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속귀신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속귀신경은 청각과 평형 감각을 담당하는 뇌신경으로, 달팽이 신경과 전정 신경으로 구성된다. 달팽이 신경은 청각을 담당하며, 코르티 기관의 유모 세포에서 발생한 신경 신호를 뇌간으로 전달한다. 전정 신경은 전정 기관에서 감지된 몸의 기울기, 회전 등의 정보를 뇌간의 전정 신경핵으로 전달하여 평형 감각을 담당한다. 속귀신경 손상은 청력 손실, 현훈, 평형 감각 상실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린네 검사, 웨버 검사 등을 통해 청력 손실의 유형을 감별할 수 있다. 과거에는 청각 신경으로 불렸으나, 현재는 속귀신경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뇌신경 - 삼차신경
    삼차신경은 뇌신경 중 하나로, 얼굴과 입의 감각 및 저작근 운동을 담당하며, 눈신경, 위턱신경, 아래턱신경의 세 가지 가지로 구성되고, 삼차신경통 등 다양한 임상적 중요성을 가진다.
  • 뇌신경 - 미주신경
    미주신경은 뇌에서 시작하여 내장을 지배하며 심박수 조절, 위장관 운동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미주신경 자극술은 치료에 사용되며 기능 장애는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이비인후과 - 구강암
    구강암은 구강에 생기는 악성 종양으로, 흡연, 음주,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등이 주요 원인이며,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 등으로 치료한다.
  • 이비인후과 - 벨 마비
    벨 마비는 얼굴 신경의 기능 장애로 얼굴 한쪽이 처지는 질환으로, 바이러스 감염 등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스테로이드 투여, 눈 보호, 물리치료 등으로 회복을 도울 수 있고 뇌졸중 등 유사 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속귀신경
개요
이름속귀신경
라틴어 이름nervus vestibulocochlearis
관자뼈에서 얼굴신경의 주행 경로
관자뼈에서 얼굴신경의 주행 경로
사람 뇌를 아래에서 본 모습. 뇌신경이 표시되어 있다.
사람 뇌를 아래에서 본 모습, 뇌신경이 표시되어 있다.
기능청각, 균형
분지달팽이신경
안뜰신경
세부 정보
뇌신경 번호CN VIII
역할감각
기원뇌교와 숨뇌 사이의 경계
뇌신경핵달팽이 신경핵
안뜰 신경핵
분포달팽이, 반고리관, 난형낭, 구형낭

2. 구조

속귀신경은 대부분 양극성 신경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각 정보를 전달하는 달팽이 신경과 평형 정보를 전달하는 전정 신경의 두 가지 분지로 나뉜다.[1] 이 두 신경은 연수에서 나와 측두골의 내이도를 통해 두개골 내부를 빠져나온다.[1]

속귀신경은 뇌간의 중간 부분인 교뇌(이후 대부분 소뇌로 가는 섬유로 구성됨)로 향하며, 교뇌와 숨뇌(뇌간의 하부) 사이를 통과한다. 소뇌교각은 교뇌, 숨뇌, 소뇌 사이의 연결 부위로, 속귀신경은 이 부분을 지나간다.[1] 미로 동맥은 보통 전하소뇌동맥에서 분기되어 소뇌교각에서 시작하여 7번 신경과 함께 내이도를 통해 내이로 향한다.[1]

2. 1. 달팽이 신경

달팽이관의 코르티 기관에서 시작되며, 나선 신경절을 통해 청각 정보를 전달한다. 코르티 기관의 유모 세포는 소리에 의한 압력파에 반응하여 신경 신호를 발생시킨다. 달팽이 신경 세포의 소리 전달 메커니즘은 장소설과 시간설로 설명된다.[1]

2. 2. 전정 신경

내이의 전정 시스템에서 시작된다. 전정 신경절은 양극성 신경세포의 세포체를 가지고 있으며, 다섯 개의 감각 기관으로 돌기를 뻗는다. 이 중 세 개는 반고리관의 팽대부에 위치한 팽대능이다. 팽대능의 유모세포는 회전 가속도에 반응하여 구심성 수용체를 활성화한다. 전정 신경에 의해 공급되는 다른 두 개의 감각 기관은 구형낭과 타원낭의 반점이다. 타원낭의 반점 내 유모 세포는 선형 가속도에 반응하여 구심성 수용체를 활성화하고, 구형낭의 반점 내 유모 세포는 수직 방향의 선형 힘에 반응한다.[1]

반고리관의 팽대부와 난형낭 반점, 구형낭 반점은 기울기회전을 감지한다. 이들 장소에서 나온 섬유는 전정 신경절에 모여 전정 신경이 되어 와우 신경과 함께 내이도를 통과하여 뇌간에 들어간다. 내이 신경이라는 이름은 전정 신경과 와우 신경이 합류하여 내이도를 통과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전정 신경은 상행지와 하행지로 나뉘어 다리와 숨뇌의 경계 부근에 있는 전정 신경핵에서 중계되는 외에, 일부 섬유는 중계되지 않고 하소뇌각을 통과하여 소뇌에 들어간다. 전정 신경핵에서 나온 섬유는 척수, 소뇌, 또는 안구 운동 신경을 지배하는 핵(동안 신경핵, 에딩거-웨스트팔 핵 등)을 향한다.[1]

2. 3. 발생

속귀신경은 배아의 이판에서 유래한다.

3. 기능

속귀신경은 특수 체성 구심성 섬유 유형의 축삭을 전달하며, 청각과 평형 감각을 담당한다.[1]

3. 1. 청각 기능

달팽이신경달팽이관코르티기관 속 유모세포에서 시작하여 뇌줄기달팽이핵으로 청각 정보를 전달한다. 이 정보는 나선신경절의 양극신경원 중추돌기를 통해 전달되며, 상올리브핵에서 나오는 원심섬유도 포함되어 있다.[1] 뇌로 들어간 일차청각섬유는 배쪽달팽이핵과 등쪽달팽이핵에서 처리된다.[1] 이렇게 처리된 청각 정보는 대뇌 청각 피질로 전달되어 소리를 인식하게 된다.

3. 2. 평형 기능

전정 신경은 전정 기관에서 감지된 몸의 기울기, 회전 등의 정보를 뇌줄기의 전정 신경핵으로 전달한다. 전정 신경핵은 척수, 소뇌, 눈 운동 신경핵 등과 연결되어 자세 유지 및 평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정척수로는 추체외로성 운동계의 일부로, 대뇌 피질을 거치지 않고 운동 신경에 직접 작용하여 무의식적인 평형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1]

전정 신경핵에서 외안근을 지배하는 핵으로 들어간 섬유는 머리가 움직일 때 안구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시선이 같은 대상을 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예시로 안구 머리 반사, 또는 '''인형 눈 현상'''이라고 불리는 반사가 있다. 이 현상은 다른 사람이 머리를 갑자기 억지로 다른 방향으로 돌렸을 때, 안구가 원래 방향에 남아있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외이도에 다량의 냉수를 주입하면 안구가 자극과 반대쪽으로 향하는 반사(온수에서는 자극 측을 향하는 반사)도 전정 신경에 의한 것으로, '''전정 반사'''라고 불린다.[1]

4. 주행 경로

속귀신경은 교뇌연수 경계에서 나와 내이도를 통해 측두골 내부로 들어간다. 달팽이신경은 나선 신경절에서 기원하여 달팽이관의 코르티 기관 유모세포에 분포하며 청각을 담당한다. 전정 신경은 전정 신경절에서 기원하여 반고리관, 타원낭, 구형낭에 분포하며 평형 감각을 담당한다. 달팽이 신경과 전정 신경은 내이도 내에서 합쳐져 속귀신경을 형성한다.[1]

달팽이신경(VIIIc)은 달팽이축에 위치한 나선신경절에서 기원한 양극신경원의 중추돌기가 이루는 신경이다.[1] 나선신경절 신경원의 말초돌기는 달팽이관 아래쪽에 위치한 코르티기관의 유모세포에 분포한다.[1] 나선신경절 신경원의 중추돌기가 이루는 달팽이신경은 전정신경, 안면신경과 함께 내이도를 지나 소뇌교뇌각에서 전정신경의 외측 등쪽, 약간 아래쪽에서 뇌간으로 들어간다.[1]

뇌간으로 들어간 일차청각섬유는 배쪽달팽이핵과 등쪽달팽이핵에서 종지한다.[1] 달팽이신경에는 상올리브핵에서 기원되는 원심섬유(올리브달팽이섬유다발)도 섞여 있다.[1]

속귀신경은 보통 전하소뇌동맥에서 분기되어 소뇌교각에서 시작하여 7번 신경과 함께 내이도를 통해 내이로 향하는 미로 동맥과 동행한다.[1]

전정 신경은 내이의 전정 시스템에서 이동한다. 전정 신경절은 양극성 신경세포의 세포체를 수용하고, 다섯 개의 감각 기관으로 돌기를 뻗는다.[1] 이 중 세 개는 반고리관의 팽대부에 위치한 팽대능이다. 팽대능의 유모 세포는 회전 가속도에 반응하여 구심성 수용체를 활성화한다.[1] 전정 신경에 의해 공급되는 다른 두 개의 감각 기관은 구형낭과 타원낭의 반점이다.[1] 타원낭의 반점 내 유모 세포는 선형 가속도에 반응하여 구심성 수용체를 활성화하고, 구형낭의 반점 내 유모 세포는 수직 방향의 선형 힘에 반응한다.[1]

반고리관의 팽대부와 난형낭 반점, 구형낭 반점은 기울기회전을 감지한다. 이들 장소에서 나온 섬유는 전정 신경절에 모여 전정 신경이 되어 와우 신경과 함께 내이도를 통과하여 뇌간에 들어간다. 내이 신경이라는 이름은 전정 신경과 와우 신경이 합류하여 내이도를 통과하는 부분을 가리킨다.[1] 전정 신경은 상행지와 하행지로 나뉘어 다리와 숨뇌의 경계 부근에 있는 전정 신경핵에서 중계되는 외에, 일부 섬유는 중계되지 않고 하소뇌각을 통과하여 소뇌에 들어간다.[1] 전정 신경핵에서 나온 섬유는 척수, 소뇌, 또는 안구 운동 신경을 지배하는 핵(동안 신경핵, 에딩거-웨스트팔 핵 등)을 향한다.[1]

5. 임상적 의의

속귀신경 손상은 청력 손실, 현훈, 잘못된 움직임 감각, (어두운 곳에서의) 평형 감각 상실, 안진(눈떨림), 멀미, 시선 유발 이명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2]

5. 1. 검사 방법

린네 검사와 웨버 검사를 통해 청력 손실의 유형을 감별할 수 있다. 린네 검사에서 골전도(BC)가 기전도(AC)보다 크면(BC>AC) 전도성 난청, AC>BC이고 웨버 검사에서 정상적인 쪽으로 편향되면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진단한다.[1]

순음 청력 검사에서 500–8000 Hz 주파수에서 AC와 BC 반응이 25 dB HL보다 좋으면 정상, 25 dB HL보다 나쁘고 AC와 BC 차이가 10 dB 이내면 감각신경성 난청, BC는 정상인데 AC가 25 dB HL보다 나쁘고 AC와 BC 간격이 10 dB 이상이면 전도성 난청으로 판단한다.[1]

청각학자들은 수정된 휴슨-웨스트레이크(Hughson–Westlake) 방법을 사용하여 청력 검사를 진행한다. 이 검사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

  • 이경 검사: 외이도와 고막을 확인한다.
  • 고실 측정법: 고막의 임피던스와 움직임을 평가한다.
  • 이음향 방사: 달팽이관 외유모 세포 반응을 측정한다.
  • 순음 검사: 난청 종류, 심각도, 병리를 결정한다.
  • 언어 검사: 들리는 말을 따라 하는 능력을 측정한다.


난청은 와우 신경 이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높은 음이 잘 들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외이도 또는 중이 이상으로 소리가 전달되지 않으면 낮은 음이 잘 들리지 않는다. 이명은 와우 신경 문제인 경우 높은 음, 소리 전달 기전 문제인 경우 낮은 음인 경우가 많다.[1]

전정 반사(온도 안진 검사)는 전정 신경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며, 뇌사 판정에도 활용된다. 얼음물을 사용하며, 안구가 자극 측으로 향하는 것이 정상 소견이다. 자극에 반응하는 안구 운동이 조금이라도 보이면 뇌간 기능이 남아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1]

5. 2. 관련 질환

난청은 와우 신경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높은 음이 잘 들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외이도 또는 중이에 이상이 있어 소리가 와우까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낮은 음이 잘 들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명은 와우 신경에 원인이 있는 경우 높은 음인 경우가 많고, 소리를 전달하는 기전에 원인이 있는 경우 낮은 음인 경우가 많다. 이 외에도, 청각 이상을 확인하는 검사로 린네 검사, 웨버 검사가 있다.

전정 반사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전정 신경의 이상을 의심할 수 있다.

5. 3. 약물 부작용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스트렙토마이신 등) 투여 시 약물 부작용으로 제8뇌신경(속귀신경) 손상이 나타날 수 있다.

6. 역사

과거에는 속귀신경을 청신경으로 부르기도 했으나,[3] 전정 기관의 역할을 고려하여 현재는 '속귀신경'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된다.

참조

[1] 논문 Olivocochlear Efferents in Animals and Humans: From Anatomy to Clinical Relevance 2018-03-26
[2] 논문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gaze-evoked tinnitus
[3] 웹사이트 IX. Neurology. 5h. The Acoustic Nerve. Gray, Henry. 1918. Anatomy of the Human Body. http://www.bartleby.[...] 2022-10-20
[4] 사전 vestibulocochlear nerve https://www.kmle.co.[...]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