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파찰라사이 경기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파찰라사이 경기장은 1937년 윈저 궁전 부지에 건설된 태국 방콕에 위치한 경기장이다. 태국 스포츠의 아버지인 루앙 수파찰라사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주로 축구 경기 개최에 사용된다. 1966년, 1970년, 1978년 아시안 게임의 주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07년 AFC 아시안컵 경기도 개최했다. 35,0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야간 조명 시설과 BTS 스카이트레인 국립 경기장 역과의 접근성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콕의 스포츠 - 1970년 아시안 게임
1970년 아시안 게임은 대한민국 서울의 개최권 반납 후 태국 방콕에서 20개국이 참가하여 14개 종목을 겨룬 대회로, 일본이 최다 메달을 획득하고 요트가 정식 종목으로 처음 채택되었으며, 조오련 2관왕, 한국 남자 농구 우승 등의 이야기가 있었다. - 방콕의 스포츠 - 1978년 아시안 게임
1978년 아시안 게임은 원래 싱가포르에서 개최 예정이었으나 재정 문제와 파키스탄의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태국 방콕에서 개최되었으며, 레바논, 방글라데시, 사우디아라비아 등 6개국이 처음 참가하고 남자축구 결승전에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공동 우승을 차지했다. - 1938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칠레
칠레 산티아고에 위치한 국립 경기장인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칠레는 1938년 개장하여 FIFA 월드컵 결승전 개최, CD 우니베르시다드 데 칠레 홈 경기장 사용, 1973년 칠레 쿠데타 당시 구금 시설 사용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2008년에는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훌리오 마르티네스 프라다노스"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38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클라크 스타디움
클라크 스타디움은 캐나다 에드먼턴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1938년 시장 조셉 클라크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CFL 에드먼턴 에스키모스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다 2001년 재건축 후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 태국의 축구 경기 시설 - 탐마삿 스타디움
탐마삿 스타디움은 1998년 아시안 게임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25,000명을 수용하는 축구 경기장으로, 다양한 국제 축구 대회가 개최되었다. - 태국의 축구 경기 시설 - 선더돔 스타디움
선더돔 스타디움은 태국 방콕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1998년 개장하여 2007년부터 무앙통 유나이티드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며, 최대 15,000명을 수용하고 축구 경기 외 다양한 행사 장소로 활용된다.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왕마이, 빠툼완, 방콕, 태국 |
별칭 | 국립 경기장 |
로마자 표기 | Sanam Suphachalasai |
태국어 표기 | สนามศุภชลาศัยกรีฑาสถานแห่งชาติ |
소유주 | 쭐라롱꼰 대학교 |
운영자 | 체육부 |
건축가 | 체육부 |
대중교통 | 내셔널 스타디움 |
건설 정보 | |
기공 | 1937년 |
개장 | 1938년 |
개조 | 1941년 |
사용 정보 | |
표면 | 잔디 |
과거 사용 팀 |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 (1948년–1998년) |
주요 대회 |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1959년, 1967년, 1975년, 1985년) 아시안 게임 (1966년, 1970년, 1978년) AFC 아시안컵 1972 AFC 아시안컵 2007 2023년 아시아 육상 경기 선수권 대회 |
수용 인원 | |
좌석 | 19,793석 |
콘서트 | 35,000명 |
2. 역사
1937년 윈저 궁전이 철거된 부지에 건설이 시작되었다.[3][4][5] 1938년 아난다 마히돈 국왕이 남자 육상 경기 개회식을 주재하면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사남 루앙에서 경기 장소가 이전되었다.[6][7] 경기장 이름은 태국 스포츠의 아버지이자 태국 체육부 초대 국장이었던 루앙 수파찰라사이(붕 수파찰라사이)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8]
주로 축구 경기를 개최하는 데 사용되며, 1966년 아시안 게임, 1970년 아시안 게임, 1978년 아시안 게임의 주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2007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A조 오만 대 이라크 경기 한 경기에만 사용되었다. BTS 스카이트레인 국립 경기장 BTS역이 인접해 있어 접근성이 좋다.[9]
경기장은 3면이 개방된 단층 구조로, 주 관람석 쪽에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지붕이 있다. 육상 트랙이 있지만 관람석이 바로 인접해 있어 라자망갈라 국립 경기장보다 경기와 가깝게 느껴진다. 2007년에는 세 개의 개방된 측면에 빨간색 벤치 좌석을 추가하여 관람객 편의성을 높였다.[10]
태국 리그 클럽들은 자국 경기장이 아시아 축구 연맹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아시아 대회에서 종종 수파찰라사이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른다. 그러나 현재는 국가대표팀이 라자망갈라 국립 경기장에서 주로 경기를 하기 때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방콕의 다른 경기장으로는 태국 육군 스포츠 경기장, 태국-일본 경기장, 쭐라롱꼰 대학교 경기장 등이 있다.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역사
수파찰라사이 경기장은 1935년에 철거된 윈저 궁전 부지에 1937년에 건설되기 시작했다.[3][4][5] 체육부는 쭐라롱꼰 대학교와 29년 임대 계약을 체결했다. 1938년, 아난다 마히돈 국왕이 남자 육상 경기 개회식을 주재하면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경기 장소는 사남 루앙에서 이전되었다.[6][7]
경기장 이름은 태국 스포츠의 아버지이자 태국 체육부 초대 국장이었던 루앙 수파찰라사이(붕 수파찰라사이)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8]
2. 2. 주요 국제 대회 개최
1966년, 1970년, 1978년 아시안 게임의 주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9]1972년 AFC 아시안컵의 주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2002-03 AFC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 A조에서 일본의 가시마 앤틀러스, 태국의 BEC 테로 사사나 FC, 대한민국의 대전 시티즌, 중국의 상하이 선화 등의 클럽 팀이 대결했다.
2005년 6월 8일,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이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B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경기를 무관중 경기로 치러 2대 0으로 승리, 본선 진출을 확정했다.
2007년 AFC 아시안컵 조별 리그 A조 최종전 오만 대 이라크 경기가 열렸다.[9]
3. 시설 개요
수파찰라사이 경기장은 1935년에 철거된 윈저 궁전 부지에 1937년에 건설을 시작했다.[3][4][5] 1938년 남자 육상 경기의 개회식을 아난다 마히돈 국왕이 주재하면서 처음 사용되었다.[6][7] 경기장 이름은 태국 스포츠의 아버지이자 태국 체육부 최초의 국장이었던 루앙 수파찰라사이(붕 수파찰라사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8]
주로 축구 경기를 개최하는 데 사용된다. 1966년 아시안 게임, 1970년 아시안 게임, 1978년 아시안 게임의 주 경기장 역할을 했으며, 2007년 AFC 아시안컵에서도 사용되었다.[9] 경기장은 인근의 '국립 경기장 BTS역'에 정차하는 BTS 스카이트레인이 운행되므로 관람객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9]
태국 리그 클럽들은 자국 경기장이 아시아 축구 연맹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아시아 대회에서 종종 수파찰라사이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른다. 방콕의 다른 경기장으로는 태국 육군 스포츠 경기장, 태국-일본 경기장, 쭐라롱꼰 대학교 경기장 등이 있다.
3. 1. 구조 및 특징
경기장은 3면이 개방된 단층 구조로 되어 있다.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지붕이 주 관람석 쪽을 덮고 있다. 육상 트랙이 있지만, 관람석이 바로 인접해 있어 관람객은 더 새로운 라자망갈라 국립 경기장보다 경기와 가깝게 느껴진다. 2007년에는 세 개의 개방된 측면에 이전의 맨 콘크리트 계단에 빨간색 벤치 좌석을 추가하여 관람객의 편의성을 높였다.[10]경기장 시설은 다음과 같다.
시설 |
---|
35,000명 수용, 백 스탠드는 계단식 흰색 콘크리트 좌석 |
지붕은 메인 스탠드만 설치 |
야간 조명 시설 |
경기장 외벽에는 아시안 게임 역대 금메달리스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
3. 2. 수용 인원
경기장은 35,0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백 스탠드는 계단식 흰색 콘크리트 좌석으로 되어 있다. 메인 스탠드에만 지붕이 설치되어 있으며, 야간 조명 시설을 갖추고 있다. 경기장 외벽에는 아시안 게임 역대 금메달리스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3. 3. 야간 조명 시설
경기장에는 야간 조명 시설이 갖춰져 있다.3. 4. 기타 시설
- 야간 조명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 35,0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백 스탠드는 계단식 흰색 콘크리트 좌석으로 되어 있다.
- 지붕은 메인 스탠드에만 설치되어 있다.
- 경기장 외벽에는 아시안 게임 역대 금메달리스트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4. 주요 행사
1966년 아시안 게임, 1970년 아시안 게임, 1978년 아시안 게임과 1972년 AFC 아시안컵의 주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2005년 6월 8일에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이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B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경기를 무관중 경기로 치러 2:0으로 승리, 본선 진출을 확정했다. 2002-03 AFC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 A조 경기도 이곳에서 열렸다.
1993년 8월에는 마이클 잭슨이 Dangerous World Tour의 일환으로, 2023년 1월에는 블랙핑크가 Born Pink World Tour의 일환으로 콘서트를 개최했다.
4. 1. 스포츠 경기
이 경기장은 주로 축구 경기를 개최하는 데 사용된다. 1966년 아시안 게임, 1970년 아시안 게임, 1978년 아시안 게임의 주 경기장 역할을 했다.[9] 2007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A조의 오만 대 이라크 경기 한 경기에만 사용되었다.[9]태국 리그 클럽들은 자국 경기장이 아시아 축구 연맹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아시아 대회에서 종종 수파찰라사이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른다.
연도 | 대회 | 비고 |
---|---|---|
1966년 | 1966년 아시안 게임 | 주 경기장 |
1970년 | 1970년 아시안 게임 | 주 경기장 |
1978년 | 1978년 아시안 게임 | 주 경기장 |
1972년 | 1972년 AFC 아시안컵 | 주 경기장 |
2002년-2003년 | 2002-03 AFC 챔피언스 리그 | 조별 리그 A조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 태국 BEC 테로 사사나 FC, 대한민국 대전 시티즌, 중국 상하이 선화) |
2005년 6월 8일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B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2 :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관중 경기로 진행, 일본 본선 진출 확정 |
2007년 | 2007년 AFC 아시안컵 | 조별 리그 A조 최종전 (오만 대 이라크) |
4. 2. 콘서트
1993년 8월 24일과 27일, 마이클 잭슨은 Dangerous World Tour의 일환으로 두 번의 콘서트를 열어 총 14만 명의 관객을 모았다.2023년 1월 7일과 8일, 블랙핑크는 Born Pink World Tour의 일환으로 두 번의 콘서트를 개최하여 총 66,211명의 관객을 동원했다.[11]
5. 교통
방콕 스카이트레인 (BTS) 실롬선 종점인 사남 키라 헨 찻 역 (국립 경기장 역)에서 내리면 바로 연결된다.
참조
[1]
웹사이트
จุฬาฯ ยังคงให้ประชาชนเข้ามาใช้บริการสนามกีฬาแห่งชาติ
https://www.bangkokb[...]
2019-04-19
[2]
웹사이트
สนามกีฬาศุภชลาศัย
https://web.archive.[...]
2017-01-16
[3]
웹사이트
ระบบจองสนาม กรมพลศึกษา
https://stadium01.zd[...]
[4]
웹사이트
สนามกีฬาแห่งชาติ ศุภชลาศัย
https://thai.tourism[...]
[5]
웹사이트
"อนุทิน-สาธิต" ใช้สบยช.-สนามกีฬาหัวหมาก-นิมิบุตร เป็นศูนย์แรกรับ-ส่งต่อผู้ป่วยโควิดไม่มีเตียง
https://www.hfocus.o[...]
[6]
웹사이트
2831_2.PDF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สนามศุภชลาศัย สนามกีฬาที่อยู่คู่กับวงการกีฬาไทยมากว่า 80 ปีแล้ว
https://blog.sansiri[...]
[8]
웹사이트
ความเป็นมาของ ‘หลวงศุภชลาศัย’ สมาชิกคณะราษฎรที่ถูกนำชื่อมาตั้งเป็น ‘สนามศุภชลาศัย’
https://www.thepeopl[...]
2022-10-28
[9]
웹사이트
อาจเหลือแค่ความทรงจำ : 80 ปี ศุภชลาศัย กับอนาคตซึ่งไร้คำตอบ {{!}} FourFourTwo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ส่อง9สนามฟุตบอลหัวเมืองใหญ่ ไทยพร้อมแค่ไหนกับเจ้าภาพบอลโลก
http://www.smmsport.[...]
[11]
웹사이트
Blackpink captivate thousands of ‘Blinks’ at Bangkok's National Stadium
https://www.nationth[...]
2023-01-08
[12]
뉴스
จุฬาฯ ยังคงให้ประชาชนเข้ามาใช้บริการสนามกีฬาแห่งชาติ
https://www.bangkokb[...]
2019-04-19
[13]
웹사이트
สนามกีฬาศุภชลาศัย
https://web.archive.[...]
2017-01-16
[14]
웹인용
สนามกีฬาศุภชลาศัย
https://web.archive.[...]
2017-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