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 요한 찬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 요한 찬가는 세례자 요한을 기리는 라틴어 찬가로, 'Ut queant laxis'로 시작하는 가사가 특징이다. 이 찬가는 파울루스 디아코누스의 작품으로 여겨지며, 13세기에 야코부스 데 보라기네의 『황금전설』에 그 유래가 기록되어 있다. 이 찬가의 각 구절의 첫 음절을 따서 계이름 '도레미파솔라'를 만들었으며, 귀도 다레초가 음계를 가르치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로마 전례에서는 세례자 요한 탄생 축일에 불리며, 저녁, 새벽, 아침 기도에 각각 다른 부분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찬가 - 영광송
    영광송은 기독교에서 삼위일체를 기리는 찬양으로,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예배 의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글로리아 파트리와 개신교 찬송가, 성찬례나 주기도에 덧붙여지는 형태 등 교파별로 고유하게 사용된다.
  • 기독교의 찬가 - 어메이징 그레이스
    어메이징 그레이스는 존 뉴턴이 작사하고 작곡가는 불명인 찬송가로, 죄에서 구원받은 감격, 과거 회한, 신의 사랑에 대한 감사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설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성 요한 찬가
성 요한 찬가
다른 이름Hymnus in Ioannem (라틴어)
종류기독교 찬가
언어라틴어
주제세례자 요한
구성
작사파울루스 디아코누스 추정
그레고리오 성가 곡조
가사 (라틴어)
1절Ut queant laxis resonare fibris mira gestorum famuli tuorum, solve polluti labii reatum, Sancte Iohannes.
2절Nuntius celso veniens Olympo te patri magnum fore nasciturum, nomen et vitae seriem gerendum, edocet omnem.
3절Ille promissi dubius superni, perdidit promptae modulos loquelae, sed tuo tactu resolvitur mox, ut preces pangat.
4절Ventris obstruso recubans cubili, senseras Regem thalami parentis, hunc propheta iam puer inclutus, indicabas mundo.
5절Fluminis sacri lavacra tingens, criminum sordes pariter gementum, emicat lotusлец corpus e fonte, protinus purgans.
6절Gloria Patri, Dominoque Nato, Spiritui Sancto simul canamus, omne qui trino simul et supremo, numine constans.
가사 (한국어 번역)
1절당신의 종들의 놀라운 행동을 느슨해진 목소리로 드높이 울려 퍼지게 하소서. 오, 성 요한이여, 더러워진 입술의 죄를 깨끗이 씻어주소서.
2절하늘 높은 곳에서 온 천사가 그대가 아버지에게 큰 기쁨이 될 존재로 태어날 것이며, 그 이름과 삶의 여정을 갖게 될 것이라고 알려줍니다.
3절그는 하늘의 약속을 의심하다가 즉시 말하는 능력을 잃었지만, 그대의 손길에 닿자 곧 풀려나 기도를 드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4절닫힌 태반 속에 누워 있으면서, 그대는 부모의 침상에 계신 임금님을 느꼈고, 예언자로서 이미 어린아이였지만 세상에 그분을 드러내 보였습니다.
5절거룩한 강물의 세례로 죄악의 더러움을 씻어내니, 정화된 육신이 샘에서 빛을 내며 곧바로 깨끗해집니다.
6절성부와 주님이신 성자, 그리고 성령께 함께 찬양하세. 삼위일체이시며 지고하신 권능으로 영원히 존재하시는 분께.
추가 정보
설명"Ut queant laxis"는 세례자 요한을 기리는 라틴어 찬가이다. 이 찬가는 그레고리오 성가 곡조로 불리며, 중세 시대 음악 이론가인 귀도 다레초가 계이름 체계를 만드는 데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2. 가사와 계이름



'''성 요한 찬가'''의 1절 가사는 다음과 같다.

이는 '당신의 종이 당신의 업적의 훌륭함을 목소리로 편안히 함께 노래할 수 있도록 우리 입술의 때를 씻어 주소서, 성 요한이여.'라는 의미로 번역된다.

이 노래의 처음 여섯 행의 첫 음절을 따면 C-D-E-F-G-A에 해당하는 헥사코드 음계가 만들어지는데, 이 음절들(Ut-Re-Mi-Fa-Sol-La)이 계이름의 기원이 되었다. 귀도 다레초가 이 찬가를 바탕으로 계이름을 처음 고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이 찬가는 고전적인 운율을 사용한다. 즉, 세 개의 사피 11음절과 하나의 아도니오스(2보격의 일종)로 구성된 사포 운문이다.

이 성가는 음계의 연속적인 음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인해 노래를 가르치는 데 유용하다. 각 의 처음 여섯 개의 악구는 순차적으로 더 높은 육음음계의 음에서 시작하여 ''ut–re–mi–fa–so–la''를 제공한다. 하지만 현대의 계이름에서는 ''ut''가 ''do''로 대체되었다.

2. 1. 한국어 번역

Ut queant laxis|웃 퀜안트 락시스la

Resonare fibris|레소나레 피브리스la

Mira gestorum|미라 제스토룸la

Famuli tuorum|파물리 투오룸la

Solve polluti|솔베 폴루티la

Labii reatum|라비 레아툼la

Sancte Iohannes|상테 요한네스la

(대략적인 의미)

: 당신의 종들이

: 소리를 높여

: 당신의 행적의 기적을

: 울려 퍼지게 할 수 있도록

: 우리의 더러운 입술에서

: 죄를 씻어 주소서

: 성 요한이시여.

2. 2. 계이름의 변천

조반니 바티스타 도니는 'Ut'이 닫힌 발음이라 하여 'Do'로 바꿨다.[5] 'Ut'는 여전히 C 음자리표의 이름을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일곱 번째 음은 중세 육음음계의 일부가 아니었고 원래 "Sancte Iohannes"(요한)에서 따온 "si"라고 불렸다.[2] 19세기에 영국의 음악 교사인 사라 글로버는 모든 음절이 초성 문자로 표기될 수 있도록 "si"를 "ti"로 이름을 바꿨으나, 고정 도법을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채택되지 않았다. 로망스어에서는 "si"가 B와 B 플랫 모두에 사용되므로, 샤프 "sol"에는 별도의 음절이 필요하지 않다.

3. 구조

이 찬가는 고전적인 운율을 사용한다. 즉, 세 개의 사피 11음절과 하나의 아도니오스(2보격의 일종)로 구성된 사포 운문이다.

이 성가는 음계의 연속적인 음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인해 노래를 가르치는 데 유용하다. 각 의 처음 여섯 개의 악구는 순차적으로 더 높은 육음음계의 음에서 시작하여 ''ut–re–mi–fa–so–la''를 제공한다. 하지만 현대의 계이름에서는 ''ut''가 ''do''로 대체되었다.[5] 각 반구절 (절의 반줄)의 첫 음절로 육음음계의 음을 명명하는 것은 보통 구이도 다레초의 공으로 돌려진다. 11세기에 활동했던 구이도는 현대 악보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그는 음자리표(C & F 음자리표)를 사용했고 ''ut-re-mi-fa-sol-la'' 표기법을 발명했다. 이 찬가는 마지막 구절인 ''Sancte Iohannes''가 상승 패턴을 깨기 때문에 일곱 번째 음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일곱 번째 음에 해당하는 음절인 ''si''는 18세기에 추가되었다.[2]

제1절부터 제6절까지 각 절의 첫 음은 각각 C - D - E - F - G - A이다. 귀도 다레초는 이 가사의 첫 글자를 계명으로 사용하고자 하였고, 제1절부터 제6절까지의 가사를 이용하여 "Ut - Re - Mi - Fa - Sol - La"의 계명을 발명했다. 이 성가의 선율은 음계를 외우기 쉽도록 귀도가 작곡했다는 설도 있다.

음이름은 7개인데 비해 계명은 6개밖에 없었기 때문에, 음역에 따라 바꿔 읽을 필요가 있었지만, 후에 "Si"가 추가되었다. 또한, "Ut"는 발음하기 쉬운 "Do"로 바뀌었다. 이로 인해 현재의 계명 "도레미파솔라시"가 성립되었다.

4. 유래

이 라틴어 기도문은 원래 파울루스 디아코누스(부제 파울루스, 720년경~799년)의 작품으로 여겨진다.[4] 13세기에 쓰여진 야코부스 데 보라기네의 『황금전설』 제81장 "세례자 성 요한의 탄생"에는 이 기도문의 유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쓰여 있다.

> 랑고바르드족의 역사가이자 로마 교회의 부제, 몬테카시노의 수도사였던 파울루스는 어느 날 촛불을 축성하게 되었는데, 평소에는 꽤 노래를 잘 불렀지만 갑자기 목이 쉬어 소리가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목소리가 다시 나오게 해달라고 바라며, 성 요한을 위해 "오, 당신의 종들이 당신의 행적을 찬양하는 기쁨의 소리를 높일 수 있도록"이라는 찬가를 지었다. 이 첫 구절은 과거 자카리아에게 목소리가 돌아왔던 것처럼, 나에게도 목소리를 돌려달라는 파울루스의 기도이다. (전다경작, 야마구치 유 역의 인문서원판 제2권 p.324)

귀도 다레초는 이 기도문이 성가를 부르는 수도사 교육에 적합하다고 생각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5. 전례에서의 사용

로마 전례에서 이 찬가는 성무일도의 6월 24일 세례자 요한 탄생 축일 때 불린다. 전체 찬가는 3부분으로 나뉘어, "Ut queant laxis"는 저녁 기도에, "Antra deserti"는 새벽 기도에, "O nimis felix"는 아침 기도에 불리며, 첫 두 부분 뒤에는 영광송이 추가된다.

참조

[1] 서적 Music in the Odes of Horace Aris & Phillips, Oxford 2010
[2] 웹사이트 Ut queant laxis http://www.larousse.[...]
[3] 문서 This manuscript H425 is held in Bibliothèque de l'école de Médecine, Montpellier.
[4] 서적 Feasts and Saints 1981
[5] 간행물 The History and Uses of the Sol-fa Syllables https://books.google[...] Novello, Ewer and Co. 18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