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쇼타 초치슈빌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타 초치슈빌리는 소련의 유도 선수이자 프로레슬러였다.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금메달,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1972년부터 1977년까지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메달을 획득했다. 1989년 프로레슬링 선수로 전향하여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했으며, 안토니오 이노키를 상대로 승리하기도 했다. 은퇴 후 유도 코치와 조지아 체육 발전에 기여했으며, 2009년 백혈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아들 라마즈 초치슈빌리 또한 유도 선수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계 소련인 -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는 조지아 공산당 제1서기, 소련 외무장관, 조지아 대통령을 역임하며 냉전 종식에 기여했으나, 재임 기간 중 부패와 민족 분쟁에 직면하여 장미 혁명으로 퇴임하고 2014년 사망했다.
  • 소련의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 - 블라디미르 네브조로프
    블라디미르 네브조로프는 소련의 유도 선수이자 지도자로, 197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소련 및 러시아 유도 국가대표팀 코치, 러시아 유도 연맹 부회장을 거쳐 현재 러시아 유도 연맹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소련의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 - 니콜라이 솔로두힌
    니콜라이 솔로두힌은 1979년 유럽 및 세계 선수권,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유도 금메달을 획득하고 1983년 세계 선수권에서도 우승한 소련의 유도 선수이다.
  • 소련의 남자 유도 선수 - 블라디미르 네브조로프
    블라디미르 네브조로프는 소련의 유도 선수이자 지도자로, 197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소련 및 러시아 유도 국가대표팀 코치, 러시아 유도 연맹 부회장을 거쳐 현재 러시아 유도 연맹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소련의 남자 유도 선수 - 인드레크 페르텔손
    에스토니아 유도 선수 인드레크 페르텔손은 세계 주니어 선수권 동메달과 유럽 주니어 선수권 우승을 시작으로 올림픽 동메달 2개, 세계 유도 선수권 은메달을 획득했다.
쇼타 초치슈빌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초치슈빌리 (왼쪽) 1972년 올림픽
초치슈빌리 (왼쪽) 1972년 올림픽에서
본명쇼타 삼소노비치 초치슈빌리
출생일1950년 7월 10일
출생지소련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렐리 그흘레비
사망일2009년 8월 27일 (향년 59세)
사망지조지아 고리
190 cm
몸무게110 kg
유도 정보
국가소련
체급93 kg, 무제한급
소속 클럽부레베스트니크 고리
세계 랭킹3위
세계 선수권 대회 연도1975년
유럽 선수권 대회 유형EU
유럽 선수권 대회 랭킹2위
유럽 선수권 대회 연도1973년
유럽 선수권 대회 연도 21974년
유럽 선수권 대회 연도 31975년
올림픽 랭킹1위
올림픽 연도1972년
올림픽 체급남자 93 kg급
레슬링 정보
링네임쇼타 초치슈빌리
출신지조지아 그흘레비
데뷔1989년 4월 24일
은퇴1989년 12월 31일
메달 기록 (남자 유도)
올림픽1972 뮌헨: 금메달 (93 kg급)
1976 몬트리올: 동메달 (무제한급)
세계 선수권 대회1975 빈: 동메달 (무제한급)
유럽 선수권 대회1973 마드리드: 은메달 (무제한급)
1974 런던: 은메달 (무제한급)
1975 리옹: 은메달 (무제한급)
1976 키예프: 은메달 (남자 팀)
1977 루트비히스하펜: 동메달 (무제한급)

2. 유도 경력

삼보유도를 병행하며 활동했으며, 1972년에 처음으로 소련 국가대표 선수가 되었다. 그 해에 뮌헨에서 열린 1972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1976년 몬트리올에서 열린 197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1972년부터 1977년까지 초치슈빌리는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4개, 동메달 3개를 획득했으며, 여기에는 1972년 올림픽 금메달도 포함되어 있다.


  • 1972년
  • * 독일 국제 경량급 3위, 무차별급 3위
  • * 폴란드 국제 3위
  • * 1972년 뮌헨 올림픽 우승
  • 1973년
  • * 소련 국제 우승
  • * 유럽 선수권 무차별급 2위
  • 1974년
  • * 유럽 선수권 무차별급 2위
  • * 세계 학생 무차별급 2위
  • 1975년
  • * 소련 국제 헤비급 2위, 무차별급 우승
  • * 유럽 선수권 무차별급 2위
  • * 197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무차별급 3위
  • 1976년
  • * 네덜란드 국제 우승
  • *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무차별급 3위
  • 1977년 - 유럽 선수권 무차별급 3위

2. 1. 주요 국제 대회 성적

쇼타 초치슈빌리는 삼보유도를 병행하며 활동했으며, 1972년에 처음으로 소련 국가대표 선수가 되었다. 그 해 뮌헨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1972년부터 1977년까지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4개, 동메달 3개를 획득했다.

  • 1972년
  • * 독일 국제 경량급 3위, 무차별급 3위
  • * 폴란드 국제 3위
  • * 1972년 뮌헨 올림픽 우승
  • 1973년
  • * 소련 국제 우승
  • * 유럽 선수권 무차별급 2위
  • 1974년
  • * 유럽 선수권 무차별급 2위
  • * 세계 학생 무차별급 2위
  • 1975년
  • * 소련 국제 헤비급 2위, 무차별급 우승
  • * 유럽 선수권 무차별급 2위
  • * 197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무차별급 3위
  • 1976년
  • * 네덜란드 국제 우승
  • *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무차별급 3위
  • 1977년 - 유럽 선수권 무차별급 3위

2. 2. 그 외 전적

쇼타 초치슈빌리는 1972년 독일 국제 경량급과 무차별급에서 각각 3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 폴란드 국제에서 3위에 올랐고,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73년에는 소련 국제에서 우승했다.

1973년 유럽 선수권 무차별급에서 2위를 기록했고, 1974년 유럽 선수권 무차별급과 세계 학생 무차별급에서 2위에 올랐다. 1975년 소련 국제 헤비급 2위, 무차별급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같은 해 유럽 선수권 무차별급 2위, 197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무차별급 3위를 기록했다. 1976년 네덜란드 국제에서 우승했고,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무차별급에서 3위에 올랐다. 1977년에는 유럽 선수권 무차별급에서 3위를 기록했다.

3. 프로레슬링 경력

1989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의 일환으로 스포츠 선수의 프로화가 인정되면서 초치슈빌리는 프로 격투가로 전향하여 그해 4월 24일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등장했다.[2] 안토니오 이노키와 대전하여 5라운드 1분 20초에 치다오바류 뒤집어 던지기 3연발로 KO승을 거두었다.[2] 이 경기는 이노키가 이종 격투기전에서 패배한 유일한 경기이다.[3] 5월 25일 오사카성 홀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2라운드 1분 7초에 이노키에게 뒤 십자 굳히기를 당해 패배했다.[3]

1989년 새해 전날 모스크바에서 열린 신일본 프로레슬링 이벤트에 관련되었다. 태그 팀 매치에서 초치슈빌리는 전 올림픽 레슬링 선수 사이토 마사와 브래드 레인건즈를 꺾었다.

그는 전임적인 프로레슬링 선수가 되는 데 최후적으로 따르지 않고, 이 카드와 함께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떠났다.

3. 1. 신일본 프로레슬링 (1989)

1989년 초치슈빌리는 잠시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했다. 4월 24일 그는 안토니오 이노키를 상대로 종합격투기 경기에 나가 그를 녹아웃으로 꺾고, 이노키의 WWF 세계 무술 헤비급 챔피언십을 우승하였다. 5월 25일 이노키가 항복에 의하여 이긴 5월 25일에 열린 이노키를 상대로 또다른 종합격투기 타이틀을 유지하였다. 그는 1989년 새해 전날 모스크바에서 열린 신일본 프로레슬링 이벤트에 관련되었다. 태그 팀 매치에서 초치슈빌리는 전 올림픽 레슬링 선수 사이토 마사와 브래드 레인건즈를 꺾었다.

그는 전임적인 프로레슬링 선수가 되는 데 최후적으로 따르지 않고, 이 카드와 함께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떠났다.

3. 1. 1. 안토니오 이노키와의 대결

1989년 초치슈빌리는 일본신일본 프로레슬링(NJPW) 프로레슬링 단체에서 잠시 활동했다. 4월 24일, NJPW의 첫 도쿄 돔 대회인 배틀 새틀라이트 인 도쿄 돔에서 초치슈빌리는 NJPW 창립자 안토니오 이노키와 경기를 치러 뒤집어 던지기 3연발로 녹아웃시키며 승리, WWF 월드 마샬 아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이 경기는 이노키가 종합격투기 경기에서 패배한 유일한 경기로 기록되어 있다. 5월 25일, 오사카성 홀에서 열린 재대결에서 초치슈빌리는 이노키에게 뒤 십자 굳히기로 패하며 챔피언십을 내줬다.

3. 1. 2. 모스크바 대회

1989년 12월 31일, 초치슈빌리는 신일본 프로레슬링모스크바에서 개최한 이벤트에 참가했다. 태그팀 매치에서 초치슈빌리는 전 올림픽 레슬링 선수 사이토 마사와 브래드 레인건즈를 꺾었다.

3. 2. 프로레슬링 전적

체급대회순위
경량급1972년 독일 국제3위
경량급1972년 독일 국제 무차별급3위
경량급1972년 폴란드 국제3위
경량급1972년 뮌헨 올림픽
경량급1973년 소련 국제
헤비급1973년 유럽 선수권 무차별급
헤비급1974년 유럽 선수권 무차별급
헤비급1974년 세계 학생 선수권 무차별급
헤비급1975년 소련 국제 헤비급
헤비급1975년 소련 국제 무차별급
헤비급1975년 유럽 선수권 무차별급
헤비급197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무차별급
헤비급1976년 네덜란드 국제
헤비급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무차별급
헤비급1977년 유럽 선수권 무차별급


4. 은퇴 이후

은퇴 후 초치슈빌리는 유도 코치로 활동하며 후진 양성에 힘썼다. 또한 조지아 국가 올림픽 위원회와 조지아 유도 연맹의 부회장을 역임하며 조지아 체육 발전에 기여했다. 2003년 심장 수술을 받고 암 진단을 받은 그는 2004년부터 2008년까지 화학요법을 받았으나, 2009년 백혈병으로 5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5. 사망

초치슈빌리는 2003년 심장 수술을 받고 암 진단을 받았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화학요법 치료를 받았으나, 2009년 8월 27일 백혈병으로 59세의 나이에 사망했다.[3] 2015년 국제 유도 연맹(IJF)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6. 가족 관계

쇼타 초치슈빌리의 아들 라마즈 초치슈빌리는 국제적인 유도 선수로 우크라이나 국가대표로 활동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hota Chochishvili Biography and Olympic Results http://www.sports-re[...]
[2] 웹사이트 【猪木さん死去】坂口征二戦“黄金コンビ”初のシングル対決ほか/名勝負ベスト30&番外編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2-10-01
[3] 웹사이트 猪木に勝った男、チョチョシビリ氏死去 - 格闘技ニュース https://www.nikkansp[...] 2023-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