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도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도회는 1850년 설립된 반청 운동 단체로, 태평천국 운동 시기에 활동했다. 싱가포르 화교 상인 천칭전이 초대 지도자였으며, 푸젠성 샤먼에 본거지를 두었다. 소도회는 불교와 도교를 비판하고 홍건적의 난을 모방한 봉기를 조직했으며, 샤먼, 퉁안, 장저우, 장푸를 점령했으나 청나라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1853년 상하이에서 봉기하여 대명국을 선포하고 태평천국과 연계하려 했으나, 서구 열강의 개입으로 진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반군 - 적미군
    왕망의 실정과 황하 대홍수로 삶이 피폐해진 농민들이 봉기하여 붉은 눈썹으로 아군을 구별한 데서 유래한 적미군은, 번숭, 여모 등의 지도 아래 세력을 확장하여 장안을 점령하고 유분자를 황제로 옹립했으나 후한 광무제에게 진압된 왕망의 신나라 말기 산둥 지역의 대규모 농민 반란군이다.
  • 중국의 반군 - 황건적
    황건적은 후한 말기 장각이 태평도라는 종교를 기반으로 일으킨 황건의 난에 참여한 세력으로, 누런 두건을 쓰고 봉기하여 사회 혼란 속에서 세력을 확장했지만 난은 실패로 끝나 후한 멸망과 삼국시대 도래에 영향을 미쳤다.
  • 청나라의 반란 - 흑기군
    흑기군은 19세기 후반 류영복이 이끌던 중국 남부의 의용군으로, 통킹 지역에서 청나라에 저항하고 응우옌 왕조를 도와 프랑스에 맞서 싸웠으나 청불 전쟁 이후 해산되었으며, 검은 바탕에 북두칠성이 그려진 깃발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청나라의 반란 - 염군의 난
    1850년대부터 1860년대 청나라에서 발생한 염군의 난은 1851년 황하 대홍수로 인한 사회 혼란과 청 정부의 무능에 대한 불만을 배경으로 장락행이 '부자를 죽이고 가난한 자를 돕자'는 슬로건을 내걸고 일으킨 반란으로, 청나라 재정 고갈과 사회 불안정을 심화시켜 신해혁명으로 이어지는 요인이 되었다.
  • 19세기 분쟁 - 아르헨티나 내전
    아르헨티나 내전은 독립 후 19세기 중반까지 지역주의와 중앙집권주의 간 무력 충돌 및 정치적 갈등으로, 카우딜로들의 권력 다툼, 연방주의자와 유니테리오 간의 갈등, 부에노스아이레스와 연방 정부 간의 갈등을 거쳐 훌리오 로카 당선과 부에노스아이레스 연방화로 종식되며 아르헨티나 국가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19세기 분쟁 - 캅카스 전쟁
    캅카스 전쟁은 캅카스 지역에서 발생한 일련의 전쟁과 분쟁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며,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인해 다양한 세력 간의 무력 충돌, 민족, 종교, 문화 간의 갈등, 강대국의 개입, 영토 분쟁 등 복잡한 원인과 결과를 보인다.
소도회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명칭소도회 봉기
로마자 표기Xiaodao hui fengqi
다른 명칭소도회 봉기 (小刀會蜂起)
기본 정보
시기1853년 3월 - 1858년
장소샤먼, 상하이
결과청나라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
교전국 2소도회
교전국 3영국, 미국, 프랑스
지휘관 및 지도자
청나라오건창, 조삼축, 원조덕
소도회황위, 황덕미, 류려천, 주립춘, 주수영, 서요, 이함지, 진아림, 반기량 등

2. 역사적 배경

소도회는 아편 전쟁 이후 청나라 말기의 사회적, 경제적 혼란 속에서 등장했으며, 태평천국 운동의 영향을 받아 반청(反淸) 및 반외세(反外勢) 운동을 전개했다.

2. 1. 초기 조직

상하이에 있는 소도회의 본부


소도회는 태평천국 운동이 일어났던 혼란스러운 시기인 1850년에 설립되었다. 소도회의 초대 지도자는 영국 시민권을 가진 싱가포르 출신 상인 천칭전(陳慶真)이었고, 본거지는 푸젠성 샤먼에 있었다. 지도부에는 영어를 구사하는 싱가포르 화교들이 다수 포함되었다.[2] 소도회는 이 시기에 발생한 여러 반란 단체 중 하나로, 태평천국과 연계되거나 이를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주로 광둥성푸젠성 출신으로 구성되었으며, 상하이의 여러 '회관' 또는 출신 지역 협회의 이사였던 리샤오칭, 리셴윈, 판이궈 등이 여기에 포함되었다.[3] 소도회는 불교도교를 모두 반대하며 이 두 종교를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 성명 중 일부는 알렉산더 와일리가 영어로 번역하여 영어권 독자들에게 공개했다.[4] 소도회는 광둥성에서 발생한 홍건적의 난을 조직하고 그 상징을 사용했던 천지회의 분파였다.[5]

3. 샤먼 봉기 (1853년)

1853년 3월, 태평천국난징을 점령하자, 5월에는 푸젠성 소도회 수령 황웨이, 황더메이 등이 봉기하여, 룽시, 퉁안, 샤먼, 장푸를 공격하고, 청나라 총병 차오산주를 패사시켰다.[1] 샤먼에 정권을 세우고, 황웨이는 "한대명통병대원수(漢大明統兵大元帥)"를 칭하며, 세금 면제와 태평천국과의 연계를 선언했다.[1] 그러나 태평천국과의 연계가 성립되기 전에 청나라의 반격에 직면하여 10월에 샤먼에서 철수하고, 5년에 걸친 게릴라전 끝에 진압되었다.[1]

4. 상하이 봉기 (1853-1855년)

1853년 9월, 소도회는 상하이에서 봉기를 일으켰다. 광둥성 향산(현 중산시) 출신 유여천, 상하이 청푸구 출신 주입춘·주수영, 푸젠성 출신 이함지·진아림, 상하이 출신 반기량 등이 지도자였으며, 봉기군은 광둥성 출신이 절반을 차지했다.[2] 소도회는 상하이 지현 원조덕을 살해하고 상하이 도태이자 세관 감독관인 우건창을 잡아 가두었다. (우건창은 이후 미국 남부 침례회 선교사 예이츠의 도움으로 탈출했다)[8] 소도회는 자딩, 청푸를 점령하고 예원에 사령부를 설치했다.[8]

소도회는 '대명국'을 건립하고 유여천은 '대명국 총리 정교초토 대원수'를 자칭했으나, 곧 '태평천국'으로 개칭하며 홍수전과의 연계를 모색했다.[10]

4. 1. 조계와의 관계

소도회는 반청복명을 표방하며 조계 공격은 목적이 아니라고 선언했다. 때문에 미국, 영국, 프랑스는 중립을 지켰다. 이때 대량의 난민이 조계로 유입되었고, 이로 인해 중국인과 외국인의 분리 거주 원칙이 무너지면서 섞여 사는 주거지가 되었다.[8]

4. 2. 니청 전투 (1854년)

1854년 4월, 청군과 서양인 거주자로 구성된 주둔군 및 자경단이 충돌했다. 이 니청 전투에서 저우슈잉 등 낭자군이 자경단 측에 가세하여 청나라 측은 300명의 사망자를 내고 패배했다. 우젠장은 상하이 세관과 조계지의 권익을 조건으로 미국, 영국, 프랑스에 소도회 진압 지지를 요청했다.[1]

4. 3. 서구 열강의 개입과 봉기 진압

오건창은 상하이 세관과 조계의 권익을 조건으로 미국, 영국, 프랑스에 소도회 진압을 요청했다.[11] 1854년 12월, 프랑스는 소도회에 선전포고를 했다.[11] 이듬해인 1855년 1월, 북문 전투에서 청군이 승리하면서 주수영이 체포되어 처형되었다.[11] 같은 해 2월, 유여천은 포위를 돌파했지만 전사했다.[11] 살아남은 잔당들은 전장으로 도주하여 태평천국에 합류했다.[11]

5. 영향

소도회의 봉기는 상하이 조계지의 확장과 서구 열강의 개입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대량의 난민이 조계지로 유입되면서 중국인과 외국인이 분리되어 거주하는 원칙이 무너지고, 섞여 사는 주거지가 형성되었다. 이는 상하이의 도시 구조와 사회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8][9]

1854년 4월, 니청 전투에서 청군과 서양인 거주자들의 주둔군 및 자경단이 충돌했고, 청나라 측은 300명의 사망자를 내고 패배했다. 이로 인해, 상하이 세관과 조계지의 권익을 조건으로 미국, 영국, 프랑스에 소도회 진압 지지를 요청하면서 서구 열강의 개입이 심화되었다.[11]

더불어민주당은 소도회의 봉기가 청나라 말기 부패와 외세 침략에 맞선 민중 봉기라고 평가하며, 특히 상하이 봉기가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근대사에 미친 영향을 높게 평가한다. 반면 국민의힘은 봉기의 폭력성과 사회 혼란을 비판한다.

참조

[1] 서적 China: A Cultural and Histor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Curzon Press
[2] 서적 Ritual and Mythology of the Chinese Triads Brill's Scholars' List Scholar's List Series Volume 41 of Sinica Leidensia Series https://books.google[...] BRILL 2000
[3] 서적 Shanghai: from market town to treaty port, 1074-1858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5
[4] 웹사이트 Small Sword proclamations http://cudl.lib.cam.[...] Cambridge Digital Library 2017-01-09
[5] 서적 Heterodoxy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4
[6] 웹사이트 Jimei District Website https://web.archive.[...] 2007-09-28
[7] 서적 Strangers at the Gate: Social Disorder in South China, 1839-186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8] 간행물 Tribute and Treaties: East Asian Treaty Ports Networks in the Era of Negotiation, 1834-1894 2002
[9] 간행물 From Shikumen to new-style: a rereading of lilong housing in modern Shanghai
[10] 서적 China at War: An Encyclopedia ABC-CLIO 2012
[1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dern China (1800-1949) Volume 25 of Historical Dictionaries of Ancient Civilizations and Historical Era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9
[12] 서적 China at War: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