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 농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 농구 국가대표팀은 1960년 로마 올림픽 이후 국제 대회에 꾸준히 참가하며, 유고슬라비아 시대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대를 거쳐 현재 세르비아로 이어지는 농구 강호이다.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금메달, 1970년 세계선수권 우승 등 5번의 세계선수권 우승을 차지했으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대에도 1995년, 1997년, 2001년 유로바스켓 우승, 2002년 세계선수권 우승을 달성했다. 세르비아는 유로바스켓에서 여러 차례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2014년 FIBA 농구 월드컵과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대표팀 선수로는 니콜라 요키치,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농구 국가대표팀 - 그리스 농구 국가대표팀
그리스 농구 국가대표팀은 1935년 FIBA에 가입하여 1987년 유로바스켓 우승으로 국제적 주목을 받았고, 2005년 유로바스켓 우승, 2006년 FIBA 농구 월드컵 준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니코스 갈리스, 파나기오티스 야나키스 같은 전설적인 선수를 배출하며 유럽 농구계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 유럽의 농구 국가대표팀 - 영국 농구 국가대표팀
영국 농구 국가대표팀은 1948년 런던 올림픽에서 처음 구성되었고, 2012년 런던 올림픽을 계기로 2005년 통일 영국 대표팀이 결성되어 2006년부터 국제 대회에 출전하기 시작했지만, 재정적 어려움과 주축 선수들의 부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농구 국가대표팀 - 이집트 농구 국가대표팀
이집트 농구 국가대표팀은 이집트를 대표하여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아프리카 농구 선수권 대회에서 4번 우승하고 올림픽과 FIBA 농구 월드컵에 여러 차례 출전한 팀이다. - 농구 국가대표팀 - 그리스 농구 국가대표팀
그리스 농구 국가대표팀은 1935년 FIBA에 가입하여 1987년 유로바스켓 우승으로 국제적 주목을 받았고, 2005년 유로바스켓 우승, 2006년 FIBA 농구 월드컵 준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니코스 갈리스, 파나기오티스 야나키스 같은 전설적인 선수를 배출하며 유럽 농구계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세르비아 농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Орлови, Оrlovi (독수리)' |
국가 연맹 | KSS |
FIBA 가입 년도 | 1936년 |
FIBA 존 | FIBA 유럽 |
코칭 스태프 | |
감독 | 스베티슬라브 페시치 |
올림픽 | |
출전 횟수 | 5회 |
메달 | [[파일:Silver medal.svg|}|alt=}|link=}|Silver medal – Olympics]] 은메달: (1996, 2016) [[파일:Bronze medal.svg|}|alt=}|link=}|Bronze medal – Olympics]] 동메달: (2024) |
월드컵 (FIBA 농구 월드컵) | |
출전 횟수 | 7회 |
메달 | [[파일:Gold medal world centered-2.svg|}|alt=}|link=}|Gold medal – World]] 금메달: (1998, 2002) [[파일:Silver medal world centered-2.svg|}|alt=}|link=}|Silver medal – World]] 은메달: (2014, 2023) |
유로바스켓 (FIBA 유럽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13회 |
메달 | [[파일:Gold medal europe.svg|}|alt=}|link=}|Gold medal – Europe]] 금메달: (1995, 1997, 2001) [[파일:Silver medal europe.svg|}|alt=}|link=}|Silver medal – Europe]] 은메달: (2009, 2017) [[파일:Bronze medal europe.svg|}|alt=}|link=}|Bronze medal – Europe]] 동메달: (1999) |
경기 기록 | |
첫 경기 | [[파일:Flagdeco|FRY]] FR 유고슬라비아 93–87 [[파일:Bk-rt|BUL]] 불가리아 (소피아, 불가리아; 1995년 5월 31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파일:Flagdeco|FRY]] FR 유고슬라비아 128–61 [[파일:Bk-rt|CHN]] 중국 (애틀랜타, 미국; 1996년 7월 30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파일:Bk|SRB]] 92–129 [[파일:Bk-rt|USA]] 미국 (마드리드, 스페인; 2014년 9월 14일) |
메달 기록 (유고슬라비아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포함) | |
올림픽 | "[[파일:Silver medal.svg|}|alt=}|link=}|Silver medal – Olympics]] 은메달: 1996 애틀랜타" "[[파일:Silver medal.svg|}|alt=}|link=}|Silver medal – Olympics]] 은메달: 2016 리우데자네이루" "[[파일:Bronze medal.svg|}|alt=}|link=}|Bronze medal – Olympics]] 동메달: 2024 파리" |
FIBA 월드컵 | "[[파일:Gold medal world centered-2.svg|}|alt=}|link=}|Gold medal – World]] 금메달: 1998 그리스" "[[파일:Gold medal world centered-2.svg|}|alt=}|link=}|Gold medal – World]] 금메달: 2002 미국" "[[파일:Silver medal world centered-2.svg|}|alt=}|link=}|Silver medal – World]] 은메달: 2014 스페인" "[[파일:Silver medal world centered-2.svg|}|alt=}|link=}|Silver medal – World]] 은메달: 2023 필리핀-일본-인도네시아" |
유로바스켓 | "[[파일:Gold medal europe.svg|}|alt=}|link=}|Gold medal – Europe]] 금메달: 1995 그리스" "[[파일:Gold medal europe.svg|}|alt=}|link=}|Gold medal – Europe]] 금메달: 1997 스페인" "[[파일:Gold medal europe.svg|}|alt=}|link=}|Gold medal – Europe]] 금메달: 2001 터키" "[[파일:Silver medal europe.svg|}|alt=}|link=}|Silver medal – Europe]] 은메달: 2009 폴란드" "[[파일:Silver medal europe.svg|}|alt=}|link=}|Silver medal – Europe]] 은메달: 2017 터키" "[[파일:Bronze medal europe.svg|}|alt=}|link=}|Bronze medal – Europe]] 동메달: 1999 프랑스" |
지중해 게임 | "[[파일:Silver medal.svg|}|alt=}|link=}|Silver medal – Olympics]] 은메달: 2013 메르신" "[[파일:Bronze medal.svg|}|alt=}|link=}|Bronze medal – Olympics]] 동메달: 1997 바리" |
하계 유니버시아드 | "[[파일:Gold medal.svg|}|alt=}|link=}|Gold medal – Olympics]] 금메달: 2001 베이징" "[[파일:Gold medal.svg|}|alt=}|link=}|Gold medal – Olympics]] 금메달: 2003 대구" "[[파일:Gold medal.svg|}|alt=}|link=}|Gold medal – Olympics]] 금메달: 2009 베오그라드" "[[파일:Gold medal.svg|}|alt=}|link=}|Gold medal – Olympics]] 금메달: 2011 선전" "[[파일:Silver medal.svg|}|alt=}|link=}|Silver medal – Olympics]] 은메달: 1999 팔마 데 마요르카" "[[파일:Silver medal.svg|}|alt=}|link=}|Silver medal – Olympics]] 은메달: 2007 방콕" "[[파일:Bronze medal.svg|}|alt=}|link=}|Bronze medal – Olympics]] 동메달: 2005 이즈미르" "[[파일:Bronze medal.svg|}|alt=}|link=}|Bronze medal – Olympics]] 동메달: 2013 카잔" |
2. 역사
1960년 로마 올림픽 이후, 유고슬라비아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을 제외하고 국제 대회에 꾸준히 참가했다. 유고슬라비아는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1970년 농구 세계 선수권 대회를 포함해 세계 선수권에서 5번 우승했다. 2002년 세계 선수권에서도 유고슬라비아는 우승을 차지했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출전한 아테네 올림픽과 2006년 세계 선수권에서는 11위에 그쳤다. 세르비아로 참가한 첫 국제 대회인 유로바스켓 2007에서는 1차 라운드에서 탈락했고, 베이징 올림픽 진출에 실패했다.
2. 1. 유고슬라비아 시대 (1943-1992)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70년 농구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한 이후, 총 5번 우승했다. 유고슬라비아로서 마지막으로 출전한 2002년 세계 선수권에서도 우승했다.2. 2.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대 (1992-2006)
자금 지원이 부족하고 전쟁으로 피폐해진 상황 속에서도, 세르비아 농구 국가대표팀은 유로바스켓 1995에서 국제 무대에 복귀하여 금메달을 획득하며 저력을 과시했다. 결승전에서는 리투아니아를 꺾는 쾌거를 이뤘다.[6]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결승전에서 미국에 69-95로 패하며 은메달에 머물렀지만,[6] 이후 유로바스켓 1997과 1998년 FIBA 농구 월드컵에서 연이어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농구 강국의 입지를 굳혔다. 유로바스켓 1999에서는 동메달, 유로바스켓 2001에서는 다시 금메달을 차지하며 꾸준한 성적을 기록했다.[6]특히 2002년 FIBA 농구 월드컵 8강전에서 개최국 미국을 81-78로 꺾은 사건은 세르비아 국민들에게 큰 의미를 지녔다.[7] 당시 세르비아는 미국 정치 지도부가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국가 기반 시설 파괴에 책임이 있다고 여겼고, 1999년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NATO 폭격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 역시 반미 감정을 고조시켰기 때문이다.[7] 이러한 상황에서 거둔 승리였기에 더욱 값진 결과였다. 이후 유고슬라비아는 준결승에서 뉴질랜드를, 결승에서 아르헨티나를 연장전 끝에 84-77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6]
2003년, 유고슬라비아 연방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로 구성된 느슨한 국가 연합 형태인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재편되었다. 그러나 이후 몇 년 동안 국가대표팀은 국제 대회에서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하며 침체기를 겪었다.
유로바스켓 2003에서는 6위에 그쳤지만, 세계 챔피언 자격으로 2004년 그리스 하계 올림픽 자동 출전권을 얻었다. 올림픽에 앞서 열린 다이아몬드 볼 토너먼트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기대감을 높였으나, 정작 올림픽 본선에서는 1승 4패라는 초라한 성적으로 조별 예선에서 탈락하며 11위에 머물렀다.
유로바스켓 2005에서는 젤코 오브라도비치 감독이 복귀하며 반등을 노렸지만, 플레이오프 단계에서 프랑스에 74-71로 패하며 9위에 그쳤다. 오브라도비치 감독은 사임하며 팀 내 불화를 패인으로 지적했다. 이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보리슬라프 스탄코비치의 주도로 2006년 FIBA 월드컵에 와일드 카드로 참가했지만, 또다시 9위에 머무르며 아쉬움을 남겼다.
2006년 5월, 몬테네그로는 독립 국민투표를 통해 독립을 결정했고, 6월에는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가 각각 독립을 선언하면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연합은 해체되었다. 이로써 유고슬라비아의 마지막 흔적도 사라지게 되었다.
2. 3. 세르비아 (2006-현재)
2006년 5월 21일, 몬테네그로인들은 독립 국민투표를 통해 55.5%의 지지로 독립을 결정했다.[7] 같은 해 6월,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가 각각 독립을 선언하면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연합은 해체되었고, 이는 유고슬라비아의 마지막 흔적을 지우는 결과로 이어졌다.[7]세르비아 대표팀 자격으로 참가한 첫 국제 대회인 유로바스켓 2007에서는 1차 라운드에서 탈락하며 베이징 올림픽 진출에 실패했다.
3. 주요 국제 대회 성적
세르비아 농구 국가대표팀은 주요 국제 대회에서 다음과 같은 성적을 거두었다.
주요 토너먼트 | ||||||||
---|---|---|---|---|---|---|---|---|
토너먼트 | 라운드 | 순위 | 승-패 | 승률 | 득점-실점 | 득실차 | 감독 | 자격 |
1935 ~ 1991 | 유고슬라비아 소속 | 유고슬라비아 소속 | ||||||
1992년 올림픽 | 출전 정지 | 두샨 이브코비치 | 출전 정지 | |||||
1993 유로바스켓 | ||||||||
1994년 월드컵 | ||||||||
1995 유로바스켓 | -- 우승 | 1위 | 9-0 | 1.000 | 750-639 | +111 | 예선 라운드 | |
1996년 올림픽 | -- 준우승 | 2위 | 7-1 | .875 | 741-578 | +163 | 젤코 오브라도비치 | 직행 |
1997 유로바스켓 | -- 우승 | 1위 | 8-1 | .888 | 628-544 | +84 | 직행 | |
1998년 월드컵 | -- 우승 | 1위 | 8-1 | .888 | 698-563 | +135 | 직행 | |
1999 유로바스켓 | -- 준결승 | 3위 | 7-2 | .777 | 657-587 | +70 | 직행 | |
2000년 올림픽 | 8강 | 6위 | 4-3 | .571 | 494-483 | +11 | 직행 | |
2001 유로바스켓 | -- 우승 | 1위 | 6-0 | 1.000 | 549-409 | +140 | 스베티슬라브 페시치 | 직행 |
2002년 월드컵 | -- 우승 | 1위 | 7-2 | .777 | 816-670 | +146 | 직행 | |
2003 유로바스켓 | 8강 | 6위 | 3-4 | .429 | 537-561 | -24 | 두슈코 부요셰비치 | 직행 |
2004년 올림픽 | 조별 리그 | 11위 | 2-4 | .333 | 462-450 | +12 | 젤코 오브라도비치 | 직행 |
2005 유로바스켓 | 플레이오프 라운드 | 9위 | 2-2 | .500 | 316-307 | +9 | 개최국 자격 | |
2006년 월드컵 | 16강 | 11위 | 2-4 | .333 | 484-439 | +45 | 드라간 샤코타 | 와일드 카드 |
2007 유로바스켓 | 조별 리그 | 14위 | 0-3 | .000 | 215-228 | −13 | 모카 슬라브니치 | 직행 |
2008년 올림픽 | 예선 탈락 | 두샨 이브코비치 | 예선 탈락 | |||||
2009 유로바스켓 | -- 준우승 | 2위 | 6-3 | .666 | 603-602 | +1 | A조 | |
2010년 월드컵 | 준결승 | 4위 | 6-3 | .666 | 800-699 | +101 | 직행 | |
2011 유로바스켓 | 8강 | 8위 | 5-6 | .455 | 600-648 | -48 | 직행 | |
2012년 올림픽 | 예선 탈락 | 예선 탈락 | ||||||
2013 유로바스켓 | 8강 | 7위 | 6-5 | .545 | 581-589 | -8 | A조 | |
2014년 월드컵 | -- 준우승 | 2위 | 5-4 | .555 | 743-720 | +23 | 알렉산다르 조르제비치 | 직행 |
2015 유로바스켓 | 준결승 | 4위 | 7-2 | .777 | 748-658 | +90 | 직행 | |
2016년 올림픽 | -- 준우승 | 2위 | 4-4 | .500 | 665-627 | +38 | 예선 토너먼트 | |
2017 유로바스켓 | -- 준우승 | 2위 | 7-2 | .777 | 741-670 | +71 | 직행 | |
2019년 월드컵 | 8강 | 5위 | 6-2 | .750 | 753-598 | +155 | L조 | |
2020년 올림픽 | 예선 탈락 | 이고르 코코슈코프 | 예선 토너먼트 | |||||
2022 유로바스켓 | 16강 | 9위 | 5-1 | .833 | 552-455 | +97 | 스베티슬라브 페시치 | E조 |
2023년 월드컵 | -- 준우승 | 2위 | 6-2 | 761-617 | +144 | I조 | ||
2024년 올림픽 | -- 준결승 | 3위 | 4-2 | .666 | 566-529 | +37 | 직행 | |
2025 유로바스켓 | 미정 | 미정 | ||||||
2027년 월드컵 | ||||||||
2028년 올림픽 | ||||||||
총합 | 128-61 | .677 | 15460 - 13870 | +1590 | 25/28 |
두샨 이브코비치 감독 체제에서, 네나드 크르스티치와 밀로시 테오도시치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세대의 선수들은 유로바스켓 2009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과거의 영광을 되찾았다.[8] 2010년 FIBA 농구 월드컵에서는 16강에서 크로아티아 농구 국가대표팀을 꺾고, 8강에서는 밀로시 테오도시치의 3점 슛으로 우승 후보 스페인 농구 국가대표팀을 탈락시켰다.[9] 준결승에서는 개최국 터키 농구 국가대표팀에 논란이 된 심판 판정으로 83-82로 패했고,[9] 동메달 결정전에서 리투아니아 농구 국가대표팀에 99-88로 패하며 4위를 기록했다.[9][10]
유로바스켓 2011에서는 8위에 그쳐 2012년 하계 올림픽 농구 진출에 실패했고, 유로바스켓 2013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이후 알렉산다르 조르제비치 감독이 부임하여 2014년 FIBA 농구 월드컵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1][12][13] 유로바스켓 2015에서는 4위를 기록했고,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14][15]
유로바스켓 2017에서는 보그단 보그다노비치의 활약으로 결승에 진출했으나, 슬로베니아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에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16]
2019년 FIBA 농구 월드컵에서는 5위를 기록했고, 조르제비치 감독은 사임했다.[17][18][19][20][21][22][23] 이고르 코코슈코프 감독 체제에서는 2020년 하계 올림픽 예선에서 탈락했다.
3. 1. 올림픽
연도 | 라운드 | 순위 | 승-패 | 승률 | 득점-실점 | 득실차 | 감독 | 예선 |
---|---|---|---|---|---|---|---|---|
1936년 ~ 1988년 | 유고슬라비아 소속 | 유고슬라비아 소속 | ||||||
1992년 | 출전 정지 | 두다 이브코비치 | 출전 정지 | |||||
1996년 | -- 준우승 | 2위 | 7-1 | .875 | 741-578 | +163 | 젤리코 오브라도비치 | 직행 |
2000년 | 8강 | 6위 | 4-3 | .571 | 494-483 | +11 | 직행 | |
2004년 | 조별 리그 | 11위 | 2-4 | .333 | 462-450 | +12 | 직행 | |
2008년 | 예선 탈락 | 두다 이브코비치 | 예선 탈락 | |||||
2012년 | 예선 탈락 | 예선 탈락 | ||||||
2016년 | -- 준우승 | 2위 | 4-4 | .500 | 665-627 | +38 | 알렉산다르 조르제비치 | 예선 토너먼트 |
2020년 | 예선 탈락 | 이고르 코코슈코프 | 예선 토너먼트 | |||||
2024년 | -- 4강 | 3위 | 4-2 | .666 | 566-529 | +37 | 스베티슬라브 페시치 | 직행 |
2028년 | 미정 | 미정 | ||||||
2032년 | ||||||||
합계 | | | 17-12 | .586 | 2928 - 2667 | +261 | 5/8 |
3. 2. FIBA 농구 월드컵
연도 | 라운드 | 순위 | 승-패 | 승률 | 득점-실점 | 득실차 | 감독 | 예선 |
---|---|---|---|---|---|---|---|---|
1950년 ~ 1990년 | 유고슬라비아 소속 | 유고슬라비아 소속 | ||||||
1994년 | 출전 금지 | 두다 이브코비치 | 출전 금지 | |||||
1998년 | -- 우승 | 1위 | 8-1 | .888 | 698-563 | +135 | 젤리코 오브라도비치 | 자동 진출 |
2002년 | -- 우승 | 1위 | 7-2 | .777 | 816-670 | +146 | 스베티슬라브 페시치 | 자동 진출 |
2006년 | 16강 | 11위 | 2-4 | .333 | 484-439 | +45 | 드라간 사코타 | 와일드 카드 |
2010년 | 준결승 | 4위 | 6-3 | .666 | 800-699 | +101 | 두다 이브코비치 | 자동 진출 |
2014년 | -- 준우승 | 2위 | 5-4 | .555 | 743-720 | +23 | 알렉산다르 조르제비치 | 자동 진출 |
2019년 | 8강 | 5위 | 6-2 | .750 | 753-598 | +155 | 알렉산다르 조르제비치 | L조 |
2023년 | -- 준우승 | 2위 | 6-2 | .750 | 761-617 | +144 | 스베티슬라브 페시치 | I조 |
2027년 | 미정 | 미정 | ||||||
합계 | 40-18 | .690 | 5055-4306 | +749 | 7/7 |
알렉산다르 조르제비치 감독은 2014년 FIBA 농구 월드컵에서 팀을 이끌고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결승전에서 미국에 패했다.[12][13]
2019년 FIBA 월드컵을 위해 FIBA가 도입한 새로운 예선 시스템에 직면하여, 국가대표팀은 거의 모든 예선 경기에서 핵심 선수 없이 경기를 치러야 했다. 그러나 2차 예선 그룹에서 간신히 월드컵 마지막 출전 자격을 확보했다.[17] 월드컵 전 세르비아는 우승 후보 중 하나로 꼽혔지만,[18] 결국 8강에서 아르헨티나에 패했다.[19] 순위 결정전에서 미국과 체코를 상대로 승리하여 5위로 대회를 마쳤다.[20][21][22] 조르제비치 감독은 대회가 끝난 후 6년 만에 감독직에서 물러나겠다는 결정을 발표했다.[23]
3. 3. 유로바스켓
세르비아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 연합 해체 이후 유로바스켓 2007에 참가했지만, 세 번의 접전 끝에 조별 예선에서 탈락하며 대회를 마쳤다. 이로 인해 1992년 출전 정지 이후 처음으로 2008년 하계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지 못했다.[8]유로바스켓 | ||||||||
---|---|---|---|---|---|---|---|---|
연도 | 라운드 | 순위 | 승-패 | 승률 | 득점-실점 | 득실차 | 감독 | 예선 |
1935 ~ 1991 | 유고슬라비아의 일부 | 유고슬라비아의 일부 | ||||||
1993 | 출전 정지 | 두다 이브코비치 | 출전 정지 | |||||
1995 | 우승 | 1위 | 9-0 | 1.000 | 750-639 | +111 | 예선 라운드 | |
1997 | 우승 | 1위 | 8-1 | .888 | 628-544 | +84 | 젤코 오브라도비치 | 자동 진출 |
1999 | 4강 | 3위 | 7-2 | .777 | 657-587 | +70 | ||
2001 | 우승 | 1위 | 6-0 | 1.000 | 549-409 | +140 | 스베티슬라브 페시치 | |
2003 | 8강 | 6위 | 3-4 | .429 | 537-561 | -24 | 두슈코 부요셰비치 | |
2005 | 플레이오프 라운드 | 9위 | 2-2 | .500 | 316-307 | +9 | 젤코 오브라도비치 | 개최국 자격으로 진출 |
2007 | 조별 리그 | 14위 | 0-3 | .000 | 215-228 | −13 | 모카 슬라브니치 | 자동 진출 |
2009 | 준우승 | 2위 | 6-3 | .666 | 603-602 | +1 | 두다 이브코비치 | A조 |
2011 | 8강 | 8위 | 5-6 | .455 | 600-648 | -48 | 자동 진출 | |
2013 | 8강 | 7위 | 6-5 | .545 | 581-589 | -8 | A조 | |
2015 | 4강 | 4위 | 7-2 | .777 | 748-658 | +90 | 살레 조르제비치 | 자동 진출 |
2017 | 준우승 | 2위 | 7-2 | .777 | 741-670 | +71 | ||
2022 | 16강 | 9위 | 5-1 | .833 | 552-455 | +97 | 스베티슬라브 페시치 | E조 |
2025 | 진출 | G조 | ||||||
합계 | 71-31 | .700 | 7477 - 6897 | +580 | 14/14 |
세르비아는 유로바스켓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우승: 1995, 1997, 2001 (총 3회)
- 준우승: 2009, 2017 (총 2회)
- 3위: 1999 (총 1회)
4. 선수
스베티슬라브 페시치 감독이 2021년에 다시 팀을 맡았다. 세르비아는 유로바스켓 2022 조별 예선 5경기를 모두 승리했지만, 16강에서 이탈리아에 패하며 9위로 대회를 마쳤다. 2023 FIBA 농구 월드컵에서는 여러 스타 선수들이 불참했음에도 불구하고 결승전에 진출하여 독일에 패했다.[24] 세르비아는 2024년 하계 올림픽에서 독일을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25]
2024년 파리 올림픽 예비 선수 명단에는 밀로시 테오도시치, 니콜라 칼리니치, 블라디미르 루치치, 스테판 요비치, 보반 마르야노비치, 네마냐 네도비치, 루카 미트로비치, 니콜라 토피치, 니콜라 쥬리시치, 트리스탄 부크체비치, 두산 베슬라치, 보리샤 시마니치, 우로스 트리푸노비치, 발샤 코프리비차, 다닐로 안쥬시치, 브란코 라지치, 알렌 스마일라기치가 포함되었다.
4. 1. 주요 선수
다음은 1995년 이후 올림픽, FIBA 농구 월드컵, FIBA 유로바스켓 경기 및 예선 토너먼트 경기에 출전한 세르비아 국가대표 선수들의 통계이다. 친선 경기는 포함되지 않는다.[26][27]'''굵게''' 표기된 선수는 아직 국제 농구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 | 선수 | 국가대표 경력 | 경기 | 득점 |
---|---|---|---|---|
1 | 밀로시 테오도시치(Miloš Teodosić영어) | 2007– | 94 | 1057 |
2 | 데얀 보디로가 | 1995–2005 | 85 | 1023 |
3 | 네마냐 비엘리차 | 2009–2019 | 84 | 692 |
스테판 마르코비치 | 2007–2016 | 84 | 348 | |
5 | 네나드 크르스티치 | 2004–2014 | 77 | 933 |
6 | 보그단 보그다노비치(Bogdan Bogdanović영어) | 2013– | 74 | 1112 |
7 | 데얀 토마셰비치 | 1995–2005 | 71 | 502 |
8 | 밀란 마츠반 | 2009–2019 | 61 | 447 |
9 | 미로슬라브 라둘리차 | 2009– | 58 | 627 |
사샤 오브라도비치 | 1995–2001 | 58 | 392 |
# | 선수 | 국가대표 경력 | 득점 | 경기 | 평균 |
---|---|---|---|---|---|
1 |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 2013– | 1112 | 74 | 15.0 |
2 | 밀로시 테오도시치 | 2007– | 1057 | 94 | 11.2 |
3 | 데얀 보디로가 | 1995–2005 | 1023 | 85 | 12.0 |
4 | 네나드 크르스티치 | 2004–2014 | 933 | 77 | 12.1 |
5 | 네마냐 비옐리차 | 2009–2019 | 692 | 84 | 8.2 |
6 | 프레드라그 다닐로비치 | 1995–2000 | 640 | 43 | 14.9 |
7 | 미로슬라브 라둘리차 | 2009– | 627 | 58 | 10.8 |
8 | 니콜라 요키치 | 2016– | 532 | 34 | 15.6 |
9 | 데얀 토마셰비치 | 1995–2005 | 502 | 71 | 7.1 |
10 | 프레드라그 스토야코비치 | 1999–2003 | 474 | 29 | 16.3 |
다음은 1995년 이후 유고슬라비아/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또는 세르비아를 대표하여 2개 이상의 메달을 획득한 선수 목록이다.
선수 | 선수 경력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총합 |
---|---|---|---|---|---|
데얀 보디로가 | 1995–2005 | ---- ------ | -- | -- | 7 |
데얀 토마셰비치 | 1995–2005 | ---- ------ | -- | -- | 7 |
사샤 오브라도비치 | 1995–2001 | -- ------ | -- | -- | 6 |
젤코 레브라차 | 1995–2005 | -- ---- | -- | 4 | |
알렉산다르 조르제비치 | 1995–1998 | -- ---- | -- | 4 | |
미로슬라브 베리치 | 1995–1998 | -- ---- | -- | 4 | |
블라데 디바츠 | 1995–2002 | -- -- | -- | -- | 4 |
니콜라 론차르 | 1996–1999 | -- -- | -- | -- | 4 |
프레드라그 다닐로비치 | 1995–2000 | ---- | -- | -- | 4 |
밀렌코 토피치 | 1996–1999 | -- -- | -- | -- | 4 |
조란 사비치 | 1995–1997 | -- -- | -- | 3 | |
밀란 구로비치 | 1999–2007 | -- -- | -- | 3 | |
프레드라그 스토야코비치 | 1999–2003 | -- -- | -- | 3 | |
마르코 야리치 | 2001–2007 | -- -- | 2 | ||
이고르 라코체비치 | 2000–2006 | -- -- | 2 | ||
데얀 코투로비치 | 1995–2003 | -- -- | 2 | ||
자르코 파스팔리 | 1995–1996 | -- | -- | 2 | |
드라간 루코브스키 | 1998–2000 | -- | -- | 2 | |
드라간 타를라치 | 1999–2001 | -- | -- | 2 | |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 2013– | -- ---- -- | -- | 5 | |
스테판 요비치 | 2014– | -- ---- -- | 4 | ||
스테판 마르코비치 | 2007–2016 | -- -- -- | 3 | ||
밀로시 테오도시치 | 2007–2016 | -- -- -- | 3 | ||
미로슬라브 라둘리차 | 2009–2019 | -- -- -- | 3 | ||
블라디미르 슈티마치 | 2013–2017 | -- -- -- | 3 | ||
스테판 비르체비치 | 2014–2019 | -- -- -- | 3 | ||
마르코 구두리치 | 2017– | -- -- | -- | 3 | |
밀란 마츠반 | 2009–2019 | -- ---- | 3 | ||
알렉사 아브라모비치 | 2023– | -- | -- | 2 | |
네마냐 벨리차 | 2009–2019 | -- -- | 2 | ||
데얀 다비도바치 | 2022– | -- | -- | 2 | |
오그넨 도브리치 | 2023– | -- | -- | 2 | |
니콜라 요키치 | 2016– | -- | -- | 2 | |
니콜라 요비치 | 2023– | -- | -- | 2 | |
네나드 크르스티치 | 2004–2014 | -- -- | 2 | ||
니콜라 칼리니치 | 2013–2022 | -- -- | 2 | ||
반야 마린코비치 | 2022– | -- | -- | 2 | |
바실리에 미치치 | 2013– | -- | -- | 2 | |
니콜라 밀루티노프 | 2015– | -- | -- | 2 | |
필리프 페트루셰프 | 2023– | -- | -- | 2 | |
마르코 시모노비치 | 2014–2020 | -- -- | 2 |
- 1995–2005년 기간의 몬테네그로 선수 (예: 블라도 슈체파노비치, 프레드라그 드로브냑, 니콜라 불라토비치)는 포함되지 않았다.
4. 2. 역대 대표 선수
다음은 역대 세르비아 농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이다.- 밀로시 테오도시치
- 미로슬라프 라둘지카
-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 니콜라 요비치
- 니콜라 요키치
2024년 파리 올림픽 예비 선수 명단에는 밀로시 테오도시치, 니콜라 칼리니치, 블라디미르 루치치, 스테판 요비치, 보반 마르야노비치, 네마냐 네도비치, 루카 미트로비치, 니콜라 토피치, 니콜라 쥬리시치, 트리스탄 부크체비치, 두산 베슬라치, 보리샤 시마니치, 우로스 트리푸노비치, 발샤 코프리비차, 다닐로 안쥬시치, 브란코 라지치, 알렌 스마일라기치가 포함되었다.[24]
선수 | 포지션 | 활동 기간 |
---|---|---|
블라데 디바츠 | C | 1986년 - 2002년 |
네나드 크르스티치 | C | 2004년 - 2013년 |
다르코 밀리치치 | C | 2005년 - 2007년 |
밀로스 테오도시치 | PG | 2007년 - |
네마냐 비옐리차 | PF | 2009년 - |
밀란 마추반 | PF | 2009년 - 2017년 |
보반 마르야노비치 | C | 2011년 - |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 SG | 2013년 - |
네마냐 네도비치 | SG | 2013년 - |
바실리예 미치치 | PG | 2013년 - |
니콜라 칼리니치 | SF | 2013년 - |
니콜라 요키치 | C | 2014년 - |
스테판 요비치 | PG | 2014년 - |
니콜라 밀루티노프 | C | 2015년 - |
블라디미르 루치치 | SF | 2017년 - |
마르코 구두리치 | SG | 2017년 - |
'''굵게''' 표기된 선수는 2024년 8월 10일 기준, 현재 국제 농구 선수로 활동 중인 선수이다.[26][27]
참조
[1]
웹사이트
Profile: Serbia (SRB)
http://www.fiba.bask[...]
FIBA
2018-05-24
[2]
뉴스
Atina, 2.juli 1995.
https://kosmagazin.c[...]
2015-07-02
[3]
웹사이트
archive.fiba.com
https://archive.fiba[...]
[4]
뉴스
FIBA WORLD RANKING
http://www.fiba.bask[...]
2019-09-16
[5]
뉴스
PR no.22: Montenegro becomes 213th FIBA Member
https://www.fiba.bas[...]
2006-08-28
[6]
뉴스
BASKETBALL; U.S. an Embarrassed Sixth as Yugoslavia Takes the Gold
https://www.nytimes.[...]
2017-04-08
[7]
뉴스
Jugoslavija pobedila 'Dream team'
http://www.b92.net/i[...]
2017-04-08
[8]
뉴스
Ivković selektor
http://www.novosti.r[...]
2019-09-14
[9]
뉴스
TURSKA 2010: Povratak Srbije u elitu, SAD konačno do zlata
https://www.danas.rs[...]
2019-09-14
[10]
웹사이트
Duda otpisao Milosavljevića
http://www.b92.net/s[...]
BETA
2012-08-06
[11]
뉴스
Đorđević preuzeo reprezentaciju
https://www.glasamer[...]
2019-09-14
[12]
웹사이트
Srbija srebrna, 'vanzemaljci' Ameri šampioni
http://www.b92.net/s[...]
BETA
2014-09-15
[13]
웹사이트
Serbia at the 2014 FIBA World Cup
https://www.fiba.bas[...]
2014-09-14
[14]
웹사이트
Serbia at the 2016 Olympic Qualifying Tournament
https://www.fiba.bas[...]
2016-07-09
[15]
웹사이트
Serbia at the 2016 men's Olympic Basketball Tournament
https://www.fiba.bas[...]
2016-08-21
[16]
웹사이트
Serbia at the EuroBasket 2017
http://www.fiba.bask[...]
2017-09-17
[17]
웹사이트
Serbia during the 2019 FIBA World Cup European Qualifiers
https://www.fiba.bas[...]
2019-02-24
[18]
뉴스
FIBA Basketball World Cup Power Rankings, Volume 3
http://www.fiba.bask[...]
2019-09-14
[19]
뉴스
Argentina upsets Olympic silver medalist Serbia in FIBA World Cup quarterfinals
https://olympics.nbc[...]
2019-09-14
[20]
뉴스
Serbia defeats USA in FIBA World Cup consolation round play
https://www.nba.com/[...]
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2019-09-14
[21]
뉴스
Bogdanović ponovo briljirao – Srbiji peto mesto u Kini
https://www.b92.net/[...]
2019-09-14
[22]
웹사이트
Serbia at the 2019 FIBA World Cup
https://www.fiba.bas[...]
2019-09-14
[23]
뉴스
Đorđević više nije selektor Srbije!
https://www.b92.net/[...]
2019-09-14
[24]
웹사이트
Serbia at the 2023 FIBA World Cup
https://www.fiba.bas[...]
2023-09-15
[25]
뉴스
Србија освојила бронзану медаљу на Олимпијским играма!
https://kss.rs/srbij[...]
2024-08-10
[26]
웹사이트
FIBA Events History Search | FIBA Basketball
https://archive.fiba[...]
[27]
웹사이트
https://www.fiba.bas[...]
[28]
웹사이트
FIBA Hall of Fame Class of 2024 headlined by Reggie Miller and Predrag Stojakovic
https://www.fiba.ba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