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커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이커매는 매목에 속하는 대형 맹금류로, 중앙 유럽에서 중앙 아시아에 걸쳐 분포하며, 4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알타이 산맥 지역의 일부 세이커매는 알타이 매로 불리며, 과거에는 별도의 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세이커매의 한 형태로 간주된다. 세이커매는 매사냥에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며, 헝가리와 몽골의 국조로 지정될 정도로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서식지 파괴와 불법 포획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세이커매는 밀접하게 관련된 매목 복합체에 속한다. 이 그룹 내에서는 광범위한 잡종교배와 불완전 계통 분류가 일어나고 있어, DNA 염기 서열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표본 크기가 작은 분자 연구로는 세이커매 그룹 전체에서 신뢰할 수 있는 결론을 도출하기 어렵다.
2. 분류 및 계통
세이커매의 살아있는 다양성은 불과 130,000~115,000년 전인 에에미안 간빙기 말 후기 홍적세에 방사된 것으로 보인다. 세이커매는 동부 지중해 지역을 거쳐 북동 아프리카에서 동남 유럽과 아시아 내륙으로 확장된 계통을 나타낸다.
사육 상태에서, 벌매와 세이커매는 교배할 수 있으며, 흰매와 세이커매의 잡종도 가능하다.
종명인 ''cherrug''는 암컷 세이커매를 지칭하는 신드어 이름 ''charg''에서 유래되었다. 일반명인 "saker"는 "매"를 의미하는 صقر|translit=Ṣaqrar에서 유래되었다.
2. 1. 아종
세이커매는 [https://www.worldbirdnames.org/new/bow/falcons/ IOC 세계 조류 목록]에 따르면 국제 조류학에서 공식적으로 4개의 아종으로 인정받고 있다.
아종 | 분포 지역 |
---|---|
F.c. cherrug | 중앙 유럽에서 중앙 아시아까지 분포하는 기준 아종 |
F.c. coatsi | 서 및 남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사막 지역 아종 |
F.c. milvipes | 중앙 아시아 대부분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전형적인 아종 |
F.c. hendersoni | 티베트와 칭하이 고원의 고지대 아종 |
알타이 산맥 분포역 북동쪽 가장자리에 있는 일부 세이커매는 약간 더 크고, 더 어둡고, 아랫부분에 더 뚜렷한 반점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알타이 매'''로 알려져 있으며, 과거에는 별도의 종 '''''"Falco altaicus"''''' 또는 세이커매와 흰매 사이의 잡종으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현대에는 세이커매의 한 형태로 취급하며, 집단 유전학 및 생태학에 대한 새로운 연구도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한다.[6]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3-44534-4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알타이 매는 더 넓은 아시아 세이커매 집단과 유전적으로 혼합되어 별개의 클러스터를 구성하지 않으므로, 이는 단순히 색상 변이일 뿐 별도의 분류학적 실체를 나타내지 않는다.
2. 2. 알타이 매
알타이 산맥 분포 지역 북동쪽 끝자락에 있는 일부 세이커매는 약간 더 크고, 더 어둡고, 아랫부분에 더 뚜렷한 반점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알타이 매'''로 알려져 있으며, 과거에는 별도의 종 '''''"Falco altaicus"''''' 또는 세이커매와 흰매 사이의 잡종으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현대의 견해는 그들을 세이커매의 한 형태로 취급하며, 집단 유전학 및 생태학에 대한 새로운 연구도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한다.[6]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알타이 매는 더 넓은 아시아 세이커매 집단과 유전적으로 혼합되어 별개의 클러스터를 구성하지 않으므로, 이는 단순히 색상 변이일 뿐 별도의 분류학적 실체를 나타내지 않는다.3. 형태
세이커매는 매목 중 대형종으로, 알락매보다 크고 몸길이는 57cm, 날개 길이는 97cm~126cm로 흰꼬리수리매와 거의 비슷하다. 수컷의 몸무게는 730g~990g이며 암컷의 몸무게는 970g~1300g이다.[6] 좀 더 크고 갈색을 띤 황새매를 닮았으며, 근연종인 알락매보다 크고 몸집이 더 튼튼하다.[6]
세이커매는 깃털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수컷과 암컷은 크기를 제외하면 유사하며, 어린 새도 마찬가지지만, 더 어둡고 줄무늬가 더 뚜렷한 경향이 있다. 울음소리는 날카로운 ''끼이'' 소리나 반복적인 ''꺅-꺅-꺅'' 소리다.[6]
4. 생태
세이커매는 나무나 절벽이 있는 탁 트인 초원을 선호하는 맹금류이다. 종종 높은 곳에서 급강하하는 매와 달리 수평 비행으로 사냥하며, 주로 설치류와 새를 먹는다. 유럽에서는 유럽땅다람쥐와 집비둘기가 가장 흔한 먹이이다. 이 종은 일반적으로 스스로 둥지를 짓지 않고, 황새, 까마귀 또는 말똥가리와 같은 다른 새들이 이전에 사용했던 나무의 낡은 나뭇가지 둥지에 3~6개의 알을 낳는다. 또한 종종 절벽에서도 둥지를 짓는다.
세이커매의 둥지는 종이 풍부한 공생 곤충의 집합체를 지원한다. 스텝 등의 평원에 서식하며, 식성은 동물성으로 조류, 포유류를 포식한다.
5. 분포
6. 인간과의 관계
세이커매는 수천 년 동안 매사냥에 사용되어 왔으며, 흰꼬리수리매와 마찬가지로 매사냥에서 매우 높이 평가받고 있다. 빠르고 강력하여 중간 크기에서 큰 크기의 사냥감 조류 종에 효과적이다. 시속 120km~150km 속도로 먹이에게 덮칠 수 있다.[11] 송골매와의 잡종 교배를 통해 해충으로 간주되는 더 큰 새들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12][13]
국제 조류 보호 협회는 급격한 개체 수 감소, 특히 중앙 아시아 번식지에서의 감소를 이유로 세이커매를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소련 붕괴 이후 아랍 에미리트는 수천 마리의 매가 불법적으로 포획되어 암시장에서 거액에 판매되는 주요 목적지가 되었다. 카자흐스탄은 매년 최대 1,000마리의 세이커매를 잃는 것으로 추정된다.
세이커매는 서식지 손실 및 파괴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04년에는 개체 수가 7,200마리에서 8,800마리 사이로 추정되었으나, 넓은 지역의 외딴 지역에서 낮은 밀도로 서식하여 분포 상태를 평가하기 어렵다. 미국, 캐나다 및 유럽에는 여러 인공 번식 프로젝트가 있다. 아시아에서 세이커매의 가장 극적인 감소는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에서 나타났으며, 반대로 헝가리에는 강력하게 보호되고 비교적 풍부한 개체군이 존재한다.
세이커매는 조류 인플루엔자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병원성 H5N1(사우디 아라비아에서) 및 H7N7(이탈리아에서) 균주에 감염된 개체가 발견되었다. 실험 결과, 상업용 H5N2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한 흰꼬리-세이커 잡종 매는 고병원성 H5N1 균주 감염에서 살아남았지만,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매는 사망했다. 이는 세이커매가 적어도 사육 상태에서는 백신 접종을 통해 조류 인플루엔자로부터 보호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6. 1. 매사냥
세이커매는 수천 년 동안 매사냥에 사용되어 왔으며, 매우 가까운 친척인 흰꼬리수리매와 마찬가지로 매사냥에서 매우 높이 평가받고 있다. 빠르고 강력하여 중간 크기에서 큰 크기의 사냥감 조류 종에 효과적이다. 세이커매는 시속 120km~150km 속도에 도달하여 갑자기 먹이에게 덮칠 수 있다.[11] 세이커매와 송골매는 잡종 교배를 통해 해충으로 간주되는 더 큰 새들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매를 제공할 수 있다.[12][13]6. 2. 보전 상태
국제 조류 보호 협회는 급격한 개체 수 감소, 특히 중앙 아시아 번식지에서의 감소를 이유로 이 새를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소련 붕괴 이후 아랍 에미리트는 수천 마리의 매가 불법적으로 포획되어 암시장에서 거액에 판매되는 주요 목적지가 되었다. 카자흐스탄은 매년 최대 1,000마리의 세이커매를 잃는 것으로 추정된다.이 종은 또한 서식지 손실 및 파괴로 인해 압박을 받고 있다. 2004년에는 개체 수가 7,200마리에서 8,800마리 사이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세이커매는 넓은 지역의 외딴 지역에서 낮은 밀도로 서식하여 분포 상태를 평가하기 어렵다. 기후 틈새 모델링 연구는 표적 개체 수 조사를 위해 특정 외딴 지역을 정확히 지적했다.[7] 미국, 캐나다 및 유럽에는 여러 개의 인공 번식 프로젝트가 있다. 아시아에서 세이커매의 가장 극적인 감소는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에서 나타났다. 반대로, 헝가리에는 강력하게 보호되고 비교적 풍부한 개체군이 존재한다.
세이커매는 조류 인플루엔자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병원성 H5N1(사우디 아라비아에서) 및 H7N7(이탈리아에서) 균주에 감염된 개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잡종 흰꼬리-세이커매를 대상으로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상업용 H5N2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한 5마리의 매가 고병원성 H5N1 균주 감염에서 살아남았지만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5마리의 매는 사망했다. 이는 세이커매가 적어도 사육 상태에서는 백신 접종을 통해 조류 인플루엔자로부터 보호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7. 문화
헝가리 신화 속 새인 투룰은 아마도 사커 매(''kerecsensólyom'')였으며, 사커 매는 헝가리의 국조이다.[8][9] 2012년, 사커 매는 몽골의 국조로 선정되었다.[10]
참조
[1]
간행물
"''Falco cherrug''"
2021-11-12
[2]
웹사이트
Saker Falcon entry at Abu Dhabi Environment division
https://www.ead.gov.[...]
[3]
논문
The falcon's stoop
2004-01
[4]
논문
Why peregrine falcons are the ultimate status symbol in the Middle East
https://www.telegrap[...]
2021-06-20
[5]
웹사이트
Saker Falcon entry at Abu Dhabi Environment division
https://www.ead.gov.[...]
[6]
서적
Saker Falcon (''Falco cherrug'')
https://www.hbw.com/[...]
Lynx Edicions, Barcelona
[7]
논문
Climatic niche of the Saker Falcon ''Falco cherrug'': predicted new areas to direct population surveys in Central Asia
2020
[8]
논문
The Rise of a Fallen Feather: The Symbolism of the Turul Bird in Contemporary Hungary
https://www.e-flux.c[...]
2014
[9]
논문
Saker Falcon protection in Eastern Europe
http://www.mefrg.org[...]
2000-01
[10]
웹사이트
Saker Falcon – National Bird for Mongolia
http://mos.mn/index.[...]
[11]
웹사이트
The Saker Falcon in Austria/biology
https://saker-info.a[...]
2020-12-27
[12]
웹사이트
Hybrid Birds of Prey
https://raptoriduk.t[...]
2023-05-27
[13]
웹사이트
Hybrid Falcons
https://effectivebir[...]
2023-05-27
[14]
뉴스
珍鳥、セーカーハヤブサ 宮古島で国内初確認
http://ryukyushimpo.[...]
琉球新報
2008-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