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노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노라는 오만족 출신으로, 몽사 또는 몽사조를 건국한 인물이다. 본래 이름은 용독라였으나, 아버지 사룡이 살해당한 후 몽사천으로 도망쳐 세노라로 개명했다. 당나라 장락진의 사위가 된 것을 기반으로 세력을 키워 백국을 합병하고 649년 웨이샨 일대를 통일했다. 이후 칭왕하여 대몽국을 건국하고 당나라와 친선 관계를 맺었으며, 674년에 사망하고 아들 라성염이 왕위를 계승했다. 전설에 따르면 세노라는 원래 농부였으나 관음보살의 선택으로 몽사의 수령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74년 사망 - 홍인
    홍인은 중국 선종의 제5대 조사로, 동산법문을 창시하여 중국 선종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고, 신수와 혜능을 제자로 두었으며, 수심요론을 통해 가르침을 전한다.
  • 674년 사망 - 왕발
    당나라 초기의 시인이자 문장가인 왕발은 초당사걸 중 한 명으로, 어린 시절 신동으로 이름을 날렸으나 정치적 이유로 출사가 금지되었고, 〈등왕각서〉와 〈송두소부지임촉주〉 등의 작품을 통해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았다.
  • 남조의 군주 - 소보인
    소보인은 남제 황족으로 태어나 북위로 망명하여 왕에 봉해졌으나 반란을 일으켜 황제를 칭했다가 실패하고 북위에 의해 처형된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 남조의 군주 - 성라피
    당나라 시기 남조의 제3대 왕인 성라피는 712년 왕위에 올라 당나라와 관계를 맺었지만 마찰을 빚기도 했으며, 왕희지를 숭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7세기 중국 사람 - 당 태종
    당 태종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관의 치로 불리는 치세를 통해 당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균전제 등 제도를 정비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함께 받는 인물이다.
  • 7세기 중국 사람 - 현장
    현장은 당나라의 승려이자 불경 번역가, 여행가로서, 17년간 인도를 여행하며 불경을 가져와 중국어로 번역하여 동아시아 불교 사상 발전에 기여했고, 그의 여행기는 『대당서역기』로 남아 소설 『서유기』의 모티브가 되었다.
세노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래 이름大蒙 高祖 奇嘉王
세노라(細奴羅)
묘호고조(高祖)
시호기가왕(奇嘉王)
종교불교
출생일미상
출생지몽사
사망일674년
목록
목록몽사 국왕
재위653년 ~ 674년
후임자라성염

2. 생애

세노라는 오만족(烏蠻族) 출신 사룡(舍龍)의 아들로, 원래 이름은 용독라(龍独邏)였다. 몽사 건립 전, 사룡뇌산(牢山)에서 살해당하자 몽사천(蒙舍川)으로 도망쳐 '세노라'로 개명했다. 당나라 수령대장군 장낙진(張樂進)의 사위가 된 후, 몽사를 일으켜 10년간 힘을 키웠다. 649년, 백국(白國)을 합병하고 웨이샨(巍山) 일대를 통일, 어농산(於巄山)에 수도를 정하고 농우성(巄屽城)을 쌓아 대몽국(大蒙國)을 건국하였다. 674년 사망 후 아들 라성염이 왕위를 이었다.[1]

2. 1. 초기 생애

세노라는 오만족(烏蠻族) 출신 사룡(舍龍)의 아들이다. 몽사 또는 몽사조가 건립되기 전, 사룡뇌산(牢山)에서 살해당하자 적을 피해 몽사천(蒙舍川)으로 도망쳤다. 그 후, 자신의 이름을 '세노라'라고 고쳤다. 원래 이름은 용독라(龍独邏)였다. 그러다가 당나라의 수령대장군 장낙진(張樂進)의 눈에 들어 사위가 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세노라는 몽사 혹은 몽사조를 일으키고 10년간 힘을 키웠다.[1]

2. 2. 대몽국 건국

세노라는 오만족(烏蠻族) 출신 사룡(舍龍)의 아들이다. 몽사 또는 몽사조가 건립되기 전, 사룡뇌산(牢山)에서 살해당하자 적을 피해 몽사천(蒙舍川)으로 도망쳤다. 그 후, 자신의 이름을 '세노라'라고 고쳤다. 원래 이름은 용독라(龍独邏)였다. 그러다가 당나라의 수령대장군 장낙진(張樂進)의 눈에 들어 사위가 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세노라는 몽사 혹은 몽사조를 일으키고 10년간 힘을 키웠다. 축적된 힘을 바탕으로 백국(白國)을 합병해 마침내 649년, 웨이샨(巍山)일대를 통일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어농산(於巄山)에 수도를 두어 그곳에 농우성(巄屽城)을 쌓으니 자신감을 얻은 세노라는 칭왕해 국명을 대몽국(大蒙國)이라 하고 나라를 건국하였다.

2. 3. 통치와 사망

세노라는 오만족(烏蠻族) 출신 사룡(舍龍)의 아들이다. 몽사 건립 전, 사룡뇌산(牢山)에서 살해당하자 적을 피해 몽사천(蒙舍川)으로 도망쳤다. 그 후, 자신의 이름을 '세노라'라고 고쳤다. 원래 이름은 용독라(龍独邏)였다. 그러다가 당나라의 수령대장군 장낙진(張樂進)의 눈에 들어 사위가 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세노라는 몽사를 일으키고 10년간 힘을 키웠다. 축적된 힘을 바탕으로 백국(白國)을 합병해 649년, 웨이샨(巍山)일대를 통일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어농산(於巄山)에 수도를 두어 그곳에 농우성(巄屽城)을 쌓으니 자신감을 얻은 세노라는 칭왕해 국명을 대몽국(大蒙國)이라 하고 나라를 건국하였다.[1]

674년, 서거하고 아들인 라성염이 왕위에 올랐다.[1]

3. 전설

전설에 따르면, 세노라는 원래 작은 마을의 농부였다. 하지만 관음의 선택으로 649년, 농부에서 몽사의 부족 연맹의 수령이 되었다.[5]

4. 업적

세노라는 653년 대몽국을 건국하고 당나라와 수교하는 등 친당 정책을 폈으며, 당 고종은 그를 외주(巍州) 자사(刺史)로 봉하였다.[4]

4. 1. 대몽국 건국과 친당 정책

653년, 대몽국을 세워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그 후, 당나라와 수교하는 등 친당 정책을 폈다. 당 고종은 세노라를 외주(巍州) 자사(刺史)로 봉하기도 하였다.[4]

4. 2. 당나라와의 관계

653년, 대몽국을 세워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그 후, 당나라와 수교하는 등 친당 정책을 폈다. 당 고종은 세노라를 외주(巍州) 자사(刺史)로 봉하기도 하였다.[4]

참조

[1] 웹사이트 滇南古彝文在线字词典 http://www.yixueyanj[...]
[2] 문서
[3] 웹인용 다음블로그 '태초의 태국정보'에서 인용 https://web.archive.[...] 2010-06-16
[4] 두산백과 두산백과에서 인용 http://www.encyber.c[...]
[5] 서적 서적 '대륙의 찬란한 기억'의 124쪽 http://book.daum.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