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심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심이는 등장인물, 제작진, 주제가, 논란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 문서이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권경하, 김주승, 김혜수 등이 있으며, 손영춘이 연기한 칠득이 캐릭터는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사람을 희화화하여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다. 칠득이 캐릭터는 지역 비하, 방송의 어두운 면을 보여준다는 비판을 받으며, 이후 드라마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승연 시나리오 작품 - 행복의 시작
1996년 방영된 드라마 《행복의 시작》은 한 여인의 파란만장한 삶을 통해 전쟁의 불행, 사랑과 배신, 성공과 몰락을 그린 작품으로, 방송 중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 - 홍승연 시나리오 작품 - 일과 사랑
1994년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 일과 사랑은 40대 패션 디자이너 문상희의 사랑과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한혜숙의 3년 만의 연기 활동 재개와 타 방송사 드라마 첫 출연으로 화제를 모았으나, 작가 교체 논란과 방송 중단 사태를 겪었다. - 1988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세 여인
세 여인은 MBC에서 방영된 주말연속극으로, 최명길, 이혜숙, 김청을 비롯한 여러 배우들이 출연하여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 1988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원미동 사람들 (드라마)
원미동 사람들 (드라마)은 1988년 방영된 드라마로, 다양한 배우들이 출연하여 8회 동안 은혜네 내 집 마련, 슈퍼마켓 경쟁, 파업 등 1988년 당시 사회상을 반영한 에피소드를 다루었다. - 1988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세 여인
세 여인은 MBC에서 방영된 주말연속극으로, 최명길, 이혜숙, 김청을 비롯한 여러 배우들이 출연하여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 1988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원미동 사람들 (드라마)
원미동 사람들 (드라마)은 1988년 방영된 드라마로, 다양한 배우들이 출연하여 8회 동안 은혜네 내 집 마련, 슈퍼마켓 경쟁, 파업 등 1988년 당시 사회상을 반영한 에피소드를 다루었다.
순심이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드라마 |
방송 시간 | 토, 일 오후 7시 40분 ~ 8시 40분 |
방송 분량 | 1시간 |
방송 기간 | 1988년 3월 5일 ~ 1988년 9월 11일 |
방송 횟수 | 52부작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KBS 2TV |
연출 | 운군일 |
각본 | 홍승연 |
여는 곡 | 최진희 - 순심이 |
닫는 곡 | 최진희 - 순심이 |
2. 등장 인물
권경하, 김주승(진호 역), 김혜수(순심 역), 배종옥, 도금봉, 김인문, 김성원, 최선자, 전무송, 김영애, 정보석, 서인석, 서학, 김상훈, 신수강, 한현배, 손영춘(칠득이 역), 정승곤, 조명연, 박진성, 이경영, 김근희, 김수정, 이궁희
2. 1. 주요 인물
권경하, 김주승(진호 역), 김혜수(순심 역), 배종옥, 도금봉, 김인문, 김성원, 최선자, 전무송, 김영애, 정보석, 서인석, 서학, 김상훈, 신수강, 한현배, 손영춘(칠득이 역), 정승곤, 조명연, 박진성, 이경영, 김근희, 김수정, 이궁희2. 2. 그 외 인물
권경하, 김주승(진호 역), 김혜수(순심 역), 배종옥, 도금봉, 김인문, 김성원, 최선자, 전무송, 김영애, 정보석, 서인석, 서학, 김상훈, 신수강, 한현배, 손영춘(칠득이 역), 정승곤, 조명연, 박진성, 이경영, 김근희, 김수정, 이궁희3. 제작진
기획은 이유황, 극본은 홍승연, 연출은 운군일이 담당하였다. 기술감독은 김철규, 조명감독은 유용우, 영상은 최용철, 녹화는 안혁석이 담당하였다. 음향은 엄재섭, 유병수, 심경수가 담당하였고, 조명은 장현기, 김성술이 담당하였다. 음악은 임택수, 효과는 박용기, 미술감독은 이석우, 무대 디자인은 황봉익이 담당하였다. 타이틀은 김태준, 장치는 최형주, 작화는 권혁태, 소품은 윤재흠, 최용석이 담당하였다. 의상은 유상선, 분장은 김유정, 미용은 김연순, 편집은 장영국, 이병희가 담당하였다. 야외조명은 최광영, 한명주, 야외촬영은 최영수, 정성근이 담당하였다. 카메라는 김형태, 박덕윤, 소팔영, 조남호가 담당하였다. 주제가 작사는 박건호, 작곡은 최종혁, 편곡은 김명곤이 담당하였으며, 노래는 최진희가 불렀다. 의상협조는 트로아조, 조연출은 신정관, 김용규, 김진순이 담당하였다.
4. 주제가
5. 논란
손영춘이 연기한 칠득이는 정신적으로 미성숙하거나 지능이 떨어지는 사람을 희화화하여, 우리 사회의 미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타인에게 "칠득이 닮았다"라는 말은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는 비하 표현으로, 우리 사회의 천박한 비표준 비하 폭력행위의 사례에 해당한다.
굳이 칠득이라는 캐릭터가 드라마 흐름에 필요한지 의문이며, 단지 지능이 떨어지는 캐릭터를 통해 웃음을 유발하는 것은 당시 방송의 어두운 면을 보여준다. 또한, 특정 지역 사투리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지역 혐오 의식이나 정치적인 고립화 전략과 같은 민감한 이슈를 야기했다. 이 캐릭터는 익년 MBC 드라마 행복한 여자의 '호섭이' 캐릭터로 이어져 우리 사회의 천박한 면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1995년 KBS 드라마 젊은이의 양지의 '수철이'(홍경인) 캐릭터는 이러한 문제점을 다소 완화한 사례로 평가된다.
5. 1. 칠득이 캐릭터
손영춘이 연기한 칠득이는 정신적으로 미성숙하거나 지능이 떨어지는 사람을 희화화하여, 우리 사회의 미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타인에게 "칠득이 닮았다"라는 말은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는 비하 표현으로, 우리 사회의 천박한 비표준 비하 폭력행위의 사례에 해당한다.굳이 칠득이라는 캐릭터가 드라마 흐름에 필요한지 의문이며, 단지 지능이 떨어지는 캐릭터를 통해 웃음을 유발하는 것은 당시 방송의 어두운 면을 보여준다. 또한, 특정 지역 사투리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지역 혐오 의식이나 정치적인 고립화 전략과 같은 민감한 이슈를 야기했다. 이 캐릭터는 익년 MBC 드라마 행복한 여자의 '호섭이' 캐릭터로 이어져 우리 사회의 천박한 면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1995년 KBS 드라마 젊은이의 양지의 '수철이'(홍경인) 캐릭터는 이러한 문제점을 다소 완화한 사례로 평가된다.
5. 2. 사회적 영향
손영춘이 연기한 칠득이라는 캐릭터는 정신적으로 미성숙하거나 지능이 떨어지는 사람을 배역으로 설정하여, 우리 사회가 웃음을 만들고 소화시킨 성숙하지 못한 시민의식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에 해당한다. 타인에게 칠득이 닮았다는 식의 표현은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비하적 표현이며, 이는 우리 사회의 천박한 비표준 비하 폭력행위의 사례로 볼 수 있다.드라마 흐름상 칠득이라는 캐릭터의 필요성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며, 단지 지능이 떨어지는 캐릭터를 통해 웃음을 유발하는 것은 당시 방송의 어두운 면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또한 특정 지역 사투리를 과도하게 사용한 점은 지역 혐오 의식이나 정치적 고립화 전략과 맞물려 민감한 이슈를 야기했다는 지적도 있다. 이러한 캐릭터는 익년 MBC 드라마 행복한 여자의 호섭이 캐릭터로 이어지며, 사회의 천박한 면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1995년 KBS 드라마 젊은이의 양지의 수철이(홍경인) 캐릭터는 이러한 문제의식이 다소 완화된 사례로 평가받는다.
6. 기타
KBS 영상자료실에는 1회와 마지막 회만 보존되어 있다. 손영춘이 연기한 칠득이라는 캐릭터는 정신적으로 미성숙하거나 지능이 떨어지는 사람을 배역으로 설정하여, 우리 사회의 미성숙한 시민의식을 반영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는 타인에 대한 비하와 폭력 행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받는다. 또한, 칠득이 캐릭터가 극 흐름에 필수적인지도 의문이며, 단지 웃음을 유발하기 위해 지능이 떨어지는 캐릭터를 이용했다는 점은 당시 방송의 어두운 면을 보여준다. 특정 지역 사투리를 과도하게 사용한 것 역시 지역 혐오 의식을 조장하고 정치적으로 특정 지역을 고립화하는 전략에 이용되었을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감한 문제로 지적된다. 칠득이 캐릭터는 이후 MBC 드라마 행복한 여자의 호섭이 캐릭터로 이어지며, 이러한 문제점을 반복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1995년 KBS 드라마 젊은이의 양지의 수철이(홍경인) 캐릭터는 이러한 문제점을 다소 완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