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성못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성못은 1925년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미즈사키 린타로에 의해 축조된 저수지이다. 미즈사키는 조선총독부의 지원을 받아 홍수와 가뭄 피해를 막기 위해 수성못을 건설했으며, 사후 수성못 옆에 묻혔다. 1970년대까지 논과 밭이었던 수성못 일대는 1980년대 유원지로 개발되었고, 2015년 도시철도 3호선 개통 이후 핫 플레이스로 부상했다. 수성못을 배경으로 한 영화가 제작되었으며, 2015년 미즈사키의 업적을 기리는 추모제가 열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수성구 - 대구극동방송
대구극동방송은 HLKK-FM 호출부호로 FM 91.9㎒를 송출하는 방송국으로, 2011년 개국하여 대구 와룡산에 송신소를 두고 있으며, 구미 지역에는 FM 105.9㎒ 주파수의 중계소를 운영하고 있다. - 대구 수성구 - 대구은행금융박물관
대구은행금융박물관은 대구은행이 설립한 금융 박물관으로, 1992년 사료실로 시작하여 2007년 금융박물관으로 개관했으며,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 대한민국의 못 - 경회루
경회루는 경복궁 안에 있는 2층 누각 건물로, 여러 차례 증축과 소실을 거쳐 현재는 정면 7칸, 측면 5칸 규모로 재건되었으며, 천원지방 사상과 유교적 상징성이 반영되어 국보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못 - 향원정
향원정은 경복궁 후원에 있는 육각형 2층 정자로, 고종이 건청궁을 지을 때 연못 안에 섬을 만들어 건립했으며, 명성황후가 스케이팅 파티를 열기도 했지만 을미사변 이후 명성황후의 시신을 화장한 재가 뿌려지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 대구광역시의 공원 - 팔공산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 경계에 있는 팔공산은 비로봉을 최고봉으로 8개의 봉우리를 가지고 있으며, 갓바위, 사찰, 역사 유적지, 위락시설 등을 갖춘 관광지이자 후삼국 시대 전투가 벌어진 역사적 현장으로 최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의 공원 - 앞산
앞산은 대구 남구와 달서구 경계에 있는 660.3m 높이의 산으로, 주변 봉우리와 골짜기, 기념 및 체육 시설, 사찰, 방송 송신 시설 등을 포함한다.
수성못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한국어 이름 | 수성못 |
영어 이름 | Suseong Lake |
위치 정보 | |
나라 | 대한민국 |
도시 |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 |
지리 정보 |
2. 역사
미즈사키 린타로에 의해 일제강점기에 축조된 수성못은 1970년대까지 논밭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1980년대에 유원지로 개발되었다가 1991년에 재정비되었다. 2015년 도시철도 개통 이후 주변 상권이 발달하며 현재는 수성못 페스티벌등의 축제로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
2. 1.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인 1925년에 축조됐다. 수성들에 홍수와 가뭄으로 피해가 계속되자 일본인 미즈사키 린타로가 조선총독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만들어졌다.기후현가노정(현 기후시)의 정장이었던 미즈사키 린타로(1868년 - 1939년)는 1914년에 개척 농민으로 조선으로 건너갔다. 꽃 재배 등으로 성공한 후, 가뭄과 홍수로 황폐한 미개간지가 많았던 현지를 위해 토지 개량 조합장으로서 저수지를 만들기로 결정하고, 조선총독부의 지원 12000JPY(현재 10억엔 상당)과 사재를 투입하여 10년의 세월을 들여 축조 공사를 진행하여 수성지를 축조했다.
저수지는 60000평, 저수지로 인해 황무지에서 아름다운 옥토로 바뀐 토지는 2500000평이다. 미즈사키 농원에서는 꽃과 채소, 사과, 쌀, 보리 등 다양한 작물을 재배했고, 많은 한국 농민들이 일하러 왔으며, 한국의 꽃집들이 매일같이 사러 왔다. 수성 지구에서 1, 2위를 다투는 대지주였던 서수인과는 수성지 및 논밭을 함께 힘을 합쳐 만들었던 평생의 친구였고, 셋째 아들 서창교가 린타로의 묘를 지켰다.[2]
린타로는 1939년 12월까지 이 저수지를 관리했고,[3] 사망 후 유언에 따라 수성지를 내려다보는 조선식 묘에 매장되었다. 린타로는 1939년에 사망했고, 수성못 옆에 묻혔다.[17] 일본의 패전 후 농민들이 돌보아 온 세월 속에서 묘지가 유실되어 묘비만 남았지만, 린타로와 친분이 있던 한국인 가족에 의해 묘가 보수되었다. 그 후 현창비가 세워졌고, 매년 기일에는 추도식이 거행되고 있다.[4]
2. 2. 해방 이후
1970년대까지만 해도 수성못 일대는 논과 밭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민가도 거의 없었다. 1975년 들안길 삼거리가 비포장도로로 개설되었다. 1984년에 현재의 두산오거리 자리에 두산네거리가 만들어졌다. 1980년대 후반부터 시내 중심가의 대형식당들이 들안길에 생기면서, 현재의 들안길 먹거리타운이 형성되었다.[17]1980년대 못 둘레를 따라 포장마차가 불야성을 이룬 유원지였으나 1991년 모두 철거된 뒤 재정비되었다. 2015년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되고 주변에 커피숍과 카페 등이 들어서면서 핫 플레이스가 되었다. 2019년 12월에는 수성빛예술제라는 축제가 개최되었고,[18] 최근에는 수성못 페스티벌로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조선으로 건너간 기후현 가노정(현 기후시)의 정장이었던 미즈사키 린타로는 조선총독부의 지원과 사재를 투입하여 10년의 세월을 들여 수성지를 축조했다. 린타로는 1939년 12월까지 이 저수지를 관리했고,[3] 사망 후 유언에 따라 수성지를 내려다보는 조선식 묘에 매장되었다. 일본의 패전 후 농민들이 돌보아 온 세월 속에서 묘지가 유실되어 묘비만 남았지만, 린타로와 친분이 있던 한국인 가족에 의해 묘가 보수되었다. 그 후 현창비가 세워졌고, 매년 기일에는 추도식이 거행되고 있다.[4]
2. 3. 수성못 조성 관련 이설(異說)
일제강점기인 1925년에 수성못이 축조되었다. 수성들에 홍수와 가뭄으로 피해가 계속되자 일본인 미즈사키 린타로가 조선총독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만들었다. 린타로는 1939년에 사망했고, 수성못 옆에 묻혔다.[17]한국 내에는 다음과 같은 이설이 있다. "경상도 지리지에 대구군에 4개의 큰 수리지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그 중 '둔동제'가 현재의 수성못이다. 예종 원년(1468년)에 18개의 수리지를 축조하여 22개가 되었다는 기록은 1469년의 경상도 속찬 지리지에도 보인다. 또한 대구읍지(영조 43~47년 사이에 편찬된 읍지 중 하나)에도 둔동(현 범물동 일대)에 둘레 1,429척, 수심 7척의 '둔동제'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일본은 이조 시대의 수성지를 증축하고, 조선인에게서 조합비를 징수할 목적으로 1924년 5월에 수성수리조합을 만들었을 뿐이다."[5] 그러나 대구광역시는 수성못을 일본인이 만든 연못으로 소개하고 있다.
3. 문화 및 행사
1980년대에 수성못 주변은 포장마차가 많았던 유원지였으나, 1991년에 모두 철거되고 재정비되었다. 2015년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되고 주변에 커피숍과 카페가 늘어서면서 명소가 되었다. 2019년 12월에는 수성빛예술제가 열렸고, 최근에는 수성못 페스티벌로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18]
2015년 4월 10일에는 미즈사키가 수성구에 온 지 100주년, 사망 75주년,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 종전 70주년 등을 기념하여 추모제가 열렸다. 이 추모제에는 미즈사키의 자손과 벳쇼 코로 주한 일본 대사, 호소에 시게미츠 기후 시장[6], 한일친선교류회 이동근 회장[7], 대구 관광 홍보 위원 오모모 미요코[8] 등이 참석했다.
3. 1. 축제
1980년대 못 둘레를 따라 포장마차가 불야성을 이룬 유원지였으나 1991년 모두 철거된 뒤 재정비되었다. 2015년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되고 주변에 커피숍과 카페 등이 늘어서면서 핫 플레이스가 되었다.[18] 2019년 12월에는 수성빛예술제라는 축제가 개최되었고,[18] 최근에는 수성못 페스티벌로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3. 2. 대중매체
유지영 감독이 연출하고 수성못 (영화)가 수성못을 배경으로 한 영화로 2018년에 개봉하였다.4. 시설
일제강점기인 1925년에 수성구 수성들에 홍수와 가뭄 피해가 계속되자 일본인 미즈사키 린타로가 조선총독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축조했다. 린타로는 1939년에 사망했고, 수성못 옆에 묻혔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수성못 일대는 논과 밭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민가도 거의 없었다. 1975년 들안길 삼거리가 비포장도로로 개설됐고, 1984년 현재의 두산오거리 자리에 두산네거리가 만들어졌다. 1980년대 후반부터 시내 중심가의 대형식당들이 들안길에 생기면서, 현재의 들안길 먹거리타운이 형성됐다.[17]
4. 1. 과거 시설
1980년대 못 둘레를 따라 포장마차가 불야성을 이룬 유원지였으나 1991년 모두 철거된 뒤 재정비되었다.[17] 2015년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되고 주변에 커피숍과 카페 등이 늘어서면서 핫 플레이스가 되었다. 2019년 12월에는 수성빛예술제라는 축제가 개최되었고,[18] 최근에는 수성못 페스티벌로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이스턴 항공의 N318EA에서 캐세이퍼시픽 항공의 VR-HOI였던 록히드 L-1011 트라이스타 기체가 존재한다.[9] 2006년 기준으로 레스토랑으로 운영[10]되었으나 2012년 카페[11]로 바뀌었고, 2014년 7월 30일 팥빙수 전문 카페[12]로 변경되었으며, 2016년 3월 22일 화장실 환풍기 전기 쇼트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13]하여 진압되었다. 2016년 말 기준으로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14][9]하여, 도색을 바꾸고[15] 2017년에 재개장했다.
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http://tour.daegu.go[...]
[2]
웹사이트
懐かしの大邱、想い出の人々・・・・・ 水崎弘三(岐阜市、1935年生)
http://home.m00.itsc[...]
[3]
블로그
미즈사키린타로 - 조선닷컴 Blog 뉴스
http://blog.chosun.c[...]
[4]
뉴스
대구·경북 "수성못 덕분에 홍수·가뭄 극복했지요"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http://news.chosun.c[...]
[5]
웹사이트
◎◎ 부산일본문화연구센터 ◎◎
http://www.marugotob[...]
[6]
간행물
岐阜市の広報誌「広報ぎふ」平成27年6月1日号
[7]
뉴스
大邱・寿城池の築造に尽力 水崎林太郎を追悼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8]
블로그
大桃美代子オフィシャルブログ「桃の種」
https://ameblo.jp/mo[...]
[9]
웹사이트
韓国で見られた元キャセイのトライスター
http://hsjones.net/h[...]
2019-04-21
[10]
뉴스
미식가들을 위한 味路찾기 제안
https://n.news.naver[...]
2006-12-21
[11]
웹사이트
MASSA COFFEE 수성비행기점 Cafe at Daegu
https://vymaps.com/K[...]
[12]
뉴스
외식업계 새로운 강자, 사계절 디저트 식품... '핫' 빙수
https://n.news.naver[...]
2014-08-02
[13]
뉴스
[대구] 비행기카페서 화재... "화장실 환풍기서 불길 솟아"
https://www.newscj.c[...]
2016-03-22
[14]
Twitter
https://twitter.com/ra86093/status/1254338275470225409
https://twitter.com/[...]
[15]
뉴스
VR-HOI | Lockheed L-1011-1 Tristar | Private | KIM MINCHAN
https://www.jetphoto[...]
2021-03-06
[16]
웹인용
대구 사람도 꺼려하던 그곳, 걷기 명소로 환골탈태
https://m.hankookilb[...]
2024-10-02
[17]
뉴스
하늘에서 본 대구 50년사〈2〉수성못과 두산오거리
http://www.idaegu.co[...]
2022-08-01
[18]
뉴스
낮엔 썰매, 밤엔 빛축제…겨울 핫플레이스 대구 수성못
https://news.naver.c[...]
2020-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