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타 탄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 탄생!》은 1971년부터 1983년까지 일본에서 방송된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아마추어 가수들을 발굴하여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초기에는 다양한 연령대의 참가자들이 참여했으나, 점차 10대 참가자들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스타 탄생!》은 공정하고 투명한 선발 시스템과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야마구치 모모에, 모리 마사코, 사쿠라다 준코, 이와사키 히로미, 핑크 레이디, 코이즈미 쿄코, 나카모리 아키나 등 수많은 스타들을 배출하며 연예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와타나베 프로덕션의 독점적 지위를 약화시키고 여러 연예 기획사들의 성장을 이끌었으며, 오디션 프로그램의 시초로서 대중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대 일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스파이더맨 (드라마)
    1978년 토에이에서 제작된 일본 특촬 TV 시리즈 스파이더맨은, 마블 코믹스와의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탄생했으며, 모토크로스 레이서 야마시로 타쿠야가 스파이더 성인의 힘을 받아 스파이더맨이 되어 철십자단에 맞서는 이야기이다.
  • 닛폰 TV의 텔레비전 버라이어티 쇼 - 천재! 시무라 동물원
    《천재! 시무라 동물원》은 닛폰 TV에서 제작 및 방영한 동물 버라이어티 쇼 프로그램으로, 시무라 켄을 중심으로 동물과 인간의 교감을 다루며 인기를 얻었으나 그의 사망 후 종영하고 《I LOVE 모두의 동물원》으로 후속 방송되었다.
  • 닛폰 TV의 텔레비전 버라이어티 쇼 - 뮤직 러버스
    뮤직 러버스는 아카사카 야스히코가 내비게이터를 맡아 다양한 아티스트와 게스트의 라이브 공연과 토크를 선보인 니혼 TV의 음악 프로그램으로, 'M라바+' 앱을 통해 부가 서비스도 제공되었다.
  • 일본의 음악 텔레비전 프로그램 - 뮤직 페어
    뮤직 페어는 1964년 8월 31일 첫 방송을 시작하여 2024년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된 일본의 음악 프로그램이다.
  • 일본의 음악 텔레비전 프로그램 - 뮤직 러버스
    뮤직 러버스는 아카사카 야스히코가 내비게이터를 맡아 다양한 아티스트와 게스트의 라이브 공연과 토크를 선보인 니혼 TV의 음악 프로그램으로, 'M라바+' 앱을 통해 부가 서비스도 제공되었다.
스타 탄생!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프로그램 정보
장르재능 쇼
창작자아쿠 유
진행자하기모토 킨이치 (1971-1980)
심사위원아쿠 유
총괄 프로듀서이케다 후미오
위치고라쿠엔 홀
런타임55분 (1971년 - 1982년 3월)
방송 네트워크니혼 TV
첫 방송일1971년 10월 3일
마지막 방송일1983년 9월 25일
일본어 정보
제목스타 탄생! (スター誕生!)
로마자 표기Sutā Tanjō!
의미스타가 탄생했다!
제목신 스타 탄생! (新・スター誕生!)
로마자 표기Shin Sutā Tanjō!
의미새로운 스타가 탄생했다!
제목스타 탄생! ~ 전국 선발 노래 선수권 ~ (スター誕生!~全国選抜歌の選手権~)
로마자 표기Sutā Tanjō! ~ Zenkoku senbatsu uta no senshuken ~
의미스타 탄생! 전국 선발 노래 선수권
추가 정보
별칭스타탄 (スタ誕)
관련 정보노기자카46 5기생의 매력을 전달하는 『신・노기자카 스타 탄생!』의 SHOWROOM 한정 콘텐츠가 전달 결정 (THE FIRST TIMES)
스태프
기획가와무라 시게루, 스즈키 슌지, 시무라 히로시 (파자마 당) / 하기모토 킨이치 외
감수아쿠 유
연출미야지마 아키라, 요시오카 마사토시 외
프로듀서카나야 이사오 외
진행자 (과거)
진행자하기모토 킨이치
방송 정보
방송 기간 (55분 프로그램)1971년 10월 3일 - 1982년 3월 28일
방송 시간 (55분 프로그램)일요일 11:00 - 11:55
방송 기간 (45분 프로그램)1982년 4월 4일 - 1983년 9월 25일
방송 시간 (45분 프로그램)일요일 11:00 - 11:45

2. 역사

2. 1. 프로그램의 시작과 방향성 (1971년 ~ 1973년)

1971년 10월 3일에 《스타 탄생!》의 방송을 시작했지만, 초기에는 NHK 노도지만처럼 초등학생부터 70대까지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노래자랑 형식이었다. 때문에 프로그램 측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합격자를 선택할지 고민하고 있었다.[5] 그러던 중 10월 하순에 등장한 당시 13세였던 모리 마사코가 초대 그랜드 챔피언이 된 후 데뷔곡 《선생》이 크게 히트했다. 이 모리의 성공이 계기가 되어, "나도 프로 가수가 될 수 있을지도 몰라"라고 생각한 중고생을 중심으로 한 젊은이들의 《스타 탄생!》에 대한 응모가 늘기 시작했고, 그 후 《스타 탄생!》의 방향성을 결정지었다.[5] 그 후 《스타 탄생!》의 참가자층은 주로 10대 연령층이 되었고, "NHK 노도지만"과는 참가자층에서도 차별화되었다.

『스타 탄생』의 프로그램 성공에는 2가지 큰 요인이 있다고 여겨진다. 하나는 "공정하고 투명한 선발 시스템"으로, 출연 희망자는 누구나 엽서 한 장으로 응모할 수 있었고, 심사 과정이 모두 공개되었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세심한 백업 체제"로, 텔레비전 예선 합격자에게는 닛폰 TV가 비용을 부담하는 각종 레슨이 제공되었고, 데뷔 후에는 닛폰 TV의 프로그램에 우선적으로 출연할 수 있었다고 한다.[3]

그전까지의 다른 오디션 프로그램은, 거물 심사위원 등이 "잘하네요~" 등 참가자를 띄워주는 것뿐이었다. 그에 반해 『스타 탄생』은, 시작 초에는 시청률이 낮았지만, 아쿠 유우와 마츠다 토시 등의 심사위원의 가감 없는 평론에 더해, "킨짱과 놀자" 코너도 호평을 받아, 시청률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한다.[21]

결선 대회의 입찰 제도는, 일부에서 "인신매매"라는 비판을 받았다. 그래서 프로그램 측은, 스카우트 측의 얼굴을 텔레비전 화면에 비추는 것으로 그들에게도 책임감을 가지게 했다. 닛폰 TV · 연예 기획사 · 레코드 회사에서 "진심으로 스타를 키운다"라는 자세를 텔레비전을 통해 보여줌으로써, 그러한 비판을 없애나갔다고 한다.[3] 치프 프로듀서 이케다 후미오는 이에 대해, "그것은 참가자와 시청자들에게 연예계의 엄격함을 가르치고 싶었기 때문이다"라고 인터뷰에서 말했다.[22]

2. 2. 전성기 (1973년 ~ 1980년)

『스타 탄생!』은 1971년 첫 방송 시청률은 4.7%였지만, 이후 시청률이 상승하여 1978년 5월 7일 방송분에서는 최고 시청률 28.1%를 기록했다.[5] 이는 프로그램이 큰 인기를 얻었음을 보여준다.

심사위원으로는 아쿠 유, 마츠다 토시 등이 참여하여 날카로운 심사평으로 프로그램의 긴장감을 높였다.[12] 특히, 하기모토 시대에 잘 알려진 "킨짱과 놀자" 코너는 "이쪽을 봐!" 등의 게임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재미를 선사했다.[12] 이 코너에서는 쿠로베 유키히데 등이 발굴되기도 했다.

결선 대회 합격자들은 "스타 탄생 정보국" 코너를 통해 예명과 데뷔 예정 월일을 알렸다. 야마구치 모모에, 모리 마사코, 사쿠라다 준코, 이와사키 히로미, 핑크레이디 등 당대 최고의 스타들이 이 프로그램을 통해 배출되었다.

2. 3. 변화와 쇠퇴 (1980년 ~ 1983년)

1980년대에 들어 《스타 탄생!》은 사회자 및 심사위원을 교체하고 포맷을 변경하는 등 여러 변화를 시도했다.[26] 그러나 하기모토 킨이치의 사회 하차, 야마구치 모모에의 은퇴, 핑크 레이디의 해산 등이 겹치면서 시청률은 계속 하락했다.[3] 1982년 10월 24일에는 요코야마 야스시가 합류하여 "야스키요" 체제가 되었지만, 같은 날 후지 TV에서 《웃어도 괜찮아! 증간호》가 시작되면서 시청률 경쟁에서 밀려났다.

싱어송라이터의 부상과 마츠다 세이코의 성공[3], 그리고 젊은이들 사이에서 '스스로 엽서를 보내 오디션을 보는 것은 촌스럽다'는 인식이 퍼진 것도 프로그램의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5]

결국 《스타 탄생!》은 1983년 9월, 12년간의 방송을 종료했다.[26] 최종회에는 초대 사회자 하기모토 킨이치의 VTR 코멘트와 프로그램 출신 가수들의 무대가 있었다. 프로그램 엔딩에서는 앞으로 데뷔가 예정된 합격자들을 소개하고, 모두 함께 프로그램 주제곡 "스타 탄생 찬가"를 불렀다. 방송 종료 후에도 프로그램 부활을 바라는 목소리가 있었지만, 1984년 4월에 부활 계획은 실현되지 않았다.[26]

《스타 탄생!》 종료 후, 1985년부터 1987년까지 후지 TV에서 《유야케 냥냥》이 방송되었고, 이 프로그램과 연계된 오냥코 클럽이 신인 탤런트 발굴 및 육성의 장으로 기능했다.

3. 출연진


  • 다카하시 타츠야와 도쿄 유니온 - 밴드 연주
  • 오카모토 아키오와 게이스타즈 - 밴드 연주
  • 요코모리 료조 - 아코디언 연주
  • 도이 하지메 - 안무가
  • 이노우에 레이코 - 하기모토 시대의 어시스턴트 (하기모토와 동시기에 하차).
  • 더 슈크림 (유키 (현・혼 유키), 쿠-코 (후의 시미즈 쿠-코), 타니가미 "잇코" 이쿠코 (현・키타하라 유키), 코야마 "노로" 아케미의 4인조 - 하기모토 시대 초기의 어시스턴트
  • 린린 란란 (홍콩 출신의 쌍둥이 듀오 - 이노우에와 함께 하기모토 시대의 어시스턴트를 맡았다.
  • 키타무라 유코 - 어시스턴트 (린린 란란과 동시기에, 데뷔 코너에 정식으로 출연하기 전에, 잠시 어시스턴트를 맡아, 합격자의 목에 메달을 걸어주었다.)
  • 쿠로베 유키히데 (출연 당시에는 "쿠로베에" 명의. 하기모토와 동시기에 하차)
  • 사이토 세이로쿠
  • 유키후부키 유지로 (후부키 유지로… 출연 당시에는 "유지로" 명의. 하기모토와 동시기에 하차)
  • 니시야마 코지
  • 신짱, 카메라, 후로타로
  • 시마 노부코 (후에 예명을 "시마 노부코"로 개명) - 타니&타모리 시대의 어시스턴트
  • 이토 사야카 - 사카모토 시대 - 야스키요 시대 전기. 당초에는 프로그램 어시스턴트를 맡은 여자아이 4인조 "크레용"의 일원으로서 출연. 다른 멤버는, 타카시카 히사코 → 샤워의 일원. 데구치 유코, 코오리야마 미나미)
  • 래빗 세키네 (사카모토 시대)
  • 와카마츠 아이코 - 키요시 단독 시대 초기에 키요시와 콤비로 사회를 맡은 일반인 노인 여성 (전 다카라즈카라고 말했다).
  • 호리 토시히코 - 키요시 단독 시대, 게임 코너 "사이좋은 키요시"에 출연. 당시 타카치호 상과 대학에 재학 중으로, 아사이 기획 소속의 탤런트. 후에 텔레비 니가타 아나운서)
  • 더 버즈 세븐 플러스 1 (일본 텔레비 음악 학원 (현・닛테레 학원 탤런트 코스. 후술 참조)의 레슨생 선발 멤버)
  • 이토 히데토시 - 야스키요 시대의 내레이션

3. 1. 역대 사회자


  • '''초대: 하기모토 킨이치''' (1971년 10월 3일 - 1980년 4월 6일) - 당시 콘트 55호로 인기 절정이었으며, TV에서 본격적인 솔로 활동이자 첫 MC 도전이었다.[21] 하기모토는 MC 제안을 받고 처음에는 단독 MC 경험이 없어 1쿨만 할 생각이었다고 한다.[21][3] 오프닝은 객석에서 등장하여 "'''여러분, 안녕하세요. 객석 여러분, 안녕하세요!!'''"라고 외치며 시작했고, 본 방송에서 하기모토는 항상 참가자를 응원하는 입장을 의식하며 MC를 진행했다.[21]
  • '''2대: 타니 하야토・타모리''' (1980년 4월 13일 - 1981년 3월 22일) - 타니는 당시 "'''이와야 타카히로'''"라는 예명으로 활동했다. 타모리는 형제 프로그램인 《웃음 스타 탄생!!》에 심사위원으로도 출연했으며, 훗날 "거의 연결하는 역할이었어요"라고 회고했다.
  • '''3대: 사카모토 큐・이시노 마코''' (1981년 4월 12일 - 1982년 1월 3일) - 이시노는 《스타 탄생!》 데뷔조 가수이다.[6] 이시노는 진행 역할에 고생했지만, 사카모토의 리드로 역할을 수행했다.[6] 이후 이시노는 결혼으로 인한 연예계 일시 은퇴로 1981년 9월 6일 방송분을 마지막으로 하차했다.
  • '''4대: 요코야마 야스시・니시카와 키요시''' (1982년 1월 10일 - 1983년 9월 25일) - 처음에는 키요시가 와카마츠 아이코와 함께 1982년 3월 21일 방송분까지 담당했고, 이후 단독으로 진행했다. 야스시는 1982년 10월 24일 방송분부터 출연했다.

3. 2. 주요 심사위원

마츠다 토시, 아쿠 유, 나카무라 타이치가 레귤러로 참여했고, 그 외 두 명은 외부 작사가, 작곡가, 레코드 회사의 디렉터, 연예 잡지 "묘조", "헤이본"의 편집 기자가 교대로 출연했다. 도중에 토쿠라 슌이치, 미키 타카시가 합류하면서 심사가 더욱 엄격해졌다. 나카무라는 한때 하차하여 모리타 코이치로 교체되었지만, 미키의 완전 하차와 함께 복귀했다.

도쿠라가 심사위원이 된 것은 미타카 시민회관에서 열린 제9회 녹화에 여러 사정으로 결석하게 된 아쿠의 대타로 출연한 것이 처음이었다.[21]

사회의 키요시는 다음 인물을 "평의원"이라고 불렀다.

  • 고바야시 아세이
  • 제임스 미키
  • 오모토 야스노리
  • 핫토리 카츠히사
  • 오바야시 노부히코
  • 아사이 신페이
  • 잔마 사에코
  • 가마야츠 히로시 (최종회까지 출연)
  • 미하시 미치야
  • 겐 테츠야

4. 심사 방식

テレビ予選일본어은 사회자의 변천에 따라 심사 방식이 여러 번 바뀌었다.[5]

하기모토 킨이치, 타니 하야토/타모리 시대에는 전광 게시판을 통해 점수를 공개했다. 텔레비전 예선 출전 자격은 1회 7명(조)까지였으나, 하기모토 시대에는 1978년 1월 8일부터, 타니・타모리 시대에는 1981년 1월 11일부터 3월 15일까지 5명으로 삭감되었다. 예선 통과자는 전동 승강식 스탠드 마이크 앞에 서서 1절을 불렀다. 결과 발표 시에는 도전자의 머리 위에 4자리의 전광 게시판이 있는 세트가 비춰졌다. 회장의 일반 심사위원 500점과 프로페셔널 심사위원 5명의 점수(1명당 100점, 총 500점)를 합산하여 1000점 만점으로 채점했으며, 규정 점수(7명일 때 250점, 5명일 때 300점)에 도달하면 합격이었다. 회장 심사 점수는 하늘색 숫자로 표시되었으며, 합격 시에는 외주의 빨간 콩알 전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했다. 프로 심사위원의 점수가 더해지면 콩알 전구가 회전하고, 합격 시에는 숫자가 빨간색으로 바뀌며 파트 라이트가 회전했다.[21][9] 이시노 마코는 회장 득점만으로 합격선을 넘었으며, 사쿠라다 준코는 프로그램 사상 최고 득점인 573점을 기록했다.

타니・타모리 시대 5명일 때는 심사 기준을 가창력과 개성에 중점을 두기 위해 회장 심사를 노래 도중에 실시했다. 무대 중앙 왼쪽에는 디지털식 전광 게시판을 설치하고, 화면 왼쪽 하단에 녹색 디지털 표시(크로마키)를 내보냈다. 합격자는 닛폰 텔레비전 음악학원(현 닛테레 학원 탤런트 코스) 입학 안내서와 부상을 받았다. 도전자 전원에게는 참가상이 주어졌다.

사카모토 큐/이시노 마코 시대에는 2부 구성으로 진행되었다. 파트 1에서는 8명이 메들리 형식으로 노래하고 100명의 관객이 심사(각 1점 배점)하여, 점수가 높은 5명(도중부터 4명)이 파트 2에 진출했다. 파트 2에서는 핸드 마이크로 1절을 부르고 프로 심사위원의 심사를 받았다. 결과 발표 시에는 거대한 디지털식 전광 게시판에 5명 심사위원의 점수가 개별적으로 표시되었다. 심사위원 1명당 60점이 기준이었으며, 5명 합계 300점에 도달하면 합격이었다. 나카모리 아키나는 이 시대 예선에서 392점으로 합격했는데, 이는 이 형식에서 사상 최고 득점이다.[10] 합격자에게는 트로피가 수여되었다.

니시카와 키요시 단독 시대에는 1회 6명(방송 시간 단축 후에는 5명)이 스탠드 마이크 앞에 서서 1절을 불렀다. 심사 시에는 거대한 패널이 등장하며, 별 모양의 전광 램프 10개 중 8개 이상이 점등되면 합격이었다.

4. 1. TV 예선

テレビ予選일본어은 사회자의 변천에 따라 심사 방식이 여러 번 바뀌었다.[5]

하기모토 킨이치, 타니 하야토/타모리 시대에는 전광 게시판을 통해 점수를 공개했다. 텔레비전 예선 출전 자격은 1회 7명(조)까지였으나, 하기모토 시대에는 1978년 1월 8일부터, 타니・타모리 시대에는 1981년 1월 11일부터 3월 15일까지 5명으로 삭감되었다. 예선 통과자는 전동 승강식 스탠드 마이크 앞에 서서 1절을 불렀다. 결과 발표 시에는 도전자의 머리 위에 4자리의 전광 게시판이 있는 세트가 비춰졌다. 회장의 일반 심사위원 500점과 프로페셔널 심사위원 5명의 점수(1명당 100점, 총 500점)를 합산하여 1000점 만점으로 채점했으며, 규정 점수(7명일 때 250점, 5명일 때 300점)에 도달하면 합격이었다. 회장 심사 점수는 하늘색 숫자로 표시되었으며, 합격 시에는 외주의 빨간 콩알 전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했다. 프로 심사위원의 점수가 더해지면 콩알 전구가 회전하고, 합격 시에는 숫자가 빨간색으로 바뀌며 파트 라이트가 회전했다.[21][9] 이시노 마코는 회장 득점만으로 합격선을 넘었으며, 사쿠라다 준코는 프로그램 사상 최고 득점인 573점을 기록했다.

타니・타모리 시대 5명일 때는 심사 기준을 가창력과 개성에 중점을 두기 위해 회장 심사를 노래 도중에 실시했다. 무대 중앙 왼쪽에는 디지털식 전광 게시판을 설치하고, 화면 왼쪽 하단에 녹색 디지털 표시(크로마키)를 내보냈다. 합격자는 닛폰 텔레비전 음악학원(현 닛테레 학원 탤런트 코스) 입학 안내서와 부상을 받았다. 도전자 전원에게는 참가상이 주어졌다.

사카모토 큐/이시노 마코 시대에는 2부 구성으로 진행되었다. 파트 1에서는 8명이 메들리 형식으로 노래하고 100명의 관객이 심사(각 1점 배점)하여, 점수가 높은 5명(도중부터 4명)이 파트 2에 진출했다. 파트 2에서는 핸드 마이크로 1절을 부르고 프로 심사위원의 심사를 받았다. 결과 발표 시에는 거대한 디지털식 전광 게시판에 5명 심사위원의 점수가 개별적으로 표시되었다. 심사위원 1명당 60점이 기준이었으며, 5명 합계 300점에 도달하면 합격이었다. 나카모리 아키나는 이 시대 예선에서 392점으로 합격했는데, 이는 이 형식에서 사상 최고 득점이다.[10] 합격자에게는 트로피가 수여되었다.

키요시 단독 시대에는 1회 6명(방송 시간 단축 후에는 5명)이 스탠드 마이크 앞에 서서 1절을 불렀다. 심사 시에는 거대한 패널이 등장하며, 별 모양의 전광 램프 10개 중 8개 이상이 점등되면 합격이었다.

4. 2. 결선 대회

결선 대회는 1쿨(3개월)에 한 번, 합격자가 7, 8명 정도 모이면 연예 기획사 및 레코드 회사의 스카우트맨들을 모아 진행되었다. 참가자는 1절을 부르고, 스카우트맨들은 회사 이름이 적힌 플래카드를 들어 스카우트 의사를 표시했다. 한 회사만 플래카드를 들어도 합격으로 인정되었지만, 이후 회사 간 조율이 필요했다.

사카모토 시대까지는 모든 출전자가 노래를 마친 후 결과 발표가 이루어졌다. 출전자는 스카우트맨에게 스카우트해 줄 것을 어필했고, 스카우트맨 중에는 타로와 키요미즈 미치오, 이다 히사히코 등이 있었다. 사회자의 신호와 함께 스카우트할 의향이 있으면 회사 이름이 적힌 플래카드를 들었다. 플래카드가 올라가는 순간 팡파르가 울렸다.

합격자 중 한 명은 "최우수상"으로 발표되었고, "심사위원 특별상"과 "심사위원 격려상"도 수여되었다. 사쿠라다 준코는 25개 회사에서 지명을 받아 최고 기록을 세웠다. 그 외에도 야마구치 모모에, 신누마 켄지, 쿠로키 마유미, 시부야 테페이, 이토 사키코, 이시노 마코, 시미즈 유키코, 모리 마사코, 나카모리 아키나, 이와사키 히로미, 핑크 레이디, 오카다 유키코, 카시와바라 요시에, 고이즈미 쿄코 등이 많은 회사로부터 지명을 받았다. 최소 지명 회사 1개의 합격자에는 진보 미키, 마츠모토 아키코 등이 있다.

키요시 단독 시대에는 스카우트맨이 2명까지 스카우트하여 투표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고, 야스키요 시대에는 1982년 12월 19일과 26일에 걸쳐 준결승과 결승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가수 데뷔가 메인이었지만, 결선 대회에서 플래카드가 올라와도 데뷔하지 못한 합격자나 가수 외의 연예인으로 데뷔하여 유명해진 도전자도 많았다. 반대로 결선 대회에서 실격되었지만, 다른 경로로 스카우트되어 데뷔한 경우도 있었다. 이노우에 아즈미는 14세 때 결선 대회에 출전하여 불합격했지만 1983년에 가수 데뷔했다.[11]

5. 주요 합격자 및 데뷔 가수

'스타 탄생!'은 88팀, 92명의 가수를 배출했다.[7] 다음은 주요 합격자 및 데뷔 가수 목록이다.

5. 1. 1970년대 데뷔

1971년 닛폰 TV에서 방영을 시작한 오디션 프로그램 《스타 탄생!》은 1970년대에 많은 가수들을 배출했다.[7]

1972년에는 모리 마사코가 프로그램의 첫 번째 그랜드 챔피언이 되어 데뷔했으며,[7] 미하시 히로코, 코스모스, 후지모토 테츠야도 데뷔했다.[7] 1973년에는 사쿠라다 준코가 그랜드 챔피언을 차지하고 25개 회사에서 스카우트를 받는 기록을 세웠으며,[7] 야마구치 모모에도 준우승을 차지하며 데뷔했다.[7] 모리 마사코, 사쿠라다 준코, 야마구치 모모에는 '꽃의 중3 트리오'로 불리며 큰 인기를 얻었다.[7] 그 외 미나미 요코, 사카이 준코, 이케다 마사오미, 후지 마사키, 조 미치루 등도 1973년에 데뷔했다.[7]

1974년에는 이토 사키코, 시노즈카 마유미, 마쓰다 신타로 등이 데뷔했으며,[7] 1975년에는 이와사키 히로미가 8개 회사로부터 스카우트 제의를 받으며 데뷔했다.[7] 구로키 마유미도 같은 해 데뷔하여,[7] 이후 걸의 멤버로 활동했다.[7] 1976년에는 니이누마 켄지가 남성 최다인 17개 회사로부터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고,[7] 핑크 레이디가 데뷔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7]

1977년에는 시미즈 유키코가 그랜드 챔피언이 되었고, 1978년에는 이시노 마코가 16개 회사로부터 스카우트를 받으며 데뷔,[7] 이후 프로그램의 사회를 맡기도 했다. 1979년에는 이노우에 노조미가 데뷔하여,[7] 이후 작사가, 작곡가로 활동했다.[7]

1970년대 후반에는 가시와바라 요시에가 1979년에 그랜드 챔피언이 되어 1980년에 데뷔했다.[7]

5. 2. 1980년대 데뷔

1970년대에 《스타 탄생!》을 통해 데뷔한 많은 가수들이 1980년대에도 활동을 이어갔다. 야마구치 모모에, 모리 마사코, 사쿠라다 준코는 '꽃의 중3 트리오'로 불리며 큰 인기를 얻었다.[7] 이와사키 히로미와 핑크 레이디 역시 1970년대에 데뷔하여 1980년대까지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7]

1980년대에는 새로운 스타들이 《스타 탄생!》을 통해 데뷔했다. 코이즈미 쿄코는 1982년에 데뷔하여, 나카모리 아키나와 함께 1980년대를 대표하는 아이돌 가수로 성장했다.[7] 나카모리 아키나는 1981년 텔레비전 예선에서 392점이라는 프로그램 사상 최고 득점으로 합격했고,[7] 1982년 5월 1일에 슬로우 모션으로 데뷔했다. 오카다 유키코는 1984년에 데뷔하여 청순한 이미지로 인기를 얻었으나,[7] 1986년에 짧은 생을 마감하여 팬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마츠모토 아키코는 가수로 데뷔한 후, 1980년대 후반부터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서 활약하며 '버라돌'로 인기를 얻었다.

카시와바라 요시에는 1979년 결선 대회에서 그랜드 챔피언을 차지하며, 1980년에 데뷔했다.[7]

6. 영향 및 평가

스타 탄생!/『スター誕生』일본어으로 데뷔한 탤런트들의 활약은 연예계 지도를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3] TV 초창기부터 1970년대까지 "나베프로 왕국"이라고 불리는 황금 시대를 구축한 와타나베 프로덕션이 그 절대적인 지위를 잃은 것은 호리프로, 선 뮤직, 타나베 에이전시가 힘을 얻었기 때문이며, 이들 신흥 프로덕션에 탤런트를 공급하는 원천이 바로 이 프로그램이었다.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예선에는 당시 나베프로 소속이었던 모리 신이치가 게스트로 출연하는등[23][24] 제6회 결선 대회 즈음까지 나베프로가 프로그램에 관여했다.

하지만 『스타 탄생』에 대항하기 위해 NET TV(현·TV 아사히)는 1973년부터 자체 제작한 오디션 프로그램 『스타 온 스테이지 당신이라면 OK!』(당신이라면)을 방송했다. 『당신이라면』의 방송 시간대인 월요일 밤 8시는 니혼 TV가 『홍백가요 베스트 텐』을 방송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베프로는 『홍백가요 베스트 텐』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게다가 나베프로 사장 와타나베 신이 니혼 TV의 이하라 다카타다에게 "우리 탤런트를 원한다면 『가요 베스트 텐』의 방송일을 바꾸는 게 어때?"라고 발언하면서 TV 연예사상 니혼 TV와 나베프로 간의 전쟁이 일어났다.

하지만 『당신이라면』은 시청률에 호조를 보이지 못하고, 결국 실패로 끝났다. 호리프로, 선 뮤직, 타나베 에이전시 등 신흥 프로덕션에 『스타 탄생』 출신 탤런트를 우선 공급하는 것도 이하라가 나베프로 포위망을 구축하기 위해 각 프로덕션에 협력을 요청한 대가로 실현된 것이었다.[25] 이후 이하라는 1980년에 니혼 TV를 퇴사하고, 나베프로는 제38회 결선 대회 전후부터 『스타 탄생』에 다시 관여하기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이 프로그램에서 마쓰모토 아키코를 데뷔시켰다.

1970년대 후반이 되면서 『스타 탄생』 출신자들이 각 음악제의 신인상을 수상하게 된다. 이는, 그동안 "연예계의 제국"이라고 불릴 정도의 권위를 자랑했던 나베프로의 일강 체제를 흔드는 사태가 되었다. 이후 1980년대에 들어서 니혼 TV와 나베프로의 관계는 회복되었지만, 음악 업계는 여러 연예 기획사들이 난립하는 시대로 돌입하게 되었다.[3]

6. 1. 연예 기획사 구도 변화

스타 탄생!/『スター誕生』일본어으로 데뷔한 탤런트들의 활약은 연예계 지도를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3] TV 초창기부터 1970년대까지 "나베프로 왕국"이라고 불리는 황금 시대를 구축한 와타나베 프로덕션이 그 절대적인 지위를 잃은 것은 호리프로, 선 뮤직, 타나베 에이전시가 힘을 얻었기 때문이며, 이들 신흥 프로덕션에 탤런트를 공급하는 원천이 바로 이 프로그램이었다.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예선에는 당시 나베프로 소속이었던 모리 신이치가 게스트로 출연하는등[23][24] 제6회 결선 대회 즈음까지 나베프로가 프로그램에 관여했다.

하지만 『스타 탄생』에 대항하기 위해 NET TV(현·TV 아사히)는 1973년부터 자체 제작한 오디션 프로그램 『스타 온 스테이지 당신이라면 OK!』(당신이라면)을 방송했다. 『당신이라면』의 방송 시간대인 월요일 밤 8시는 니혼 TV가 『홍백가요 베스트 텐』을 방송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베프로는 『홍백가요 베스트 텐』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게다가 나베프로 사장 와타나베 신이 니혼 TV의 이하라 다카타다에게 "우리 탤런트를 원한다면 『가요 베스트 텐』의 방송일을 바꾸는 게 어때?"라고 발언하면서 TV 연예사상 니혼 TV와 나베프로 간의 전쟁이 일어났다.

하지만 『당신이라면』은 시청률에 호조를 보이지 못하고, 결국 실패로 끝났다. 호리프로, 선 뮤직, 타나베 에이전시 등 신흥 프로덕션에 『스타 탄생』 출신 탤런트를 우선 공급하는 것도 이하라가 나베프로 포위망을 구축하기 위해 각 프로덕션에 협력을 요청한 대가로 실현된 것이었다.[25] 이후 이하라는 1980년에 니혼 TV를 퇴사하고, 나베프로는 제38회 결선 대회 전후부터 『스타 탄생』에 다시 관여하기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이 프로그램에서 마쓰모토 아키코를 데뷔시켰다.

1970년대 후반이 되면서 『스타 탄생』 출신자들이 각 음악제의 신인상을 수상하게 된다. 이는, 그동안 "연예계의 제국"이라고 불릴 정도의 권위를 자랑했던 나베프로의 일강 체제를 흔드는 사태가 되었다. 이후 1980년대에 들어서 니혼 TV와 나베프로의 관계는 회복되었지만, 음악 업계는 여러 연예 기획사들이 난립하는 시대로 돌입하게 되었다.[3]

6. 2. 오디션 프로그램의 효시

6. 3.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스타 탄생!'은 TV를 통해 스타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대중문화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프로그램 출신 가수들은 일본 가요계를 이끌며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선보였다. 야마구치 모모에, 모리 마사코, 사쿠라다 준코, 이와사키 히로미, 핑크레이디, 코이즈미 쿄코, 나카모리 아키나, 오카다 유키코 등이 대표적인 스타들이다.

참조

[1] 웹사이트 乃木坂46 5期生の魅力を届ける『新・乃木坂スター誕生!』のSHOWROOM限定コンテンツが配信決定(THE FIRST TIMES) https://news.yahoo.c[...] 2022-04-29
[2] 간행물 下野新聞 下野新聞社 1982-10-24
[3] 잡지 スター誕生!あの熱狂をもう一度前編 週刊ポスト 2021-10-29
[4] 서적 テレビヒット番組のひみつ : 「ジェスチャー」から「おしん」まで NHK出版/日本放送出版協会 1984-08-01
[5] 잡지 スター誕生!あの熱狂をもう一度後編 週刊ポスト 2021-10-29
[6] 잡지 スター誕生!あの熱狂をもう一度・後編 週刊ポスト 2021-10-29
[7] 웹사이트 「石野真子が振り返る『スター誕生!』 プラカードが上がった時の感激!」より。 https://www.news-pos[...] NEWSポストセブン 2021-10-24
[8] 잡지 スター誕生!あの熱狂をもう一度後編 週刊ポスト 2021-10-29
[9] 웹사이트 【昭和のことば】「スター誕生!」で生まれた萩本欽一の代表的なギャグ「バンザーイ、なしよ」(昭和46年) https://www.zakzak.c[...] 夕刊フジ 2021-03-31
[10] 서적 本気だよ -菜の詩・17歳- 小学館
[11] Youtube 井上あずみ デビュー前14歳の時に出演した「スター誕生! 」のお宝映像!! https://www.youtube.[...]
[12] 웹사이트 萩本欽一×都倉俊一『スタ誕』対談 司会者と審査員は険悪だった? https://www.news-pos[...] 小学館 2021-10-22
[13] 잡지 スター誕生!あの熱狂をもう一度後編 週刊ポスト 2021-10-29
[14] 웹사이트 目黒ひとみ
[15] 웹사이트 新沼謙治
[16] 웹사이트 清水由貴子
[17] 웹사이트 본인의 페이지
[18] 잡지 スター誕生!あの熱狂をもう一度・後編 週刊ポスト 2021-10-29
[19] 잡지 スター誕生!あの熱狂をもう一度・後編 週刊ポスト 2021-10-29
[20] 웹사이트 検索結果 スター誕生!〔100〕 https://www.bpcj.or.[...] 2024-01-28
[21] 잡지 「スター誕生!」あの熱狂をもう一度 後編 2021-10-29
[22] 서적 テレビ番組の40年
[23] 서적 ナベプロ帝国の興亡 文藝春秋
[24] 서적 芸能王国渡辺プロの真実。 : 渡辺晋との軌跡 青志社 2007-07
[25] 서적 ナベプロ帝国の興亡
[26] 잡지 REPORT・名物番組『スター誕生!』が九月で一時終了 1983-07-29
[27] 서적 テレビ番組の40年編 NHK出版/日本放送出版協会
[28] 웹사이트 VAP『スター誕生! CD&DVD-BOX』2011年3月16日発売決定! http://www.vap.co.jp[...]
[29] 신문 河北新報 1971-10-03
[30] 신문 福島民報 1982-04-04, 1983-09-25
[31] 신문 福島民報 1971-10-09, 1972-03-25
[32] 신문 福島民報 1972-04-02, 1973-09-30
[33] 신문 福島民報 1973-10-07, 1981-09-27
[34] 신문 福島民報 1981-10-04, 1982-03-28
[35] 신문 日刊スポーツ 1976-01-04
[36] 뉴스 신슈마이니치 신문 텔레비전 란 신슈마이니치 신문 1977-04-03, 1981-09-27
[37] 뉴스 신슈마이니치 신문 텔레비전 란 신슈마이니치 신문 1981-10-03, 1983-10-01
[38] 뉴스 호쿠리쿠 신문 텔레비전 란 호쿠리쿠 신문 1983-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