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미스 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미스 던은 인도 육군에서 복무하고 미얀마군 총사령관을 역임한 인물이다. 1924년 인도 육군에 입대하여 제20 버마 소총 연대에서 복무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버마 군단에서 복무하며 "4피트 대령"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1948년 미얀마 독립 후 미얀마군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나, 카렌족의 독립 요구로 인해 해임되었다. 이후 미얀마 샨주 칼로에서 여생을 보내다 1979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기독교인 - 헨리 반 티유
헨리 반 티유는 미얀마 육군 소령 출신으로 민족민주연맹에 가입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 하원의원 당선 후 미얀마 부통령을 지냈으며, 쿠데타 규탄 및 민주주의 회복을 지지했고, 미얀마 역사상 최초의 비 불교 신자 부통령이자 독실한 기독교 신자이다. - 에야와디 관구 출신 - 바 모
바 모는 몬족과 버마족 혼혈 출신으로 영국 식민지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버마의 정치적 인물이었으며, 랑군 대학교 교수를 거쳐 변호사로 활동하며 자치 정부 운동을 이끌었고, 초대 총리를 역임했으나 일본의 지원을 받아 국가 원수가 되었고, 네 윈 정권 하에서 투옥되어 사망했다. - 에야와디 관구 출신 - 우 딴
미얀마 외교관이자 정치인인 우 딴은 아시아 최초의 유엔 사무총장으로서 주요 국제 분쟁 해결에 기여하고 UNDP 설립을 주도했으며, 그의 사후 업적 기림 부족으로 국민적 반발을 샀다. - 미얀마의 장군 - 아웅 산
아웅산은 미얀마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영국령 인도 시대 학생 운동을 통해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과 협력 및 항일 운동을 거쳐 반파시스트 인민자유동맹을 이끌며 독립 협상을 진행했으나 암살당했고, 미얀마 건국에 중요한 역할을 한 국민 영웅이며 그의 딸 아웅산 수치 또한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다. - 미얀마의 장군 -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 군부 최고사령관인 민 아웅 흘라잉은 2021년 쿠데타를 주도하여 미얀마 과도정부 총리에 취임했으며 로힝야족 학살 문제로 국제적인 제재를 받고 있다.
스미스 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중장 |
이름 | 스미스 던 |
존칭 접미사 | MC |
출생일 | 1906년 11월 11일 |
사망일 | 1979년 1월 30일 |
출생지 | 이라와디 삼각주, 버마 성, 영국령 인도 |
사망지 | 칼로, 샨 주, 버마 |
별칭 | 네 발의 대령 |
충성 | 영국령 인도 영국령 버마 버마 |
군 종류 | 영국령 인도 육군 영국령 버마 육군 버마 육군 |
복무 기간 | 1924년 – 1949년 |
계급 | 중장 (버마 육군) 준장 (인도 육군) |
군번 | IC-3 (인도) BC 5106 (버마) |
부대 | 카렌 소총대 버마 소총대 |
지휘 | 버마 육군 |
참전 | 1935년 모흐만드 전역 제2차 세계 대전 |
훈장 | 명예의 검 Military Cross |
2. 초기 생애 및 교육
스미스 던은 1924년 11월 8일 인도 육군에 입대하여, 처음에는 제10대대대 20 버마 소총에서 근무했다. 훈련 후에는 제2대대 20 버마 소총에서 복무했으며, 1930년~32년의 반란 기간 동안 버마에서 복무했다.[4] 1931년 1월 10일 부사관으로 임관되었고,[4] 키치너 대학, 나온가온을 거쳐 인도 육군사관학교에 입교하였다. 그는 졸업생 중 가장 우수한 생도에게 수여되는 첫 번째 명예의 검을 받았다.[4] 1935년 2월 1일에 임관되었고, 이후 1934년 2월 4일로 임관일이 연장되었다.[4]
스미스 던은 1924년 인도 육군에 입대하면서 군 생활을 시작했다. 인도 육군과 버마군에서 복무하며 다양한 전투에 참여하고 여러 훈장을 받았다.
임관 후 1년 동안 아그라에 있는 킹스 오운 요크셔 경보병에 소속되어 있었다.[4] 1936년 2월 24일 인도 육군에 입대했고, 1936년 3월 9일 제2대대에 펀자브 1연대로 발령났다.[4] 1936년 5월 4일 중위로 진급했으며,[4] 그의 대대는 1936년에서 37년까지 북서부 국경에서 전투에 참가했다.[4]
인도 사관학교 재학 중 던은 1기 생도 중 한 명으로 선발되었다. "개척자"라고 불리는 그의 학급은 인도와 파키스탄의 미래 총사령관인 샘 마넥쇼와 무함마드 무사 칸도 배출했다.[4]
그는 카렌족 출신이다.
3. 군 경력
1945년 11월 15일에 대령 대위, 1946년 5월 5일에 임시 대령으로 진급했으며, 1949년 1월 3일 명예 준장으로 인도 육군에서 퇴역했다.[5] 이후 버마군 총사령관을 역임하였다.
3. 1. 영국령 인도군 복무
던은 1924년 11월 8일 인도 육군에 입대하여, 제20 버마 소총 연대 제10대대에서 복무했고, 훈련 후에는 제2대대에서 복무하며 1930~32년 버마에서 발생한 반란 진압 작전에 참여했다.[4] 1931년 1월 10일 총독 위임 장교로 임관했다.[4] 그는 키치너 칼리지에서 공부한 후, 인도 육군 사관학교의 첫 번째 생도 기수로 선발되었다. "선구자"로 불린 그의 기수에는 훗날 인도와 파키스탄의 총사령관이 되는 샘 마넥쇼와 무하마드 무사 칸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던은 각 기수 최고의 생도에게 수여되는 최초의 명예의 검을 받았다.[4]
1935년 2월 1일 임관 후, 1년 동안 아그라에 있는 킹스 온 요크셔 경보병 연대 제2대대에 배속되었다.[4] 1936년 2월 24일 인도 육군에 입대하여 1936년 3월 9일 제1 펀자브 연대 제2대대에 임명되었다.[4] 1936년 5월 4일 중위로 진급했고, 그의 대대는 1936~37년 북서 변경에서 전투에 참여했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D T 코완 휘하 제17 인도 사단에서 복무했다.[2] 버마 군단에서 복무하는 동안 윌리엄 슬림으로부터 키가 작은 대령이라는 별명을 얻었다.[2]
1941년 일본의 침공 당시 버마 군사 경찰에 배속되어 복무했다.[2] 버마 철수 중의 공로로 1942년 10월 28일 '런던 가제트'에 표창되었다.[2] 퀘타의 참모 대학에서 수학한 후 버마에서 추가 복무를 하면서 1945년 4월 5일 '런던 가제트'에 다시 한번 표창되었고, 이후 버마 정보 군단에 배속된 임시 소령으로서 무공 십자 훈장을 받았다(1946년 1월 17일 '런던 가제트').[2] 그는 인도 육군에서 전시 정규 중령, 1945년 11월 15일에 임시 대령, 1946년 5월 5일에 임시 대령으로 진급했다.[2] 1949년 1월 3일 명예 준장으로 인도 육군에서 퇴역했다.[3]
3. 2. 미얀마군 복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버마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했을 때, 모든 민족 집단을 포용하는 버마 연합에 대한 신뢰를 쌓기 위한 조치로 카렌족인 던이 버마 군과 경찰군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4] 그러나 1949년 카렌족이 버마로부터 독립을 위한 전쟁을 시작했을 때 던은 자리에서 물러났다.[4] 던은 카렌 민족에 대한 강한 인식을 유지하면서도 버마 군대의 충실한 지도자였으며,[4] 키가 작아서 "4피트 대령"으로 알려졌지만, 해고 후에도 그의 민족적 뿌리에 대한 의심은 사라지지 않았다.[4] 그는 카렌족 병사들을 훈련시켰다.[4] 그는 카렌 출신으로는 최초로 공직을 맡았다.[4]
4. 말년
던은 샨주 칼로에서 은퇴하여 여생을 보냈다. 1979년 칼로에서 사망했으며, 칼로 기독교 묘지에 안장되었다.[1] 그는 카렌족 출신으로, 이 민족 출신으로는 최초로 공직을 맡았다.[1]
5. 평가
스미스 던은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지도력으로 영국군과 미얀마군에서 모두 인정받은 인물이다. 카렌족 출신으로 소수 민족 중에서는 최초로 공직을 맡았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버마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했을 때 버마군 및 경찰군의 최고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
그러나 1949년 카렌족이 버마로부터의 독립 전쟁을 시작하면서 스미스 던은 자리에서 해임되었다.[1] 그는 카렌족으로서 강한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버마군에 충성했다. 작은 체구로 인해 "4피트 대령"으로 알려졌지만, 해임된 후에도 민족적 배경에 대한 의심을 받으면서도 카렌족 병사들을 훈련시켰다.[1]
스미스 던은 소수 민족 출신으로서 차별받지 않고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얻었지만, 민족 갈등의 희생양이 되기도 했다.
6. 기타
던은 키가 작아 "4피트 대령"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4] 인도 육군사관학교 동기생 중에는 훗날 인도와 파키스탄의 총사령관이 된 샘 마넥쇼와 무함마드 무사 칸이 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Google Maps
https://www.google.c[...]
2023-07-13
[2]
서적
The Quarterly Army List: December 1946 (Part I)
HM Stationery Office
[3]
뉴스
Part I-Section 4: Ministry of Defence (Army Branch)
The Gazette of India
1949-10-08
[4]
서적
The Quarterly Army List: December 1946 (Part I)
HM Stationery Office
[5]
뉴스
Part I-Section 4: Ministry of Defence (Army Branch)
The Gazette of India
1949-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