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혜황귀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혜황귀비는 건륭제의 후궁으로, 1728년 황태자였던 건륭제의 측실로 간택되어 2남 1녀를 낳았다. 1735년 옹정제의 붕어 후 건륭제가 즉위하면서 순빈, 순비, 순귀비, 황귀비를 거쳐 순혜황귀비로 책봉되었다. 20세기 역사서인 『청사고』에는 성씨가 잘못 기록되어 있으며, 중국 드라마 《연희공략》과 《여의전》에서 배역으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60년 사망 - 조지 2세
조지 2세는 하노버 왕조의 두 번째 국왕이자 하노버 선제후로서 대브리튼과 아일랜드를 통치하며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7년 전쟁을 겪었고, 헨델을 후원했으며, 그의 통치는 영국의 국제적 위상 강화와 입헌 군주제의 유지를 특징짓지만 평가가 다양하다. - 1760년 사망 - 알라웅파야
알라웅파야는 18세기 중반 버마를 통일하고 꼰바웅 왕조를 창건한 왕으로, 몬족의 공격을 격퇴하고 주요 도시를 함락하며 세력을 확장하여 국내 통일을 완료했으며, 아유타야 왕조 공격 실패 후 병사했고, 영국과의 관계 모색 노력은 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로 이어졌다. - 1713년 출생 - 홍봉한
홍봉한은 영조와 정조 시대의 권력자이자 정조의 외조부로, 혜경궁 홍씨가 세자빈으로 간택된 후 관료 생활을 시작하여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사도세자 죽음의 책임론과 정조의 개혁 정책에 저항하다 실각한 인물이다. - 1713년 출생 - 숙가황귀비
숙가황귀비 김씨는 조선 출신으로 건륭제의 후궁이 되어 네 아들을 낳았고, 사후 황귀비로 추봉되었으며, 그녀의 아들들은 청나라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그녀의 가문은 가경제 때 만주 성씨를 하사받았으며, 현대 대중 문화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 청나라의 불교 신자 - 화유황귀비
화유황귀비는 청나라 가경제의 후궁으로, 가경제의 첩 시절 두 자녀를 두었으며 함비, 함귀비를 거쳐 현희황귀태비로 봉해졌고 사후 화유황귀비로 추증되었으며 73세에 사망하여 창릉에 안장되었다. - 청나라의 불교 신자 - 고륜순희공주
고륜순희공주는 순치제의 서손녀이자 화석공친왕의 서녀로 강희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몽골 귀족 반디의 두 번째 부인이었으나 자녀는 없었고 70세에 사망하였다.
순혜황귀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소 (蘇)씨 |
혼인 | 건륭제 (1760년) |
사후 시호 | 순혜황귀비 (純惠皇貴妃) |
출생 | 1713년 6월 13일 (강희 52년 5월 21일) |
출생지 | 자금성 |
사망 | 1760년 6월 2일 (건륭 25년 4월 19일) |
사망지 | 자금성 |
묻힌 곳 | 청동릉 유릉 |
가계 | |
아버지 | 소조남 |
자녀 | 영장, 순군왕 영용, 질장친왕 화석화가공주 |
작위 | |
초기 작위 | 소격격 (小格格) |
이후 작위 변화 | 순빈 (純嬪) 순비 (純妃) 순귀비 (純貴妃) 순황귀비 (純皇貴妃) 순혜황귀비 (純惠皇貴妃) |
중국어 정보 | |
중국어 간체 | 纯惠皇贵妃 |
중국어 병음 | Chúnhuì Huángguìfēi |
2. 생애
1728년 건륭제(乾隆帝)의 측실로 간택되었고, 1735년 시아버지 옹정제(雍正帝)가 붕어하고 남편 건륭제가 즉위하는 것을 보았다.[1] 건륭제와의 사이에서 2남 1녀를 두었다.[1]
2. 1. 가계와 초기 생애
순혜황귀비의 이름은 역사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 아버지는 소남(召南)이며 형제가 2명 있었다.[1]1728년 황태자였던 건륭제의 측실로 간택되었으며, 1735년 시아버지 옹정제가 붕어하고 남편 건륭제가 즉위하는 것을 보았다.[1] 건륭제와의 사이에서 2남 1녀를 두었다.[1]
2. 2. 옹정제 시대
1728년 당시 황태자 신분이었던 건륭제의 측실로 간택되었고, 1735년 시아버지 옹정제가 붕어하자 부군 건륭제가 보위에 올랐다.[1] 순혜황귀비가 언제 지방 관리들에 의해 옹정제에게 헌상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옹정제는 그녀를 네 번째 아들인 홍력에게 측실로 주었다.[1] 1735년 7월 15일, 순혜황귀비는 건륭제의 세 번째 아들인 영장을 낳았다.[1]2. 3. 건륭제 시대
1728년 당시 황태자 신분이었던 건륭제의 측실로 간택되었고, 1735년 시아버지 옹정제의 붕어(崩御)와 아울러 부군 건륭제가 보위에 오르는 것을 목도하였다.[1]
옹정제는 1735년 10월 8일에 사망하였고, 홍력이 계승하여 건륭제로 즉위하였다. 1735년 11월 8일, 수씨는 순빈(純嬪)으로 책봉되었다.[3] 1738년 1월 23일, 순비(純妃)로 승격되었고, 현비(賢妃), 황귀비, 황후 다음으로 네 번째로 높은 계급의 후궁이 되었다.[3]
건륭제와의 사이에서 2남 1녀를 두었다.[1]
- 1735년 7월 15일, 건륭제의 셋째 아들 영장 출생.[2]
- 1744년 1월 28일, 건륭제의 여섯째 아들 영융(永瑢) 출생.[3]
- 1745년 12월 24일, 건륭제의 넷째 딸 이등 화가공주(和嘉公主) 출생.[3]
1745년 12월 9일, 순비는 현비와 함께 황귀비(皇貴妃)로 승격되었는데, 한 시대에 두 명의 황귀비가 있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 순황귀비는 병이 들었고, 1760년 5월 25일, 황귀비(皇貴妃)로 승격되었다.[3]
3. 자녀
건륭제와의 사이에서 2남 1녀를 두었다.[1]
자녀 |
---|
영장(永璋) (1735년 ~ 1760년), 순군왕(循郡王) |
영융(永瑢) (1744년 ~ 1790년), 질장친왕(質莊親王) |
이품화가공주(和碩和嘉公主) (1745년 ~ 1767년), 만주 후찰씨(富察氏) 출신 복륭안(福隆安)과 1760년에 혼인.[1] |
4. 평가
20세기 역사서 『청사고』는 순혜황귀비(純惠皇貴妃)의 성씨를 잘못 기록하여 "소가(蘇佳)"라고 적고 있다. 한족 출신인 일부 청나라 황실 후궁들은 황제와 결혼한 후 만주식 성씨로 개명하기도 했지만, 순혜황귀비는 평민 출신이었기 때문에 성씨를 바꾸지 않았다. 그녀의 가족은 만주 깃발 아래 편입될 자격이 없었기 때문이다.[1]
5. 대중문화
- 드라마 《연희공략》(2018)에서 왕원걸(王媛可)이 순혜황귀비를 연기했다.
- 드라마 《여의전》(2018)에서 호걸(胡可)이 순혜황귀비를 연기했다.
참조
[1]
문서
雍正十三年九月二十四日
1735-09-24
[2]
문서
乾隆二年十二月四日
1737-12-04
[3]
문서
乾隆十年十一月十七日
1745-11-17
[4]
문서
乾隆二十五年四月十一日
1760-04-11
[5]
문서
乾隆二十五年五月
1760-05-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