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숴청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숴청구는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숴저우시에 속하는 구이다. 고대 중국의 변경 초소였던 마이가 있던 곳으로, 진나라 시대에 마읍현으로 설치되었으며, 이후 초원현, 선양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명나라 시대에는 삭주에 통합되었다가, 중화민국 시기 삭현으로 개칭되었고, 1988년 숴청구로 개편되었다. 현재 4개의 가도, 2개의 진, 9개의 향을 관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숴저우시의 행정 구역 - 잉현
    잉현은 중국 산시 성 숴저우 시에 위치한 현으로, 금성현에서 유래하여 응주 주 치소가 되었다가 1913년 개칭되었고, 응현 목탑이 있으며 소설가 차오나이첸의 출생지이다.
  • 숴저우시의 행정 구역 - 유위현
    유위현은 중국 산시성 숴저우시에 위치한 현으로, 역사적으로 산우에서 시작되어 청나라 옹정제 시기에 현으로 승격되었으며,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를 띠고 농업과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 산시성 (산서성)의 시할구 - 핑청구
    핑청구는 중국 산시성 다퉁시 북부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12개의 가도와 3개의 향을 관할하며 다퉁시의 교통, 경제,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산시성 (산서성)의 시할구 - 청구 (양취안시)
    양취안시 청구는 산시성 양취안시 중남부에 위치한 시할구로, 과거 핑딩현의 일부였으며 정타선 양취안역 설치 후 인구가 증가하여 양취안시의 일부가 되었고, 현재 6개의 가도를 관할하며 도허 중류의 서고동저 지세이다.
숴청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숴청
원어 이름朔城
로마자 표기Shuòchéng Qū
간체자朔城区
번체자朔城區
한국어 표기삭성구
종류
위치중국, 산시 성, 숴저우 시
행정
국가중국
산시 성
지급 행정구역숴저우 시
면적
총 면적1768 제곱킬로미터
인구
2020년565,075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 오프셋+8
행정 구역 코드
행정 구역 코드140602
역사
옛 이름마읍현 (馬邑縣/马邑县)
음관현 (陰館縣/阴馆县)
안문군 (雁門郡/鴈門郡)
건치진나라 시대
개편1988년
기타 정보
우편 번호038500
지역 번호0349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숴청구는 유구한 역사를 지닌 지역이다. 진나라 시대에 설치된 '''마읍현'''을 전신으로 하며, 여러 왕조를 거치면서 행정 구역 명칭과 관할 지역에 변화가 있었다.

숴청 현() SHUO-HSIEN (Shohsien) (성벽)이 포함된 지도 (AMS, 1955)

2. 1. 고대 ~ 중세

숴청은 고대 중국의 변경 초소인 '''마이'''가 있던 곳이며, 그 영토는 이전에 얀먼 사령부의 '''마이현'''으로 조직되었다.

현재 숴청 구의 시아관청 촌 (夏关城村|시아관청 촌중국어)에 위치한 '''잉관'''[2][3]은 동한 시대에 또 다른 현의 중심지이자 얀먼 사령부 전체의 소재지였다.[2] 이 초소는 조위 시대에 현재의 다이 현 인근의 광우 현으로 이전되었다.[2]

진나라 시대에 설치된 '''마읍현'''을 전신으로 한다. 서진 시대에 폐지되었으나, 남북조 시대 북제에 의해 '''초원현'''으로 재설치되어 삭주의 치소가 되었다. 605년 (수나라)에 '''선양현'''으로 개칭, 요나라 시대에 '''선양현'''으로 개칭되었으며, 명나라 시대에는 선양현이 폐지되어 '''삭주'''에 통합되었다.

2. 2. 근현대

1913년(중화민국) 삭주가 폐지됨에 따라 '''삭현'''으로 개칭되었다. 1949년부터 1952년까지 차하얼성의 관할이었다. 1988년에 '''숴청구'''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

3. 행정 구역

숴청구는 4개 가도, 2개 진, 9개 향을 관할한다.

종류명칭한자
가도북성가도北城街道
가도남성가도南城街道
가도신두가도神头街道
가도북왕장가도北旺庄街道
신두진神头镇
리민진利民镇
샤퇀바오향下团堡乡
샤오핑이향小平易乡
쯔룬향滋润乡
푸산좡향福善庄乡
난위린향南榆林乡
자좡향贾庄乡
사렁허향沙塄河乡
야오쯔터우향窑子头乡
장차이좡향张蔡庄乡


3. 1. 가도


  • 북성가도
  • 남성가도
  • 신두가도
  • 북왕장가도[1]

3. 2. 진

신두진과 리민진이 있다.

3. 3. 향


  • 샤퇀바오향(下团堡乡)
  • 샤오핑이향(小平易乡)
  • 쯔룬향(滋润乡)
  • 푸산좡향(福善庄乡)
  • 난위린향(南榆林乡)
  • 자좡향(贾庄乡)
  • 사렁허향(沙塄河乡)
  • 야오쯔터우향(窑子头乡)
  • 장차이좡향(张蔡庄乡)[1]

4.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Shānxī: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http://www.citypopul[...]
[2] 서적 Yanmen https://books.google[...]
[3] 서적 Yanmen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