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특별시 기념물은 서울특별시에서 지정한 문화재로,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1973년 잠실 뽕나무와 화양동 느티나무가 각각 1호와 2호로 지정된 것을 시작으로, 2019년 사릉 석물 채석장 터가 44호로 지정되었다. 이 외에도 해제되거나 사적으로 승격된 기념물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문화유산 - 종친부
    조선시대 종친부는 왕실 사무를 관장하며 고려 시대 제군부에 기원을 두고 세종 때 확립되어 왕실 어보와 영정 보관, 종친의 관혼상제 등을 총괄하다 종정사, 종정원을 거쳐 종부사로 개칭 후 폐지되었으며, 경복궁 건춘문 맞은편에 위치했고 핵심 건물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 있다.
  • 서울특별시의 문화유산 - 위례성
    위례성은 백제의 초기 수도로, 하남 위례성과 하북 위례성으로 나뉘며, 하남 위례성은 현재의 서울 지역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고고학적 증거는 부족하고, 명칭 유래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 보신각
    보신각은 조선 시대 한양 도성의 문을 여닫는 시각을 알리던 종루에서 유래하여 고종이 이름을 내린 종각으로, 현재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복원되어 매년 제야의 종 타종 행사가 열리는 장소이며 한국 전통 범종의 의미를 공유한다.
  •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 낙성대
    낙성대는 강감찬 장군의 탄생 설화에서 유래된 '별이 떨어진 곳'이라는 뜻의 관악구 지명으로, 안국사, 낙성대 공원, 삼층석탑 등의 유적지가 있으며 역사적 근거에 대한 논란과 함께 서울대학교를 은유하는 표현으로도 쓰인다.
  • 대한민국의 시도기념물 -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부산광역시의 기념물은 시가 지정한 문화재로, 선사시대 유적부터 근대 건축물 및 자연 유산까지 다양한 유산을 포괄하며, 부산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기념물 - 충청북도의 기념물
    충청북도의 기념물은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있는 도내 문화재로서 사당, 묘소, 유적지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현재 151개가 지정되어 있고, 일부는 지정 해제되기도 했다.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서울특별시 기념물
개요
유형문화유산
지정 관리서울특별시
지정일지정일 정보 없음 (정보 부재)
지정 번호지정 번호 정보 없음 (정보 부재)
시대시대 정보 없음 (정보 부재)
성격성격 정보 없음 (정보 부재)
관련 사건관련 사건 정보 없음 (정보 부재)
참고 자료참고 자료 정보 없음 (정보 부재)

2. 지정 현황

서울특별시 기념물은 1973년 1월 26일 잠실 뽕나무와 화양동 느티나무가 처음 지정된 이래, 현재까지 총 44점이 지정되었다. 이 중 이화장(6호)과 만해 한용운 심우장(7호)은 사적으로 승격되어 기념물 지정이 해제되었고, 낙천정터(12호)는 문화적 가치를 상실하여, 아차산 홍련봉 보루 유적(21호)는 아차산 일대 보루군으로 사적에 포함되어 각각 해제되었다.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
제1호 ~ 44호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조.


2. 1. 제1호 ~ 제10호

2008년 10월 30일 명칭 변경
2호화양동 느티나무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110-341973년 1월 26일
3호강감찬 생가 터(낙성대)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218-141974년 8월 21일
2008년 10월 30일 명칭 변경
4호세검정터서울특별시 종로구 신영동 168-61976년 11월 11일
5호손기정 월계관 기념수서울특별시 중구 만리동2가 6-11982년 11월 13일
6호이화장서울특별시 종로구 이화동 1-21982년 11월 13일 지정, 2009년 4월 28일 해제
사적 제497호로 승격
7호만해한용운심우장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222-1,21984년 7월 5일 지정, 2019년 4월 8일 해제
사적 제550호로 승격
8호양천향교터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 2341990년 6월 18일
9호망원정지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457-11990년 6월 18일
10호보신각터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2가 102번지 일대1990년 6월 18일


2. 2. 제11호 ~ 제20호

허가바위서울 강서구 가양동 산1-2강서구1991년 12월 24일제12호낙천정터서울 광진구 자양동 673광진구1991년 12월 24일 지정, 2009년 10월 22일 해제
(문화적 가치 상실)제13호무악산 동봉수대 터서울 서대문구 봉원동 산1서대문구1993년 9월 20일 지정, 2008년 10월 30일 명칭 변경제14호
목멱산 봉수대 터

목멱산봉수대터서울 중구 예장동 8-1중구1993년 9월 20일제15호아차산 봉수대 터서울 중랑구 묵동 산46-19중랑구1993년 11월 30일 지정, 2008년 10월 30일 명칭 변경제16호
배재학당 동관

배재학당동관서울 중구 정동 34-5호학교법인 배재학당2001년 3월 15일제17호조석견과 완성군 이귀정 묘역서울 동작구 흑석동 54-9전주이씨완성군파종중2001년 5월 10일 지정, 2008년 10월 30일 명칭 변경제18호
구 용산수위관측소

구용산수위관측소서울 용산구 청암동 169, 169-1번지서울특별시한강관리사업소2002년 2월 5일제19호
광통관

광통관서울 중구 남대문로 1가 19(주)한빛은행2002년 3월 5일제20호
구세군 중앙회관

구세군중앙회관서울 중구 정동 1-23호구세군유지재단2002년 3월 5일


2. 3. 제21호 ~ 제30호

(단체)지정일참조21호
아차산 홍련봉 보루 유적서울 광진구 광장동 외광진구2002년 10월 5일 지정,
2004년 10월 27일 해제,
아차산 일대 보루군(사적 제455호)로 지정22호류순정·류홍부자묘역서울 구로구 오류동 산43-31, 산43-32진주류씨문성공파종회2004년 8월 20일 지정23호해공 신익희 가옥서울 종로구 효자동 164-2(사)해공신익희선생기념회2005년 2월 11일 지정24호화의군이영묘역서울 은평구 연서로46길 432005년 12월 8일 지정25호숙용심씨묘표서울 은평구 진관동 502005년 12월 29일 지정26호영산군이전묘역서울 은평구 진관동 산39, 산103-12007년 2월 15일 지정27호
충정공 목서흠 묘역서울 도봉구 방학동 산62번지사천목씨현헌공파종중2009년 6월 25일 지정28호도봉서원과 각석군서울 도봉구 도봉동 404번지 등서울특별시2009년 10월 22일 지정29호완남부원군 이후원 묘역서울 강남구 자곡동 산 39-3전주이씨광평대군파완남부원군종회2009년 12월 31일 지정30호월산대군 이정 태실서울 서초구 우면동 291-1SH공사2010년 3월 25일 지정


2. 4. 제31호 ~ 제44호

wikitext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1호 ~ 제44호
번호사진명칭소재지관리자(단체)지정일참조
제31호
인왕산 수성동 계곡
인왕산 수성동 계곡서울 종로구 옥인동 179-1외 8필지2010년 10월 21일
제32호
불암산성
불암산성서울 노원구노원구청2010년 12월 23일
제33호
방학동 은행나무
방학동 은행나무서울 도봉구 방학동 546, 546-12013년 3월 28일
제34호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서울 도봉구 도봉동 산85번지개성이씨호안공대종중2013년 7월 18일
제35호경천군 이해룡 사패지 송금비서울 은평구 진관동 산25국유(산림청)2014년 2월 20일
제36호수유동 분청사기 가마터서울 강북구 삼각산로 5 (수유동 산127-1)국유2014년 3월 27일
제37호성균관 대성전 은행나무서울 종로구 성균관로 31국유2014년 5월 1일
제38호
서울광장 지하배수로
서울광장 지하배수로서울 중구 을지로 12 등서울특별시 등2014년 7월 3일
제39호남대문로 지하배수로서울 중구 남대문로 40-1 등서울특별시 등2014년 7월 3일
제40호
백운동천
인왕산 백운동 계곡서울 종로구 청운동 6-6 외서울특별시 등2014년 10월 30일
제41호태평로2가 지하배수로서울 중구 태평로2가 113-1 등국 (국토교통부) 등2015년 3월 19일
제42호배봉산 보루서울 동대문구 전농동 산 32-20 외서울특별시, 국유(산림청)2017년 2월 9일,
제43호숙선옹주(선빈)안씨 묘서울 중랑구 묵동 산37-13전주이씨 소강공파종중2019년 6월 7일,
제44호사릉 석물 채석장 터서울 강북구 수유동 산86-1 / 산127-1국유2019년 8월 8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