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 시스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 시스템은 배우의 인기를 활용하여 영화, 연극 등의 흥행을 도모하는 제작 방식이다. 초기 영화 시대에는 배우의 인지도가 낮았으나, 대중의 요구와 제작자들의 홍보를 통해 스타 시스템이 등장했다.
할리우드에서는 1920년대부터 스타 시스템이 확립되어 1930~50년대 황금기를 맞았으나, 이후 독점 금지법과 스튜디오 시스템 붕괴로 쇠퇴했다. 그러나 현재에도 인재 에이전시를 중심으로 스타 시스템이 유지되고 있다. 스타 시스템은 제작자에게 흥행 보증과 투자 유치, 스타 배우에게는 높은 수입과 명성을 제공하지만, 작품의 질에 영향을 미치거나 스타의 인기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단점도 있다.
한국의 스타 시스템은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어 해방 이후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해왔다. 1960년대 이후 텔레비전의 보급으로 영화 스타의 입지가 줄어들었지만, 1970년대 이후 한류 열풍과 함께 스타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스타 시스템 | |
---|---|
스타 시스템 | |
![]() | |
개요 | |
정의 | 영화 배우를 만들고, 홍보하고, 활용하는 방식 |
목적 | 영화의 흥행을 보장하고, 관객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 |
역사 | |
기원 | 1910년대 미국 할리우드에서 시작 |
초기 단계 | 배우를 상품처럼 취급하고, 이미지와 사생활을 철저하게 관리 |
전성기 | 1930년대 ~ 1950년대 할리우드 황금기 |
특징 | |
배우의 상품화 | 배우를 상품처럼 취급하여 이미지와 사생활을 철저하게 관리 |
이미지 메이킹 | 배우의 특정 이미지를 구축하고, 그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홍보 |
팬덤 형성 | 배우를 숭배하는 팬덤을 형성하여 영화 흥행을 도모 |
비판 | |
배우의 인격 박탈 | 배우를 단순한 상품으로 취급하여 인격을 박탈한다는 비판 |
사생활 침해 | 배우의 사생활을 지나치게 파헤친다는 비판 |
획일화된 이미지 | 배우의 개성을 무시하고 획일화된 이미지를 강요한다는 비판 |
영향 | |
영화 산업 | 영화 산업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 |
대중문화 | 대중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 |
사회적 영향 | 사회적 가치관과 유행에 영향을 미침 |
현대적 변화 | |
배우의 권리 강화 | 배우들의 권리가 강화되고, 배우의 개성이 존중받는 추세 |
소셜 미디어의 영향 | 소셜 미디어를 통해 팬들과 직접 소통하는 배우들이 증가 |
다양성 추구 | 다양한 인종과 배경을 가진 배우들이 주목받고, 보다 다채로운 스타 시스템이 형성 |
2. 스타 시스템의 기원과 역사
초기 영화 시대에는 배우들이 영화에서 이름을 알리지 않았다. 극장에서 훈련받은 배우들은 영화 작업을 부끄러운 일로 여겼고, 무성 영화는 단순한 팬토마임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1]
토마스 에디슨과 영화 특허 회사(MPPC)는 영화 제작자들에게 자사의 장비를 사용하고 규칙을 따르도록 강요했다. MPPC는 스타 홍보를 탐탁지 않게 여겼지만, 일부 스타들을 홍보하기도 했다.[1]
변화의 주요 원인은 대중이 배우의 이름을 알고 싶어했기 때문이다. 관객들은 "영화 스타"를 원했고, 제작자 칼 렘mle는 영화 배우들을 홍보하며 MPPC의 통제에 맞섰다.[2] 그는 플로렌스 로렌스를 영입하고 그녀에 대한 거짓 소문을 퍼뜨린 후, 그녀가 자신의 회사인 IMP에서 제작하는 영화에 출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영화 팬 매거진은 팬들에게 배우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모션 픽처 스토리 매거진''(1911~1977)과 ''포토플레이''는 배우들을 부각하면 더 많은 판매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9세기 후반의 브로드웨이 스타들은 20세기 중반의 영화 스타들과 매우 유사하게 대우받았다. 찰스 프로먼은 브로드웨이에서 스타 시스템을 주로 실행한 사람이었고, 애돌프 주커, 제시 L. 라스키, 새뮤얼 골드윈, 칼 렘mle, 루이스 B. 메이어, 폭스 그리고 워너 브라더스가 이를 본받았다.
스타 시스템은 영화 이전의 오락 형태에서도 존재했으며, 적어도 19세기 중반의 P. T. 바넘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는 자신의 "기형 박물관"과 서커스를 위한 홍보 시스템을 개발했고, 제니 린드, 톰 썸 그리고 점보가 그의 가장 큰 스타였다. 덴마크 영화 역사가 캐스퍼 티비에르에 따르면 발데마르 쉴란더는 세계 최초이자 최고의 영화 스타 중 한 명이었다.[3]
2. 1. 연극에서의 스타 시스템
18세기는 배우의 시대라고도 불리며, 연극은 주로 인기 배우를 중심으로 기획되고 상연되었다. 때로는 고전극의 희곡이 연기하기 쉽도록, 또는 배우의 취향에 맞도록 바뀌기도 했다. 또한 연극의 주류가 왕족 귀족에 의해 보호받는 예술로서의 연극에서 중산층을 주요 관객으로 하는 일상의 오락으로서의 연극으로 점차 이동하기 시작한 시대이기도 했다. 영국에서는 혁신적·실험적인 것을 세상에 내놓으려는 것보다 스타를 중심으로 구성된 연극이 주류를 차지했다. 이 때문에 이 시대에는 연극사에 이름을 남기는 극작가가 매우 적지만, 연극 자체는 활발하게 행해졌다.이에 반해 근대의 사실주의 연극에서는 희곡의 작품성과 연출가의 역할이 중요시되기 시작했다.
가부키는 배우 중심의 연극이다. 배우들은 각자 특기하는 연기(예: 아라goto(荒事), 와goto(和事) 등)가 있으며, 전속 작가는 이야기의 줄거리보다 배우의 특기 연기를 보여주는 것을 중심으로 대본을 썼다. 관객들은 좋아하는 배우를 보기 위해 극장에 다녔다.
2. 2. 할리우드 영화의 스타 시스템
할리우드 초기인 1920년대, 찰리 채플린이나 더글러스 퍼뱅크스(Douglas Fairbanks)의 영화부터 스타를 중심으로 한 영화 제작 방식이 시작되어 1930년대-1950년대 황금기에 절정을 이루었다.[10]당시에는 배우와 영화 제작사가 전속 계약을 맺었다. 영화사는 스타의 매력을 최대한으로 이끌어내기 위해 시나리오, 배역, 홍보 등을 기획했다. 또한 스타의 이미지를 훼손하지 않도록 사생활까지 관리하려고 했다.
초기 영화 시대(1890년대~1900년대)에는 배우들이 영화에서 이름을 알리지 않았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였다. 첫째, 극장에서 훈련받은 배우들의 관점에서 영화 작업은 부끄러운 일이었고, 명성을 망칠까 두려워했다. 무성 영화는 단순한 팬토마임으로 여겨졌고, 극장 배우들의 주요 기술 중 하나는 목소리의 구사력이었기 때문이다.
토마스 에디슨과 영화 특허 회사(MPPC)는 많은 영화 장비의 특허를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영화 제작자들에게 자사의 장비를 사용하고 규칙을 따르도록 강요했다. MPPC는 스타 홍보를 탐탁지 않게 여겼지만, Janet Staiger의 연구에 따르면 이 시기에 일부 스타들을 홍보하기도 했다.
변화의 주요 원인은 대중이 배우의 이름을 알고 싶어했기 때문이다. 영화 관객들은 자신들이 좋아하는 영화에서 특정 배우들을 반복적으로 알아봤다. 배우들의 이름을 몰랐기 때문에 관객들은 그들에게 별명을 지어주었다(예: 바이오그래프 영화에 출연했던 "바이오그래프 걸" 플로렌스 로렌스). 관객들은 "영화 스타"를 원하기 시작했다.[1]
제작자 칼 렘mle는 일부 영화 배우들을 홍보했다.[2] 그는 MPPC와 독립적이었으며, 스타 홍보를 이용해 MPPC의 통제에 맞섰다. 렘mle는 바이오그래프에서 로렌스를 영입했다. 그는 그녀가 전차 사고로 사망했다는 소문을 퍼뜨렸다. 그런 다음 그는 그녀가 잘 지내고 있으며 자신의 회사인 인디펜던트 무빙 픽처스 컴퍼니(IMP)에서 제작하는 다가오는 영화에 주연으로 출연할 것이라고 말하며 이 소문을 일축했다.
영화 팬 매거진의 발전은 팬들에게 영화 역할 밖에서 배우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모션 픽처 스토리 매거진''(1911~1977)과 ''포토플레이''는 처음에는 영화 이야기에 초점을 맞췄지만, 배우들을 부각하면 더 많은 사본을 판매할 수 있다는 것을 곧 알게 되었다.
193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스튜디오들은 명성 있는 영화를 위해 배우(감독, 배우)들의 계약상 교환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었다. 스타 시스템은 마릴린 먼로(Marilyn Monroe), 말론 브란도(Marlon Brando), 제임스 딘(James Dean)과 같은 새로운 스타들을 발굴했다.[4] 스타들은 때때로 스스로 이러한 교환을 추진하기도 했다. 스타들은 선택적이 되어가고 있었다. 스튜디오 사장들의 처벌과 눈살을 찌푸림에도 불구하고, 여러 명의 강한 의지를 가진 스타들은 자신들에게 적합한 역할에 대해 스튜디오 사장들보다 더 잘 안다고 믿어 특정 역할을 거부함으로써 스튜디오의 비난과 대중의 관심을 받았다. 한 예로, 제인 그리어(Jane Greer)는 자신에게 부적절하다고 생각한 역할을 두고 하워드 혹스(Howard Hawks)의 손에서 계약을 벗어났다. 올리비아 드 헤빌랜드(Olivia de Havilland)와 베티 데이비스(Bette Davis)는 모두 봉쇄 명령에서 벗어나기 위해 스튜디오를 고소했다(데이비스는 패소했고, 드 헤빌랜드는 승소했다).[5][6] 이러한 사건들과 함께 일어난 대중의 관심은 배우들 사이에서 자유 계약 선수와 같은 시스템이 숨 막히는 스타 시스템보다 개인적으로 더 유익할 것이라는 의심을 키웠다. 1959년, 셜리 맥레인(Shirley MacLaine)은 유명 프로듀서 할 월리스(Hal Wallis)와 계약 분쟁으로 소송을 제기하여 스타 시스템의 몰락에 더욱 기여했다.[7]
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점 금지법에 의해 전속 계약이 금지되고 프리 에이전트 제도가 도입되면서 1950년대의 스튜디오 시스템 붕괴와 함께 스타 시스템도 쇠퇴해갔지만[10], 스타 중심의 영화는 오늘날에도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1960년대에 이르러 스타 시스템은 쇠퇴하고 있었다.
스타 시스템이 이미지와 현실을 조작하는 음모적인 측면은 결국 약해지기 시작했다. 1960년대와 70년대에 더 자연스러운 연기 스타일인 "스타니슬랍스키 방법(Stanislavski Method)"이 시작되었다. TV와의 경쟁과 스튜디오 전체의 매각으로 스타 시스템은 약해졌고 회복되지 못했다. 스튜디오 시스템은 더 이상 엔터테인먼트, 문화, 노동 및 뉴스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저항할 수 없었고, 1970년까지 스타 시스템은 사라졌다.
스타 시스템은 관객을 극장으로 불러들일 수 있는 능력 때문에 할리우드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남아 있다. 1950년대와 60년대 스튜디오 시스템의 몰락 이후, 스타 시스템은 영화 산업의 가장 중요한 안정 요소가 되었습니다. 이는 스타들이 영화 제작자들에게 자신이 좋아하는 배우들이 출연하는 영화를 정기적으로 보는 확보된 관객을 제공하기 때문이다.[8]
현대 할리우드의 인재 에이전시는 이제 캘리포니아 노동법에 따라 면허를 받아야 한다. 해당 법은 에이전트를 "예술가 또는 예술가들의 고용을 알선하거나, 제공하거나, 약속하거나, 또는 시도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 또는 법인"으로 정의합니다.[9] 윌리엄 모리스 엔터테인먼트(William Morris Agency, WMA), 인터내셔널 크리에이티브 매니지먼트(International Creative Management, ICM), 크리에이티브 아티스트 에이전시(Creative Artists Agency, CAA) 등 많은 인재 에이전시들이 1970년대 중반에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CAA는 배우들을 패키지화함으로써 인재 마케팅의 새로운 방법을 만들었고, 에이전시는 영화 제작 일정, 예산, 특정 캐릭터를 연기할 인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패키징은 1980년대와 90년대에 ''고스트버스터즈(Ghostbusters)'', ''투시(Tootsie)'', ''스트라이프스(Stripes)'', ''내 남자친구의 결혼식(A League of Their Own)''(그중 두 편에 빌 머레이(Bill Murray)가 출연)과 같은 영화들로 유명해졌습니다. 이러한 관행은 오늘날 ''빅 대디(Big Daddy (1999 film))]'', ''
3. 스타 시스템의 장단점
스타 시스템은 제작자와 배우 모두에게 장단점을 제공한다.
제작자 측면에서는 스타의 인지도를 통해 흥행을 보장받고 투자를 쉽게 유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배우의 이미지가 작품에 영향을 미치거나 스타의 인기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실패할 가능성도 있다.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영화 《단애》,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의 《지킬 박사와 하이드씨》가 그 예시이다.[10]
배우 측면에서는 높은 수입과 명성, 작품 선택의 자유를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영화사의 이미지 관리로 인해 사생활에 제약을 받거나, 특정 이미지에 갇혀 다양한 역할을 맡기 어려울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여러 부작용과 실패에도 불구하고, 스타 시스템이 막대한 이익을 가져다주는 것은 분명하며, 프리에이전트 제도가 도입된 현재의 할리우드에서도 스타 시스템은 계속 유지되고 있다.
3. 1. 제작자 측면
스타 시스템은 영화 제작사가 배우를 중심으로 영화를 제작하는 방식이다. 제작자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존재한다.장점:
- 스타 시스템은 스타를 중심으로 영화를 제작하기 때문에, 스타의 인기를 통해 흥행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점:
- 배우의 이미지가 작품에 영향: 배우의 기존 이미지가 강하게 고정되어 있으면, 제작자는 배우의 이미지를 고려하여 작품을 제작해야 한다.
-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은 《단애》에서 주연 배우 캐리 그랜트를 악역으로 만들고 싶었지만, 영화사의 반대로 결말을 수정해야 했다.[10]
- 스타의 인기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실패작이 나올 가능성: 배우의 인기에만 의존하여 작품을 제작하면, 작품성이 떨어져 실패할 수 있다.
-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는 스펜서 트레이시의 인기에 편승하여 《지킬 박사와 하이드씨》 기획을 강요했지만, 관객들은 트레이시의 악역 연기를 어색하게 느껴 영화는 실패했다.[10]
하지만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스타 시스템은 막대한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기 때문에 프리 에이전트 제도가 도입된 현재의 할리우드에서도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일본에서도 할리우드의 방식을 도입하여, 1920년대 후반부터 배우의 영화사 전속 제도가 확립되었다. 전후에도 스타 시스템 영화는 자사의 전속 스타 개성에 맞춰 영화 제작이 이루어졌고, 동영(東映)과 일활(日活)과 같은 영화사에서 두드러졌다.[15][16][17] 1971년에는 일활은 로망 포르노 노선으로 이행했고, 다이에는 파산, 동보는 전속 배우를 해고하여 오사 협정(五社協定)이 붕괴되고, 동영을 제외한 영화사에서는 배우의 전속 제도가 거의 사라졌다.[30]
1970년대 후반에는 각카와쇼텐(角川書店)이 각카와 영화(角川映画)를 통해 야쿠시마루 히로코(薬師丸ひろ子) 등을 내세워 옛 스타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부활시켰다는 견해도 있다.[40][41][42]
전전·전후의 영화사와 전속 배우들의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영화사 | 대표적인 전속 배우 |
---|---|
쇼치쿠(松竹) | 스즈키 데나미(鈴木伝明), 타카다 미노루(高田稔), 오카다 토키히코(岡田時彦), 쿠리시마 스미코(栗島すみ子), 카와다 요시코(川田芳子), 모로구치 주쿠(諸口十九), 이와타 유키치(岩田祐吉), 우에하라 켄(上原謙), 사노 슈지(佐野周二), 사분리 신(佐分利信), 타나카 키네요(田中絹代), 타카미네 미에코(高峰三枝子), 키구라시 미치요(木暮実千代), 하야시 쵸지로(林長二郎), 타카다 코키치(高田浩吉), 쿠와노 미치코(桑野通子) |
닛카츠(日活) | 오노에 마츠노스케(尾上松之助), 오가와치 덴지로(大河内傳次郎), 오카다 요시코(岡田嘉子), 나츠카와 시즈에(夏川静江), 반도 츠마사부로(阪東妻三郎), 카타오카 치에조(片岡千恵蔵), 아라시 칸쥬로(嵐寛寿郎), 이리에 타카코(入江たか子), 야마다 이스즈(山田五十鈴), 토도로키 유키코(轟夕起子) |
도호(東宝) | 오가와치 덴지로(大河内傳次郎), 이리에 타카코(入江たか子), 하라 세츠코(原節子), 하세가와 카즈오(長谷川一夫), 타카다 미노루(高田稔), 야마다 이스즈(山田五十鈴), 치바 사토코(千葉早智子), 타케쿠라 치에코(竹久千恵子), 키리타테 노보루(霧立のぼる), 후지타 스스무(藤田進), 쿠로카와 야타로(黒川弥太郎), 토도로키 유키코(轟夕起子), 타카미네 히데코(高峰秀子) |
신흥키네마(新興キネマ) | 야마지 후미코(山路ふみ子), 키리타테 노보루(霧立のぼる), 카와즈 세이사부로(河津清三郎), 이치카와 우타에몬(市川右太衛門), 카가 쿠니오(加賀邦男), 타나카 하루오(田中春男), 시미즈 마사오(清水将夫), 안베 토오루(安部徹), 아이조 메구미코(逢初夢子), 우사미 쥰(宇佐美淳) |
다이토에이가(大都映画) | 고토 이토로(琴糸路), 하야후사 히데토(ハヤフサヒデト), 미즈시마 미치타로(水島道太郎), 코노에 주시로(近衛十四郎), 반 준사부로(伴淳三郎), 키노시타 후타바(木下双葉), 오가와 히야코(大河百々代) |
3. 2. 배우 측면
1920년대 할리우드 초기, 찰리 채플린, 더글러스 퍼뱅크스(Douglas Fairbanks)와 같은 대스타를 중심으로 영화를 제작하는 방식이 확립되면서 '스타 시스템'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당시 배우들은 영화 제작사와 전속 계약을 맺었고, 영화사는 스타의 매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시나리오, 배역, 홍보 등을 기획하고, 사생활까지 관리했다.[10]하지만 이러한 스타 시스템은 배우의 이미지가 작품에 영향을 미치거나, 스타의 인기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실패작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 배우 이미지의 작품 영향: 알프레드 히치콕(Alfred Hitchcock) 감독은 단애 촬영 당시 주연 배우 캐리 그랜트(Cary Grant)를 악역으로 만들고 싶었지만, 영화사의 반대로 결말을 수정해야 했다.
- 스타 인기에 의존한 실패 가능성: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Metro-Goldwyn-Mayer)는 스펜서 트레이시(Spencer Tracy)의 인기에 편승하여 지킬 박사와 하이드씨 기획을 강요했지만, 관객들은 그의 악역 연기에 어색함을 느꼈고, 영화는 실패했다.
이러한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스타 시스템은 막대한 이익을 가져다주었기 때문에 프리 에이전트 제도가 도입된 현재의 할리우드에서도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4. 한국의 스타 시스템
한국의 스타 시스템은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어 해방 이후 영화, 드라마, 대중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해왔다.
일제강점기에는 영화사들이 할리우드 방식을 도입하여 배우 전속 제도를 확립하고, 가부키의 스타 시스템을 계승하여 스타 배우 중심의 영화 제작이 이루어졌다.
해방 이후, 일본 영화사들은 전속 배우 시스템을 통해 스타 중심의 영화를 제작했다. 도에이와 닛카츠는 강력한 스타 시스템을 구축한 대표적인 영화사였다. 1950년대에는 오사 협정(五社協定)을 통해 영화사 간 배우 이적을 제한하는 등 스타 시스템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1960년대 텔레비전 보급과 1970년대 영화 산업 침체로 인해 스타 시스템은 변화를 겪었다. 1971년에는 닛카츠의 로망 포르노 노선 전환, 다이에이 파산 등 영화사들의 경영난이 심화되었고, 도에이를 제외한 영화사에서는 배우 전속 제도가 거의 사라졌다.
현대에는 SM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 JYP 엔터테인먼트 등 연예 기획사가 스타 시스템을 주도하고 있다. 이들은 일본의 와타나베 프로나 호리프로와 유사하게 스타를 직접 발굴, 육성하며 매니지먼트까지 담당한다.
4. 1. 일제강점기
1920년대 후반, 영화사들은 할리우드 방식을 도입하여 배우 전속 제도를 확립했다. 가부키의 스타 시스템을 계승하여, 스타 배우 중심의 영화 제작이 이루어졌다.[43]4. 2. 해방 이후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영화사들이 전속 배우 시스템을 유지하며 스타 중심의 영화를 제작했다.[14] 동영(東映)과 일활(日活)은 강력한 스타 시스템을 구축한 대표적인 영화사였다.[15][16][17] 반면, 동보(東宝)와 신동보(新東宝)는 프로듀서 중심 시스템,[18][19][20][21][22] 마츠타케(松竹)는 감독 중심 시스템을 유지했다.[23][24] 1950년대에는 오사 협정(五社協定)이라는 제도를 통해 영화사 간 배우 이적을 제한하는 등 스타 시스템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있었다.1960년대에 텔레비전이 보급되면서 영화에서만 볼 수 있는 스타가 줄어들었고,[29] 1970년대 영화 산업 침체와 함께 스타 시스템은 변화를 겪게 된다.[30] 1971년에는 일활(日活)이 로망 포르노 노선으로 전환하고, 다이에이(大映)가 파산하는 등 영화사들의 경영난이 심화되었고, 동영(東映)을 제외한 영화사에서는 배우 전속 제도가 거의 사라졌다.[30]
1960년대 후반까지의 주요 영화사와 전속 배우는 다음과 같다(회사와 배우 모두 순서 무관, 전원이 동시기에 전속이었던 것은 아니다).
영화사 | 전속 배우 |
---|---|
쇼치쿠(松竹) | 고다 고키치(高田浩吉), 츠루타 코지(鶴田浩二), 사다 케이지(佐田啓二), 다카하시 테이지(高橋貞二), 츠시마 케이코(津島恵子), 아지마 치카게(淡島千景), 키시 케이코(岸惠子), 오카다 마리코(岡田茉莉子), 아리마 이나코(有馬稲子), 오오키 미노루(大木実), 다무라 타카히로(田村高廣), 츠가와 마사히코(津川雅彦), 이와시타 시마(岩下志麻), 하이쇼우 치에코(倍賞千恵子), 타케와키 무가(竹脇無我) |
도호(東宝) | 모리시게 쿠야(森繁久彌), 하라 세츠코(原節子), 야마구치 스즈코(山口淑子), 이케베 료(池部良), 미후네 토시로(三船敏郎), 쿠가 요미코(久我美子), 후랑키 사카이(フランキー堺), 카야마 유조(加山雄三), 야치구사 카오루(八千草薫), 츠카사 요코(司葉子), 미하시 타츠야(三橋達也), 신주 산젠다이(新珠三千代), 코바야시 케이주(小林桂樹), 타카라다 아키라(宝田明), 쿠로사와 토시오(黒沢年男) |
다이에이(大映) | 하세가와 카즈오(長谷川一夫), 미타케 아이코(三益愛子), 쿄 마치코(京マチ子), 후나코시 에이지(船越英二), 네가미 준(根上淳), 스가와라 켄지(菅原謙二), 이치카와 라이조(市川雷蔵)(8代目), 야마모토 후지코(山本富士子), 와카오 후미코(若尾文子), 카와구치 히로시(川口浩)(俳優), 카츠 신타로(勝新太郎), 타미야 지로(田宮二郎), 혼고 코지로(本郷功次郎), 에나미 쿄코(江波杏子), 오오쿠스 미치요(大楠道代) |
도에이(東映) | 카타오카 치에조(片岡千恵蔵), 이치카와 우타에몬(市川右太衛門), 츠키가타 류노스케(月形龍之介), 오오토모 류타로(大友柳太朗), 코노에 주시로(近衛十四郎), 미소라 히바리(美空ひばり), 히가시 치요노스케(東千代之介), 만야 니시노스케(萬屋錦之介), 오오카와바시구라(大川橋蔵)(2代目), 타카쿠라 켄(高倉健), 치바 신이치(千葉真一), 우메미야 타츠오(梅宮辰夫), 사쿠마 요코(佐久間良子), 마츠카타 히로키(松方弘樹), 키타노미치 킨야(北大路欣也), 후지 준코(富司純子) |
신토호(新東宝) | 아라시 칸스로(嵐寛寿郎), 우츠이 켄(宇津井健), 타카시마 타다오(高島忠夫), 스가와라 겐타(菅原文太), 마에다 미치코(前田通子), 타카쿠라 미유키(高倉みゆき), 와카야마 후미사부로(若山富三郎), 텐치 시게루(天知茂), 쿠보 나호코(久保菜穂子), 미하라 요코(三原葉子), 요시다 테루오(吉田輝雄), 이케우치 준코(池内淳子), 오오조라 마유미(大空眞弓), 미츠야 우타코(三ツ矢歌子) |
닛카츠(日活) | 츠키오카 유미지(月丘夢路), 이시하라 유지로(石原裕次郎), 아시카와 이즈미(芦川いづみ), 코바야시 아키라(小林旭), 아사카 루리코(浅丘ルリ子), 시시도 조(宍戸錠), 요시나가 사유리(吉永小百合), 타카하시 에이키(高橋英樹)(俳優), 와타루 테츠야(渡哲也), 니타니 히데아키(二谷英明), 마츠바라 치에코(松原智恵子), 카지 메이코(梶芽衣子), 이즈미 마사코(和泉雅子), 야마우치 켄(山内賢) |
4. 3. 현대 한국의 스타 시스템
현대 한국의 스타 시스템은 영화사나 방송국이 아닌, SM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 JYP 엔터테인먼트 등 연예 기획사가 주도하고 있다.[40][41][42] 이들 기획사는 스타를 직접 발굴하고 육성하며, 매니지먼트까지 담당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일본의 와타나베 프로나 호리프로와 유사하며, 소속 스타를 주연으로 하는 영화나 드라마를 제작하기도 한다.1970년대 후반, 각카와쇼텐은 소속 배우를 활용하여 스타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부활시키기도 했다.[40][41][42] 드라마에서는 특정 배우를 중심으로 시리즈를 제작하거나, 여러 작품에 같은 배우가 다른 역할로 출연하는 방식도 나타난다. 예를 들어, "붉은 시리즈"에서는 미우라 유와(三浦友和)·야마구치 모모에(山口百恵) 콤비가, "교토지검의 여자"와 "교토 미궁 안내"에서는 주인공이 같은 드라마에 출연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The Star Machine
Alfred A. Knopf
[2]
웹사이트
Carl Laemmle
http://www.immigrant[...]
German Historical Institute
2021-07-21
[3]
웹사이트
Who shot Psilander?
https://www.history-[...]
2024-06-13
[4]
웹사이트
Star System
http://www.hollywood[...]
2021-07-20
[5]
웹사이트
'Feud' Proves Bette Davis Is Empowering AF
https://www.romper.c[...]
2022-03-09
[6]
웹사이트
How Olivia de Havilland Took on the Studio System and Won
https://variety.com/[...]
2022-03-09
[7]
법률
Hanrihan v. Parker
[8]
서적
American cinema/American culture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08-11-10
[9]
서적
The Contemporary Hollywood Film Industry
Blackwell Pub.
[10]
서적
映画史を学ぶクリティカル・ワーズ
フィルムアート社
[11]
서적
日本映画史1
[12]
서적
シネアルバム 日本映画1981 '80年公開映画全集
芳賀書店
[13]
서적
日本映画史1
[14]
서적
日本映画史3
[15]
서적
日本映画のヒット力
[16]
서적
B級映画 フィルムの裏まで
平凡社
[17]
서적
生まれたら戦争だった。 映画監督神山征二郎自伝
シネ・フロント社
[18]
서적
乾杯!ごきげん映画人生
清流出版
[19]
서적
映画監督福田純 東宝映画100発100中!
ワイズ出版
[20]
서적
日本映画のヒット力
[21]
서적
神(ゴジラ)を放った男 映画製作者・田中友幸とその時代
キネマ旬報社
[22]
서적
幻の怪談映画を追って
洋泉社
[23]
서적
日本映画の現場へ
筑摩書房
[24]
서적
日本映画発達史1
[25]
서적
惹句術 映画のこころ 増補版
ワイズ出版
[26]
서적
任侠映画伝
講談社
[27]
서적
遊撃の美学 映画監督中島貞夫
ワイズ出版
[28]
서적
惹句術 映画のこころ 増補版
ワイズ出版
[29]
서적
任侠映画伝
[30]
서적
日本映画史3
[31]
학술지
SPORTS CITY
鎌倉書房
[32]
학술지
プロフィール
角川春樹事務所
1979-12-15
[33]
학술지
出演者陣の“酔いどれ講釈”
新宿コマ・スタジアム
1985-04-01
[34]
서적
極真外伝 〜極真空手もう一つの闘い〜
ぴいぷる社
[35]
뉴스
本家ブルース・リーをしのぐ千葉真一
1974-12-27
[36]
서적
コラムの逆襲 エンタテインメント時評 1999~2002
新潮社
[37]
서적
最良の日、最悪の日
文藝春秋社
[38]
서적
君もゴジラを創ってみないか 川北紘一特撮ワールド
徳間オリオン
[39]
서적
日本映画史100年
集英社新書
[40]
서적
『砂の器』と『日本沈没』 70年代日本の超大作映画
筑摩書房
[41]
서적
天と地と創造
角川書店
[42]
간행물
別冊映画秘宝VOL.2 アイドル映画30年史
洋泉社
[43]
서적
テレビ芸能職人
朝日出版社
[44]
서적
視聴率の戦士 テレビクリエイター伝説
ぴあ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