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누스레트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누스레트 1세는 이집트 제12왕조의 파라오로, 아메넴헤트 1세의 아들이자 공동 통치자였다. 그는 아버지의 치세 20년부터 공동 통치를 시작하여 리비아인과의 전투 중 아메넴헤트 1세가 암살당하자 쿠데타를 진압하고 파라오가 되었다. 세누스레트 1세의 치세는 이집트 문학과 건축 문화의 최절정기였으며, 누비아로의 군사 원정을 통해 영토를 확장하고 오아시스 지대에서 광산과 채석장을 확보했다. 그는 헬리오폴리스에 오벨리스크를 세우고 카르나크에 백색 예배당을 건설하는 등 다양한 건축 사업을 시행했으며, 아들 아메넴헤트 2세를 공동 통치자로 지명하고 45년간 통치한 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제12왕조 - 아메넴헤트 1세
아메넴헤트 1세는 이집트 제12왕조의 창건자이자 초대 파라오로, 왕위 찬탈 의혹 속에서 즉위 후 반대 세력 진압, 수도 건설, 중앙집권화 개혁을 추진했으며, 공동 통치 시스템 도입으로 왕위 계승 안정화를 꾀했으나 암살당했다. - 기원전 20세기 사망 - 멘투호테프 4세
멘투호테프 4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였으며, 혼란스러운 시기에 통치했고, 재상 아메넴하트가 홍해 원정을 지휘했으며, 아메넴하트 1세가 왕위를 찬탈하여 제12왕조를 시작했다는 추측이 존재한다. - 기원전 20세기 출생 - 궁구눔
궁구눔은 기원전 1932년에 라르사의 왕이 되어 바시메, 안샨을 공격하고 우르를 정복하여 세력을 확장하고 이난나 신전, 루갈키두나 신전을 건설하는 등 라르사의 통치를 안정화하고 말기움과의 전투에서 승리했다.
세누스레트 1세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세소스트리스, 세손코시스 |
이름 (탄생명) (히에로글리프) | |
이름 (탄생명) (로마자 표기) | S(j)-n-Wsrt |
이름 (탄생명) (번역) | 워세트의 사람 |
즉위명 (히에로글리프) | |
즉위명 (로마자 표기) | Ḫpr-k3-Rˁ |
즉위명 (번역) | 라의 카가 창조됨 |
호루스명 (히에로글리프) | |
호루스명 (로마자 표기) | ˁnḫ-msw.t |
호루스명 (번역) | 탄생의 삶 |
황금 호루스명 (히에로글리프) | |
황금 호루스명 (로마자 표기) | ˁnḫ-msw.t |
황금 호루스명 (번역) | 탄생의 삶 |
네브티명 (히에로글리프) | |
네브티명 (로마자 표기) | ˁnḫ-msw.t |
네브티명 (번역) | 탄생의 삶 |
토리노 목록 | [...]카 …k3 |
통치 기간 | |
기간 | 45년 (토리노 왕 목록), 기원전 1971년 – 기원전 1926년 (기원전 1920년 – 기원전 1875년) |
이전 통치자 | 아멘엠하트 1세 |
다음 통치자 | 아멘엠하트 2세 |
왕조 | 이집트 제12왕조 |
개인 정보 | |
아버지 | 아멘엠하트 1세 |
어머니 | 네페리타텐엔 |
배우자 | 네페루 3세 |
자녀 | 아멘엠하트 2세, 아멘엠하트-앙크, 이타카이트, 세바트, 네페루소베크, 네페루프타 |
사망 | 기원전 1926년 (기원전 1875년) |
매장지 | 엘-리쉬트의 피라미드 |
업적 | |
기념물 | 흰색 예배당, 세누스레트 1세의 피라미드 |
2. 생애
세누스레트 1세는 아메넴헤트 1세의 아들로, 아메넴헤트 1세의 재위 20년부터 공동 통치자가 되었다. 《시누헤 이야기》에 따르면, 세누스레트가 리비아인과 전투를 벌이던 재위 30년, 아메넴헤트는 살해당했다. 이에 그는 수도로 돌아가 쿠데타를 진압하고 파라오가 되었다.[1]
세누스레트 1세의 시기는 아메넴헤트 1세 시기와 더불어 이집트 문학과 건축 문화가 최절정에 달한 시기이다. 국토 전역에 걸쳐 금광과 채석장이 개발되었고, 알렉산드리아에서 아스완에 이르기까지 수십 곳에 건설 유적이 남아 있다.[1] 특히 재위 30년 왕위 갱신제 때 헬리오폴리스에 20m에 달하는 오벨리스크를 두 개 세웠는데, 그 중 하나는 지금까지 전해 내려온다. 문학적인 측면에서도 세누스레트를 소재로 한 《시누헤 이야기》와 《아메넴헤트의 가르침》 두 편이 지금까지 전해 내려온다.[1]
그는 선왕과 마찬가지로 죽기 전에 아들 아메넴헤트 2세를 공동 통치자로 지명하였다. 그리고 죽기 전에 선왕의 피라미드 남쪽에 자신의 피라미드를 건설했으나, 지하수 침수로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는 없다.[1]
즉위 후에는 아버지 왕이 내세운 개혁 노선을 이어받아, 지속적으로 새로운 국가 체제를 더욱 굳건하게 만들었다. 공동 통치 시대부터 맡아 온 군사 정책도 지속하여, 누비아의 제2 급류 부근까지 진출하여, 주변에 적어도 13개의 요새를 건설했다. 항구적인 군의 주둔지가 건설됨으로써, 본국에서 원정 부대를 파견할 필요가 없어졌고, 일대를 이집트의 영토로 항구적으로 지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 나일강 서쪽 사막의 오아시스 지대로 진출하여, 일련의 원정으로 다수의 광산과 채석장이 확보되었고, 그곳의 지배를 굳혔다. 이렇게 채굴된 자원을 바탕으로, 이집트 전역에서 다수의 건축 사업이 행해졌으며, 그중에서도 치세 30년째에 건설된 오벨리스크는, 세워진 채로 현존하는 것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1]
세누스레트 1세 치세 42년째에 아들 아메넴헤트 2세가 공동 통치자로 임명되었고, 아버지 왕의 사망 후에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 세누스레트 1세의 유해는 아멘엠하트 1세와 마찬가지로, 알 리슈트에 있는 묘소에 매장되었다.[1]
2. 1. 가족
세누스레트 1세는 아메넴헤트 1세의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네페리타테넨이라는 왕비였다. 그의 주요 왕비는 네페루 3세였는데, 그녀는 또한 세누스레트 1세의 누이이자 그의 후계자 아메넴헤트 2세의 어머니였다. 알려진 자녀로는 아메넴헤트 2세와 공주 이타카이트, 그리고 세바트가 있다. 세바트는 네페루 3세와 함께 한 비문에 등장하므로, 네페루 3세의 딸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1]3. 통치 업적
아메넴헤트 1세의 아들로, 아메넴헤트 1세의 재위 20년부터 공동 통치자가 되었다. 《시누헤 이야기》에 따르면, 세누스레트가 리비아인과 전투를 벌이던 재위 30년, 아메넴헤트는 살해당했다. 이에 그는 수도로 돌아가 쿠데타를 진압하고 파라오가 되었다.[9]
세누스레트 1세의 시기는 아메넴헤트 1세 시기와 더불어 이집트 문학과 건축 문화가 최절정에 달한 시기이다. 국토 전역에 걸쳐 금광과 채석장이 개발되었고, 알렉산드리아에서 아스완에 이르기까지 수십 곳에 건설 유적이 남아 있다. 그는 재위 30년 왕위 갱신제 때 헬리오폴리스에 20m 높이의 오벨리스크 두 개를 세웠는데, 그 중 하나는 현재까지 남아있다. 문학적인 측면에서도 세누스레트를 소재로 한 《시누헤 이야기》와 《아메넴헤트의 가르침》 두 편이 지금까지 전해 내려온다.
그는 선왕과 마찬가지로 죽기 전에 아들 아메넴헤트 2세를 공동 통치자로 지명하였다. 또한 선왕의 피라미드 남쪽에 자신의 피라미드를 건설했으나, 지하수 침수로 내부를 확인할 수는 없다. 왕의 피라미드 곁에는 아메넴헤트 2세의 어머니이자 제1왕비인 네프루의 피라미드가 있다.[9]
아버지 아메넴헤트 1세 치세 20년째에 공동 통치자로서 즉위하여, 국경선 유지나 대외 원정 등 주로 군사를 담당했다. 아메넴헤트 1세가 수도 이치타우이에서 암살당했을 때, 세누스레트 1세는 서방 사막으로 원정을 나가 있었으나, 수도의 정변을 알고 적은 병력을 이끌고 한 발 앞서 수도로 귀환하여 궁정의 혼란을 재빨리 수습하고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 그 후 장례를 치르고 알 리슈트에 세워진 묘소에 아버지를 매장했다.[9]
즉위 후에는 아버지의 개혁 노선을 이어받아 국가 체제를 굳건하게 만들었으며, 공동 통치 시대부터 맡아 온 군사 정책도 지속하였다. 세누스레트 1세 치세 42년째에 아들 아메넴헤트 2세가 공동 통치자로 임명되었고, 아버지 왕의 사망 후에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 세누스레트 1세의 유해는 아메넴헤트 1세와 마찬가지로, 알 리슈트에 있는 묘소에 매장되었다.[9]
3. 1. 군사 원정
세누스레트 1세는 통치 18년째에 하(下) 누비아를 상대로 군사 원정을 시작하여 제2 카타락트까지 정복했다. 이 원정의 날짜는 부헨의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6] 오릭스 주의 총독인 아멘엠하트는 "군대 감독관"이라는 칭호를 가지고 이 군사 원정에 참여했다.[7]아멘엠하트 1세 치세 20년째에 공동 통치자로서 즉위한 세누스레트 1세는 아버지 생전에 국경선 유지나 대외 원정 등 주로 군사를 담당했다. 즉위 후에는 아버지의 개혁 노선을 이어받아 국가 체제를 굳건하게 만들었으며, 공동 통치 시대부터 맡아 온 군사 정책도 지속했다. 누비아의 제2 급류 부근까지 진출하여 13개의 요새를 건설하고, 항구적인 군 주둔지를 마련하여 이집트의 영토 지배를 공고히 했다. 또한, 나일강 서쪽 사막의 오아시스 지대로 진출, 원정을 통해 다수의 광산과 채석장을 확보하고 그곳의 지배를 굳혔다.
3. 2. 건축 사업
세누스레트 1세는 이집트 전역에 걸쳐 활발한 건축 사업을 벌였다. 알렉산드리아에서 아스완에 이르기까지 수십 곳에 건설 유적이 남아 있을 정도이다. 특히 재위 30년 왕위 갱신제 때 헬리오폴리스에 20m 높이의 오벨리스크 두 개를 세웠는데, 그 중 하나는 현재까지 남아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오벨리스크로 알려져 있다.[9] 이 오벨리스크는 현재 아인 샴스(헬리오폴리스) 근처 알-마타리야 구역의 알-마살라(아랍어로 오벨리스크) 지역에 있으며, 무게는 120ton이다.thumb
세누스레트 1세는 콥토스의 민 신전, 엘레판티네의 사테트 신전, 아르만트의 몬투 신전, 엘-토드의 몬투 신전 등 고대 이집트의 여러 주요 사원을 건설했다.[9] 엘-토드의 몬투 신전에는 그의 긴 비문이 보존되어 있다.
또한, 카르나크에는 그의 30주년 희년을 기념하기 위해 훌륭하고 고품질의 부조가 새겨진 신사인 백색 예배당(희년 예배당으로도 알려짐)이 건설되었다. 이 예배당은 1926년 앙리 슈브리에가 발견한 다양한 석재 블록으로 성공적으로 재건되었다. 그는 아비도스의 켄티-아멘티우 오시리스 신전을 개조하기도 했다.
세누스레트 1세는 재위 기간 동안 시나이 반도와 와디 함마마트로 여러 채석 탐험대를 파견하여 건축 자원을 확보했다. 이러한 자원을 바탕으로 이집트와 누비아 전역에 수많은 신전과 사원을 건설할 수 있었다. 그는 태양 숭배의 중심지였던 헬리오폴리스의 레-아툼 신전을 재건하기도 했다.
3. 3. 왕실과 관료
재상 인테피케르는 세누스레트 1세 치세 초기의 인물로, 많은 비문과 아메넴헤트 1세의 피라미드 옆에 있는 그의 무덤을 통해 알려져 있다. 그는 오랫동안 재상 직책을 맡았으며, 이후 세누스레트가 재상으로 임명되었다.세누스레트 1세 시대에는 두 명의 재무관이 알려져 있는데, 소베크호테프(22년차)와 멘투호테프이다. 멘투호테프는 왕의 피라미드 옆에 거대한 무덤을 가지고 있었으며, 카르나크의 아문 신전의 주요 건축가였던 것으로 보인다.
몇몇 '수석 집사'들도 알려져 있다. 호르는 여러 석비와 와디 엘 후디의 비문을 통해 알려졌는데, 그는 자수정 탐험대의 지도자였다. 석비 중 하나는 왕의 9년차에 제작되었다. 나크르는 왕의 12년차 즈음에 호르의 뒤를 이었으며, 리슈트에 무덤을 가지고 있었다. 자타문이라는 여성의 아들인 안테프는 여러 석비에서 알려졌는데, 하나는 세누스레트 1세의 24년차, 다른 하나는 25년차에 제작되었다. 또 다른 안테프는 자투세르라는 여성의 아들이었으며, 왕의 치세에서 역시 '수석 집사'였을 가능성이 높다.[1]
4. 후계
세누스레트 1세는 아버지 아메넴헤트 1세의 재위 20년에 공동 섭정으로 즉위했다.[11] 그는 말년에 아들 아메넴헤트 2세를 공동 섭정으로 임명했다. 웨프와웨토의 비석에는 세누스레트의 44년과 아메넴헤트의 2년에 해당하는 기록이 있는데, 이를 통해 세누스레트 1세가 43년에 아들을 공동 섭정으로 임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2] 토리노 파피루스에 따르면 그의 재위 기간은 45년으로, 재위 46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3]
세누스레트 1세 치세 42년째에 아들 아메넴헤트 2세가 공동 통치자로 임명되었고, 아버지의 사망 후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 세누스레트 1세의 유해는 아메넴헤트 1세와 마찬가지로 알 리슈트에 있는 묘소에 매장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Middle Kingdom of Ancient Egypt: History, Archaeology and Society
Duckworth
2006
[2]
서적
Ancient Egyptian chronology
Brill
2006
[3]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ames & Hudson Ltd
1994
[4]
서적
The Art of Ancient Egypt
[5]
웹사이트
Senusret I
http://www.touregypt[...]
[6]
간행물
Sesostris II
Harrassowitz
1984
[7]
서적
Beni Hasan (volume 1)
https://digi.ub.uni-[...]
1893
[8]
서적
The People of the Cobra Province in Egypt
Oxbow Books
2020
[9]
서적
The Middle Kingdom of Ancient Egypt: History
[10]
서적
Court officials of the Middle Kingdom
2009
[11]
간행물
Ancient Egyptian Coregencies, Studies in Ancient Oriental Civilization. No. 40.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1977
[12]
간행물
Ancient Egyptian Coregencies, Studies in Ancient Oriental Civilization. No. 40.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1977
[13]
간행물
Ancient Egyptian Coregencies, Studies in Ancient Oriental Civilization. No. 40.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1977
[14]
서적
クレイトン 1998
[15]
서적
クレイトン 1998
[16]
서적
クレイトン 1998
[17]
서적
クレイトン 1998
[18]
서적
クレイトン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