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찬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찬경은 1930년 충청남도 예산군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영문학과를 졸업한 시인이다. 1956년 조지훈의 추천으로 등단하여 성균관대학교 영문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2013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1960년대 문학 동인 '사화집'에서 활동했고, 한국문학번역원은 그를 진정한 의미의 모더니스트 시인으로 평가했다. 문명의 인공물에서 자연을 찾으려 한 연작시 「나사」가 대표작이며, 시집으로 『화형둔주곡』, 『벌레소리송』, 『시간음』 등이 있다. 월탄문학상, 공초문학상, 한국시인협회상 등을 수상했으며, 아들인 성기완도 시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초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공초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보관문화훈장 수훈자 - 이순재
    이순재는 함경북도 회령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전직 국회의원으로, 1956년 연극으로 데뷔하여 60년 이상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고, 드라마 '거침없이 하이킥', 영화 '굿모닝 프레지던트' 등에 출연했으며 국회의원과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하고 예능 출연 및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 보관문화훈장 수훈자 - 송재호
    송재호는 1959년 데뷔하여 60년 이상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에 전성기를 누리며 다양한 작품에서 활약했고, 특히 영화 《영자의 전성시대》에서 아버지 역할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연기력과 공로를 인정받아 다수의 연기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김기진
    김기진은 팔봉이라는 호를 사용한 한국의 문학평론가, 소설가, 시인으로, KAPF에서 활동하며 경향파 문학 이론을 이끌었으나 친일 행적을 보였고 광복 후에는 반공주의 문인으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구상 (시인)
    구상(1919-2004)은 서울 출생으로 원산에서 성장하여 니혼 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 종군 기자, 언론 운동, 영남일보 편집장 등을 거쳐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시집 《초토의 시》 등을 발표했으며, 프랑스 문부성에서 세계 200대 시인으로 선정되었고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성찬경 - [인물]에 관한 문서
한국어 이름
한글성찬경
한자성찬경 (成贊慶)
로마자 표기Seong Changyeong
기타 로마자 표기Sŏng Ch'ankyŏng
기본 정보
출생일1930년 3월 21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충청남도 예산군
사망일2013년 2월 26일
직업시인
언어한국어
국적대한민국
학력 정보
학교서울대학교
경력
활동 기간1956년 - 2013년
데뷔1956년 『문학예술』에 "미열", "프리즘" 등을 발표하며 데뷔
작품 정보
장르
대표 작품반투명
수상
수상 내역알려진 바 없음 (정보 부족)

2. 생애

충청남도 예산군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영문과를 졸업했다. 1956년 조지훈의 추천으로 '문학예술'지를 통해 등단했으며,[8]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2013년 2월 26일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1930년 3월 1일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태어났으며, 서울대학교에서 영문학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1960년대 문학 동인 '사화집'의 일원(박희진, 박재삼, 박성룡, 이성교, 이창대, 강위석과 함께)으로 활동했으며, 시 낭송 동아리 '기옹간'에도 참여했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영문학 교수로 재직했다.

『60년대 시화집』의 동인으로 활동하며 「아무도 나를」, 「다빈치의 독백」, 「세 신의 할머니」 등의 작품을 발표하여 주목을 받았다. 영국의 현대 낭만주의 시인인 딜런 토머스(D. M. Thomas)를 연구하여 그에게서 시적 영감을 적지 않게 받았다. 형이상학파 시인의 영향도 엿보인다. 또한, 한국 현대시에 대한 평론도 썼다.

3. 작품 세계

성찬경은 진정한 의미의 모더니스트 시인이다. 그의 시는 은유를 많이 사용하며, 기술적인 형식과 내용 모두에서 모더니즘적인 실험정신을 보여준다.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 D.M. 토마스와 형이상학파 시인들의 영향을 받았다.[5]

1950년대와 1960년대 한국 시는 추상적인 주제와 아이디어를 다루는 경우가 많았는데, 성찬경의 시 역시 은유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나사」에서는 길 잃은 나사를 잃어버린 영혼, 혹은 '맥락에서 벗어난 단어'와 같이 어떤 질서와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문명의 유물에 대한 은유로 사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성찬경에게 있어 은유는 단순한 비교를 넘어 그의 시 세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이는 그의 시 「은유를 사랑한다」에도 잘 나타나 있다.[5]

성찬경의 시는 독특한 언어 표현 때문에 난해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이온', '전자', '오로라'와 같은 과학 용어를 과감하게 사용하고, 옛말, 영어 단어, 한자어를 섞어 쓰는 방식은 독자들에게 낯설지만 흥미롭게 다가오며, 독창성을 돋보이게 한다.[5]

성찬경의 대표작 중 하나인 연작시 「나사」는 문명의 인공물에서 자연을 찾으려는 시도로 평가받는다.[3] 그는 『60년대 시화집』의 동인으로 활동하며 「아무도 나를」, 「다빈치의 독백」, 「세 신의 할머니」 등의 작품을 발표하여 주목을 받았다. 딜런 토머스를 연구하며 시적 영감을 받았고, 형이상학파 시인의 영향도 엿보인다. 또한, 한국 현대시에 대한 평론도 발표했다.

4. 작품 목록

성찬경 시인은 시집으로 《화형둔주곡》(1966)[7], 《벌레소리송》(1970), 《시간음》(1982), 《영혼의 눈 육체의 눈》(1986), 《황홀한 초록빛》(1989), 《그리움의 끝을 찾아서》(1989), 《소나무를 기림》(1991), 《묵극》(1995), 《거리가 우주를 장난감으로 만든다》(2006)를 발표했다.

4. 1. 시집


  • 화형둔주곡|火刑遁走曲한국어 (1966) [7]
  • 벌레소리송|虫の鳴き声の頌한국어 (1970)
  • 시간음|時間の吟한국어 (1982)
  • 영혼의 눈 육체의 눈|魂の目、肉体の目한국어 (1986)
  • 황홀한 초록빛|恍惚な緑色한국어 (1989)
  • 그리움의 끝을 찾아서|懐かしさの果てを求めて한국어 (1989)
  • 소나무를 기림|松ノ木を称する한국어 (1991)
  • 묵극|黙劇한국어 (1995)
  • 거리가 우주를 장난감으로 만든다|距離が宇宙をおもちゃにしてしまう한국어 (2006)

4. 2. 번역

Transparency : Selected Poems of Ch'an-kyung Sung|트랜스페어런시 : 셀렉티드 포엠즈 오브 찬경 성영어 (김원중한국어, Christopher Merrill|크리스토퍼 메릴영어 공역, Homa & Sekey Books, 2010.)

5. 수상 경력

연도상 이름작품
1979년한국시인협회상나사
1985년현대시학상반투명
1991년빛의 문학상(수상 작품 없음)
(연도 미상)월탄문학상(수상 작품 없음)
(연도 미상)공초문학상(수상 작품 없음)


6. 가족

참조

[1] 웹사이트 "Sung Chan-geyong"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2] 웹사이트 In Memoriam: Township Office http://m.bongan.com/[...] Bongan 2013-12-09
[3]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4] 웹사이트 "Sung Chan-kyeong"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5] 웹사이트 "Sung Chan-kyeong"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6] 웹사이트 NAVER
[7] 웹사이트 韓国現代文学大辞典 http://terms.naver.c[...]
[8] 뉴스 예술원 회원 성찬경 시인 별세(종합)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