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 쇼나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이 쇼나곤은 일본 헤이안 시대의 궁녀이자 작가로, 본명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세이'는 아버지의 성씨에서, '쇼나곤'은 관직명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그녀는 하급 귀족 출신으로, 《마쿠라노소시》를 저술하여 유명해졌으며, 이 작품은 다양한 일상 경험과 궁정 생활을 묘사한 수필집이다. 세이 쇼나곤은 이치조 천황의 중궁인 후지와라노 데이시를 섬겼으며, 무라사키 시키부와 동시대에 궁녀로 활동했지만, 무라사키 시키부는 세이 쇼나곤에 대해 비판적인 평가를 내렸다. 그녀는 다양한 평가를 받았으며, 현대에는 문학적 가치와 개성적인 면모가 재조명되고 있다. 세이 쇼나곤은 영화, 드라마, 만화 등 다양한 창작물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이 쇼나곤 - 마쿠라노소시
마쿠라노소시는 헤이안 시대 궁녀 세이 쇼나곤이 일상과 자연에 대한 섬세한 관찰, 궁정 생활, 독특한 미적 감각을 ‘오카시’로 대표되는 경묘한 문체로 담아낸 수필집으로, 후대 일본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류주, 수이소, 회상 장단으로 분류되고 다양한 전본이 전해진다. - 11세기 일본의 시인 - 무라사키 시키부
헤이안 시대의 귀족 여성이자 작가인 무라사키 시키부는 『겐지 이야기』, 『무라사키 시키부 일기』, 『무라사키 시키부집』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겐지 이야기』는 일본 문학을 넘어 세계 문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 11세기 일본의 시인 - 후지와라노 다카이에
후지와라 북가 출신인 후지와라노 다카이에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린 나이에 관직에 올라 빠르게 승진했으며, 다자이곤노소치 재임 시절 도이의 침입을 방어하고 조토쿠의 변으로 좌천되기도 했으나 복귀 후 중납언 등을 지내며 후손들이 왕실과 셋케에 영향을 미쳤다.
세이 쇼나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기요하라 노 나기코 (清原 諾子) |
출생 | 966년경 |
사망 | 1017년 또는 1025년 (51세 또는 57세) |
직업 | 황후 데이시의 시녀 |
국적 | 일본 |
활동 시기 | 헤이안 시대 |
작품 정보 | |
주요 작품 | 마쿠라노소시 |
가족 관계 | |
배우자 | 다치바나 노 노리미쓰 후지와라 노 무네요 |
자녀 | 노리나가 (아들) 고마 노 묘부 (딸) |
부모 | 기요하라 노 모토스케 (아버지) |
친척 | 기요하라 노 후카야부 (증조부) |
기타 정보 | |
언어 | 일본어 |
작가 정보 | |
필명 | (해당 정보 없음) |
출생지 | 일본 도호쿠 지방 |
사망지 | 일본 |
안장지 | 일본 아마쓰카(도쿠시마현 나루토시) |
직업 | 작가, 가인 |
활동 시기 | 990년대 - 1000년대 |
장르 | 수필 |
종교 | 불교 |
영향 | (해당 정보 없음) |
영향을 준 작가 | (해당 정보 없음) |
수상 | (해당 정보 없음) |
데뷔작 | (해당 정보 없음) |
서명 | (해당 정보 없음) |
세이 쇼나곤 | |
로마자 표기 | Sei Shōnagon |
2. 이름
'세이 쇼나곤'은 궁중에서 사용하던 뇨보(女房, 궁녀) 이름이다. '세이(清)'는 아버지의 성씨인 기요하라(清原)에서 유래했으며, '쇼나곤(少納言)'은 관직명에서 유래했지만, 친족 중에 해당 관직을 지낸 사람은 없어 정확한 유래는 불명이다.[1][9]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추측들이 있다.
- 세이 쇼나곤의 아버지 및 남편이 쇼나곤 관직을 맡았다는 의미이며, 실제로 아버지 기요하라노 모토스케와 친분이 있던 후지와라노 모토스케(藤原元輔|후지와라노 모토스케일본어)의 아들 노부요시(信義)와 세이 쇼나곤이 한때 혼인관계에 있었다는 설.[2][9]
- 후지와라노 사다이에(藤原定家)의 딸 요루코(因子)가 고토바인(後鳥羽院)으로부터 '민부경'이라는 뇨보 이름을 받은 후세의 사례를 바탕으로, '쇼나곤' 직을 맡았던 선조 후지와라노 아리오(藤原有雄|후지와라노 아리오일본어)를 기리기 위해 '쇼나곤'을 자칭했다는 설.
- 가잔인(花山院) 집안의 유모로 이름이 보이는 쇼나곤 유모(少納言乳母|쇼나곤 유보일본어)를 노리미쓰(則光)의 어머니 우콘노아마(母右近尼)의 별명으로 보아, 세이 쇼나곤이 양어머니의 이름을 따서 자칭하게 되었다는 설.
- 친족의 관직이 아닌 데이코(定子)에 의해 이름이 붙여졌을 가능성.
세이 쇼나곤의 본명은 '기요하라노 나기코(清原諾子)'라는 설이 있으나,[3] 확실한 근거는 없다. 에도 시대의 국학자 다다 요시토시(多田義俊)가 『枕草紙抄』에서 '기요하라노 나기코(清原諾子)'라고 했으나, 근거는 제시되지 않았다.
3. 출자 및 가계
기요하라노 모토스케(清原元輔, 908년-990년)의 딸로 태어났다. 그는 나시쓰보(梨壺)의 5인이라 불리던 가인(歌人) 가운데 한 명이었다. 세이 쇼나곤의 증조부(계보에는 조부)는 《고킨와카슈(古今和歌集)》의 대표 가인인 기요하라노 후카야부(清原深養父)이다. 형제자매로는 가가쿠노카미(雅楽頭) 기요하라노 다메나리(為成), 다자이소칸(太宰少監) 기요하라노 무네노부(致信), 가잔인 전상법사(花山院殿上法師) 기요하라노 게이슈(戒秀), 후지와라노 미치쓰나의 어머니의 형제인 후지와라노 무네요시(理能)의 아내가 된 여성이 있었다.
세이 쇼나곤의 어머니에 대한 전승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1급 사료로 확인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가마쿠라 시대에 쓰여진 《무묘조시(無名草子)》에는 "히노가키(檜垣)의 아이 세이 쇼나곤"이라 하여, 세이 쇼나곤의 어머니를 《고센와카슈(後撰和歌集)》에 나오는 히가키노오나(檜垣嫗)로 보는 설이 있다. 하지만 히가키노오나는 반쯤 전설적인 인물인데다, 기요하라노 모토스케가 히가키노오나와 와카를 주고받은 것은 그의 가장 만년의 부임지인 히고국에서의 일로, 연대가 맞지 않는다.[21]
세이 쇼나곤은 덴겐(天元) 4년(981년) 무렵 다치바나노 노리미쓰(橘則光)와 결혼하여 이듬해 아들 다치바나노 노리나가(則長)를 낳았지만, 곧 이혼했다.[21] 하지만 전 남편과의 교류는 998년까지 이어졌으며, 궁중 주변인들은 이들을 '오빠', '동생'이라 불렀다고 한다. 이후 후지와라노 무네요(藤原棟世)와 재혼하여 딸 고바노 묘부(小馬命婦)를 얻었다.
4. 생애
세이 쇼나곤은 966년경 학자이자 와카(waka) 시인인 기요하라 모토스케의 딸로 태어났다. 974년, 아버지 모토스케가 스오노카미(周防守)로 부임할 때 동행하여 4년간 지방에서 생활했는데, 이 경험은 훗날 《마쿠라노소시》에 묘사된 생생한 뱃길 여정의 바탕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981년경 다치바나노 노리미쓰(橘則光)와 결혼하여 982년 아들 노리나가(則長)를 낳았으나, 곧 이혼했다.[21] 하지만 전 남편과의 교류는 998년까지 유지되었으며, 궁중에서는 이들을 '오빠', '여동생'으로 부를 정도였다.
993년 겨울, 이치조 천황(一条天皇)의 중궁(中宮) 데이시(藤原定子)를 섬기는 뇨보(女房)가 되었다. 뛰어난 학식과 재치를 바탕으로 데이시의 총애를 받았으며, 후지와라노 사네카타(藤原実方) 등 여러 귀족들과 교류했다.
1000년 데이시가 사망하자 궁중에서 물러났다. 이후 후지와라노 무네요(藤原棟世)와 재혼하여 딸 고바노 묘부(小馬命婦)를 낳았다는 설이 있으나, 비구니가 되었다는 설도 있어[21] 만년의 행적은 불분명하다.
4. 1. 무라사키 시키부와의 관계
무라사키 시키부는 겐지모노가타리의 저자로, 세이 쇼나곤과 같은 시대의 인물이다. 무라사키 시키부는 세이 쇼나곤보다 늦게 궁궐에 들어왔기 때문에 두 사람은 직접 만난 적은 없었다.[23] 하지만 무라사키 시키부는 자신의 일기인 《무라사키 시키부 일기》에서 세이 쇼나곤에 대해 다음과 같이 비판적인 평가를 남겼다.반면, 세이 쇼나곤은 자신의 수필 《마쿠라노소시》에서 무라사키 시키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다만, 《마쿠라노소시》에는 무라사키 시키부의 아버지나 사촌 형제에 대한 일화가 실려 있는데, 이를 두고 세이 쇼나곤이 무라사키 시키부의 재능에 위협을 느꼈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있다.[24][25]
5. 작품
세이 쇼나곤이 오늘날까지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그녀가 남긴 수필 《마쿠라노소시》 덕분이다. 《마쿠라노소시》는 '모노하즈쿠시(ものはづくし일본어)' 즉, 시의 소재가 된 명소 등의 유취를 비롯해, 시에서 뛰어난 문구, 일상의 관찰, 개인 및 주변 사람들의 소문, 기록으로서의 성질을 가진 그녀 자신의 회상 등, 세이 쇼나곤이 10세기 헤이안 시대 궁정에서 보낸 시간 동안 흥미를 가지고 기록했던 모든 내용들이 정리되어 있다.[21] 《마쿠라노소시》는 조호(長保일본어) 2년(1000년)에 중궁 데이시가 사망한 이듬해에 초고가 완성되었다고 알려져 있다.[21]
《마쿠라노소시》는 주필(zuihitsu)이라 알려진 다양한 장르의 글쓰기 형태를 띈다. 쇼나곤의 수필은 당시의 다양한 일상 경험과 관습, 그리고 그녀가 살았던 교토 궁정의 사건들을 독특한 관점에서 묘사한다.[6] 17세기에 처음으로 인쇄되었으며, 여러 가지 판본이 존재한다. 서기관들이 주석을 추가하고, 구절을 추가, 편집 또는 삭제하면서 항목의 순서가 변경되었을 수 있다. 현대 학자들에게는 네 가지 주요 변형본이 알려져 있다. 가장 완전하고 정확하다고 여겨지는 두 가지는 산칸본(三巻本)과 노인본(乃因本)이다. 후대 편집자들이 절 번호와 구분을 도입했는데, 산칸본은 297개의 절과 추가로 29개의 보충 절로 나뉘는데, 이는 저자나 사본 제작자에 의한 후기 추가일 가능성이 있다.[7]
《마쿠라노소시》에서 쇼나곤은 정희황후(定子)에 대해 썼으며, 그녀의 아버지가 죽은 후 후지와라노 미치나가가 자신의 딸인 쇼시(彰子)를 이치조 천황(一条天皇)의 황후로 삼고, 정희황후를 궁정의 두 황후 중 한 명으로 만들었을 때의 실망감을 적었다. 쇼나곤은 궁정의 사건에 대해 겉으로는 경쾌하게 적고 있으며, 정희황후가 1001년 출산으로 사망한 것과 같은 가혹한 현실을 축소하거나 생략했다. 당시 유행에 따라 더 열정적으로 썼다면 세련되지 않다고 여겨졌을 것이다. 그녀의 글은 재치 있고, 세련된 궁정을 자세하고 수다스러운 관점에서 묘사한다.[4]
쇼나곤은 당시 궁정 사람들에게 뛰어난 기억력을 가진 사람으로 여겨졌다. 그녀의 글에는 궁정에서 일어난 사건에 대한 많은 회상이 포함되어 있으며, 수년 후에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입었던 옷과 같은 정확한 세부 사항을 자주 포함한다.[7] 그녀는 또한 상황에 맞는 고전시를 회상하고 인용하는 데 특히 능숙했는데, 시가의 지식이 필수적인 기술로 여겨졌던 궁정의 기준으로도 그러했다.[7]
《마쿠라노소시》의 수사학에 대한 항목에는 대화, 설교 및 편지 쓰기에 대한 조언과 의견이 포함되어 있다. 쇼나곤은 대화에 대한 조언 부분에서 순수한 언어와 엄격한 형식의 사용을 주장하지만, 황후의 궁녀들 사이, 그리고 궁녀와 신사 사이의 재치 있는 말솜씨와 사교적인 주고받음을 보여주는 비네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특히 쇼나곤은 "잠자리 후 편지"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일본 궁정 사회에서 궁인들 사이의 성관계는 불법이었지만 매우 자주 발생했다. 남성은 아름다운 종이에 장식용 꽃이나 나뭇가지를 넣은 시를 여성에게 보내고, 여성은 답장을 보내는 것이 사회적 요구 사항이었다. 쇼나곤은 그녀의 "불안하게 만드는 것들"이라는 부분에서 이 주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4]
그녀의 와카(waka) 중 하나인 "밤을 지새워 새의 하늘소리는 재어 보아도 밤에 오사카의 관문은 열어 주지 않으리"는 후지와라 테이카가 고른 오쿠라 백인일수에 62번으로 채택되었다.
교토시히가시야마구의 센류지에는 이 가의 가비가 있다. 쇼와 49년(1974년)에 가비가 건립되었다.[17]
중고 삼십육가선·여방 삼십육가선의 한 사람으로 여겨지며, 42수[15]의 소규모 가집 『청소납언집』이 전해진다. 『후취유와가집』 이하 칙선와가집에 15수가 수록[16]되었다.
6. 평가
무라사키 시키부는 무라사키 시키부 니키에서 세이 쇼나곤을 "잘난 척하며 쓴 한문 글귀가 허점투성이"라고 혹평했다.[1] 가마쿠라 시대의 설화집인 『무명초자』에서는 세이 쇼나곤이 중궁 정자의 전성기만 쓰고 몰락은 언급하지 않은 것을 칭찬했고, 쥬쿤쇼에서는 향로봉의 눈 장면을 인용하며 그녀를 높이 평가했다.[20]
에도 시대에는 키타무라 키긴의 『죠로가나 몬가타리』, 아사이 료이의 『혼쵸 조칸』 등에서 현명한 여인의 예로 칭송받았다. 그러나 국학자 안도 다메아키는 『시케 시치론』에서 세이 쇼나곤의 재능 부족과 현명한 척하는 태도를 비판했다.
메이지 시대 초기 『일본문학사』의 저자 미카미 산지는 무라사키 시키부의 온화함과 정숙함을 칭찬한 반면, 세이 쇼나곤은 겸손함이 없고 학식을 자랑한다고 비난했다. 일본의 여성 해방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세이 쇼나곤을 "새로운 여성"에 비유하며 비난하는 평론도 등장했지만, 요사노 아키코처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도 있었다.
메이지 시대 이후 세이 쇼나곤에 대한 평가는 주로 무라사키 시키부와 비교되며, 마쿠라노소시에 대한 평가가 세이 쇼나곤에 대한 평가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많은 경우 봉건적인 여성관에 따라 무라사키 시키부를 칭찬하고 세이 쇼나곤을 비난했다. 다나베 세이코는 무카시・아케보노(1983년)를 집필하며 읽은 연구서들이 세이 쇼나곤에게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차가운 평가"를 내리고 있다고 언급했다. 국문학자 후지오카 사쿠타로는 세이 쇼나곤이 "거만한 성격"을 드러내며, "미인이 아니었기 때문에" 학식을 자랑한다고 평가했고, 평론가 나카노 고지는 "천박한 고전"이라고 비판했다. 이러한 경향은 1970년대까지 이어졌다.
7. 관련 전설 및 유적
일본 각지에는 세이 쇼나곤의 무덤이라고 전해지는 곳들이 남아 있다.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센류지(泉涌寺)에는 세이 쇼나곤의 가비(歌碑)가 있다. 가마쿠라 시대에는 세이 쇼나곤의 저서로 여겨졌던 《마쓰시마 일기(松島日記)》라는 기행문이 있었으나, 에도 시대에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이를 위서라고 판명하였다.[18]
8. 현대의 창작물
세이 쇼나곤은 여러 현대 창작물에서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거나 중요한 모티브가 되었다.
분야 | 작품명 및 설명 |
---|---|
영화 | 피터 그리너웨이의 맥관초(1996년), 천년의 사랑 빛나는 원씨 이야기(2001년) |
애니메이션 영화 | 마이마이 신코와 천년의 마법, 초록빛 나기코들 |
텔레비전 드라마 | 여인 연도, 빛나는 그대에게 |
텔레비전 프로그램 | 만가로 읽는 맥관초, 역사 비화 히스토리아 |
무대 | 자식부 다이어리|자식부 다이어리일본어 (연출|연출일본어: 미타니 코키, 2014년 11월, PARCO 극장, 연기|연기일본어: 사이토 유키)[1] |
만화 | 공주님을 위해서라면 죽을 수 있어, 날뛰는 소납언, 세이 쇼나곤이라고 합니다 |
소설 | 清少納言なぎこ일본어 시리즈, 『달의 고리 초자』, 『꽃과 꿈』 |
8. 1. 영화
8. 2. 애니메이션 영화
8. 3. 텔레비전 드라마
- 여인 연도(1958년, CBC 텔레비전, 연기: 모리 타카코)
- 빛나는 그대에게(2024년 1월 7일 ~, NHK 대하 드라마, 연기: 퍼스트 서머 우이카)
- * 역할 이름은 '''키쿄'''이다.
8. 4. 텔레비전 프로그램
- 만가로 읽는 맥관초 (1988년~1989년, NHK, 연기: 토리고에 마리)
- 역사 비화 히스토리아 제174회 「「봄은 아케보노」의 비밀 〜세이 쇼나곤 슬픈 사랑 이야기〜」 (2014년 4월 2일, NHK, 연기: 우에하라 타카코)
8. 5. 무대
자식부 다이어리일본어 (연출: 미타니 코키, 2014년 11월, PARCO 극장, 연기: 사이토 유키)[1]8. 6. 만화
- 쿠즈시로의 만화 『공주님을 위해서라면 죽을 수 있어』(2010년~)에 등장한다.
- 카카시 아사히로의 만화 『날뛰는 소납언』(2007년~2010년)의 주인공이다.
- 야마토 카즈키의 만화 『봄은 아케보노 살인 사건』(2007년)에 등장한다.
- 스기타 케이의 만화 『초역 백인일수 우타코이. 3』에 등장한다.
- 피치-핏의 만화 『세이 쇼나곤이라고 합니다』(2019년~)의 주인공이다.
8. 7. 소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清少納言枕草紙抄
[4]
서적
[5]
서적
[6]
웹사이트
清少納言と餅餤 (Sei Shōnagon and ''beidan'')
https://www.toraya-g[...]
2019-01-22
[7]
서적
The Pillow Book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Ltd.
[8]
서적
The Pillow Book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Ltd.
[9]
서적
清少納言の女房名
東京堂出版
[10]
서적
清少納言伝記攷
畝傍書房
[11]
문서
尊卑分脈
[12]
문서
御堂関白記
[13]
학술지
清少納言の居宅ー『公任卿集』注釈余滴
風間書房
[14]
학술지
清少納言の晩年と「月の輪」
1981-02
[15]
문서
異本による。流布本では31首。
[16]
문서
勅撰作者部類
[17]
웹사이트
清少納言の歌碑
https://youhobito.li[...]
京都より愛をこめて
2024-01-17
[18]
학술지
阿波の尼塚
三元社
1934-02-01
[19]
웹사이트
清少納言の墓所(天塚堂)
https://kannonji-bot[...]
徳島鳴門 観音寺
2020-03-16
[20]
문서
ただし定子ではなく一条天皇とのやり取りとする錯誤がある。
[21]
서적
마쿠라노소시
갑인공방
[22]
문서
와카나 단카를 짓는 사람을 일컬음
[23]
논문
만년의 세이 쇼나곤
[24]
문서
《마쿠라노소시》115단 '애처로운 것'
[25]
문서
같은 책 99단 '노부미쓰와 세족'
[26]
서적
절대지식 인문고전
이다미디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