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인장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인장쥐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작은 설치류로, 북아메리카의 건조한 사막, 스텝, 산기슭 언덕에 서식한다. 몸길이는 160mm에서 211mm 정도이며, 뒷발바닥에 털이 없고 꼬리가 긴 특징을 갖는다. 씨앗, 곤충 등을 먹으며, 야행성으로 활동하고 신진대사가 낮아 건조한 환경에 적응했다. 선인장쥐는 실험 동물로 사용되기도 하며, 인간에게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드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노라 사막의 동물상 - 목도리페커리
    목도리페커리는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는 페커리과의 포유류로, 짙은 회색 털과 목의 흰색 띠가 특징이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무리 생활을 하는 잡식성 동물이지만,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 소노라 사막의 동물상 - 사막이구아나
    사막이구아나는 북미 사막에 사는 중간 크기 도마뱀으로, 옅은 회색 또는 황갈색 몸에 용골 형태 비늘이 있고, 고온에 강하며 식물, 곤충 등을 먹는 잡식성이지만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애완동물로도 사육된다.
  • 스펜서 플러턴 베어드가 명명한 분류군 - 회색여우속
    회색여우속은 개과에 속하며 회색여우, 섬여우, 멸종된 종 Urocyon progressus를 포함하고, 북아메리카 남부와 멕시코, 캘리포니아 채널 제도에 분포하며, 개과 내에서 가장 초기에 분기된 원시적인 분류군으로 추정된다.
  • 스펜서 플러턴 베어드가 명명한 분류군 - 섬여우
    섬여우는 캘리포니아 채널 제도에 서식하며 각 섬마다 고유한 아종으로 나뉘는 작은 개과의 포유류로, 한때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보호 노력으로 준위협 종으로 분류된다.
  • 1858년 기재된 포유류 - 모래고양이
    모래고양이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종으로, 북아프리카,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사막에 분포하며 설치류 등을 먹고 살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아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보호받는다.
  • 1858년 기재된 포유류 - 리처드슨땅다람쥐
    리처드슨땅다람쥐는 북미 초원 지대에 서식하며 굴을 파고 사는 설치류로, 꼬리 흔드는 행동 때문에 "플리커테일"이라고도 불리며 농작물 해충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애완동물로도 인기가 있다.
선인장쥐
기본 정보
선인장쥐
선인장쥐
학명Peromyscus eremicus
명명자Baird, 1858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쥐목
비단털쥐과
아과숲쥐아과
사슴쥐속
선인장쥐 (P. eremicus)
분포
선인장쥐 분포
선인장쥐의 분포 지역
보전 상태
IUCN 적색 목록Least Concern (최소 관심)
평가 연도2019
평가자T. Lacher, R. Timm, S.T. Álvarez-Castañeda
기타
국립공원 서비스 웹사이트National Park Service Website

2. 형태

선인장쥐는 크고 둥근 눈과 귀, 뾰족한 주둥이, 그리고 긴 단색 꼬리를 가진 작은 쥐과 설치류이다. 뒷발에 털이 없는 발바닥과 거의 털이 없는 살색 꼬리가 특징이며, 꼬리는 일반적으로 몸길이와 같거나 더 길다. 귀는 거의 털이 없고 크며 막으로 되어 있다. 털은 길고 부드러우며, 털 색은 황토색에서 계피색까지 다양하며, 배 부위는 흰색이고 머리 옆면과 윗면은 약간 회색을 띤다.[13]

2. 1. 상세 특징

선인장쥐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는 작은 설치류이다. 눈과 귀가 크며, 주둥이는 튀어나와있고 꼬리는 길쭉하고 단색이다. 평균적인 크기는 다음과 같다.

측정 부위평균 크기
꼬리 포함 몸 전체 길이160mm ~ 211mm
몸통 길이72mm ~ 100mm
꼬리 길이84mm ~ 120mm
뒷발 길이18mm ~ 22mm
귀 길이13.4mm ~ 20mm
두개골 최대 길이22.7mm ~ 25.9mm
협골 폭11.2mm ~ 13.5mm
몸무게18g ~ 40g

[13] 암컷이 수컷보다 몸길이, 귀 길이, 하악골 길이 및 두개골의 불라 너비가 더 크다.

선인장쥐는 뒷발바닥에 털이 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대부분 사슴쥐속 종들은 꼬리에 두 가지 색의 털이 나 있지만, 선인장쥐는 꼬리에 털이 거의 나지 않는다. 꼬리 길이는 몸통 길이보다 더 길거나 거의 같다. 귀는 털이 거의 없고, 크며 막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털은 길고 부드러우며, 털 색은 아종과 개체에 따라 다르다. 몸통 털은 주로 황토색에서 계피색을 띠며, 복부는 흰 털이 나고, 정수리 부분은 회색빛이다.[3] 암컷이 수컷보다 털 색이 옅고, 어린 개체는 성체보다 더 회색빛을 띈다.

선인장쥐의 수명은 야생에서는 약 1년이지만, 사육 환경에서는 최대 7.4년까지 살 수 있다.[4]

3. 생태

선인장쥐는 생태계에서 씨앗을 먹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동시에 다른 동물들의 먹이가 된다.[16]

3. 1. 서식지

선인장쥐는 북아메리카 미국멕시코 본토와 바하칼리포르니아반도 주변 도서지역 일대의 건조한 사막, 스텝, 건조한 산기슭 언덕에 서식한다.[14][15] 더 북쪽에서는 낮은 평균 기온과 ''메스키트'' 식물이 살지 않아 서식지 팽창이 불가능하다.[13]

선인장쥐는 캘리포니아쥐, 협곡쥐, 에바사막쥐, 메스키트쥐, 그리고 서부사슴쥐 다른 다섯 종류 사슴쥐속 개체와 서식지가 겹친다.[5][6] 낮은 평균 기온과 콩과 식물인 ''프로소피스 율리플로라'' 종의 부족은 북쪽으로의 확장을 제한할 수 있다.[3]

3. 2. 먹이

선인장쥐는 씨앗, 메스키트 콩, 팽나무 열매, 곤충, 녹색 식물을 먹고 산다. 겨울에는 곤충에 더 의존하며, 봄에는 씨앗과 꽃, 여름에는 씨앗, 잎이 많은 채소, 곤충을 먹는다. 가을에는 겨울 식단으로 전환한다.[13]

3. 3. 습성

선인장쥐는 대부분의 쥐상과 동물과 같이 박명박모성 성질을 보여주며 가끔씩 낮에 활동을 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야행성이다. 보름달이 떠있는 날에는 활동량이 줄어든다.[16] 겁이 많고 흥분을 잘 하며 사람이 손으로 잡아도 거의 물지 않는다. 겁을 먹을 경우 날카로운 고음의 찍찍거리는 소리를 낸다. 실험실 연구에 따르면 선인장쥐의 평균적인 질주 속도는 21.1km이다.[16]

선인장쥐는 다른 사슴쥐속 종들에 비해 신진대사가 낮다. 이는 건조한 기후에 적응하고 갑상샘 기능 저하로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 겨울철 먹이가 떨어지거나 여름철 먹이나 물을 찾을 수 없으면 토포 상태에 돌입한다. 15°C 밑에서는 토포 상태에 더 천천히 돌입하며, 이는 선인장쥐가 주로 따뜻한 기후에 사는 원인 중 하나일 수 있다. 실험실 연구에 따르면 토포 상태 돌입이 약 30분간 먹이 결핍이 일어날 때 부터 시작되었다.[16] 탈수 상태에서는 소화 과정에서 소모될 물을 절약하기 위해 식사량을 줄인다.[8]

선인장쥐는 주요한 Seed predation|종자초식동물영어 중 하나며 그 자체로 다른 포식동물들의 주요한 먹이다.[16]

3. 4. 번식

선인장쥐의 번식 습성은 지금까지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다. 하지만 다른 사슴쥐속 종들의 연구 결과를 보면, 난잡할 것으로 추정된다. 1년 내내 번식이 가능하나 주로 따뜻한 기간에 더 많이 번식한다. 다른 쥐상과 종들과 다르게 선인장쥐 수컷의 성기는 단순하게 생겼으며, 암컷은 젖꼭지가 3개가 아닌 2개이다.[16] 암컷의 젖꼭지 수 차이는 건조한 기후에서 키울 수 있는 새끼의 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암컷은 생후 2개월이 되면 짝짓기가 가능하지만, 수컷은 불분명하다.[16]

4. 인간과의 관계

앨버커키 가정집에서 잡혀 머리에 땅콩을 인 채로 유리병에 갇혀 있는 수컷 선인장쥐


선인장쥐가 인간의 활동에 끼치는 악영향은 밝혀지지 않았다.[16]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 잡힌 선인장쥐가 한타바이러스 양성 결과를 보이기는 했지만, 이는 국지적이고 우연한 것으로 보이며 흔한 숙주는 아니다.[17] 선인장쥐는 깨끗하게 유지되고, 사육 상태에서도 잘 지내며, 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이상적인 실험 동물로, 생리학적 및 유전학적 연구에 제안되었다.

참조

[1] 간행물 Peromyscus eremicus 2021-11-12
[2] 웹사이트 National Park Service Website http://www.nps.gov/t[...]
[3] 논문 Peromyscus eremicus http://www.science.s[...]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2015-06-24
[4] 웹사이트 Cactus Mouse https://a-z-animals.[...] 2024-08-22
[5] 논문 Laboratory Life Histories of Peromyscus eremicus and Peromyscus interparietalis
[6] MSW3 2023-08-02
[7] 웹사이트 Peromyscus eremicus cactus mouse https://animaldivers[...] Animal Diversity Web 2021-09-18
[8] 논문 Parched cactus mice save water by curbing their appetite https://journals.bio[...] 2023-12-01
[9] 간행물 Journal of the Society Of Vector Ecologists, Volume 26, Issue 2, December 2001
[10] 간행물 Peromyscus eremicus
[11] MSW3
[12] 웹인용 National Park Service Website http://www.nps.gov/t[...]
[13] 논문 http://www.science.s[...] 2015-06-24
[14] 논문
[15] 웹인용 http://www.departmen[...] 2023-08-02
[16] 웹인용 Peromyscus eremicus cactus mouse https://animaldivers[...] Animal Diversity Web 2021-09-18
[17] 간행물 Journal of the Society Of Vector Ecologists, Volume 26, Issue 2, December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