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라이마니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술라이마니야는 이라크 북부 쿠르디스탄에 위치한 도시로, 1784년 오스만 술탄 술레이만의 이름을 따서 건설되었다. 바반 공국의 수도였으며,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 유물과 쿠르드족의 역사적 유적을 간직하고 있다. 1922년부터 1924년까지 쿠르디스탄 왕국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이라크에서 두 번째로 큰 박물관인 술라이마니 박물관을 비롯한 다양한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온난한 기후와 경제 성장을 바탕으로 관광, 농업, 소규모 공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술레이마니야 국제공항을 통해 교통의 요지로 기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술라이마니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수라이마니야 |
쿠르드어 (소라니 방언) | سلێمانی / Silêmanî |
아랍어 | السليمانية / as-Sulaymāniyyah |
유형 | 도시 |
지역 | 쿠르디스탄 지역 |
주 | 수라이마니야 주 |
지사 | 하발 아부바키르 |
고도 | 859m |
웹사이트 | 수라이마니야 공식 웹사이트 |
인구 | |
추정 (2018년) | 676,492명 |
시간대 | |
시간대 | AST |
UTC 오프셋 | +3 |
갤러리 | |
![]() | |
![]() | |
![]() | |
![]() | |
![]() | |
![]() |
2. 역사
술라이마니야는 1784년 현대 도시가 건설되기 전까지 잠와로 알려졌다. 1784년 11월 14일, 쿠르드족의 왕자 이브라힘 파샤 바반은 아버지 술레이만 파샤의 이름을 따서 도시 이름을 술라이마니야로 짓고, 바반 공국의 수도로 삼았다.
이브라힘 바반은 1783년 토후국의 통치자가 되면서 오스만 술탄 술레이만의 이름을 딴 도시(술라이마니야) 건설을 시작했다. 그는 ''Qeyserîs''라고 불리는 무역을 위한 여러 궁전과 목욕탕으로도 사용된 바자르를 건설했고, 주변 마을과 토후국에서 사람들을 초대하여 새로 건설된 도시로 이주하도록 했다.
새로운 도시 술라이마니야는 샤레주르 지방을 장악한 최초의 바반 왕자인 술레이만 바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술레이만 바반은 1694년 이웃한 쿠르드족의 봉신국인 아르달란을 침략하여 그들의 군대를 격파했다. 오스만 술탄 무스타파 2세는 그에게 바반 지역을 할당했다.[9]
억만장자 귀족이자 쿠르드 누리 아갈 가문의 베이인 하지 아지즈 누리 아갈은 이브라힘 파샤 바반과 쿠르드족 베이와 협력하여 도시를 건설했다. 그는 술라이마니야에 최초로 묘지를 건설하고, 빈곤한 사람들을 도왔으며, 최초의 다리를 건설했다. 그는 자신의 안전을 도외시하고 다리의 안정성을 직접 시험하기도 했다.
유대교 전통에 따르면 술레이만 바반은 도시의 완성을 위해 유대인 거주민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카라다그와 주변 마을에 사절단이 파견되었고, 카라다그의 유대인들은 술라이마니야로 최초의 유대인 거주민 그룹을 보냄으로써 이에 응답했다.[12]
1800년대 초, 마스투라 아르달란을 포함한 아르달란 출신의 난민들이 술레이마니야로 이주했다. 마스투라 아르달란은 쿠르드족 역사를 페르시아어로 기록했고, 1848년 사망했을 때 술레이마니야에 묻혔다.[10]
1922년부터 1924년까지 술레이마니야는 쿠르드족이 오스만 제국의 붕괴 이후 선포한 단명한 인정받지 못한 국가인 이라크 쿠르드족이 선포한 쿠르디스탄 왕국의 수도였다.[11]
2. 1. 고대와 중세
술라이마니야 지역은 1784년 현대 도시가 건설되기 전까지 잠와로 알려져 있었다. 쿠르드족의 바반 공국(1649–1850) 수도는 술라이마니야 이전에는 "칼라치왈란"이라는 영토였다. 바반 통치 시대에는 사파비 왕조와 오스만 제국 사이에 주요 분쟁이 있었고, 칼라치왈란은 두 경쟁 세력의 격전지가 되었다.[8]1783년, 이브라힘 바반이 토후국의 통치자가 되었고, 오스만 술탄 술레이만의 이름을 딴 술라이마니야 건설을 시작했다. 그는 새로운 도시를 수도로 삼았다. 1784년, 그는 ''Qeyserîs''라고 불리는 무역을 위한 여러 궁전과 목욕탕으로도 사용된 바자르를 건설했고, 주변 마을과 토후국에서 사람들을 초대하여 새로 건설된 도시로 이주하도록 했다.[8] 새로운 도시 술라이마니야는 샤레주르 지방을 장악한 최초의 바반 왕자인 술레이만 바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술레이만 바반은 1694년 이웃한 쿠르드족의 봉신국인 아르달란을 침략하여 그들의 군대를 격파했다. 오스만 술탄 무스타파 2세는 그에게 바반 지역을 할당했다.[9]
억만장자 귀족 쿠르드 누리 아갈 가문의 베이인 하지 아지즈 누리 아갈은 이브라힘 파샤 바반과 쿠르드족 베이와 협력하여 도시를 건설했다. 그는 술라이마니야에 최초로 묘지를 건설한 인물로, 처음 옻나무 재배를 위해 지정되었던 자신의 토지를 활용했다. 아갈은 빈곤한 사람들을 돕기에 충분할 정도로 자신의 부가 넉넉하다고 언급하며 이익을 창출할 의도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궁궐의 문을 열어 궁핍한 사람들이 필요한 것을 가져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의 이타적인 본성을 보여주었다. 그는 그들에게 견과류, 닭고기, 쌀 등 당시 귀족들이 소비하던 음식들을 제공했다. 또한 그는 술라이마니야에 최초의 다리를 건설하고 말을 타고 건너면서 그 안정성을 시험했다. 그는 다리가 무너져 죽으면 그것이 다리의 부적절함을 증명하고 시민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말하면서 자신의 안전에 무관심한 태도를 보였다. 그가 사망한 후, 그의 가족은 비판에 직면했고, 그들은 저택을 팔아 주차장으로 개조했다. 그를 알고 있던 많은 노인 쿠르드족들은 이 결정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그의 죽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매우 존경받는 귀족이다.
유대교 전통에 따르면 술레이만 바반은 도시의 완성을 위해 유대인 거주민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 후 번성하는 유대인 공동체가 있는 카라다그와 주변 마을에 사절단이 파견되었다. 카라다그의 유대인들은 술라이마니야로 최초의 유대인 거주민 그룹을 보냄으로써 이에 응답했다.[12]
1800년대 초, 아르달란 출신의 난민들이 술레이마니야로 이주했는데, 여기에는 왕국의 통치자였던 호스라브 카니 에르달란의 미망인인 마스투라 아르달란도 포함되었다. 에르달란은 쿠르드족 역사를 페르시아어로 기록했고, 1848년 사망했을 때 술레이마니야에 묻혔다.[10]
2. 2. 근대

술라이마니야 지역은 1784년 현대 도시가 건설되기 전까지 ''잠와''로 알려져 있었다. 쿠르드족의 바반 공국(1649–1850)의 수도는 술라이마니야 이전에는 "칼라치왈란"이라는 영토였다. 바반 통치 시대에는 사파비 왕조와 오스만 제국 사이에 주요 분쟁이 있었고, 칼라치왈란은 두 경쟁 세력의 격전지가 되었다.[8]
1783년, 이브라힘 바반이 토후국의 통치자가 되었고, 오스만 술탄 술레이만의 이름을 딴 도시(술라이마니야) 건설을 시작하여 새로운 수도로 삼았다. 1784년, 그는 ''Qeyserîs''라고 불리는 무역을 위한 여러 궁전과 목욕탕으로도 사용된 바자르를 건설했고, 주변 마을과 토후국에서 사람들을 초대하여 새로 건설된 도시로 이주하도록 했다.[8] 멜켄디는 원래 도시 자체로 의도되었지만, 이후 도시의 한 구획이 되었다. 술라이마니야는 샤레주르 지방을 장악한 최초의 바반 왕자인 술레이만 바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술레이만 바반은 1694년 이웃한 쿠르드족의 봉신국인 아르달란을 침략하여 그들의 군대를 격파했다. 오스만 술탄 무스타파 2세는 그에게 바반 지역을 할당했다.[9]
억만장자 귀족 쿠르드 누리 아갈 가문의 베이인 하지 아지즈 누리 아갈은 이브라힘 파샤 바반과 쿠르드족 베이와 협력하여 도시를 건설했다. 그는 옻나무 재배를 위해 지정되었던 자신의 토지를 활용하여 술라이마니야에 최초로 묘지를 건설했다. 아갈은 빈곤한 사람들을 돕기에 충분할 정도로 자신의 부가 넉넉하다고 언급하며 이익을 창출할 의도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궁궐의 문을 열어 궁핍한 사람들이 필요한 것을 가져갈 수 있도록 하였고, 견과류, 닭고기, 쌀 등 당시 귀족들이 소비하던 음식들을 제공했다. 또한 술라이마니야에 최초의 다리를 건설하고 말을 타고 건너면서 그 안정성을 시험했다. 그는 다리가 무너져 죽으면 그것이 다리의 부적절함을 증명하고 시민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말하면서 자신의 안전에 무관심한 태도를 보였다. 그가 사망한 후, 그의 가족은 비판에 직면했고, 그들은 저택을 팔아 주차장으로 개조했다. 그를 알고 있던 많은 노인 쿠르드족들은 이 결정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그의 죽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매우 존경받는 귀족이다.
유대교 전통에 따르면 술레이만 바반은 도시의 완성을 위해 유대인 거주민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 후 번성하는 유대인 공동체가 있는 카라다그와 주변 마을에 사절단이 파견되었다. 카라다그의 유대인들은 술라이마니야로 최초의 유대인 거주민 그룹을 보냄으로써 이에 응답했다.[12]
1800년대 초, 마스투라 아르달란을 포함한 아르달란 출신의 난민들이 술레이마니야로 이주했다. 에르달란은 쿠르드족 역사를 페르시아어로 기록했고, 1848년 사망했을 때 술레이마니야에 묻혔다.[10]
1922년부터 1924년까지 술레이마니야는 쿠르드족이 오스만 제국의 붕괴 이후 선포한 단명한 인정받지 못한 국가인 이라크 쿠르드족이 선포한 쿠르디스탄 왕국의 수도였다.[11]
2. 3. 현대
술라이마니야는 1784년 현대 도시가 건설되기 전까지 잠와로 알려졌다. 1783년 이브라힘 바반이 토후국의 통치자가 되면서 오스만 술탄 술레이만의 이름을 딴 도시(술라이마니야) 재건을 시작했고, 새로운 도시를 수도로 삼았다. 1784년, 무역을 위한 궁전과 목욕탕이 있는 바자르를 건설하고 주변 마을과 토후국 사람들을 이주시켰다. 멜켄디는 원래 도시 자체로 의도되었지만, 도시의 한 구획이 되었다.[8]
새로운 도시 술라이마니야는 샤레주르 지방을 장악한 최초의 바반 왕자인 술레이만 바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술레이만 바반은 1694년 이웃 쿠르드족 봉신국인 아르달란을 침략하여 군대를 격파했고, 오스만 술탄 무스타파 2세는 그에게 바반 지역을 할당했다.[9]
억만장자 귀족 쿠르드 누리 아갈 가문의 베이인 하지 아지즈 누리 아갈은 이브라힘 파샤 바반과 쿠르드족 베이와 협력하여 도시를 건설했다. 그는 술라이마니야에 최초로 묘지를 건설하고, 빈곤한 사람들을 도왔으며, 최초의 다리를 건설했다.
유대교 전통에 따르면 술레이만 바반은 도시 완성을 위해 유대인 거주민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카라다그와 주변 마을에 사절단이 파견되었고, 카라다그의 유대인들은 술라이마니야로 최초의 유대인 거주민 그룹을 보냈다.[12]
1800년대 초, 마스투라 아르달란을 포함한 아르달란 출신 난민들이 술레이마니야로 이주했다. 마스투라 아르달란은 쿠르드족 역사를 페르시아어로 기록했고, 1848년 사망했을 때 술레이마니야에 묻혔다.[10]
1922년부터 1924년까지 술레이마니야는 쿠르드족이 오스만 제국 붕괴 이후 선포한 인정받지 못한 국가인 이라크 쿠르드족의 쿠르디스탄 왕국 수도였다.[11]
현대의 술라이마니야는 1784년 11월 14일 쿠르드족 왕자 이브라힘 파샤 바반(그의 아버지로부터 술레이만 파샤의 이름을 받았다)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후 강력한 쿠르드족 공국의 수도이자 이라크 북부 경제 중심지였으며, 1992년 이후 소라니 방언을 계승하는 문화적 중심지가 되었다.
3. 인구
1820년, 도시 건설 36년 만에 영국인 레흐가 이 도시를 방문하여 인구가 1만 명 이상이며, 2,144가구가 거주하고, 그 중 2,000가구는 무슬림, 130가구는 유대인, 14가구는 기독교인으로 추정했다.
1907년 오스만 문서에 따르면 당시 시에는 8,702명의 무슬림과 360명의 비무슬림 주민이 거주하고 있었다. 1920년 술라이마니에서 배포된 ''페슈카우틴'' 신문은 인구를 약 1만 명으로 추산했다.
1920년대 초 이라크 반란은 메소포타미아 위임통치령에 대한 영국의 지배에 맞서 셰이크 마흐무드의 주도로 일어났고, 이는 술라이마니야에서 유대인의 이주를 촉발시켰다.[12]
이라크 정부 문서에 따르면, 1947년까지 주민 수는 23,475명으로 증가했다.[13] 같은 해, 1,517명으로 구성된 300가구의 유대인 가족이 존재한다는 기록이 있었다. 특히, 한 가족을 제외한 거의 모든 유대인 공동체가 1951-52년에 새롭게 등장한 이스라엘 국가로 알리야를 했다.[12]
1998년까지 지역 인구는 548,747명으로 추산되었고, 2015년에는 약 656,100명으로 증가했다.[13]
이라크 미국 대학교 술라이마니는 2016년 인구를 80만 명으로 추산했다.[14]
4. 지리 및 기후
술라이마니야는 북동쪽으로 아즈멜 산맥, 고이자와 산맥, 카이완 산맥이 있고, 남쪽으로는 바라난 산, 서쪽으로는 타스루자 구릉에 둘러싸여 있다. 이 지역은 매우 덥고 건조한 여름과 춥고 비가 많이 오는 겨울이 특징이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고온 여름 지중해성 기후(Csa)로 분류된다.[20]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8.6 | 10.7 | 15.5 | 20.8 | 27.3 | 34.3 | 38.5 | 38.7 | 33.7 | 26.4 | 16.5 | 11.0 |
평균 기온 (℃) | 3.4 | 5.3 | 9.8 | 14.8 | 20.8 | 27.3 | 31.4 | 31.4 | 26.5 | 19.6 | 10.4 | 5.4 |
평균 최저 기온 (℃) | -1.5 | -0.5 | 3.1 | 7.4 | 12.4 | 17.9 | 22.0 | 22.0 | 17.5 | 12.3 | 4.4 | 0.3 |
강수량 (mm) | 136 | 133 | 122 | 91 | 30 | 1 | 0 | 0 | 1 | 40 | 81 | 112 |
평균 강우 일수 | 10 | 10 | 13 | 8 | 4 | 1 | 1 | 0 | 0 | 4 | 5 | 11 |
평균 강설 일수 | 4 | 2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평균 상대 습도 (%) | 70 | 69 | 61 | 56 | 41 | 24 | 20 | 18 | 22 | 33 | 56 | 67 |
평균 이슬점 (℃) | -1 | 0 | 2 | 4 | 5 | 3 | 4 | 4 | 2 | 2 | 1 | 2 |
평균 일조 시간 | 164.3 | 175.2 | 213.9 | 237 | 316.2 | 408 | 418.5 | 396.8 | 351 | 272.8 | 207 | 167.4 |
자료 출처: ''Climate-Data.org'' (고도: 849m),[20] Weatherbase(일광-이슬점-강우 및 강설 일수),[21] Weather2visit(일조량)[22]
4. 1. 지리
이 도시는 이라크 북부이자 남 쿠르디스탄에 위치해 있다. 이라크의 주요 인구 밀집 지역 중 하나로, 더운 여름 기온과 비가 많이 내리는 겨울이 특징이다. 평균 기온은 0°C에서 39°C 범위이다. 겨울에는 상당한 양의 눈이 내릴 수 있으며, 매년 또는 2년마다 눈이 내린다.[15][16][17][18][19]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기후는 고온 여름 지중해성 기후(Csa)로 분류된다.[20]
술라이마니야 (1991–2021) 기후 데이터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평균 최고 기온 (°C) | 8.6 | 10.7 | 15.5 | 20.8 | 27.3 | 34.3 | 38.5 | 38.7 | 33.7 | 26.4 | 16.5 | 11.0 |
평균 기온 (°C) | 3.4 | 5.3 | 9.8 | 14.8 | 20.8 | 27.3 | 31.4 | 31.4 | 26.5 | 19.6 | 10.4 | 5.4 |
평균 최저 기온 (°C) | -1.5 | -0.5 | 3.1 | 7.4 | 12.4 | 17.9 | 22.0 | 22.0 | 17.5 | 12.3 | 4.4 | 0.3 |
강수량 (mm) | 136 | 133 | 122 | 91 | 30 | 1 | 0 | 0 | 1 | 40 | 81 | 112 |
평균 강우 일수 | 10 | 10 | 13 | 8 | 4 | 1 | 1 | 0 | 0 | 4 | 5 | 11 |
평균 강설 일수 | 4 | 2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평균 상대 습도 (%) | 70 | 69 | 61 | 56 | 41 | 24 | 20 | 18 | 22 | 33 | 56 | 67 |
평균 이슬점 (°C) | -1 | 0 | 2 | 4 | 5 | 3 | 4 | 4 | 2 | 2 | 1 | 2 |
평균 일조 시간 | 164.3 | 175.2 | 213.9 | 237 | 316.2 | 408 | 418.5 | 396.8 | 351 | 272.8 | 207 | 167.4 |
자료 출처: ''Climate-Data.org'' (고도: 849m),[20] Weatherbase(일광-이슬점-강우 및 강설 일수),[21] Weather2visit(일조량)[22]
4. 2. 기후
이 도시는 이라크 북부이자 남쿠르디스탄에 위치해 있다. 이라크의 주요 인구 밀집 지역 중 하나로, 더운 여름 기온과 비가 많이 내리는 겨울이 특징이다. 평균 기온은 0°C에서 39°C 범위이다. 겨울에는 상당한 양의 눈이 내릴 수 있으며, 매년 또는 2년마다 눈이 내린다.[15][16][17][18][19]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기후는 고온 여름 지중해성 기후(Csa)로 분류된다.[20]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8.6 | 10.7 | 15.5 | 20.8 | 27.3 | 34.3 | 38.5 | 38.7 | 33.7 | 26.4 | 16.5 | 11.0 |
평균 기온 (℃) | 3.4 | 5.3 | 9.8 | 14.8 | 20.8 | 27.3 | 31.4 | 31.4 | 26.5 | 19.6 | 10.4 | 5.4 |
평균 최저 기온 (℃) | -1.5 | -0.5 | 3.1 | 7.4 | 12.4 | 17.9 | 22.0 | 22.0 | 17.5 | 12.3 | 4.4 | 0.3 |
강수량 (mm) | 136 | 133 | 122 | 91 | 30 | 1 | 0 | 0 | 1 | 40 | 81 | 112 |
평균 강우 일수 | 10 | 10 | 13 | 8 | 4 | 1 | 1 | 0 | 0 | 4 | 5 | 11 |
평균 강설 일수 | 4 | 2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평균 상대 습도 (%) | 70 | 69 | 61 | 56 | 41 | 24 | 20 | 18 | 22 | 33 | 56 | 67 |
평균 이슬점 (℃) | -1 | 0 | 2 | 4 | 5 | 3 | 4 | 4 | 2 | 2 | 1 | 2 |
평균 일조 시간 | 164.3 | 175.2 | 213.9 | 237 | 316.2 | 408 | 418.5 | 396.8 | 351 | 272.8 | 207 | 167.4 |
[42] Weatherbase(일광-이슬점-강우 및 강설 일수),[21] Weather2visit(일조량)[22]
이 도시는 북동쪽의 아즈멜 산맥, 고이자와 산맥과 카이완 산맥, 남쪽의 바라난 산, 서쪽의 타스루자 구릉에 둘러싸여 있으며, 기후는 매우 덥고 건조한 여름과 춥고 강수량이 많은 겨울이 특징이다.
5. 문화
술라이마니야에서는 독립 신문 ''하울라티''[26]와 ''아웨나''[27], 독립 정치 잡지 ''Lvin''과 ''Shock''가 발행 및 배포되고 있다. 2016년부터는 술라이마니야 대학교 예술대학에서 국제 영화제를 주최하고 있다.[6]
술라이마니야는 남쿠르디스탄에서 세계 음악의 날(음악 축제)을 정기적으로 기념하는 유일한 도시이다. BBC 기자는 술라이마니야의 독특한 문화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쿠르드인들, 특히 술레이마니에서 문화는 매우 중요하지만, 자체적으로 일을 처리하기 시작한 이후 접근 가능해진 위성 텔레비전으로 인해 서구화와 소비주의라는 강한 끌림이 있다... 대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캠퍼스를 돌아다니며 서로 잡담을 하고 시험을 위해 막바지 암기를 하고 있다. 전쟁은 단 몇 주 동안만 강의를 중단시켰다.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을 것이며, 그들은 질문하는 사람에게 기꺼이 자신들의 견해를 밝힌다."[28]
술라이마니야는 나리, 마흐위, 피라메르드와 같은 시인들의 고향이다.[29][30]
6. 교육
술레이마니 대학교는 1968년에 쿠르드어, 아랍어, 영어를 사용하여 개교했다. 공학, 농업, 예술, 과학, 의학 분야의 단과대학을 갖추고 있으며, 쿠르드 자치 지역에서 가장 큰 대학교이다.[23] 2012년에는 술레이마니 폴리텍 대학교[24]가 설립되었으며, 역시 쿠르드어, 영어, 아랍어로 교육을 제공한다.
2007년에는 이라크 미국 대학교 – 술레이마니[25](AUI-S)가 중동 지역의 미국 대학교에 새롭게 추가되어 2016년에 다섯 번째 졸업생을 배출했다. 이 사립 비영리 인문 대학은 영어만으로 교육을 진행하며, 미국 인증을 받은 제2외국어로서의 영어(ESL)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여러 사립 대학교가 있다.
7. 경제
2003년 이후 술라이마니야는 지역 경제가 성장하고 있다. 오늘날 술라이마니야의 경제는 관광, 농업[31]에 의존하며, 여러 소규모 공장들이 있는데 이들 중 대부분은 건축 관련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2004년 이라크 종합 식량 안보 및 취약성 분석에서 술레이마니 주에 대한 심층 조사를 발표했으며, 각 도시를 조사하여 2003년의 경제 호황을 확인했다.[32]
7. 1. 관광






2003년 이후 술레이마니는 지역 경제가 성장하고 있다. 오늘날 술레이마니의 경제는 관광, 농업[31]과 여러 소규모 공장에 의존하며, 이들 중 대부분은 건축 관련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2009년에는 6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이 도시를 방문했다.[34] 2010년 1분기에는 1만 5천 명 이상의 이란 관광객이 술레이마니를 찾았는데, 이는 많은 이들이 자국에서 적용되는 엄격한 법률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 매력을 느꼈기 때문이다. 뉴로즈 2010년에는 이란 관광객들이 이 지역에서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방문하기도 했다.[35]
7. 2. 박물관
- '''술라이마니 박물관'''(Sulaimani Museum영어): 바그다드에 있는 이라크 국립 박물관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박물관이다. 기원전 1792년부터 175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많은 메소포타미아, 쿠르드, 고대 페르시아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36]
- 암나 수라카 박물관[33]
- 현대 미술관 (''Mozehanai Hunari Howchah'')[6]
- 술라이마니 고고학 박물관[6]
8. 교통
술라이마니야는 술레이마니야 국제공항을 통해 항공 운송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으며, 이라크 항공, 카타르 항공, 로얄 요르단 항공, 터키 항공을 포함한 많은 상업 항공사가 취항하고 있다.
9. 정치
최근 몇 년 동안, 술라이마니의 많은 사람들은 쿠르드 민족주의에서 멀어지고 있으며, 쿠르드 노동자당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38]
10. 주요 인물
- 칼리드-이 바그다디 (1779–1827), 수피이자 이슬람 사상가
- 살림 (1800–1866), 시인
- 나리 (1800–1873), 시인
- 사에브 (1854–1910), 시인
- 마흐위 (1830–1906), 시인
- 사이드 파샤 쿠르드 (1834–1907), 오스만 제국 정치가
- 셰리프 파샤 (1865–1951), 오스만 제국 외교관, 대사 및 정치가
- 무스타파 야물키 (1866–1936), 쿠르디스탄 왕국의 교육부 장관
- 하지 말라 사에드 키르쿠클리 자다 (1866–1937), 쿠르디스탄 왕국의 법무부 장관
- 피라메르드 타우페크 마흐무드 함자 (1867–1950), 시인 겸 언론인
- 메블란자데 리파트 베이 (1869–1930), 언론인이자 정치인
- 무하메드 아민 자키 (1880–1948), 역사가, 정치가
- 타우피크 와흐비 (1891–1984), 언어학자, 정치인 겸 시인
- 셰이크 누리 셰이크 살리 셰이크 가니 바르진지 (1896–1958), 언론인 겸 시인
- 아흐마드 무크타르 바반 (1900–1976), 1958년 이라크 총리
- 압둘라 고란 (1904–1962), 현대 쿠르드 시의 창시자
- 이브라힘 아흐마드 (1914–2000), 소설가, 시인 겸 번역가
- 자말 네베즈 (1933–2018), 쿠르드 언어학자, 수학자, 정치인, 작가, 번역가
- 나우시르완 무스타파 (1944–2017), 정치인, 역사가 및 언론 재벌[37]
- 바르함 살리, 이라크 제8대 대통령
- 아흐마드 하르디 (1922–2006), 시인
- 셰르코 베카스 (1940–2013), 현대 시인
- 바흐티야르 알리 (1960년 출생), 소설가
- 무하마드 살리 딜란 (1927–1990), 음악가 겸 시인
- 샤하브 셰이크 누리 (1932–1976), 정치인
- 딜샤드 메리와니 (1947–1989), 배우, 시인, 작가 및 언론인
- 카르잔 카르도지 (1983년 출생) 영화 제작자 겸 작가
- 리즈가르 모하메드 아민 (1958년 출생), 판사
- 마흐무드 오스만 (1938년 출생), 정치인
- 잘랄 탈라바니 (1933–2017), 이라크 제6대 대통령
- 마히르 하산 (1963년 출생), 배우 겸 극작가
- 슈완 카말 (1967년 출생), 예술가
- 사라 오마르 (1986년 출생), 소설가
- 심코 아흐메드 (1972년 출생), 예술가

11.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Sulaimani Polytechnic University
http://spu.edu.iq/in[...]
spu.edu.iq
2015-06-13
[2]
웹사이트
Iraq: Governorates & Cities
http://www.citypopul[...]
[3]
뉴스
Bi wêneyên Pêşengeha Pirtûkan a Navnetewî ya Silêmanî
https://www.rudaw.ne[...]
2019-11-23
[4]
뉴스
سەرۆکی هەرێمی کوردستان سەردانی سلێمانی دەکات
https://www.rudaw.ne[...]
2019-11-25
[5]
뉴스
السليمانية
https://www.aljazeer[...]
2015-05-21
[6]
간행물
There Is No Kurdish Art
https://www.jstor.or[...]
2018
[7]
웹사이트
Sulaimany: 227 years of glory
https://kurdistantri[...]
2011-11-13
[8]
웹사이트
The Leading Suly Government Site on the Net
http://www.sulygov.c[...]
sulygov.com
[9]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Infobase Publishing
2009
[10]
웹사이트
Sulaimania: Saving the dream city of a Kurdish prince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6-11-21
[11]
논문
A Kurdish State in Iraq
1993-01-01
[12]
Citation
Chapter Five. Sulaimaniya
https://brill.com/di[...]
Brill
2007-01-01
[13]
웹사이트
Iraq: Governorates, Major Cities & Urban Center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www.citypopul[...]
[14]
웹사이트
Life in Sulaimani
https://auis.edu.krd[...]
2016-10-17
[15]
뉴스
Iraq under cold front bringing snow with below zero temperatures
http://www.indianmus[...]
2008-01-11
[16]
뉴스
Snow covers Sulaimaniya
http://www.ninanews.[...]
2010-01-26
[17]
뉴스
Heavy Snow Blankets Sulaimaniya
http://www.iraqupdat[...]
2012-03-03
[18]
뉴스
Unusually heavy snow hits Iraq's Sulaimaniya
http://english.alara[...]
Al Arabiya
2013-01-14
[19]
뉴스
11 Refugee Children Freeze to Death in Kurdistan Camps
http://basnews.com/e[...]
2015-01-12
[20]
웹사이트
Climate: Sulaymaniyah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1]
웹사이트
MONTHLY - ALL WEATHER AVERAGES: As-Sulaymaniyah
https://www.weatherb[...]
Cantymedia
[22]
웹사이트
As-Sulaymaniyah Weather Averages
https://www.weather2[...]
[23]
웹사이트
University of Sulaimani
http://www.univsul.o[...]
Univsul.org
[24]
웹사이트
Sulaimani Polytechnic University
http://www.spu.edu.i[...]
spu.edu.iq
[25]
Webarchive
http://www.auis.org/
2010-11-23
[26]
웹사이트
Hawlati.info
http://www.hawlati.i[...]
Hawlati.info
[27]
웹사이트
ئاوێنە نیوز
http://www.awene.com[...]
Awene.com
[28]
웹사이트
Kurdistan diary: Day Three
http://www.kurdishgl[...]
KurdishGlobe
2006-10-28
[29]
서적
Sulaymaniyah 200 Years
[30]
웹사이트
Sulaimani city, on verge of economic collapse?
https://ekurd.net/su[...]
2016-09-21
[31]
웹사이트
Slemani
http://www.investpro[...]
Investpromo.gov.iq
[32]
웹사이트
Comprehensive Food Security and Vulnerability Analysis in Iraq
http://cosit.gov.iq/[...]
[33]
웹사이트
The Museum of Amna Suraka: a Critical Case Study of Kurdistani Memory Culture
https://www.universi[...]
[34]
웹사이트
Rudaw.NL, dé Opinieblog...
http://www.rudaw.nl/[...]
Rudaw.nl
[35]
웹사이트
Rudaw.NL, dé Opinieblog...
http://www.rudaw.nl/[...]
Rudaw.nl
[36]
웹사이트
Suleimaniya Museum: a small place for a great civilization
http://www.kurdishgl[...]
KurdishGlobe
2012-08-09
[37]
웹사이트
Wusha Corporation
http://www.wusha.net[...]
Wusha.net
2012-08-09
[38]
뉴스
Kurdish Nationalism at an Impasse
https://tcf.org/cont[...]
2019-04-29
[39]
웹사이트
Tucson Sister Cities
http://www.sister-ci[...]
Sister Cities International
2013-09-04
[40]
웹사이트
Tucson Sister Cities
http://www.sister-ci[...]
Sister Cities International
2013-09-04
[41]
웹사이트
اعلام خواهرخواندگی سلیمانیه عراق و ناپل ایتالیا
http://kurdpress.ir/[...]
Kurdpress
2013-04-30
[42]
웹인용
Climate: Sulaymaniyah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4-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