감시국으로 설치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소속 및 명칭 변경을 거쳐 2006년 12월 29일 현재의 서울전파관리소로 개편되었다. 주요 조직으로는 소장, 운영지원과, 방송통신서비스과, 전파이용안전과, 무선국업무과, 이용자보호과가 있으며, 소속기관으로 서울북부사무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구로구 소재의 관공서 - 서울남부교도소
서울남부교도소는 1949년 부천형무소로 개소하여 영등포교도소를 거쳐 2011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민주화 운동 인사 수감, 사회적 물의 인물 수감, 코로나19 집단 감염 등의 사건을 겪었다. - 서울 구로구 소재의 관공서 - 서울남부구치소
서울남부구치소는 1969년 영등포구치소로 개청하여 2011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서울 소재 구치소이며, 사회적으로 논란이 된 여러 유명 인사들이 수감되었던 곳이다. - 중앙전파관리소 - 광주전파관리소
광주전파관리소는 대한민국의 전파 관리 기관으로, 전파 이용 질서 확립과 통신 이용자 보호를 주요 업무로 하며, 운영지원과, 방송통신서비스과, 전파이용안전과, 무선국업무과, 이용자보호과로 구성되어 각 과별 고유한 역할을 수행한다. - 중앙전파관리소 - 대전전파관리소
대전전파관리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전파 관리 기관으로, 전파 감시, 주파수 분배 및 할당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소장 및 당진사무소를 운영한다. - 2006년 설립 - 오션월드
오션월드는 대한민국에 위치한 워터파크로, 실내외에 다양한 놀이 시설과 익스트림존, 다이나믹존, 메가 슬라이드존 등 여러 구역, 그리고 파도풀, 유수풀, 슬라이드 등 다양한 어트랙션을 제공하며, 특히 슈퍼 익스트림 리버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강력한 수압을 자랑한다. - 2006년 설립 - 통합막료감부
통합막료감부는 일본 자위대의 육해공 자위대 활동을 조정하고 지휘하는 기관으로, 군종 대립 해소와 지휘권 통합을 위해 2006년 개편되었으며, 통합 운용을 통해 방위, 재해 파견, 훈련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서울전파관리소 |
---|
2. 연혁
- 1949년 11월 22일: 체신부 소속으로 서울전파감시국이 설치되었다.[2]
- 1976년 2월 5일: 전파관리국 소속으로 변경되었다.[3]
- 1980년 8월 26일: 서울전파감리국으로 개편되었다.[4]
- 1982년 1월 1일: 체신부 소속으로 변경되었다.[5]
- 1983년 1월 1일: 서울지방체신청 소속으로 변경되었다.[6]
- 1983년 12월 30일: 중앙전파감시소 소속 서울분소로 개편되었다.[7]
- 1987년 12월 15일: 중앙전파관리소 소속으로 변경되었다.[8]
- 2002년 3월 15일: 중앙전파관리소 소속으로 서울북부분소가 설치되었다.[9]
- 2006년 12월 29일: 서울분소와 서울북부분소를 각각 서울전파관리소와 서울북부전파관리소로 개편하였다.[10]
- 2011년 8월 19일: 서울북부전파관리소를 서울전파관리소 소속 서울북부사무소로 개편하였다.[11]
2. 1. 서울전파감시국
1949년 11월 22일 체신부 소속으로 서울전파감시국이 설치되었다.[2] 1976년 2월 5일 전파관리국 소속으로 변경되었으며,[3] 1980년 8월 26일 서울전파감리국으로 개편되었다.[4]2. 2. 전파관리국 및 서울전파감리국
1976년 2월 5일 전파관리국 소속으로 변경되었다.[3] 1980년 8월 26일 서울전파감리국으로 개편되었다.[4]2. 3. 체신부 및 서울지방체신청 소속
1982년 1월 1일 체신부 소속으로 변경되었다.[5] 1983년 1월 1일 서울지방체신청 소속으로 변경되었다.[6]2. 4. 중앙전파감시소 및 중앙전파관리소 소속
- 1983년 12월 30일: 중앙전파감시소 소속 서울분소로 개편되었다.[7]
- 1987년 12월 15일: 중앙전파관리소 소속으로 변경되었다.[8]
- 2002년 3월 15일: 중앙전파관리소 소속으로 서울북부분소가 설치되었다.[9]
2. 5. 서울전파관리소
- 1949년 11월 22일: 체신부 소속으로 서울전파감시국이 설치되었다.[2]
- 1976년 2월 5일: 전파관리국 소속으로 변경되었다.[3]
- 1980년 8월 26일: 서울전파감리국으로 개편되었다.[4]
- 1982년 1월 1일: 체신부 소속으로 변경되었다.[5]
- 1983년 1월 1일: 서울지방체신청 소속으로 변경되었다.[6]
- 1983년 12월 30일: 중앙전파감시소 소속 서울분소로 개편되었다.[7]
- 1987년 12월 15일: 중앙전파관리소 소속으로 변경되었다.[8]
- 2002년 3월 15일: 중앙전파관리소 소속으로 서울북부분소가 설치되었다.[9]
- 2006년 12월 29일: 서울분소와 서울북부분소를 각각 서울전파관리소와 서울북부전파관리소로 개편하였다.[10]
- 2011년 8월 19일: 서울북부전파관리소를 서울전파관리소 소속 서울북부사무소로 개편하였다.[11]
3. 조직
서울전파관리소는 소장 아래 5개 과와 1개 소속기관(서울북부사무소)을 두고 있다.[12][13]
3. 1. 소장
소장은 서울전파관리소의 최고 책임자이다. 서울전파관리소는 산하에 운영지원과, 방송통신서비스과, 전파이용안전과, 무선국업무과, 이용자보호과를 두고 있다.[12]3. 1. 1. 운영지원과
운영지원과는 서울전파관리소의 서무, 회계, 인사, 감사, 보안, 관인 관리, 물품 및 국유재산 관리, 청사 방호 등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한다.[12]3. 1. 2. 방송통신서비스과
방송통신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고 관련 민원을 처리한다.[12]3. 1. 3. 전파이용안전과
전파 이용 환경의 안전을 확보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 및 시행한다.[12]3. 1. 4. 무선국업무과
무선국 허가, 검사 등 무선국 관련 업무를 총괄한다.[12]3. 1. 5. 이용자보호과
전파 이용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관련 분쟁을 조정한다.[12]3. 2. 소속기관
서울전파관리소의 소속 기관으로 서울북부사무소가 있다.[13]3. 2. 1. 서울북부사무소
서울북부사무소는 서울 북부 지역의 전파 관리 업무를 담당한다.[13]참조
[1]
법령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21조제2항
[2]
법령
대통령령 제218호
[3]
법령
대통령령 제7978호
[4]
법령
대통령령 제10008호
[5]
법령
대통령령 제10584호
[6]
법령
대통령령 제11008호
[7]
법령
대통령령 제11302호
[8]
법령
대통령령 제12315호
[9]
뉴스
서울북부전파관리소 청사 준공식 개최
http://news.inews24.[...]
2007-12-21
[10]
법령
대통령령 제19793호
[11]
법령
대통령령 제23082호
[12]
문서
서기관·기술서기관·행정사무관·공업사무관·시설사무관·전산사무관·방송통신사무관·공업연구관·행정주사·공업주사·시설주사·전산주사·방송통신주사 또는 공업연구사로 보한다.
[13]
문서
행정사무관·공업사무관·시설사무관·전산사무관·방송통신사무관 또는 공업연구관으로 보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