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탬퍼드 브리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탬퍼드 브리지는 1877년 런던 애슬레틱 클럽의 육상 경기장으로 개장했으며, 현재는 첼시 FC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1904년 첼시 FC가 창단되어 홈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재건축과 확장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경기장 확장 및 이전 시도가 있었으나 무산되었고, 현재는 4개의 스탠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첼시 메가스토어, 박물관 등 부대 시설을 갖추고 있다. 럭비, 크리켓, 미식축구 등 다양한 스포츠 경기와 축구 외 행사도 개최되었으며, 대중교통 접근성이 뛰어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7년 설립 - 윔블던 선수권 대회
윔블던 선수권 대회는 1877년 시작되어 매년 6월 말 또는 7월 초에 영국 윔블던에서 열리는 권위 있는 테니스 대회이며, 잔디 코트에서 진행되는 유일한 그랜드 슬램 대회이다. - 해머스미스 풀럼구의 건축물 - 크레이븐 코티지
크레이븐 코티지는 런던에 위치한 풀럼 FC의 홈 구장으로, 1780년 건설되어 화재로 소실 후 1896년 재건축되었고, 20세기 초 재설계되어 다양한 국제 경기를 개최한 역사적인 건물이다. - 해머스미스 풀럼구의 건축물 - 퀸스 파크 레인저스 FC
퀸스 파크 레인저스 FC는 1882년 창단되어 런던 서부 퀸스 파크 지역을 연고로 하는 잉글랜드 프로 축구 클럽으로, 리그 컵 우승과 1부 리그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현재는 챔피언십에 소속되어 로프터스 로드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스탬퍼드 브리지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더 브리지 |
전체 이름 | 스탬퍼드 브리지 |
위치 | 풀럼, 런던, , 잉글랜드 |
개장 | 1877년 4월 28일 |
리모델링 | 1904–1905년, 1998년 |
소유주 | 첼시 피치 오너스 |
운영자 | 첼시 |
표면 | 그래스마스터 (타켓 스포츠) |
건축가 | 아치볼드 리치 (1887년) |
스위트룸 | 51개 |
최대 관중 | 82,905명 (첼시 – 아스널, 1935년 10월 12일) |
경기장 규격 | 113m x 74m |
사용 팀 | |
현재 | 런던 애슬레틱 클럽 (1877–1904년) 첼시 (1905–현재) 첼시 여자 (2004–현재) 런던 모나크스 (NFL 유럽) (1997년) |
비고 | 첼시 FC 여자 팀은 일부 경기 (모든 유럽 경기 포함)만 사용함 |
규모 | |
수용 인원 | 40,173명 |
피치 크기 | 103m × 68m |
추가 정보 | |
2. 역사
스탬퍼드 브리지는 1876년 설립되어 1877년 개장한, 13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경기장이다.[75][76][77] 초기에는 런던 육상 클럽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육상 트랙이 운동장을 둘러싸고 있어 관중은 경기장에서 다소 떨어진 곳에서 경기를 관람해야 했다. 개장 당시 공식 수용 인원은 10만 명에 달했다.
1904년 사업가 거스 미어스와 조셉 미어스 형제가 경기장 부지를 인수하여 프로 축구 경기를 개최하고자 했다. 인근의 풀럼 FC에 경기장 사용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하자,[75][76] 1905년 직접 첼시 FC를 창단하여 스탬퍼드 브리지를 홈구장으로 삼았다.[75][76]
개장 이후 스탬퍼드 브리지는 여러 차례 증축과 개축을 거쳤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20년부터 1922년까지 FA컵 결승전이 열렸으며, 1930년대에는 남쪽 스탠드("더 셰드")와 북쪽 스탠드가 건설되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각각 웨스트 스탠드와 이스트 스탠드가 새로 지어졌다.
1970년대 구단은 심각한 재정난을 겪으며 스탬퍼드 브리지의 소유권을 잃을 위기에 처했다. 이에 서포터들이 나서 비영리 단체인 첼시 피치 오너스(Chelsea Pitch Owners)를 결성, 경기장 부지와 자유보유권, 구단 명칭 사용권 등을 매입하여 현재까지 소유하고 있다.[77]
1990년 힐스브로 참사 이후 발표된 테일러 보고서에 따라, 1990년대에 걸쳐 스탬퍼드 브리지는 전 좌석 경기장으로 대대적인 재건축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육상 트랙이 제거되고 모든 스탠드가 경기장에 가깝게 배치된 지붕 있는 형태로 바뀌었다.
팀의 성공과 함께 팬 수가 증가하면서[76] 경기장 확장 및 이전 계획이 꾸준히 추진되었으나, 부지 제약, 지역 사회의 반대, 투자 환경 등의 문제로 여러 차례 무산되거나 보류되었다.[77][75][78][79][80][81]
2. 1. 초기 역사 (1877년 ~ 1905년)


스탬퍼드 브리지는 1877년 런던 육상 클럽의 홈구장으로 개장했으며, 1904년까지는 주로 이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초기 경기장에는 육상 트랙이 있었고, 운동장은 트랙 가운데에 위치하여 관중은 경기장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경기를 관람해야 했다.
경기장 이름 "스탬퍼드 브리지"는 "Samfordesbrigge"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며, "모래 여울의 다리"를 의미한다.[6] 18세기 지도에는 현재 경기장 이스트 스탠드 뒤편 철도 노선을 따라 흐르는 "스탠포드 크릭"(Stanford Creekeng)이 템스강의 지류로 표시되어 있다. 이 지류는 과거 빌링스웰 도랑(Billingswell Ditcheng), 풀스 크릭(Pools Creekeng), 카운터스 크릭(Counter's Creekeng)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7] 이 개울에는 두 개의 다리가 있었는데, 하나는 풀럼 로드의 스탬퍼드 브리지이고 다른 하나는 킹스 로드의 스탠브리지(현재 스탠리 브리지)였다.
육상 경기장으로 사용되던 중에도, 1898년 스탬퍼드 브리지는 보울리 신티 클럽과 런던 카마나크 간의 신티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기도 했다.[8]
1904년, 사업가인 거스 미어스와 그의 형제 조셉 미어스가 경기장 부지를 인수하고 임대 계약을 체결했다. 그들은 이곳에서 높은 수준의 프로 축구 경기를 개최하고자 했다. 처음에는 근처의 풀럼 FC에 경기장 사용을 제안했지만, 풀럼 측이 재정적인 이유로 이를 거절했다. 토지를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에 매각하는 것도 고려했으나, 미어스 형제는 결국 풀럼과 경쟁할 자체 축구 클럽을 창단하여 경기장을 사용하기로 결정했고, 이것이 1905년 첼시의 창단으로 이어졌다. 유명한 경기장 건축가 아치볼드 레이치가 새로운 축구 경기장 설계를 위해 고용되었다. 그는 이보록스 스타디움, 셀틱 파크, 크레이븐 코티지 등을 설계한 인물이다.
초기 스탬퍼드 브리지는 약 100,000명의 수용 규모로 계획되었으며[10], 당시 잉글랜드에서 크리스탈 팰리스 국립 스포츠 센터 다음으로 큰 경기장이었다. 동쪽에는 아치볼드 레이치가 설계한 5,000석 규모의 스탠드가 있었는데, 이는 그가 이전에 재개발한 크레이븐 코티지의 조니 헤인스 스탠드와 거의 동일한 디자인이었다. 다른 쪽 스탠드들은 대부분 개방된 형태의 거대한 테라스였으며, 특히 서쪽 테라스는 런던 지하철 피카딜리 선 공사 중 파낸 흙을 쌓아 만들었다.
2. 2. 첼시 FC의 홈구장 (1905년 ~ 현재)
1904년 거스 미어스와 조셉 미어스 형제가 스탬퍼드 브리지의 임대 계약을 체결하여 프로 축구 경기를 개최하고자 했다. 처음에는 지역 라이벌인 풀럼 FC에 경기장 사용을 제안했지만, 재정적인 이유로 거절당했다.[75][76] 이에 미어스 형제는 1905년 직접 첼시 FC를 창단하여 스탬퍼드 브리지를 홈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75][76] 경기장 설계를 위해 유명한 경기장 건축가 아치볼드 레이치가 고용되었다.
초기 스탬퍼드 브리지는 약 100,0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으며[10], 이는 당시 잉글랜드에서 크리스탈 팰리스 국립 스포츠 센터 다음으로 큰 규모였다. 경기장 동쪽에는 아치볼드 레이치가 설계한 5,000명 규모의 스탠드가 있었다. 이 스탠드는 그가 이전에 풀럼 FC의 홈구장 크레이븐 코티지에 건설했던 스티븐지 로드 스탠드(스티븐지 로드 스탠드)의 정확한 복제품이었다. 나머지 공간은 대부분 개방된 형태였고, 서쪽에는 런던 지하철 피카딜리 선 공사 중 나온 흙을 쌓아 만든 높은 테라스 형태의 관람석이 있었다.
스탬퍼드 브리지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20년부터 1922년까지 3년 연속으로 FA컵 결승전을 개최했다. 이후 결승전 장소는 웸블리 스타디움으로 옮겨졌다.
1930년에는 남쪽 스탠드가 확장되었는데, 이 구역은 이후 "더 셰드"(The Shed)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열정적인 응원 구역으로 유명했다. 이 테라스형 관중석은 1994년에 철거되고 전 좌석 관람석으로 바뀌었다. 1939년에는 북쪽에 작은 2층 형태의 좌석을 포함한 북쪽 스탠드가 건설되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을 기념하여 소비에트 연방의 FC 디나모 모스크바와의 친선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는 공식 집계 없이 1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는 관중이 스탬퍼드 브리지에 몰려들어 경기장 곳곳에서 경기를 지켜보는 등 큰 관심을 끌었으며, 경기는 3-3 무승부로 끝났다.
1964년부터 1965년까지 서쪽의 테라스형 관중석을 대체하는 좌석형 웨스트 스탠드가 건설되었다. 이 스탠드는 1998년에 철거되고 현재의 웨스트 스탠드로 재건축되었다. 1973년에는 이스트 스탠드가 새로 건설되었다. 이 스탠드는 여러 차례 현대화 작업을 거쳤지만, 현재까지 남아 있는 유일한 초기 구조물이다.
그러나 1970년대 초 시작된 대대적인 경기장 개조 계획은 자재 부족과 건설 노동자 파업 등으로 인해 이스트 스탠드 건설 비용이 급증하면서 차질을 빚었다. 결국 이스트 스탠드만 완공되었고, 경기장의 나머지 부분은 손대지 못했다. 이로 인해 구단은 심각한 재정난에 빠졌고, 1970년대 후반에는 경기장 소유권(프리홀드)이 구단과 분리되었다.
1982년 켄 베이츠가 1GBP에 구단을 인수했을 때는 경기장 소유권을 확보하지 못했다. 이후 스탬퍼드 브리지의 소유권은 부동산 개발업자인 말러 에스테이츠에게 넘어갔고, 베이츠와 말러 에스테이츠 간의 길고 격렬한 법적 분쟁이 이어졌다. 1990년대 초 말러 에스테이츠가 파산하자, 베이츠는 은행과의 협상을 통해 경기장 소유권을 다시 구단으로 가져왔다.[77]
1984-85 시즌에는 경기장에서 축구 훌리건들의 경기장 난입과 싸움이 여러 차례 발생하자, 당시 회장이던 켄 베이츠는 스탠드와 경기장 사이에 전기 펜스를 설치하려고 시도했다. 하지만 안전 문제로 GLC의 허가를 받지 못해 실제로 작동되지는 않았고 곧 철거되었다.
1989년 힐스브로 참사 이후 발표된 1990년 테일러 보고서는 모든 1부 리그 경기장에 전 좌석 설치를 의무화했다. 이에 따라 첼시는 1994-95 시즌까지 전 좌석 경기장을 갖추기 위해 1990년대에 걸쳐 대대적인 재건축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육상 트랙이 완전히 제거되었고, 모든 스탠드는 경기장과 가깝게 배치된 지붕 있는 전 좌석 형태로 바뀌었다. 이 구조는 관중의 함성을 경기장 내에 모으는 효과를 낸다.
현재 경기장 부지, 개찰구, 구단 명칭 사용권 등은 팬들이 설립한 비영리 단체인 첼시 피치 오너스(Chelsea Pitch Owners, CPO)가 소유하고 있다. 이는 과거 부동산 개발업자에게 경기장이 매각될 뻔했던 사태를 막기 위해 설립된 것이다.[77] CPO는 이후 구단의 경기장 이전 계획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기도 했다.[75][77] 첼시는 지속적으로 경기장 확장 또는 이전을 추진했으나, 부지 제약, 지역 주민 반대, 투자 환경 등의 문제로 계획이 여러 차례 무산되거나 보류되었다.[77][79][80][81]
스탬퍼드 브리지는 첼시의 홈 경기 외에도 1920년부터 1922년까지 FA컵 결승전을 개최했으며, 10번의 FA컵 준결승전, 10번의 채리티 실드 경기, 그리고 3번의 잉글랜드 국가대표팀 경기를 유치했다(마지막은 1932년). 또한 2013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13], 우크라이나 지원 자선 경기인 Game4Ukraine (2023년)[14][15], 자선 축구 행사인 사커 에이드 (2019년, 2024년)[16][17] 등 다양한 행사가 열렸다.
2. 3. 재정 위기와 재건 (1970년대 ~ 1990년대)
1970년대, 첼시 FC는 재정난에 빠져 구단주에 의해 스탬퍼드 브리지가 은행 관리하에 놓이는 위기를 겪었다.[77]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서포터들이 나서서 비영리 단체인 첼시 피치 오너스(Chelsea Pitch Owners)를 결성했고, 이 단체는 향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스탬퍼드 브리지 경기장 부지, 자유 보유권, 회전식 개찰구, 그리고 첼시 구단의 명명권(naming rights)을 매입했다.[77]1990년 1월, 힐스브로 참사의 여파로 발표된 테일러 보고서는 모든 1부 리그 클럽에게 1994-95 시즌까지 전 좌석 경기장을 갖추도록 명령했다. 이에 따라 첼시는 스탬퍼드 브리지에 34,000석 규모의 경기장을 건설하는 계획을 세웠고, 이 계획은 1990년 7월 19일 해머스미스 풀럼 의회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경기장 재건축은 1990년대에 걸쳐 단계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기존의 육상 트랙이 제거되었다. 육상 트랙 제거 작업은 이미 20여 년 전 동쪽 스탠드(East Stand)를 건설하면서 시작된 바 있었다. 재건축을 통해 현재와 같이 지붕이 덮인 전 좌석 스탠드가 경기장 바로 옆에 위치하게 되었으며, 이 구조는 관중의 함성을 효과적으로 모으고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KSS 디자인 그룹은 스탬퍼드 브리지 경기장과 호텔, 대형 상점, 사무실 및 주거 건물을 포함한 전체 재개발 설계를 담당했다.
2. 4. 현대화와 확장 (1990년대 ~ 현재)
1990년 1월 힐스브로 참사의 여파로 발표된 테일러 보고서는 모든 1부 리그 클럽이 1994-95 시즌까지 전 좌석 경기장을 갖추도록 명령했다. 이에 따라 첼시 FC는 스탬퍼드 브리지에 34,000석 규모의 경기장을 건설하려는 계획을 세웠고, 이는 1990년 7월 19일 해머스미스 풀럼 의회로부터 승인을 받았다.경기장 재건축은 1990년대에 걸쳐 단계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기존의 육상 트랙이 제거되었다. 이는 20여 년 전 동쪽 스탠드를 건설하면서 시작된 작업의 연장선이었다. 현재 모든 스탠드는 지붕이 덮인 전 좌석 형태로 경기장 바로 옆에 위치하게 되어 관중의 함성을 효과적으로 모으고 집중시키는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경기장 재개발 과정에서 부동산 개발업자에게 경기장이 매각되는 것을 막기 위해 팬들이 주도하여 비영리 단체인 첼시 피치 오너스가 설립되었고, 이 단체는 현재 경기장 부지, 자유보유권, 개찰구, 그리고 첼시 구단의 명명권(naming rights)을 소유하고 있다.[77]
KSS 디자인 그룹은 스탬퍼드 브리지 경기장과 호텔, 대형 상점, 사무실 및 주거 건물을 포함한 전체 재개발 설계를 담당했다.
2005년, 구단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첼시 박물관' 또는 '센테나리 박물관'으로 알려진 새로운 클럽 박물관이 옛 셰드 갤러리아(Shed Galleria) 자리에 개관했다. 방문객들은 전 부회장 리처드 애튼버러의 소개 영상을 시청한 후, 낡은 경기 프로그램, 과거 유니폼, 조제 모리뉴의 코트 등 다양한 기념품을 통해 구단의 역사를 10년 단위로 살펴볼 수 있다. 박물관 벽에는 모리뉴가 첼시 감독으로 부임했을 때 남긴 유명한 말인 "나는 병에서 나온 요정이 아니다. 나는 특별한 존재다(I am not a bottle. I am a special one)."[38][39]라는 문구가 인용되어 있다. 2011년 6월 6일에는 매튜 하딩 스탠드 뒤편에 개선된 상호작용 전시물을 갖춘 새로운 박물관이 문을 열었으며, 이는 런던에서 가장 큰 축구 박물관이다.[40]
한편, 팀의 성공과 함께 팬 수가 급증하면서[76] 스탬퍼드 브리지의 수용 인원을 50,000명 이상으로 늘리는 확장 계획이 여러 차례 추진되었다. 하지만 지역 자치단체의 반대로 추가 확장이 어렵다는 판단이 내려졌다.[77] 2013년, 첼시는 관중 수용 능력 증대와 재정 건전화를 목표로 새로운 경기장으로의 이전을 추진했으나, 경기장 소유권을 가진 첼시 피치 오너스는 총회에서 이를 부결시켰다.[75][77] 2015년에도 유사한 확장 계획이 발표되었고[77][78], 2017년에는 자치단체의 인가를 받기도 했지만, 인근 주민들의 반발과 더불어 "현재의 투자 환경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2018년에 해당 계획은 무기한 동결되었다.[79][80][81]
2. 5. 경기장 확장 및 이전 시도 (2010년대 ~ 현재)
전 첼시 구단주 로만 아브라모비치는 스탬퍼드 브리지의 좌석 수를 약 55,000석에서 60,000석으로 늘리는 재개발 계획을 추진했다.[42] 하지만 경기장이 주요 도로와 두 개의 철도 노선 사이에 위치하여 재개발의 물류가 복잡하고, 6만 명의 관중을 주변 주거 도로로 분산시킬 경우 혼잡을 유발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42] 또한, 경기장 부지와 명칭 등에 대한 소유권을 가진 서포터 단체 첼시 피치 오너스(CPO)는 2011년 주주 투표를 통해 경기장 이전 계획에 반대했으며,[75][77] 2012년에는 배터시 발전소 부지 구매 입찰에도 실패했다.2014년 6월, 구단은 건축가 리프슈츠 데이비드슨 샌딜랜즈에게 풀럼 브로드웨이에서 스탬퍼드 브리지까지 이어지는 지역에 대한 연구를 의뢰했다.[49] 이듬해인 2015년 12월, 첼시는 스탬퍼드 브리지에 6만 석 규모의 새 경기장을 건설할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49]

2017년 1월, 해머스미스 & 풀럼 의회는 이 재건축 계획을 승인했으며,[50] 이에 따라 첼시 빌리지 개발 구역 전체를 철거하고 새로운 구단 상점, 박물관, 바, 레스토랑 등을 포함한 새 경기장을 건설할 예정이었다.[50] 같은 해 3월, 런던 시장 사디크 칸 역시 "수도 런던의 환상적인 스포츠 경기장에 기여할 고품질의 훌륭한 디자인"이라 평가하며 재개발 계획을 최종 승인했다.[51]
스탬퍼드 재개발 프로젝트는 약 12.1acre의 면적을 포함하며, 북쪽과 동쪽은 철도 선로, 남쪽은 풀럼 로드, 서쪽은 오스왈드 스톨 경 맨션과 경계를 이룬다.[52] 스위스 건축 회사 헤르초크 & 드 뫼롱이 설계를 맡았으며, 이들은 이전에 뮌헨의 알리안츠 아레나와 베이징 국가체육장 설계를 담당한 바 있다.[57] "축구 성당"을 표방하며 고딕 건축 양식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영감을 받은 이 디자인은[56] 132개의 벽돌 기둥과 132개의 강철 기둥이 얽힌 구조가 특징이다. 이는 경기장 주변 빅토리아 시대 벽돌 공장을 참조한 것이며, 지붕 위로 뻗어 나가 경기장 위에 둥근 강철 링으로 마무리된다. 경기장의 다면체 형태는 인접 건물, 일조권, 철로 등 부지 제약 조건을 수용하면서 내부 공간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되었다. 재건축은 경기 당일 분위기와 관람객 경험 향상에 중점을 두었으며, 모든 좌석에서의 시야 확보,[58] 쉬운 접근성,[59] 시즌권 소지자의 기존 좌석 위치 유지 등을 목표로 했다. 약 60000m2 면적의 콘코스 시설과 23000m2의 공공 광장 조성이 계획되었다.[60] 이 재건축은 "건축 역사상 가장 야심차고 어려운 공사 중 하나"로 꼽혔으며,[61] 약 7.54억달러의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되었다.[62] 예상 재건축 기간은 3~4년으로, 이 기간 동안 첼시는 홈 경기를 치를 대체 경기장을 찾아야 했다. 웸블리 스타디움 사용을 위해 FA와 협상했으나, 당시 경기장을 공유하던 토트넘 홋스퍼 FC와의 문제 등으로 최종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55]
재개발 계획은 인근 주민의 반대에 부딪혔다. 특히 한 지역 주민 가족은 새 경기장이 자신들의 일조권을 침해한다며 법적 소송을 제기했다.[63] 첼시는 보상금 지급 등으로 합의를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결국 해머스미스 & 풀럼 의회가 개입하여 첼시가 해당 부지의 공중권을 구매하도록 허용함으로써 법적 장애물을 제거했다. 이로써 주민은 보상을 받을 자격은 유지하되, 재개발을 막을 수는 없게 되었다.[64] 그러나 2018년 5월 31일, 첼시는 "현재의 불리한 투자 환경"을 이유로 새 경기장 프로젝트를 무기한 보류한다고 발표했다.[65][79][80][81]
2022년, 구단을 인수한 토드 보엘리 컨소시엄은 경기장 개조 계획을 다시 추진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위해 미국인 건축가 재닛 마리 스미스를 고용했다는 보도가 나왔다.[66] 2023년 7월에는 경기장 재개발의 일환으로 스탬퍼드 브리지와 풀럼 브로드웨이 지하철역 사이에 위치한 오스왈드 스톨 맨션 부지(1.2acre)의 상당 부분을 매입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67]
3. 구조 및 시설
런던 서부의 고급 주택가에 위치한 스탬퍼드 브리지는 1980년대에는 낡은 경기장이었으나, 1990년대 켄 베이츠 회장 취임 후 재개발이 이루어졌다. 경기장 주변은 호텔, 쇼핑 센터, 레스토랑 등이 들어선 "첼시 빌리지"로 조성되었으며,[76] 남쪽 스탠드 아래에는 대형 상품 매장인 "첼시 메가 스토어"가 있다. 이로써 경기가 없는 날에도 방문객들이 즐길 수 있는 복합 시설이자 런던 서부의 관광 명소 중 하나가 되었다.[76]
스탬퍼드 브리지는 스탠드에서 피치까지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 현장감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76][82] 경기장은 박스형 구조로 4개의 독립적인 스탠드를 갖추고 있다. 북쪽 스탠드는 1990년대 초반 헬리콥터 사고로 사망한 클럽 부회장 매튜 하딩의 이름을 따 "매튜 하딩 스탠드"로, 남쪽 스탠드는 서포터들이 붙인 애칭인 "셰드 엔드"로 불린다.
3. 1. 스탠드
1990년 힐스브로 참사 이후 발표된 테일러 보고서는 모든 1부 리그 클럽에 1994-95 시즌까지 전 좌석 경기장을 갖추도록 요구했다. 이에 따라 첼시는 해머스미스 풀럼 의회의 승인을 받아 1990년대에 걸쳐 스탬퍼드 브리지의 대대적인 재건축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육상 트랙이 제거되었고, 모든 스탠드는 지붕이 덮인 전 좌석 형태로 경기장 바로 옆에 위치하게 되었다. 이러한 구조는 관중의 함성을 경기장 내부에 집중시키는 효과를 낸다.[76] 경기장, 개찰구, 그리고 구단의 명명권은 현재 첼시 피치 오너스가 소유하고 있으며, 이 단체는 부동산 개발업자에게 경기장이 매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설립되었다. KSS 디자인 그룹이 경기장 및 주변 시설의 전체 재개발 설계를 맡았다.스탬퍼드 브리지는 박스형 구조로 4개의 독립적인 스탠드로 구성되어 있다.[76] 각 스탠드는 최소 2층 구조이며, 별도의 확장 계획에 따라 건설되었다.
- 매튜 하딩 스탠드 (북쪽): 1996년 헬리콥터 사고로 사망한 클럽 부회장 Matthew Harding|매튜 하딩영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이스트 스탠드 (동쪽)
- 셰드 엔드 (남쪽): 서포터들이 붙인 애칭 '더 셰드(The Shed)'가 공식 명칭으로 채택되었다.
- 웨스트 스탠드 (서쪽)
스탠드와 피치 사이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 현장감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76][82]
3. 1. 1. 매튜 하딩 스탠드 (Matthew Harding Stand)
매튜 하딩 스탠드는 이전에 노스 스탠드로 알려졌으며, 경기장의 북쪽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1939년에는 좌석을 포함한 작은 2층 규모의 노스 스탠드가 처음 세워졌다. 원래 계획은 북쪽 끝 전체를 덮는 것이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그 여파로 인해 클럽은 스탠드 규모를 축소할 수밖에 없었다. 이 스탠드는 1976년에 철거되었고, 서포터들을 위한 개방형 테라스로 대체되었다. 이후 노스 테라스는 1993년에 폐쇄되었고, 현재의 2층 노스 스탠드, 즉 매튜 하딩 스탠드가 그 자리에 건설되었다.
이 스탠드의 이름은 1990년대 초반 클럽의 변화에 크게 기여했던 전 첼시 이사 매튜 하딩을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 그는 1996년 10월 22일 헬리콥터 사고로 안타깝게 세상을 떠났다. 하딩의 투자는 1996-97 시즌에 맞춰 이 스탠드를 완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매튜 하딩 스탠드는 2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시즌권 소지자를 수용한다. 특히 하부 층은 열정적인 응원 분위기로 유명하다. 현재 이 스탠드를 확장하려는 계획이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인접한 첼시 FC 박물관과 첼시 헬스 클럽 및 스파를 철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일부 UEFA 챔피언스 리그 경기에서는 외부 방송 차량이 일부 입구를 막는 경우가 있어 스탠드의 수용 인원이 일시적으로 줄어들기도 한다.
3. 1. 2. 이스트 스탠드 (East Stand)

스탬퍼드 브리지가 1905년 축구 경기장으로 개조되었을 때 유일하게 지붕이 있던 스탠드였다. 당시에는 박공형 골판지 철 지붕 아래 약 6,000석의 좌석과 테라스식 입석 구역이 있었다. 이 초기 스탠드는 1973년까지 사용되었으며, 경기장 전체 재개발 계획의 첫 단계로 철거되었다.
새로운 이스트 스탠드는 1974-75 시즌 시작에 맞춰 개장했다. 하지만 당시 클럽의 재정적 어려움 때문에 경기장 재개발 계획 중 유일하게 완성된 부분이 되었다.
현재의 이스트 스탠드는 기본적으로 1973년에 지어진 3층짜리 캔틸레버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개조와 현대화 작업을 거쳤다. 이곳은 경기장의 심장부 역할을 하며, 선수들이 입장하는 터널, 감독과 선수들이 앉는 더그아웃, 선수들의 드레싱룸, 기자회견 등이 열리는 컨퍼런스 룸, 프레스 센터, 시청각 시설 및 중계석 등이 모두 이 스탠드에 위치한다.
중간층에는 각종 편의 시설과 클럽 시설, 그리고 임원들을 위한 스위트룸이 마련되어 있다. 상층은 경기장 전체를 통틀어 가장 좋은 시야를 제공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1990년대에 진행된 대규모 재개발 과정에서도 유일하게 철거되지 않고 남은 구역이다.
과거에는 이스트 스탠드의 하층에 원정팀 서포터들이 자리했었다. 그러나 2005-06 시즌 시작 시점에 당시 감독이었던 조제 모리뉴는 홈 팀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가족 단위 관중석을 이곳으로 옮겨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따라 원정 팬들은 남쪽의 셰드 엔드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다.


3. 1. 3. 셰드 엔드 (Shed End)
셰드 엔드는 경기장 남쪽에 위치해 있다. 1930년, 더 많은 관중을 수용하기 위해 남쪽에 새로운 테라스가 건설되었다. 처음에는 풀럼 로드 엔드(Fulham Road End)로 알려졌지만, 서포터들이 '더 셰드(The Shed)'라는 별칭으로 부르기 시작했고, 구단은 이를 공식 명칭으로 채택했다. 이곳은 1994년까지 첼시의 가장 열정적이고 열렬한 서포터들이 모이는 곳으로 유명했다.힐스브로 참사 이후 안전 강화를 위해 발표된 테일러 보고서는 모든 1부 리그 경기장에 전 좌석 설치를 의무화했다. 이에 따라 1994년 셰드 엔드의 테라스는 철거되었고, 그 자리에 새로운 좌석 스탠드가 건설되어 1997-98 시즌에 맞춰 개장했다. 새 스탠드는 여전히 셰드 엔드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현재 셰드 엔드는 매튜 하딩 스탠드와 함께 많은 열성 팬들이 모이는 구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상층부 좌석은 경기장 전체를 조망하기 좋은 시야를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스탠드 내부에는 구단 100주년 기념 박물관과 추모 벽이 마련되어 있다. 추모 벽은 세상을 떠난 팬들의 가족들이 고인을 기리며 영구적인 추모물을 남길 수 있는 공간이다. 셰드 엔드 테라스 뒤편의 원래 벽 일부는 현재까지 보존되어 있으며, 경기장 남쪽 경계를 따라 서 있다. 이 벽은 최근 조명과 첼시의 전설적인 선수들의 대형 이미지로 장식되었다.
2005년부터는 원정팀 서포터들이 셰드 엔드의 동쪽 구역에 배정되며, 약 3,000석 규모의 좌석이 원정 팬들에게 할당된다.
첼시의 전설적인 공격수였던 피터 오스굿의 유해는 2006년 그의 뜻에 따라 셰드 엔드의 페널티 지점 아래에 안치되었다.
3. 1. 4. 웨스트 스탠드 (West Stand)

1964-1965 시즌에 기존 서쪽 테라스 좌석을 대체하기 위해 웨스트 스탠드가 처음 건설되었다. 당시 스탠드는 대부분 철제 프레임 위에 나무 접이식 좌석으로 구성되었으나, 가장 앞쪽 좌석은 콘크리트 형태의 '벤치'였다. 이 낡은 웨스트 스탠드는 1997년에 철거되었고, 현재의 모습으로 재건축되었다. 현재의 스탠드는 3개의 층과 스탠드 전체 길이에 걸쳐 있는 임원석 열로 이루어져 있다.
하단 층은 계획대로 1998년에 개장했지만, 건축 허가 관련 문제로 인해 스탠드 전체가 완공된 것은 2001년이었다. 스탠드 건설 과정에서 클럽은 재정 위기에 직면하여 행정 처분 직전까지 갔으나, 로만 아브라모비치의 개입으로 위기를 넘겼다. 당시 구단주였던 켄 베이츠는 프로젝트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유로본드에서 7000만파운드를 차입했는데, 이때 합의된 상환 조건은 첼시를 재정적으로 매우 위험한 상황에 빠뜨렸다.
완공된 웨스트 스탠드는 경기장의 주요 외부 '얼굴' 역할을 하며, 팬들이 풀럼 로드의 정문으로 들어설 때 가장 먼저 마주하는 건물이 되었다. 메인 입구 옆에는 과거 첼시 선수였던 나이젤 스팩먼과 데이비드 스피디의 이름을 딴 환대 입구가 있었으나, 2020년에 해당 선수 이름이 적힌 표지판이 방향 표지판으로 대체되면서 더 이상 선수 이름을 따서 명명되지 않는다.[31][32] 이 스탠드에는 경기장 내에서 가장 큰 콘코스(concourse) 구역으로 '그레이트 홀'(Great Hall)이라 불리는 공간이 있다. 이곳은 첼시 올해의 선수 시상식을 비롯한 다양한 행사에 사용된다.
스탠드 내 임원석, 일명 '밀레니엄 스위트'(Millennium Suites)는 주로 매치데이(matchday) 환대 손님들을 위한 공간이다. 각 박스는 다음과 같이 전 첼시 선수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10년 10월, 1960년대 첼시의 인기 공격수였던 피터 오스굿을 기리는 약 2.74m 높이의 동상이 조각가 필립 잭슨에 의해 제작되어 웨스트 스탠드의 밀레니엄 리셉션 근처 움푹 들어간 곳에 설치되었다. 동상 제막식은 피터 오스굿의 미망인 린이 주관했다.
2020년 1월, 첼시 FC는 웨스트 스탠드 외부 벽에 예술가 솔로몬 소우자가 제작한 대형 벽화를 공개했다. 이 벽화는 구단주 로만 아브라모비치가 자금을 지원하는 첼시의 '반유대주의 반대' 캠페인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벽화에는 홀로코스트 당시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살해된 유대인 축구 선수 율리우스 히르쉬와 아르파드 바이츠, 그리고 '아우슈비츠의 골키퍼'로 알려진 영국의 전쟁 포로 론 존스의 모습이 담겨 있다.[33]
3. 2. 기타 시설
스탬퍼드 브리지 주변은 "첼시 빌리지"로 개발되어 고급 호텔, 쇼핑 센터, 레스토랑 등이 들어섰다.[76] 경기가 없는 날에도 이용 가능한 복합 시설로, 런던 서부의 관광 명소 중 하나가 되었다.[76] KSS 디자인 그룹은 호텔, 대형 상점, 사무실, 주거 건물 등을 포함한 전체 재개발 설계를 담당했다.구단 공식 상품 매장인 첼시 메가스토어는 경기장 남서쪽 코너에 위치해 있다. 이 매장은 2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층에서는 주로 기념품과 아동용품을, 2층에서는 훈련 유니폼, 재킷, 코트, 레플리카 팀 유니폼 등 의류를 주로 판매한다. 또한 스탬퍼드 게이트 입구와 매튜 하딩 스탠드 뒤 새로운 박물관 건물 내에 각각 작은 매장 2곳이 더 있다.
2005년, 구단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첼시 박물관' 또는 '센테나리 박물관'으로 알려진 새로운 클럽 박물관이 옛 셰드 갤러리아 자리에 개관했다. 방문객들은 WAG 라운지를 방문한 후 전 부회장인 리처드 애튼버러의 소개 영상 메시지를 시청할 수 있다. 그 후, 낡은 프로그램, 과거 유니폼, 조제 모리뉴의 코트 등 기념품들을 보면서 구단의 역사를 10년 단위로 안내받는다.[38][39] 박물관 벽에는 모리뉴가 첼시 감독으로 계약했을 때 했던 유명한 발언인 "나는 병에서 나온 게 아니다. 나는 특별한 존재다."라는 문구가 인용되어 있다.[38][39]
2011년 6월 6일, 매튜 하딩 스탠드 뒤편에 개선되고 상호 작용적인 전시물을 갖춘 새로운 박물관이 개관했으며, 이는 런던에서 가장 큰 축구 박물관이다.[40]
2015년 6월, 경기장 피치는 지열 난방, 배수 및 관개 시스템을 대대적으로 개선하는 공사를 진행했다. 새로운 하이브리드 잔디 피치를 설치하여 현대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현재 경기장의 피치 크기는 대략 길이 103m, 폭 67m이며, 사방에 몇 미터의 런오프 공간이 있다. 남쪽 스탠드는 최대 3.5m 깊이로 런오프 공간이 가장 넓다.[34]
4. 기타 용도
스탬퍼드 브리지는 첼시 FC의 홈 구장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건립 초기에는 육상 경기를 위한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이후에도 FA컵 결승전,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등 다양한 축구 관련 행사와 사커 에이드와 같은 자선 행사를 개최하는 등 여러 목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4. 1. 축구 외 경기
스탬퍼드 브리지는 1877년 런던 애슬레틱 클럽의 홈구장으로 문을 열었으며, 1904년까지 주로 육상 경기를 위한 장소로 사용되었다.[34] 이후 첼시 FC가 창단되면서 축구 경기를 위한 경기장의 필요성이 생겨났고, 이에 따라 축구 경기장이 건설되었다.[34]4. 2. 그레이하운드 경주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주어진 원본 소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4. 3. 기타 행사
스탬퍼드 브리지는 1920년부터 1922년까지 FA컵 결승전의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으며, 1923년 웸블리 스타디움이 개장하면서 결승전 개최 장소가 변경되었다. 이곳에서는 총 10번의 FA컵 준결승전과 10번의 채리티 실드 경기가 열렸다. 또한 잉글랜드 국가대표팀 경기가 3번 개최되었는데, 마지막 경기는 1932년에 열렸다. 스탬퍼드 브리지는 제1회 인터시티스 페어스컵에 참가한 런던 XI 대표팀의 홈 경기장 중 하나로 사용되기도 했다. 런던 XI는 FC 바르셀로나와의 결승 2차전 홈 경기를 스탬퍼드 브리지에서 치러 2-2로 비겼으나, 원정 경기에서는 0-6으로 패배했다.2013년 5월 23일에는 2012–13 시즌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이 이 경기장에서 열렸다.[13]
2023년 8월 5일, 스탬퍼드 브리지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피해를 입은 우크라이나의 시설 및 인프라 재건을 지원하기 위한 United24 기금 마련 자선 축구 경기인 Game4Ukraine을 개최했다.[14][15]
또한, 가수 로비 윌리엄스와 배우 조나단 윌크스가 처음 조직한 연례 자선 축구 경기인 사커 에이드가 2019년과 2024년에 스탬퍼드 브리지에서 개최되었다.[16][17]
5. 교통
스탬퍼드 브리지는 대중교통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가장 가까운 런던 지하철역인 풀럼 브로드웨이 역에는 "경기일" 입구가 있어, 주요 매표소와 쇼핑 센터를 거치지 않고도 역에서 더 쉽게 출입할 수 있다.[70] 경기장이 런던 남서부에 위치해 있어, 주변 지역의 주차 공간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첼시 FC와 지역 서포터 그룹은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한다.[71][72]
노선 | 역/정류장 | 노선/경로 | 스탬퍼드 브리지까지의 도보 거리 |
---|---|---|---|
런던 버스 | 월럼 그린 | 11, 14, 211, 414, N11 | 180m 2분 |
풀럼 브로드웨이/ 풀럼 타운 홀 | 28, 295, 306, 424, N28[73] | 0.3km 5분 | |
런던 지하철 | 풀럼 브로드웨이 | 디스트릭트선 | 0.3km 5분 |
얼스 코트 | 디스트릭트선 피카딜리선 | 1.8km 27분 | |
내셔널 레일 런던 오버그라운드 | 웨스트 브롬턴 | 런던 오버그라운드 서던 | 1.3km 20분 |
임페리얼 워프 | 1.0km 13분 | ||
런던 리버 서비스 | 첼시 하버 부두 | 런던 리버 서비스 | 1.2km 15분 |
6. 통계
- 최다 관중: 1935년 10월 12일 아스널 FC와의 경기에서 82,905명[3]
- 최소 관중: 1906년 2월 17일 링컨 시티 FC와의 풋볼 리그 2부 경기에서 3,000명 (코로나19 기간 중: 2020년 12월 5일 리즈 유나이티드 FC와의 프리미어리그 경기에서 2,000명)[68][69]
시즌 | 경기장 수용 인원 | 평균 관중 수 | 수용률 | 프리미어리그 순위 |
---|---|---|---|---|
2023-24 | 40,343 | 39,700 | 98.4%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23-2024/1/ 9번째로 높음] |
2022-23 | 40,343 | 40,002 | 99.2%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22-2023/1/ 9번째로 높음] |
2021-22 | 40,343 | 36,424 | 90.3%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21-2022/1/ 10번째로 높음] |
2020-21 | 41,798 | 526 | 1.3%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20-2021/1/ 5번째로 높음] |
2019-20 | 41,798 | 32,023 | 76.6%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18-2019/1/ 8번째로 높음] |
2018-19 | 40,853 | 40,721 | 99.7%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18-2019/1/ 8번째로 높음] |
2017-18 | 41,631 | 41,282 | 99.2%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17-2018/1/ 8번째로 높음] |
2016-17 | 41,623 | 41,508 | 99.7%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16-2017/1/ 6번째로 높음] |
2015-16 | 41,798 | 41,500 | 99.2%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15-2016/1/ 7번째로 높음] |
2014-15 | 41,798 | 41,546 | 99.4%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14-2015/1/ 7번째로 높음] |
2013-14 | 41,798 | 41,482 | 99.3%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13-2014/1/ 6번째로 높음] |
2012-13 | 41,798 | 41,462 | 99.2%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12-2013/1/ 6번째로 높음] |
2011-12 | 42,449 | 41,478 | 97.7%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11-2012/1/ 6번째로 높음] |
2010-11 | 42,449 | 41,435 | 97.6%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10-2011/1/ 6번째로 높음] |
2009-10 | 42,055 | 41,423 | 98.5%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09-2010/1/ 5번째로 높음] |
2008-09 | 42,055 | 41,588 | 98.9%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08-2009/1/ 6번째로 높음] |
2007-08 | 42,055 | 41,397 | 97.7%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07-2008/1/ 7번째로 높음] |
2006-07 | 42,360 | 41,542 | 98.1%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06-2007/1/ 5번째로 높음] |
2005-06 | 42,360 | 41,902 | 98.9%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05-2006/1/ 5번째로 높음] |
2004-05 | 42,360 | 41,870 | 98.8%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04-2005/1/ 5번째로 높음] |
2003-04 | 42,360 | 41,235 | 97.3%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03-2004/1/ 5번째로 높음] |
2002-03 | 42,055 | 39,784 | 94.6%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02-2003/1/ 4번째로 높음] |
2001-02 | 42,055 | 39,030 | 92.8%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01-2002/1/ 6번째로 높음] |
2000-01 | 42,055 | 34,700 | 82.5% | [https://www.worldfootball.net/attendance/eng-premier-league-2000-2001/1/ 8번째로 높음] |
7.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Stadium History: Building a Bridge
https://www.chelseaf[...]
Chelsea F.C.
2020-07-27
[2]
웹사이트
Stamford Bridge is getting a makeover
https://weaintgotnoh[...]
2017-08-13
[3]
웹사이트
Attendances
http://www.chelseafc[...]
Chelsea F.C.
[4]
서적
Premier League Handbook: Season 2024/25
https://resources.pr[...]
2024-07-25
[5]
서적
Premier League Handbook: Season 2024/25
https://resources.pr[...]
2024-07-25
[6]
서적
Fulham Old and New: Being an Exhaustive History of the Ancient Parish of Fulham, Vol. II
https://books.google[...]
The Leadenhall Press
2019-05-29
[7]
서적
The Place-Names of Middlesex (Including Those Parts of the County of London Formerly Contain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Old County)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and Company
2019-05-29
[8]
뉴스
It's the Theatre of Drams
http://www.dailyreco[...]
2019-05-29
[9]
웹사이트
Chelsea & Fulham
http://www.disused-s[...]
Subterranea Britannica
2019-05-29
[10]
웹사이트
Stadium History
https://www.chelseaf[...]
[11]
웹사이트
Football: News, opinion, previews, results & live scores – Mirror Online
http://www.mirrorfoo[...]
2015-12-02
[12]
웹사이트
KSS Design
http://www.kssgroup.[...]
2010-03-18
[13]
웹사이트
Stamford Bridge to Stage UEFA Women's Champions League Final
http://www.uefa.com/[...]
UEFA
2012-11-06
[14]
웹사이트
Ukraine: Oleksandr Zinchenko & Andriy Shevchenko to captain teams in charity game at Chelsea
https://www.bbc.co.u[...]
BBC Sport
2023-05-30
[15]
웹사이트
Oleksandr Zinchenko to fulfil boyhood Arsenal dream and play under Arsene Wenger in 'Game 4 Ukraine'
https://talksport.co[...]
2023-06-12
[16]
웹사이트
World XI led by Piers Morgan and Harry Redknapp win Soccer Aid
https://www.standard[...]
2024-06-14
[17]
웹사이트
In pictures: Chelsea legends return to the Bridge for Soccer Aid 2024
https://www.chelseaf[...]
2024-06-14
[18]
웹사이트
Chelsea must be proactive to sell out Stamford Bridge for WSL matches
https://www.theguard[...]
2023-11-17
[19]
뉴스
Brazil 1 Russia 1: match report
https://www.telegrap[...]
2016-01-27
[20]
웹사이트
All Blacks
http://www.rugbyfoot[...]
2011-03-10
[21]
웹사이트
The All Golds
http://allgolds.net
2018-09-03
[22]
웹사이트
Countdown to SABR Day 2011
http://www.baseballg[...]
2011-01-15
[23]
문서
Bamford, R & Jarvis J.(2001). Homes of British Speedway
[24]
웹사이트
Lighting up Stamford Bridge stars
http://www.espncrici[...]
ESPN Cricinfo
2017-06-25
[25]
뉴스
The forgotten story of … Britain's first floodlit cricket match
https://www.theguard[...]
2016-08-23
[26]
웹사이트
"Greyhound Racing." Times [London, England] 2 Jan. 1933
http://find.galegrou[...]
[27]
서적
Greyhound Racing Encyclopedia
Fleet Publishing Company Ltd
[28]
서적
Particulars of Licensed tracks, table 1 Licensed Dog Racecourses
Licensing Authorities
[29]
웹사이트
Remember When – August 1976
http://greyhoundstar[...]
2018-08-19
[30]
웹사이트
10 Facts You Need to Know About Club Legend Peter Osgood {{!}} Official Site {{!}} Chelsea Football Club
https://www.chelseaf[...]
2020-08-09
[31]
웹사이트
Why did Chelsea remove the names of David Speedie and Nigel Spackman from the stadium?
https://weaintgotnoh[...]
SB Nation
2020-10-13
[32]
웹사이트
'I've been put in the bin': Nigel Spackman's sign at Stamford Bridge removed
https://theathletic.[...]
The Athletic Media Company.
2020-11-02
[33]
웹사이트
Chelsea unveils mural with Jewish soccer players murdered at Auschwitz
https://www.jpost.co[...]
2020-09-17
[34]
뉴스
Stamford Bridge is getting a makeover
https://weaintgotnoh[...]
2018-05-11
[35]
웹사이트
Chelsea FC: The Stamford Bridge Story in Photos
https://flashbak.com[...]
2019-06-02
[36]
웹사이트
Chelsea Village
https://kssgroup.com[...]
2023-01-01
[37]
웹사이트
Chelsea FC: The Stamford Bridge Story In Photos
https://flashbak.com[...]
2014-03-26
[38]
웹사이트
Phil McNulty: Mourinho still pure theatre
https://www.bbc.co.u[...]
2015-12-02
[39]
Webarchive
NS Man of the year – José Mourinho
http://www.newstates[...]
New Statesman
2007-03-31
[40]
웹사이트
Chelsea F.C. Museum
https://web.archive.[...]
[41]
웹사이트
Stadium Megastore
https://www.chelseaf[...]
Chelsea Football Club
2019-06-13
[42]
뉴스
Kenyon confirms Blues will stay at Stamford Bridge
https://web.archive.[...]
RTÉ Sport
2006-04-12
[43]
뉴스
Chelsea plan Bridge redevelopment
http://news.bbc.co.u[...]
BBC
2006-01-20
[44]
서적
Chelsea FC: The Official Biography
[45]
웹사이트
61.6 percent vote for proposal to CPO
https://web.archive.[...]
2011-10-27
[46]
뉴스
Chelsea make offer to buy Battersea Power Station
https://www.bbc.com/[...]
2012-05-04
[47]
웹사이트
Unbuilt London: Battersea Power Station's football stadium
https://www.ianvisit[...]
2016-09-24
[48]
뉴스
Battersea Power Station opens after decades of decay
https://www.bbc.com/[...]
2022-10-14
[49]
뉴스
Chelsea submit plans to increase Stamford Bridge capacity to 60,000
https://www.theguard[...]
2015-12-01
[50]
웹사이트
Chelsea redevelopment plans for the Bridge get thumbs up
http://www.cityam.co[...]
2017-01-05
[51]
뉴스
Chelsea Football Club's Stamford Bridge plans approved by mayor
https://www.bbc.co.u[...]
2017-03-06
[52]
뉴스
Chelsea face major Stamford Bridge setback: Club resigned to new four-year plan
https://www.express.[...]
2017-05-03
[53]
뉴스
Chelsea explore possibility of temporary Twickenham move
https://www.bbc.co.u[...]
[54]
웹사이트
RFU reject hosting Chelsea and confirm Twickenham is not for sale
https://www.independ[...]
2018-04-26
[55]
뉴스
Chelsea in Olympic Stadium move talks
https://www.bbc.co.u[...]
[56]
웹사이트
Unwritten: How Chelsea almost lost Stamford Bridge
https://theathletic.[...]
2020-03-25
[57]
웹사이트
Herzog & de Meuron reveals latest plans for Chelsea football stadium redesign
https://www.dezeen.c[...]
2015-12-02
[58]
뉴스
'It''s beyond beauty or ugliness': Chelsea's new stadium
https://www.theguard[...]
2015-07-03
[59]
웹사이트
New Stamford Bridge Stadium, London
https://www.designbu[...]
2020-03-09
[60]
웹사이트
Estadio Stamford Bridge, London
https://arquitectura[...]
[61]
웹사이트
Chelsea Stamford Bridge Renovation Problems Mount Further With Build 'Set to Cost £1bn'
https://www.90min.co[...]
2017-11-17
[62]
웹사이트
Chelsea F.C. abruptly halts plans for its major Stamford Bridge stadium renovation
https://www.architec[...]
2015-12-01
[63]
뉴스
Chelsea stadium: £1bn Stamford Bridge hit by family dispute
https://www.bbc.com/[...]
2018
[64]
뉴스
Boost for Chelsea after council ruling in battle of Stamford Bridge – Independent.ie
https://www.independ[...]
[65]
뉴스
Stadium plans on hold
https://www.chelseaf[...]
2018-05-31
[66]
웹사이트
Chelsea owner Boehly's grand plan to rebuild Stamford Bridge one stand at a time
https://www.mirror.c[...]
2022-07-22
[67]
뉴스
Chelsea agree deal in principle for area next to Stamford Bridge
https://theathletic.[...]
[68]
웹사이트
Lowest attendance in club history and 7 other crazy stats to know before Leeds clash
https://tribuna.com/[...]
2020-12-05
[69]
웹사이트
Chelsea top Premier League after Pulisic seals comeback win against Leeds
https://www.espn.co.[...]
[70]
웹사이트
Transformation of Fulham Broadway Station shows the way ahead
https://web.archive.[...]
2001-08-22
[71]
웹사이트
Getting to Stamford Bridge
https://www.chelseaf[...]
2021-12-19
[72]
웹사이트
Chelsea Supporters Group {{!}} Visitors To Chelsea
https://chelseasuppo[...]
2021-12-19
[73]
웹사이트
Home – Transport for London
http://www.tfl.gov.u[...]
2015-12-02
[74]
웹사이트
General Club Information
https://www.chelseaf[...]
2023-03-16
[75]
웹사이트
チェルシーがスタジアムを移転? 新本拠地は6万人収容か
https://www.soccer-k[...]
2022-11-13
[76]
웹사이트
【イギリス】ロンドンのスタンフォード・ブリッジ| 本場のサッカーを熱く観戦したい!
https://www.travelbo[...]
2023-02-08
[77]
웹사이트
【LONDON STROLL】チェルシーの新スタジアム改築計画…総工費は930億円
https://cyclestyle.n[...]
2015-12-11
[78]
웹사이트
チェルシーが本拠地の改修計画を発表、6万人収容の新スタジアム建設へ
https://www.afpbb.co[...]
2015-02-12
[79]
웹사이트
チェルシーが新スタジアム建設計画を再始動か…総工費は716億円?
https://www.soccer-k[...]
2019-05-10
[80]
웹사이트
チェルシー、新スタジアム計画を無期限凍結
https://stadium-hub.[...]
2018-08-15
[81]
웹사이트
チェルシーがスタジアムに関する声明を発表「計画認可が2020年3月末で失効」
https://www.soccer-k[...]
2020-03-29
[82]
웹사이트
野村明弘氏が教えるスタンフォード・ブリッジ観戦ガイド「パッションを体感せよ」
https://www.soccer-k[...]
2015-11-20
[83]
웹인용
General Club Information
http://www.chelseafc[...]
Chelsea F.C. official website
2015-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