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설란은 후한 시대의 인물로, 여포를 섬겼다. 흥평 원년에 연주별가로 조조에게 대항했으며, 이후 이건을 죽인 후 조조와의 전투에서 패하여 사망했다. 그의 아들 설영은 유비를 섬겼고, 손자 설제는 위나라에 항복하여 광록대부를 지냈다. 당나라 무장 설인귀는 설란의 후손이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여포의 부장으로 등장하며, 조조에게 죽임을 당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년 사망 - 번조
번조는 후한 말 동탁의 부하로 시작하여 이각, 곽사와 함께 조정을 장악했으나, 이각의 시기로 암살당한 무장이며, 삼국지연의에도 등장한다. - 195년 사망 - 이몽 (후한)
후한 말 동탁을 섬긴 무장 이몽은 반동탁 연합군 토벌에 가담하고 동탁 사후 이각, 곽사와 함께 장안을 공격하여 왕윤 정권을 무너뜨렸으나, 195년 무군중랑장 재직 중 이각에게 살해당했다. - 중국 삼국 시대 사람 - 위유
위유는 후한 말 유우의 동조연으로, 유우가 공손찬을 공격하려 할 때 만류했으며 이민족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정책을 건의했으나 193년에 병사한 인물이다. - 중국 삼국 시대 사람 - 위자 (삼국지)
위자는 후한 말 장막의 부장으로, 조조를 알아보고 동탁 토벌을 지원했으며, 서영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 전사한 사람 - 정지용
정지용은 충청북도 옥천 출생으로 모더니즘 문학을 선도했으며, 시문학 동인과 구인회 활동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중 행방불명되었다. - 전사한 사람 - 정기원 (1559년)
정기원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1585년 문과 급제 후 임진왜란 때 사은사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정유재란 남원성 전투에서 순절하여 예조판서에 추증되고 충렬사에 배향, 시호는 충의이며 저서로 《현산집》, 《현산실기》가 있다.
설란 | |
---|---|
인물 정보 | |
이름 | 설란 |
![]() | |
설명 | null |
왕조 | 후한 |
칭호/역직 | 연주 별가종사사 |
사망 | 흥평 2년 (195년) |
사망지 | 산양군 거야현 |
주군 | 여포 |
2. 생애
설란(? ~ 195년)은 후한 말의 인물로, 여포를 섬겼다. 동해상 설연(薛衍)의 아들이다.[2]
설란에게는 아들 설영(薛永)이 있었는데, 자는 무장(茂長)이다. 설영은 유비가 익주를 차지하였을 때 따라갔고, 촉군태수를 지냈다. 설영의 아들 설제(薛齊)는 자가 이보(夷甫)이며, 촉한에서 파군태수와 촉군태수를 역임하였다. 이후 촉이 멸망하자 5천 호를 이끌고 위에 투항하였고, 위에서 광록대부를 지냈다.[2]
당의 무장 설인귀는 설란의 15세손이다.[2]
2. 1. 여포 휘하에서의 활동
흥평(興平) 원년(194년), 여포가 장막과 함께 손잡고 조조로부터 연주 대부분을 빼앗는 데 성공했을 때, 설란은 여포 휘하의 연주별가(兗州別駕)였다.[2]이후 설란은 연주치중(兗州治中) 이봉과 함께 이건을 초빙하였으나, 이건은 이를 거절하였다. 이에 설란과 이봉은 이건을 죽였다.[1]
흥평 2년(195년) 여름, 설란은 이봉과 함께 거야에 주둔하였다. 설란 등은 이건의 아들 이정과 조카 이전을 이끌고 온 조조의 공격을 받았는데, 여포가 구원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결국 설란 등은 패하여 조조에게 죽임을 당하였다.[1]
2. 2. 조조와의 전투와 죽음
194년, 여포가 장막 등과 함께 조조로부터 연주 대부분을 빼앗는 데 성공했을 때, 설란은 연주별가(兗州別駕)였다.[2] 이후 설란은 연주치중(兗州治中) 이봉과 함께 승씨(乘氏)[1]의 명사 이건을 초빙하였으나, 이건은 이를 거절하였고, 이에 설란과 이봉은 이건을 죽였다.195년 여름, 설란은 이봉과 함께 거야(鉅野)[1] 에 주둔하였다. 설란 등은 이건의 아들 이정(李整)과 조카 이전을 이끌고 온 조조의 공격을 받았는데, 여포가 구원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결국 설란 등은 패하였고, 조조에게 죽임을 당하였다.[2]
3. 가계
4. 《삼국지연의》에서의 설란
여포의 부장으로 등장한다.
부하 병사들이 약탈을 하느라 성 밖으로 모두 나간 틈을 타 조조에게 공격받는다. 이에 적은 병력으로 맞서 싸우나 이봉이 격파당하고 퇴각하던 중, 조조의 부장 여건의 화살에 맞아 죽는다.[1] 삼국지연의에서도 여포 휘하의 무장으로 등장하며, 부하 병사들이 약탈을 위해 성 밖으로 나가버린 틈을 타 조조군에게 공격당하는 추태를 보인다. 어쩔 수 없이 소수의 병사로 맞이하지만, 허저에게 이봉이 죽고 도망치다 여건에게 활에 맞아 죽는다.[1]
요코야마 미쓰테루의 만화 『삼국지』에서는 이때 조조 휘하로 첫 출진한 허저에게 이봉과 함께 죽는 것으로 묘사된다.[1]
참조
[1]
문서
산양군(山陽郡)의 속현이다.
[2]
서적
《신당서(新唐書)》 권73하 표 제13 하 재상세계3 하 설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