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코틀랜드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코틀랜드 신화는 스코틀랜드의 자연, 민족, 영웅, 그리고 헤브리디스 제도와 오크니 및 셰틀랜드 제도의 민속을 아우르는 다양한 전설과 이야기들을 포함한다. 자연 신화에서는 겨울 여왕 베이라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강과 여신, 어머니 여신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민족 신화는 스코틀랜드인의 기원과 픽트족의 소멸, 거석 문화에 대한 전설을 담고 있으며, 영웅 서사시에서는 얼스터 주기와 피니언 주기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헤브리디스 신화에는 민치의 푸른 남자, 켈피, 세오나이드, 체인질링과 같은 존재들이 등장하며, 오크니와 셰틀랜드 제도에는 셀키 전설이 존재한다. 종교 신화는 아오스 시와 같은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며, 로크 네스 괴물과 아서 왕 전설도 스코틀랜드 신화의 일부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 신화 - 탄기
- 스코틀랜드 신화 - 쿠시 (스코틀랜드 신화)
쿠시는 스코틀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요정 개로, 짙은 녹색 털과 긴 꼬리를 가진 거대한 개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요정 언덕에 살면서 요정들을 돕고, 먹이를 쫓을 때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내는 존재이다.
스코틀랜드 신화 | |
---|---|
개요 | |
![]() | |
관련 | 종교 (원시) |
관련 | 신 (목록) |
관련 | 애니미즘 |
게일어 | |
관련 | 아일랜드 |
관련 | 스코틀랜드 |
브리튼어 | |
관련 | 웨일스 |
관련 | 브르타뉴 |
관련 | 콘월 |
문학 작품 | |
관련 | 신화 주기 |
관련 | 얼스터 주기 |
관련 | 피안나 주기 |
관련 | 왕들의 주기 |
관련 | 마비노기온 |
관련 | 브리튼 문제 |
관련 | 웨일스 삼조시 |
모티프 | |
관련 | 저승 |
관련 | 참수 게임 |
관련 | 챔피언의 몫 |
관련 | 게아스 |
관련 | 임바스 |
관련 | 주권 여신/흉측한 여인 |
관련 | 마법 안개 |
관련 | 니스카이 |
관련 | 성스러운 나무 |
관련 | 변신 |
관련 | 은가지 |
관련 | 삼중 죽음 |
관련 | 황무지 |
관련 | 지혜의 우물 |
축제 | |
관련 | 사윈 |
관련 | 칼란 가에아프 |
관련 | 임볼크 |
관련 | 그윌 파르 |
관련 | 벨테인 |
관련 | 칼란 마이 |
관련 | 루나사드 |
관련 | 칼란 아우스트 |
민속 | |
관련 | 아일랜드 |
관련 | 웨일스 |
관련 | 스코틀랜드 |
머리글 | |
게일어 이름 | Ceann Caillí (켄 카일리) |
의미 | 마귀할멈의 머리 |
둘러보기 상자 | |
제목 | 스코틀랜드 신화 |
주제 | 스코틀랜드 신화 및 민담의 환상종 |
관련 | 켈트 신화의 일부 |
길짐승 | |
관련 | 기올다오람 네스 호의 괴물 스투어 웜 울버 |
날짐승 | |
관련 | 부브리 |
요정/요괴 | |
관련 | 이스시 페니어 너 피르 코롱머 포터흐 브라우니 크냐크 카트시 체인질링 쿠시 둔니 반시 에흐으시커 길레 두브 글래시티그 켈피 누켈라비 바다어미 셀키 세오나이드 셸리코트 탄기 트로우 타르브으시커 위리커우 바반 시 |
물고기 | |
관련 | 마그덴 므하라 |
노움 | |
관련 | 페크 |
고블린 | |
관련 | 바우한 |
그 외 | |
관련 | 아시파틀레 스투어오름 |
2. 자연 신화
스코틀랜드 신화는 그리스 신화, 로마 신화와 달리 자연의 다양한 측면을 다룬다. 겨울을 대표하는 가장 강력하고 두려운 여신은 베이라이며, 겨울 전체를 지배한다.[1] 베이라는 벨테인에 브리히드에게 권력을 양보하고, 브리히드는 삼하인까지 권력을 누린다.[1] 이 신화는 마야의 신화와 유사하며 "창조와 연간 주기"에서 여성의 권력에 대해 다룬다. 도널드 매킨지는 스코틀랜드 신화의 여신들은 고대 그리스의 여신들과는 달리 숭배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1]
켈트 신화의 여신들은 권위적이었으며 여성적 신성과 대지와 관련된 여성의 다산과 연관되었다. 옛날 켈트족의 토지와 국가는 모두 여신의 몸("부족 여신")과 연결되었고, 지상에서의 대표자는 여왕이었다. 스코틀랜드 신화에서 "양가적인" 인물은 "마녀", 여신, 게일의 칼리ach, 거인 여신으로 해로운 존재이자 "치유자"로 간주되며 출산에 도움을 주고, "긴 조상과 놀라운 수명"을 가진 신성한 존재, "창조자이자 파괴자, 부드럽고 사나운 존재, 어머니이자 양육자"로 알려져 있다.[1]
2. 1. 겨울의 여왕 베이라

베이라는 겨울 여왕으로, 1월과 2월에 폭풍을 일으켜 녹색 식물이 돋아나는 것을 막음으로써 스코틀랜드를 장악하고 있다고 믿어졌다.[1] 코리브레칸 해협의 치명적인 소용돌이를 일으키고 눈과 급류를 몰아내 강이 범람하게 하는 거칠고 잔혹한 노파로 여겨졌으며,[1] 심지어 호수와 산의 창조도 그녀의 탓으로 돌려졌다.[1]
2. 2. 강과 여신
스코틀랜드의 강은 여신들의 거주지로 여겨졌다.[1] 포스 강은 조용한 흐름 상태 때문에 "귀가 먹거나 소리가 없는 강"이라고 불렸고, 클라이드 강은 홍수기 동안 "진흙과 점토"를 운반하며 씻어내는 정화 작용을 하여 "정화의 강"이라고 불렸다.[1]
2. 3. 어머니 여신
스코틀랜드 신화와 전설은 오래된 시대의 생활 방식을 이야기하며, 일년의 다양한 계절 동안의 국가의 본질에 대한 관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지역적 색채"를 지닌다. 겨울 여왕 베이라는 1월과 2월에 폭풍을 일으켜 녹색 식물이 돋아나는 것을 막음으로써 이 나라를 장악하고 있다고 믿어졌다. 그녀는 코리브레칸 해협의 치명적인 소용돌이 작용을 일으키고 눈과 급류를 몰아내 강이 범람하게 하는 거칠고 잔혹한 노파로 여겨졌다. 심지어 호수와 산의 창조도 그녀의 탓으로 돌려졌다.[1]
스코틀랜드 신화는 자연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는 점에서 그리스 신화 및 로마 신화와는 다르다. 이러한 맥락에서 겨울을 대표하는 가장 강력하고 두려운 여신은 겨울 전체 기간 동안 겨울을 지배하는 베이라이다. 그녀는 벨테인에 브리히드에게 기꺼이 양보하며, 브리히드는 삼하인까지 권력을 누린다.[1] 이 신화는 마야의 대중적인 신화와 유사하며 "창조와 연간 주기"에서 여성의 권력에 대해 다룬다. 그러나 도널드 매킨지는 그의 저서 ''신화와 전설에서 온 스코틀랜드의 놀라운 이야기''에서 스코틀랜드 신화의 여신들은 고대 그리스의 여신들과는 달리 숭배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스코틀랜드의 강은 여신들의 거주지로 여겨졌으며, 포스 강은 조용한 흐름 상태 때문에 "귀가 먹거나 소리가 없는 강"이라고 불렸고, 클라이드 강은 홍수기 동안 "진흙과 점토"를 운반하며 씻어내는 정화 작용을 하여 "정화의 강"이라고 불렸다.

켈트 신화의 여신들은 권위적이었으며 여성적 신성과 대지와 관련된 여성의 다산과 연관되었다. 옛날에는 켈트족의 토지와 국가 사회가 모두 여신의 몸(또는 "부족 여신")과 연결되어 있었고, 지상에서의 그녀의 대표자는 여왕이었다. 스코틀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또 다른 "양가적인" 인물은 "마녀", 여신, 게일의 칼리ach, 그리고 거인 여신으로 해로운 존재이다. 마녀는 또한 "치유자"로 간주되며 출산 중에 도움이 되며 신성하며 "긴 조상과 놀라운 수명"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녀는 또한 "창조자이자 파괴자, 부드럽고 사나운 존재, 어머니이자 양육자"로 알려져 있다.
3. 민족 신화
스코틀랜드에는 여러 기원 전설이 존재하며, 이는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픽트족이 게일 문화를 받아들이고 그들의 특징이 사라지면서 민속적인 요소들이 역사의 빈자리를 채웠다. 18세기에는 픽트족을 게르만족으로 여기기도 했다.
스코틀랜드의 켈트 지역, 즉 '게일타흐드'에는 고대 신석기 유적이 존재한다. 오크니 제도의 네스 오브 브로가는 숭배 중심지였으며, 관련된 거석 구조물이 있다. 스코틀랜드 북서쪽 끝 루이스 섬에는 석원인 칼라니시 또는 칼라니시 스톤스가 있는데, 이는 가지가 뻗어 있는 원형으로 배열된 거석 입석으로 스톤헨지와 다소 유사하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들은 스톤헨지보다 먼저 존재했으며 5000년 이상 서 있었고 동지를 향한 방향성을 가진 태양 숭배와 관련이 있다.[2]
3. 1. 스코틀랜드인의 기원 전설
역사 시대에 스코틀랜드인에 대한 여러 기원 전설이 생겨나 다양한 목적을 수행했다.스코틀랜드인의 기원 전설, 즉 스코틀랜드 민족의 기원에 대한 유사 역사적 설명은 10세기의 라틴어 메츠의 카스로의 '생애'에서 각색된 형태로 나타난다. 이 전설에 따르면 그리스 소아시아 출신의 정착민들이 바다를 항해하여 크루아한 펠리(Cruachan Feli), 즉 "아일랜드의 산"에 도착했다. 이는 아마도 티레칸의 '콜렉타네아' 이후 아일랜드-라틴 성인전에서 잘 알려진 장소인 크루아한 엘리(크로아 파트릭, 메이요주)를 가리키는 듯하다. 그들은 클론맥노이스, 아르마, 킬데어에서 코크를 거쳐 마침내 뱅거까지 아일랜드를 돌아다니면서 끊임없이 ''픽타네이''와 전쟁을 벌였다. 얼마 후 그들은 아일랜드해를 건너 로마 브리튼 북쪽의 칼레도니아를 침략하여 아이오나, ''리그몬아스'', ''벨라토르'' 도시를 차례로 점령했다. 후자의 장소는 ''알바 왕들의 연대기''에 ''Cinnrígmonaid''와 ''Cinnbelathoir''로 나타난다. 이렇게 정복한 영토는 스파르타 사령관 넬 또는 니울의 이집트 아내 스코타의 이름을 따서 스코티아라고 명명되었고, 성 패트릭이 사람들을 기독교로 개종시켰다.[2]
3. 2. 픽트족의 소멸
픽트족이 게일 문화를 받아들이고 그들의 실제 특징이 기억에서 사라지자, 민속적 요소가 역사의 공백을 채웠다. 그들의 "갑작스러운 소멸"은 케네스 맥알핀이 주최한 연회에서 일어난 학살(국제 민속 모티프)로 설명되었으며, 그들은 비밀 레시피로 헤더를 양조하고 지하 챔버에서 생활하는 요정의 능력과 같은 힘을 부여받았다고 한다.[2] 18세기에는 픽트족은 "게르만" 종족으로 간주되었다.3. 3. 거석 문화
스코틀랜드의 켈트 지역, 즉 ''게일타흐드''에는 고대 신석기 유적이 있다. 숭배 중심지는 오크니 제도의 네스 오브 브로가에 위치해 있으며, 여기에는 연관된 거석 구조물이 있다. 스코틀랜드 북서쪽 끝 루이스 섬에는 석원인 칼라니시 또는 칼라니시 스톤스가 있는데, 이는 가지가 뻗어 있는 원형으로 배열된 거석 입석으로 스톤헨지와 다소 유사하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들은 스톤헨지보다 먼저 존재했으며 5000년 이상 서 있었고 동지를 향한 방향성을 가진 태양 숭배와 관련이 있다.[2]4. 영웅 서사시
스코틀랜드 신화에서 영웅 서사시는 크게 얼스터 주기와 피니언 주기로 나뉜다.
얼스터 주기는 얼스터에서 서부 스코틀랜드로 사람들이 이동하면서, 얼스터와 서부 스코틀랜드는 언어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그 결과 많은 게일 신화가 스코틀랜드로 유입되었고, 일부는 스코틀랜드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있다.
피니언 주기는 핀과 그의 군대인 피아나의 이야기를 다루는데, 게일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 서기 3세기경을 배경으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이야기는 스코틀랜드의 게일어를 사용하는 지역 사회와 강력하게 연관되어 다른 게일 신화 주기와 구별되며, 스코틀랜드에 현존하는 많은 텍스트가 존재한다.
4. 1. 얼스터 주기
얼스터에서 서부 스코틀랜드로 사람들이 이동하면서 얼스터와 서부 스코틀랜드는 언어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그 결과 많은 게일 신화가 스코틀랜드로 유입되었고, 일부는 스코틀랜드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있다. 기원전 초를 배경으로 하는 얼스터 주기는 얼스터의 왕 콘코바르 막 네사, 위대한 영웅 쿠 훌린, 그리고 그들의 친구, 연인, 적들의 삶을 다룬 영웅적인 이야기들이다. 이들은 아일랜드 북동부 지역의 사람들인 울라이드이며, 이야기의 배경은 현대 도시 아르마 근처의 에마인 마차 왕궁을 중심으로 한다. 울라이드는 게일 스코틀랜드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쿠 훌린은 그곳에서 전쟁 기술을 배웠다고 한다.[1]이 주기는 영웅들의 탄생, 어린 시절과 훈련, 구애, 전투, 연회, 죽음에 대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쟁이 주로 일대일 전투로 이루어지고 부가 주로 가축으로 측정되는 전사 사회를 반영한다. 이 이야기들은 대부분 산문으로 쓰여졌다. 얼스터 주기의 핵심은 ''쿠얼레의 소도둑''이다. 다른 중요한 얼스터 주기 이야기에는 ''아이페의 외아들의 비극적인 죽음'', ''브리크리의 연회'', 그리고 ''다 데르가의 여관 파괴''가 있다. 이 주기는 여러 면에서 게일어를 사용하는 세계의 나머지 신화 주기와 유사하다. 후자의 몇몇 등장인물들이 다시 등장하며, 동일한 종류의 형상 변환 마법이 암울하고 거의 냉담한 현실주의와 함께 나타난다. 메브 또는 쿠 로이와 같은 몇몇 등장인물들이 한때 신이었다고 추정할 수 있지만—특히 쿠 훌린은 초인적인 능력을 보여주었다—등장인물들은 확실히 필멸의 존재이며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 뿌리를 두고 있다. 얼스터 주기 이야기의 스코틀랜드 게일어 각색은 글렌마산 필사본에 나타난다.[1]
4. 2. 피니언 주기
핀과 그의 군대인 피아나의 이야기는 게일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 서기 3세기경을 배경으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이야기는 스코틀랜드의 게일어를 사용하는 지역 사회와의 강력한 연관성으로 인해 다른 게일 신화 사이클과 구별되며, 그 나라에서 현존하는 많은 텍스트가 존재한다. 또한 이야기가 주로 운문으로 전달되고, 그 어조가 서사시의 전통보다는 로맨스 전통에 더 가까워 울스터 사이클과도 다르다.[1]피니언 사이클의 가장 중요한 단일 소스는 15세기 필사본 두 권, 즉 리스모어 서와 Laud 610, 그리고 더블린 카운티 킬리니에서 발견된 17세기 필사본에 있는 ''아칼람 나 세노라크''(고대인들의 대화)이다. 텍스트는 언어학적 증거에 따라 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텍스트는 피아나의 마지막 생존자들과 성 패트릭 간의 대화를 기록하고 있으며 약 8,000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사본의 후대 연대는 피니언 이야기에 대한 더 긴 구전 전통을 반영할 수 있으며, 이는 제임스 맥퍼슨이 오시안 이야기에서 게일어로 해석한 것과 동일한 구전 전통이다.[1]
이야기에 나오는 피아나는 피옹갈이 이끄는 클란 바스케와 그의 적 골 맥 모르나가 이끄는 클란 모르나로 나뉜다. 골은 전투에서 피옹갈의 아버지 쿠발을 죽였고, 소년 피온은 비밀리에 자랐다. 젊은 시절, 시의 기술을 배우던 중, 그는 지식의 연어를 요리하다가 실수로 엄지손가락을 태웠고, 그로 인해 엄청난 지혜의 발현을 얻기 위해 엄지손가락을 빨거나 물 수 있게 되었다. 그는 자신의 밴드의 리더가 되었고 그들의 모험에 대한 수많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가장 위대한 게일 이야기 중 두 개, 즉 ''토라게크트 디아르마다 아구스 그라니(디어머드와 그라니의 추격)과 ''오신 인 티르 나 노그''는 이 사이클의 일부를 형성한다. 피니언 산문 이야기 중 하나인 디어머드와 그라니 이야기는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유력한 출처이다.[1]
피니언 사이클의 세계는 전문적인 전사들이 사냥, 싸움, 그리고 정신 세계에서의 모험에 시간을 보내는 곳이다. 밴드에 새롭게 들어오는 사람들은 시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하며 여러 가지 신체적 테스트나 시련을 겪어야 한다. 이러한 이야기에는 영웅 숭배 외에는 종교적 요소가 없다.[1]
5. 헤브리디스 신화와 전설
스코틀랜드의 신화와 전설은 오래된 시대의 생활 방식을 이야기하며, 일년 중 다양한 계절 동안의 국가의 본질에 대한 관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지역적 색채"를 지닌다. 베이라는 겨울 여왕으로, 1월과 2월에 폭풍을 일으켜 녹색 식물이 돋아나는 것을 막음으로써 이 나라를 장악하고 있다고 믿어졌다. 그녀는 코리브레칸 해협의 치명적인 소용돌이를 일으키고 눈과 급류를 몰아내 강이 범람하게 하는 거칠고 잔혹한 노파로 여겨졌다. 심지어 호수와 산의 창조도 그녀의 탓으로 돌려졌다.[1]
스코틀랜드 신화는 자연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는 점에서 그리스 신화 및 로마 신화와는 다르다. 겨울을 대표하는 가장 강력하고 두려운 여신은 베이라로, 겨울 전체 기간 동안 겨울을 지배한다. 그녀는 벨테인에 브리히드에게 기꺼이 권력을 양보하며, 브리히드는 삼하인까지 권력을 누린다.[1] 이 신화는 마야의 대중적인 신화와 유사하며 "창조와 연간 주기"에서 여성의 권력에 대해 다룬다. 그러나 도널드 매킨지는 그의 저서 ''신화와 전설에서 온 스코틀랜드의 놀라운 이야기''에서 스코틀랜드 신화의 여신들은 고대 그리스의 여신들과는 달리 숭배되지 않는다고 말한다.[2]
스코틀랜드의 강은 여신들의 거주지로 여겨졌으며, 포스 강은 조용한 흐름 때문에 "귀가 먹거나 소리가 없는 강"이라고 불렸고, 클라이드 강은 홍수기 동안 "진흙과 점토"를 운반하며 씻어내는 정화 작용을 하여 "정화의 강"이라고 불렸다.[3]
5. 1. 민치의 푸른 남자들
민치의 푸른 남자들(폭풍 켈피라고도 함)은 루이스 섬과 스코틀랜드 본토 사이의 해역에 서식하며, 익사시킬 선원과 침몰시킬 배를 찾는다.5. 2. 켈피
켈피는 스코틀랜드 저지대에서 여러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전해지는 물의 정령이다. 보통 말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사람들을 익사시키는 또 다른 정령인 물 켈피도 호수와 강에 나타난다. 켈피는 밤에는 방앗간을 운영하는 것을 돕기도 한다.[3]켈피는 호수와 강의 해안가에 서서 온순하고 접근하기 쉬운 모습으로 희생자가 물을 건너기 위해 등에 올라타기를 기다린다. 또한 젊은 남자를 유혹하여 잡아먹기 위해 아름다운 젊은 여성의 모습으로 변신할 수도 있다. 켈피에 대한 가장 잘 알려진 이야기 중 하나는 켈피가 10명의 아이들을 죽음으로 유인하려 했던 이야기이다. 신비한 물의 정령은 9명의 아이들을 등에 태우는 데 성공했지만, 열 번째 아이가 말의 코를 쓰다듬자 손가락이 마치 마법에 걸린 것처럼 말의 털에 달라붙었다. 아이는 말이 모든 희생자를 물속 무덤으로 끌고 가기 전에 손가락을 잘라 스스로를 해방시킬 수 있었다. 오늘날 스코틀랜드 폴커크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말 조형물인 두 개의 말 머리가 30미터 높이로 서 있는데, 이는 스코틀랜드의 수역을 지키고 있는 켈피를 나타내고, 이 나라의 말 동력 산업 유산을 상징한다.[4]
5. 3. 세오나이드
세오나이드(Seonaidh)는 루이스 섬 주민들이 에일(ale) 한 잔을 바치며 숭배했던 켈트족 물의 정령이다. 마틴 박사에 따르면, 어느 날 밤 루이스 섬 사람들은 세오나이드를 달랬다. 성 멀웨이 교회에 모여 각자 숭배에 필요한 음식과 필수품을 가져왔고, 각 가문에서 수집한 맥아 자루에서 에일을 끓였다. 회중에서 선택된 회원이 에일이 가득 찬 컵을 들고 허리까지 바다로 들어가 "다가오는 해에 우리의 땅을 비옥하게 할 해초를 많이 보내주시길 바라며 이 잔의 에일을 드립니다."라고 기도를 드렸다. 이 행사는 밤에 이루어졌으며, 제물을 바친 사람은 해변으로 돌아왔고, 모인 사람들은 교회로 이동하여 제단에 켜져 있는 촛불을 보았다. 적절한 때가 되자 촛불이 꺼졌고, 주민들은 교회 뒤뜰에 모여 에일을 마시며 축하했다. 그런 다음 그들은 다가오는 계절에 풍성한 수확을 얻을 수 있기를 바라며 집으로 돌아갔다.[4]5. 4. 체인질링
체인질링은 요정이 아기를 요람에서 납치한 다음 다른 요정으로 대체하는 요정 이야기이다. 일반적으로 아이처럼 보이지만 평범하지 않고 성장을 한다.6. 오크니와 셰틀랜드 제도 민속
셀키 전설은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5]에서 가장 흔하며, 백조 처녀 전설과 매우 유사하다.[6]
6. 1. 셀키
셀키는 물개처럼 바다에서 살지만, 육지에서는 피부를 벗고 인간이 되어 종종 보름달 아래에서 춤을 춘다고 한다. 하지만 인간의 모습일 때 피부를 잃으면 영원히 인간의 모습으로 갇히게 된다. 인간으로 변신할 때 아름다운 녹색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셀키는 종종 인간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파도 속에 숨겨진 바위와 섬에 거주한다. 셀키는 필멸의 존재이다. 이 전설은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5]에서 가장 흔하며, 백조 처녀의 전설과 매우 유사하다.[6]7. 종교 신화
신화는 때때로 민속의 한 측면이지만, 모든 신화가 민속은 아니며, 모든 민속이 신화나 신화적인 것도 아니다. 신화에 관심을 보이는 사람들은 종종 비인간적 존재(때로는 "초자연적" 존재라고 불림)에 가장 집중한다. 스코틀랜드 문화에는 이러한 존재들이 여러 그룹 있었으며, 그 중 일부는 특정 민족 집단(게일족, 노르드족, 게르만족 등)에 특화된 반면, 다른 일부는 스코틀랜드만의 독특한 환경에서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다.[1]
아오스 시 외에도 조상 영혼, 풍경을 형성하고 자연의 힘을 나타내는 거인 등 전 세계의 민속 패턴을 반영하는 다른 초자연적 존재들도 있다.[1]
7. 1. 아오스 시
아오스 시(게일어: Aos-sídhe) 또는 시히치안(Sìdhichean)은 게일족 스코틀랜드의 기독교 이전의 신들이었다. 기독교가 전래되면서 원래 신화는 대부분 대체되었고, 그 힘과 중요성이 감소했다. 중세 게일족 문학가들은 아오스 시를 투아하 데 다난으로 묶었는데, 이들은 켈트 문학의 다른 등장인물들과 특정한 특징을 공유한다. 반시에 대한 민간 신앙 또한 이러한 존재들의 측면을 반영한다.8. 로크 네스 괴물
로크 네스 괴물은 수많은 목격담을 통해 전해지는 전설적인 수중 생물이다. 대중적으로는 이 괴물이 "오래전에 멸종된 플레시오사우루스"의 마지막 생존자라는 믿음이 있다.[7]
괴물의 목격담은 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최근에는 호수 주변 도로가 건설된 이후 목격담이 보고되었다. 1933년 7월 22일, 스파이서와 그의 아내는 육지에서 로크 네스 괴물을 처음 목격했는데, 괴물이 호수를 향해 약 약 18.29m 떨어진 곳으로 접근하고 있었다고 한다. 1934년 4월, 런던의 외과 의사가 인버네스로 여행하던 중 사진을 찍었지만, 그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 5월에는 왕립 관측대 소속 C.B. 파렐이 목격담을 보고하기도 했다.[8]
로크 네스는 약 35.41km 길이에, 가장 넓은 곳의 폭은 약 1.61km이다. 수심은 약 229.82m이며, 호수 바닥은 "볼링장"처럼 평평하다.[9] 로크 네스의 부피는 영국에서 가장 크다.[10]
로크 네스 괴물의 첫 번째 목격담은 서기 565년 네스 강에서 보고되었다. 아일랜드의 수도사 성 콜럼바는 픽트족의 땅에 그의 동료들과 함께 머물고 있었는데, 그들은 네스 강가에서 한 남자를 매장하고 있었다. 그들은 그 남자가 강을 헤엄치다 "물 속 괴물"에게 공격을 받아 물 속으로 끌려갔다고 설명했다. 그들은 배를 타고 그를 구출하려 했지만, 시체만 건져낼 수 있었다. 이 이야기를 들은 콜럼바는 그의 추종자 루이그네 모쿠 민을 강 건너편으로 헤엄치도록 보냄으로써 픽트족을 놀라게 했다. 괴물이 그를 따라왔지만, 콜럼바는 십자가를 긋고 명령했다. "더 이상 가지 마라. 그 사람을 건드리지 마라. 당장 돌아가라." 괴물은 마치 "밧줄로 잡아당겨진" 듯이 즉시 멈추고 공포에 질려 달아났고, 콜럼바의 사람들과 이교도 픽트족 모두 이 기적에 대해 신을 찬양했다.[11]
9. 아서 왕 전설
스코틀랜드 고유의 아서 왕 전설은 구전으로 전해진다. 그 예로 "스코틀랜드 게일어로 된 아서 왕 발라드"라고 불리는 스코틀랜드 게일어 노래 'Am Bròn Binn'(달콤한 슬픔)이 있다.[12] 아서 왕 전설에서 모드레드는 아서 왕의 조카로 오크니 제도에서 자랐으며, 스털링셔의 캐멀론이 원래 '캐멀롯'이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13] 아서 왕에게 스머비 모어라는 스코틀랜드 출신 아들이 있었다는 전승도 있다.[14]
참조
[1]
서적
The Silver Bough, Vol.2: A Calendar of Scottish National Festivals, Candlemas to Harvest Home
William MacLellan
[2]
문서
Dumville, "St Cathróe of Metz." 174-6; Reimann or Ousmann, ''De S. Cadroe abbate'' §§ II-V.
[3]
웹사이트
2015-09-21
[4]
웹사이트
The Kelpie, Mythical Scottish Water Horse
https://www.historic[...]
2023-12-02
[5]
서적
The Lore of Scotland: A guide to Scottish legends
https://books.google[...]
Arrow Books
[6]
서적
The Encyclopedia of Celtic Mythology and Folklor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7]
간행물
Loch Ness monster Legendary creature
http://www.britannic[...]
2015-09-21
[8]
웹사이트
Searching for Nessie
http://www.nessie.co[...]
Official website of Loch Ness Organization
2015-09-21
[9]
웹사이트
Legend of Loch Ness
http://www.nessie.co[...]
Official website of Loch Ness Organization
2015-09-21
[10]
간행물
Loch Ness: Lake, Scotland, United Kingdom
http://www.britannic[...]
2015-09-21
[11]
웹사이트
Columba Encountered Loch Ness Monster
http://www.christian[...]
christianity.com
2015-09-21
[12]
서적
Am Bròn Binn: An Arthurian Ballad in Scottish Gaelic
Published by the author
[13]
서적
The Stirling Antiquary: Reprinted from "The Stirling Sentinel," 1888-[1906]
Cook & Wylie
[14]
뉴스
Quest for the truth about Arthur and Scotland
https://link.gale.co[...]
2022-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