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종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종제는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세조 때의 정승 서거정의 후손이며 영조의 장인이다. 1687년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고, 딸 정성왕후가 연잉군(훗날 영조)과 혼인하여 사릉 참봉에 임명되었다. 이후 신천군수를 지내다 1719년에 사망했으며, 영조 즉위 후 의정부 우의정, 영의정에 추증되고 달성부원군에 추봉되었다. 신임옥사로 손자가 연루되어 가문이 위기를 겪었으나 영조 즉위 후 복권되었고, 1743년 효희의 시호가 내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19년 사망 - 파루크시야르
    파루크시야르는 1713년부터 1719년까지 무굴 제국의 황제였으며, 사이이드 형제의 지원으로 황제가 되었으나, 그의 통치 기간은 반란과 내부 갈등, 그리고 제국 쇠퇴를 가속화시킨 정책 결정으로 특징지어진다.
  • 1719년 사망 - 조지프 애디슨
    조지프 애디슨은 18세기 영국의 수필가, 극작가, 정치가로서, 《태틀러》와 《스펙테이터》를 창간하여 영국 수필 문학의 황금기를 열었으며, 《카토》 등의 희곡을 발표한 영향력 있는 인물이다.
  • 1656년 출생 - 마랭 마레
    마랭 마레는 프랑스의 비올 연주자이자 작곡가로, 비올을 위한 작품과 오페라를 작곡했으며, 영화 《모든 세상의 아침》을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다.
  • 1656년 출생 - 효의인황후
    효의인황후는 청나라 강희제의 황후이자 옹정제의 양모로, 귀비에서 황귀비를 거쳐 황후가 되었으나 자녀는 없었고 옹정제 교육에 힘썼으며, 옹정제 즉위 후 시호를 받고 태묘에 배향되었다.
  • 대구 서씨 - 서명원
    서명원은 독립운동가 서재필의 종손으로, 교육학자이자 대학교수, 교육행정 관료로서 서울대학교 교수, 문교부 차관, 여러 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문교부 장관, 학술회 회원, 교육개혁심의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낸 인물이다.
  • 대구 서씨 - 서주석
    서주석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외교안보 전문가로, 한국국방연구원에서 근무하며 민주당계 정권에서 외교안보 정책 수립에 관여했고,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 수석비서관, 국방부 차관, 국가안보실 제1차장을 역임하며 남북 합의 도출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왜곡 활동에 참여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서종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달성부원군
達城府院君
배우자잠성부부인 우봉 이씨
자녀아들 서명백(徐命伯), 딸 정성왕후(貞聖王后)
가문대구 서씨
아버지서문도
출생일1656년
사망일1719년
사망 원인병사
국적조선

2. 생애

세조 때 정승 서거정의 후손으로 영조의 장인이다. 숙종 13년(1687년) 생원시와 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였다. 여러 벼슬을 거쳐 신천군수를 지냈으나 숙종 45년(1719년) 사망했다. 사후 영조 즉위 후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고 달성부원군에 추봉되었다. 그의 딸 정성왕후는 영조의 정비였으나 자식은 없었다.

2. 1. 초기 생애

세조 때의 정승 서거정의 후손으로 그의 형 서거광의 9대손이다. 아버지는 사평(司評)을 지낸 서문도(徐文道)이며, 영조의 장인이다. 1687년(숙종 13년) 생원시와 진사시 사마 양시에 모두 합격하였다. 1704년 그의 딸이 뒷날 영조가 되는 연잉군과 결혼하여 특별히 음직으로 사릉참봉(思陵參奉)에 임명되었다. 이후 여러 벼슬을 거쳐 신천군수(信川郡守)로 부임했으나 숙종 45년인 1719년 사망했다.

2. 2. 사망과 추증

1719년(숙종 45년) 사망하였으나, 연잉군이 왕세제가 되면서 의정부좌찬성추증되었다. 1724년(영조 즉위년) 연잉군이 즉위하면서 의정부우의정에 추증되고, 달성부원군(達城府院君)에 추봉되었다. 그 뒤 의정부 영의정이 더해졌다.

그러나 영조의 형 경종이 즉위할 때 일어난 신임옥사에 그의 손자 서덕수가 연루되면서, 아들인 서명백 등도 흑산도로 유배되었다. 영조 즉위 후 서종제의 동생 부사과 서종일(徐宗一)의 건의로 손자 서덕수가 복권되었고, 조정대신들이 영조에게 건의해 또다른 손자 서인수(徐仁修)는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제수되었다. 1743년 효희(孝禧)의 시호가 내려졌다. 딸인 정성왕후는 영조의 정비로서 66세까지 장수했으나 친자식은 없었다.

2. 3. 신임옥사와 가문의 위기

경종 즉위 후 신임옥사에 손자 서덕수가 연루되면서, 아들 서명백 등이 흑산도로 유배되는 등 가문이 몰락할 위기에 처했다. 영조가 즉위하면서 서종제의 동생 부사과 서종일(徐宗一)의 건의로 손자 서덕수가 복권되었고, 조정 대신들은 영조에게 건의해 또 다른 손자 서인수(徐仁修)를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제수했다.

2. 4. 영조 즉위와 가문의 복권

영조 즉위 후, 서종제의 동생 부사과 서종일(徐宗一)의 건의로 손자 서덕수가 복권되었고, 조정 대신들은 영조에게 건의하여 또 다른 손자 서인수(徐仁修)를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제수하였다. 1743년 효희(孝禧)의 시호가 내려졌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증조부서경수
조부서형리
부친서문도
형제서종척, 서종신, 서종협, 서종일
장남서명백
손자서덕수, 서인수, 서신수
장녀정성왕후
사위영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