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다 해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다 해협은 수마트라 섬과 자바 섬 사이의 해협으로, 자바 해의 일부이며, 남서-북동 방향으로 뻗어 있다. 해저 지형이 복잡하고 조류가 강하며 화산섬이 많아 항해가 어렵다. 1883년 크라카타우 화산 폭발로 지형이 크게 변화했다. 순다 해협은 과거 순다 왕국에서 유래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순다 해협 해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현재는 수마트라 섬과 자바 섬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로, 국내 및 국제 해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과거 다리 건설 계획이 있었으나 보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다 해협 - 2018년 순다 해협 쓰나미
    2018년 순다 해협 쓰나미는 아낙 크라카타우 화산 폭발로 인한 해저 산사태가 원인이 되어 람풍 주와 반텐 주의 해안 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인명 및 재산 피해와 함께 재난 관리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 순다 해협 - 순다 해협 대교
    순다 해협 대교는 인도네시아 자바섬과 수마트라섬을 잇는 31km 길이의 다리 건설 프로젝트였으나, 높은 건설 비용과 기술적 문제 등으로 인해 2014년 보류되었다.
  • 자와해 - 마카사르 해협
    마카사르 해협은 술라웨시 해와 자바 해를 연결하며 보르네오 섬과 술라웨시 섬 사이에 위치한 인도네시아의 해협으로, 넓은 폭과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인해 해상 운송로 및 과거 해전의 무대로 활용되었다.
  • 자와해 - 카리마타 해협
    카리마타 해협은 벨리퉁섬과 보르네오섬 사이의 해협으로 남중국해와 자바해를 연결하는 해상 교통 요충지이며,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해류, 역사적 중요성, 항공 사고 발생, 대한민국과의 교역, 해양 자원 개발 및 해상 안전 확보 측면에서 중요한 지역이다.
순다 해협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Selat Sunda
위치인도네시아
일부자바해
유형해협
최소 폭24km
수심
깊이20m
지리
기타
어원순다 왕국
이미지
1830년 2월 순다 해협 입구에 있는 H.C.S. Sir David Scott
순다 해협

2. 지리

1729년 피에르 판 데르 아(Pierre van der Aa)가 제작한 순다 해협 지도


순다 해협은 대체로 남서-북동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자바 해의 일부이다.[2][3] 삼각형 모양이며, 북쪽에는 두 개의 큰 만이 있다. 수마트라 섬의 투아 곶(Cape Tua)과 자바 섬의 푸자트 곶(Cape Pujat) 사이 북동쪽 끝의 최소 너비는 24km이다.[2][3] 남서쪽 끝은 매우 넓고 깊지만, 북동쪽으로 좁아지면서 훨씬 얕아진다.

이 해협은 얕은 수심, 매우 강한 조류, 모래톱, 자바 해안의 유전시설과 같은 인공 장애물 때문에 항해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악명이 높다.[3] 수 세기 동안 중요한 해상 교통로였으며, 특히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1602년부터 1799년까지 인도네시아의 향신료 제도로 가는 관문으로 사용했던 시기에 그러했다. 그러나 좁고 얕은 수심과 정확한 해도의 부족으로 인해 많은 현대의 대형 선박에는 적합하지 않아 대부분의 선박은 대신 말라카 해협을 이용한다.[3]

2. 1. 해저 지형 및 해류

순다 해협의 해저 지형은 복잡하며, 동쪽으로 갈수록 좁고 얕아진다. 동쪽 끝 부분은 수심이 겨우 20m에 불과하며, 사주활화산이 존재한다.[10] 조류가 매우 강하고,[10] 스콜로 인해 시야가 불량해지는 경우도 잦다.[10] 또한, 작은 섬들이 많고,[10] 자바 섬 연안에는 석유 플랫폼과 같은 인공 장애물도 많아[10] 항해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3][10]

2. 2. 화산 활동

해협에는 상기앙(Sangiang), 세베시(Sebesi), 세부쿠(Sebuku)(Sebuku (Sumatra)), 파나이탄(Panaitan) 등 여러 화산섬이 있다. 이 중 가장 유명한 화산은 크라카타우인데, 1883년에 대규모 분화를 일으켰다. 이 분화로 발생한 쓰나미와 화쇄류는 해협 내 섬들과 인근 자바섬 및 수마트라섬 주변 지역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당시 세베시 섬에 있던 3,000명 중 단 한 명도 살아남지 못했을 정도였다.[12]

1883년 분화로 순다 해협의 지형은 크게 바뀌었다. 화산 주변 110만 ㎢ 면적에 최대 18~21㎦의 화산각력암(ignimbrite)이 퇴적되었다. 이후 다시 사람들이 정착하지 않은 지역도 있지만(현재 우중 쿨론 국립공원(Ujung Kulon National Park)에 편입된 자바섬 연안 지역 등), 해안선 대부분은 현재 인구 밀도가 매우 높다.

크라카타우 화산에서 유일하게 남은 봉우리인 라카타(Rakata) 외에, 크라카타우 제도(Krakatoa Archipelago)는 랑(Lang) 섬, 버라텐(Verlaten)(Sertung), 그리고 1927년에 새롭게 출현한 아낙 크라카타우(Anak Krakatau)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12] 아낙 크라카타우는 원래 크라카타우의 파편에서 생겨난 새로운 화산섬이다.

3. 역사

순다 해협이라는 이름은 7세기경부터 자바 서부를 지배했던 순다 왕국에서 유래했다.[1] 이 이름은 서자와와 반텐 출신의 순다인을 가리키기도 한다.[1]

3. 1. 순다 왕국

해협의 이름은 669년부터 1579년경까지 자바 서부(현재의 서자와, 자카르타, 반텐, 그리고 중부자와 서부 일부를 포함하는 지역)를 지배했던 순다 왕국에서 유래했다.[1] 이 이름은 서자와와 반텐 출신의 순다인을 가리키기도 한다.[1]

3. 2.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3월 1일, 자바해 해전의 일부인 순다 해협 해전이 일어났다. 연합군 순양함 HMAS 퍼스와 USS 휴스턴이 하라 겐자부로(原顕三郎) 소장이 지휘하는 반탐 근처의 일본 상륙 부대와 마주쳤다.[4] 이 일본군 부대는 경순양함 1척, 구축함 11척, 중순양함 4척, 경항공모함 1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5] 이 해전에서 연합군 순양함 두 척은 침몰했고, 일본 소해정과 수송선 1척은 아군의 오폭으로 침몰했다.[3]

4. 해운

순다 해협은 대서양 해역에서 희망봉을 경유하여 동아시아로 향하는 선박이나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동남아시아·동아시아로 향하는 선박에게 중요한 항로이다.[10] 2012년 시점에서 연간 약 2,280척의 선박이 순다 해협을 통항하고 있으며,[10] 연간 통항 화물량은 약 1억ton으로, 이는 약 50억달러에 상당한다.[10] 대한민국은 이 항로를 통해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교역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순다 해협

4. 1. 국내 해운

순다 해협은 수마트라섬자와섬을 잇는 주요 교통로이며, 최단 항로인 수마트라섬 바카우헤니 항과 자와섬 메락 항 사이에는 2004년 당시 9개 회사의 24척의 페리와 고속선이 24시간 체제로 운항하고 있었다. 그중에는 과거 우고 연락선으로 활약했던 아와마루가 1990년에 이 항로에 취항하여, "티티안 무르니(순수한 작은 다리)"라는 이름으로 2013년 시점에서도 하루 3회 왕복 운항하고 있다.[13]

4. 2. 국제 해운

순다 해협은 대서양 해역에서 희망봉을 경유하여 동아시아로 향하는 선박이나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동남아시아·동아시아로 향하는 선박에게 중요한 항로이다.[10] 2012년 시점에서 연간 약 2,280척의 선박이 순다 해협을 통항하고 있으며,[10] 연간 통항 화물량은 약 1억ton으로,[10] 이는 약 50억달러에 상당한다.[10] 대한민국은 이 항로를 통해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교역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5. 순다 해협 대교 건설 계획 (보류)

1960년대부터 순다 해협을 횡단하는 다리 건설 제안이 있었으나, 2014년 조코 위도도 대통령의 인도네시아 정부에 의해 보류되었다.[8]

5. 1. 건설 계획 제안

1960년대에 순다 해협을 가로지르는 다리 건설이 제안되었고, 1990년대에도 추가적인 제안이 있었다. 2007년 10월에는 울라르 섬, 상이앙(Sangiang) 섬, 프라주릿(Prajurit) 섬을 이용하여 해수면에서 70m 높이에 4개 구간으로 이루어진 현수교 건설 계획이 발표되었다. 이 다리는 최대 3km의 경간을 가질 예정이었는데, 이는 현재 최장 경간 기록을 보유한 차나칼레 1915 대교(1915 Çanakkale Bridge)보다 약 50% 더 긴 것이다. 최소 100억달러의 자금이 확보되면 2014년에 건설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었다.[6]

2012년 4월, 중국철도건설공사(China Railway Construction Corporation)와 110억달러 규모의 도로 및 복선 철도 교량 건설 계약이 체결되었다.[7] 그러나 2014년 11월, 조코 위도도(Joko Widodo) 대통령의 새 정부는 이 교량 건설 계획을 보류했다.[8]

5. 2. 건설 계획 보류

2012년 4월 중국철도건설공사(China Railway Construction Corporation)와 1100억달러 규모의 도로 및 복선 철도 다리 건설 계약이 체결되었다.[7] 그러나 2014년 11월 조코 위도도(Joko Widodo) 대통령의 새 정부는 다리 건설 계획을 보류했다.[8] 이는 인도네시아의 경제 상황과 더불어, 대한민국의 대규모 투자 유치 및 건설 참여 가능성을 둘러싼 정치적 고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6. 해협 내 섬

순다 해협에는 크라카타우 제도(Krakatau Archipelago), 상기앙(Sangiang)(Thwart-the-Way), 세베시(Sebesi), 세부쿠(Sebuku)(Sebuku (Sumatra)) 등 다양한 섬들이 있으며, 대부분 화산섬이다.


  • 크라카타우 제도: 1883년 크라카타우 분화로 유명한 크라카타우(Krakatau) 화산섬을 중심으로 형성된 제도이다.
  • 아낙 크라카타우(Anak Krakatau): 1927년 크라카타우 화산 폭발 잔해에서 새롭게 생겨난 섬이다.
  • 랑(Lang) 섬(Panjang 또는 Rakata Kecil)
  • 버라텐(Verlaten)(Sertung)
  • 라카타(Rakata): 원래 크라카타우 섬의 잔해이다.

  • 기타 섬:
  • 칼마이어(Calmeyer)
  • 레군디(Legundi)
  • 파나이탄(Panaitan) (프린스 섬, Prince's Island)
  • 퍼우창(Peucang)
  • 한데울레움(Handeuleum)
  • 타부안(Tabuan)
  • 스티어스 섬(Steers (island))


1883년 크라카타우 화산 폭발은 해협의 지형을 크게 바꾸어 놓았으며, 주변 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다.[12] 이로 인해 발생한 쓰나미와 화쇄류로 수만 명이 사망했고, 세베시 섬 주민 3,000명 중 단 한 명도 살아남지 못했다. 일부 지역은 우중 쿨론 국립공원(Ujung Kulon National Park)으로 지정되어 사람이 살지 않게 되었지만, 해안선 대부분은 다시 인구 밀도가 높아졌다.

참조

[1] 서적 Sunda Islands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Limits of Oceans and Seas, 3rd edition https://iho.int/upl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20-12-28
[3] 서적 Straits of Malacca: Gateway Or Gauntlet? {{GBurl|CaiaOeNMg14C[...]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3
[4] 웹사이트 Rear-Admiral Kenzaburo Hara https://warfare.gq/d[...] 2000
[5] 웹사이트 The Sunda Strait Battle http://www.dutcheast[...] 2000
[6] 뉴스 Bridge plan to link Java and Sumatra http://www.theage.co[...] 2007-10-05
[7] 간행물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2-06
[8] 뉴스 No more Sunda Strait Bridge plan http://www.thejakart[...] The Jakarta Post 2014-11-03
[9] 서적 Sunda Islands Oxford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2月10日「インドネシア群島水域、マ・シ海峡の代替ルートたり得るか」 (RSIS Commentaries, No. 024, February 10, 2012) https://www.spf.org/[...] 笹川平和財団 2012-02-10
[11] 서적 The Straits of Malacca: Gateway Or Gauntlet? McGill-Queen's Press
[12] 웹사이트 【解説】 インドネシア津波の原因、火山学者が写真で説明 https://www.bbc.com/[...] 英国放送協会 2018-12-26
[13] 서적 インドネシア鉄道の旅
[14] 웹사이트 Rear-Admiral Kenzaburo Hara http://www.dutcheast[...] 2000
[15] 웹사이트 The Sunda Strait Battle http://www.dutcheast[...] 2000
[16] 뉴스 Bridge plan to link Java and Sumatra http://www.theage.co[...] 2007-10-05
[17] 간행물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2-06
[18] 뉴스 No more Sunda Strait Bridge plan http://www.thejakart[...] The Jakarta Post 2014-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