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공기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습공기선도는 일정한 압력 하에서 습한 공기의 열역학적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주로 난방, 환기, 공조(HVAC) 및 기상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이 선도는 건구 온도, 습구 온도, 상대 습도, 습도비, 비엔탈피, 비체적 등 습공기의 다양한 속성을 표시하며, 1904년 윌리스 캐리어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다. 습공기선도는 건조 공기와 수증기의 혼합물인 습공기의 상태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공기조화 및 산업 건조, 곰팡이 및 균류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습공기학 - 수증기
수증기는 물이 증발하거나 승화하여 생성되는 기체 상태의 물질로, 온도 변화에 따라 물로 응축되기도 하며, 대기 중 습도 조절, 온실 효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등 여러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습공기학 - 이슬점
이슬점은 기압이 일정할 때 공기 중 수증기가 액체 물로 응결되기 시작하는 온도로, 공기 중 수증기량에 따라 습도를 나타내며, 이슬, 서리, 안개, 구름 생성과 관련되고, 기상 예보, 공압 기기 성능 평가, 인간의 쾌적함에 영향을 미친다. - 열역학 - 볼츠만 상수
볼츠만 상수 k는 온도와 에너지를 연결하는 상수이며, 기체 상수와 아보가드로 상수의 비로 정의되고, SI 단위계에서 1.380649×10⁻²³ J/K의 값을 가지며, 거시 물리학과 미시 물리학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열역학 - 열기관
열기관은 고온 열원에서 열을 받아 일을 하고 나머지를 저온 열원으로 방출하는 장치이며, 증기 동력, 가스 동력, 내연기관 등으로 분류되어 화력 발전소,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습공기선도 | |
---|---|
개요 | |
학문 분야 | 열역학, 기상학 |
정의 | 기체-증기 혼합물의 열역학적 성질을 다루는 학문 |
관련 항목 | 습도, 상변화, 열전달, 냉각탑, 공기조화 |
응용 분야 | |
산업 | HVAC, 건조 공정, 식품 가공, 농업, 기상 예보 |
측정 | |
측정 방법 | 건습구 습도계, 정전 용량 습도 센서, 저항 습도 센서 |
사용 도구 | 습도계, 습공기 선도 |
역사 | |
어원 | 그리스어 ψυχρόν (psuchron, "차가운") + μέτρον (metron, "측정 수단") |
최초 연구 | 18세기 후반, 호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의 모발 습도계 발명 |
관련 법칙 | |
법칙 | 깁스 상률 (자유도 C = 2) |
습공기선도 | |
특징 | 습공기의 상태와 변화 과정을 나타내는 도표 |
사용 변수 | 건구 온도(t), 습구 온도, 상대 습도, 절대 습도(x), 엔탈피 |
이용 분야 | 냉난방 설계, 건조 공정 설계, 환기 설계 |
제작 | 내 연구진에 의해 제작됨 |
참고 문헌 | 내, 新しく作った湿り空気線図とその使い方, 衛生工業協会誌, 25권, 8호, 191-227쪽, 1951-08, http://www.shasej.org/gakkaishi/archive/pdf/SHASE19510800.pdf |
사용 범위 | x = 0 – 0.04 kg/kg(DA), t = −20 – 50 C° x = 0 – 0.20 kg/kg(DA), t = 0 – 120 C° x = 0 – 0.007 kg/kg(DA), t = −40 – 10 C° |
2. 용어
ASHRAE 스타일 습공기선도는 1904년 윌리스 캐리어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다.[10] 습공기선도는 일정한 압력 하에서, 종종 해수면을 기준으로 한 고도에 해당한다고 간주되는, 습한 공기의 열역학적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건구 온도(''DBT'')는 일반적인 온도계로 측정된 공기 시료의 온도이다. 일반적으로 그래프의 가로축(수평축)으로 표시된다. 온도의 SI 단위는 켈빈 또는 섭씨이다.
- 습구 온도(''WBT'')는 일정한 압력, 이상적인 단열 포화 과정을 거친 후, 즉 절연된 채널에서 액체 물의 큰 표면을 통과한 후 공기 시료의 온도이다. 실제로는 공기 시료의 빠른 흐름에 증발하는 젖은 양말로 덮인 온도계의 판독값이다(습도계 참조). 공기 시료가 물로 미리 포화된 경우 WBT는 DBT와 동일하게 표시된다.
- 이슬점 온도(''DPT'')는 동일한 압력에서 습한 공기 시료가 수증기 "포화"에 도달하는 온도이다. 이 지점에서 열을 더 제거하면 수증기가 액체 물 안개로 응축되거나, 어는점 이하일 경우 고체 서리로 응축된다.
- 상대 습도(''RH'')는 동일한 온도 및 압력에서 수증기의 몰 분율과 포화 습윤 공기의 몰 분율의 비율이다. RH는 무차원이며 일반적으로 백분율로 표시된다.
- 습도비는 주어진 조건(DBT, WBT, DPT, RH 등)에서 건조 공기 1단위 질량당 수증기 질량의 비율이다. 이는 수분 함량 또는 혼합비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그래프의 세로축(수직축)으로 표시된다. 무차원 습도비는 일반적으로 건조 공기 1kg당 그램 단위의 물로 표시된다.
- 비엔탈피는 공기 및 그 내부의 수증기의 열을 포함하여 해당 습윤 공기의 내부(열) 에너지의 합이다. 단위 질량당 열 함량이라고도 한다. 엔탈피는 (SI) 단위로 공기 1kg당 줄로 주어진다.
- 비체적은 "건조 공기" 1단위 질량을 포함하는 혼합물(건조 공기 + 수증기)의 부피이다. SI 단위는 건조 공기 1kg당 입방 미터이다.
습공기선도를 사용하면 압력을 포함한 세 개의 독립적인 매개변수에서 습윤 공기의 모든 매개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
화학적으로 공기는 산소와 질소, 기타 몇 개의 기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 속에 질량으로서 1~3% 정도의 수증기(수분)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증기를 함유하는 공기를 '''습공기'''라 하고, 수증기를 전혀 함유하지 않는 공기를 '''건공기'''라고 부른다.
공기는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할 수 있다. 건구온도의 값에 따라서 다르며, 온도가 높을수록 많은 수분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일정량을 넘으면 수증기는 공기 중을 부유하여 안개로 되어 물건에 부착해서 이슬이 된다. 함유할 수 있는 만큼의 수증기를 함유하는 공기를 '''포화공기''', 수증기를 더 함유할 여유가 있는 공기를 '''불포화공기'''라고 부른다.
건습구 습도계는 건구 온도계와 습구 온도계를 모두 포함하는 장치이다. 건구 온도는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된 장소의 공기에 노출된 온도계가 나타내는 온도이다. '온도'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건구 온도를 의미한다. 습구 온도는 열역학적 성질이다. 단순한 습구 온도계의 정확도는 공기가 구근 위를 얼마나 빠르게 지나가는지, 그리고 온도계가 주변의 복사 온도에서 얼마나 잘 보호되는지에 달려 있다.
이슬점 온도는 공기 시료에 존재하는 수분의 포화 온도이며, 증기가 액체로 변하는 온도(응결)로 정의할 수 있다.
절대 습도는 수증기를 포함하는 건조 공기 단위 질량당 수증기의 질량으로, 수증기 밀도라고도 한다. 건조 공기 1 kg에 포함된 수증기량의 무게로, 단위는 kg/kg(DA)이다. DA는 dry air의 약자이다.[22]
상대 습도는 대기 중의 수증기량과 공기가 포화되었을 때의 수증기량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22]
비습은 습윤 공기 시료의 질량(건조 공기와 수증기 모두 포함)에 대한 수증기의 질량의 비율로 정의되며, 습도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항상 값이 더 낮다.[22]
비엔탈피는 건조 공기 1kg당 건조 공기와 수증기의 총 에너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단위는 kJ/kg(DA)를 사용한다.[22] 비엔탈피는 습공기의 열 함량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기온과 습도가 높을수록 비엔탈피는 높아진다.[22]
비체적은 건조 공기 1kg당 건조 공기와 수증기의 총 부피를 나타내는 값으로, 단위는 m3/kg(DA)이다. 비체적은 밀도의 역수와 같다.
2. 1. 건공기와 습공기
화학적으로 공기는 산소와 질소, 기타 몇 개의 기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 속에 질량으로서 1~3% 정도의 수증기(수분)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증기를 함유하는 공기를 '''습공기'''라 하고, 수증기를 전혀 함유하지 않는 공기를 '''건공기'''라고 부른다.2. 2. 포화공기와 불포화공기
공기는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할 수 있다. 건구온도의 값에 따라서 다르며, 온도가 높을수록 많은 수분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일정량을 넘으면 수증기는 공기 중을 부유하여 안개로 되어 물건에 부착해서 이슬이 된다.함유할 수 있는 만큼의 수증기를 함유하는 공기를 '''포화공기''', 수증기를 더 함유할 여유가 있는 공기를 '''불포화공기'''라고 부른다.
2. 3. 건구온도와 습구온도
가정에서 두 개의 온도계를 한 쌍으로 하여, 그 중 한 개의 온도계에 거즈를 둘러감은 것을 본 일이 있을 것이다. 거즈가 붙어있지 않은 온도계의 표시 온도를 '''건구온도'''(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온)라고 한다. 이것은 온도계 주위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고 있는 것이다.[4] 또 거즈가 감겨져 있어 물통으로부터 물을 빨아 올려서 감온부를 적시고 있는 온도계가 표시하는 온도를 '''습구온도'''라고 한다. 습구온도는 거즈의 수분이 증발할 때 기화열을 빼앗음으로 건구온도보다 낮은 것이 일반적이다.[4]건구 온도는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된 장소의 공기에 노출된 온도계가 나타내는 온도이다. 건구라는 용어는 습구 온도 및 이슬점 온도와 구별하기 위해 온도에 일반적으로 추가된다. 기상학 및 건습도 계산에서 접두사 없이 '온도'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건구 온도를 의미한다. 기술적으로는 건습계의 건구 온도계에 기록된 온도이다.[4]
습구 온도는 열역학적 성질이다. 습구 온도계로 표시되는 값은 열역학적 습구 온도를 적절하게 근사한다. 단순한 습구 온도계의 정확도는 공기가 구근 위를 얼마나 빠르게 지나가는지, 그리고 온도계가 주변의 복사 온도에서 얼마나 잘 보호되는지에 달려 있다. 최대 5,000 ft/min(약 60 mph, 25.4 m/s)의 속도가 가장 좋지만, 그 속도로 온도계를 움직이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공기 이동이 너무 느리거나 복사열이 너무 많으면 최대 15%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약 1–2 m/s로 움직이는 공기로 측정된 습구 온도는 '''스크린 온도'''라고 하며, 약 3.5 m/s 이상으로 움직이는 공기로 측정된 온도는 '''슬링 온도'''라고 한다.
건습구 습도계는 건구 온도계와 습구 온도계를 모두 포함하는 장치이다. '''슬링 건습구 습도계'''는 구근 위로 기류를 생성하기 위해 수동 조작이 필요하지만, '''전동 건습구 습도계'''는 이 기능을 위한 팬을 포함한다. 건구 온도(DBT)와 습구 온도(WBT)를 모두 알면, 공기 압력에 적합한 건습구 선도에서 상대 습도(RH)를 결정할 수 있다.[4]
2. 4. 이슬점 온도
이슬점 온도는 공기 시료에 존재하는 수분의 포화 온도이며, 증기가 액체로 변하는 온도(응결)로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증기가 액체로 변하는 지점은 대기 중 구름의 밑면을 나타내므로 응결 수준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응결)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값을 '이슬점 온도'라고 한다. 간단한 정의는 수증기가 "이슬"로 변하는 온도이다.2. 5. 습도
절대 습도는 수증기를 포함하는 건조 공기 단위 질량당 수증기의 질량으로, 수증기 밀도라고도 한다. 건조 공기 1 kg에 포함된 수증기량의 무게로, 단위는 kg/kg(DA)이다. DA는 dry air의 약자이다.[22] 수평으로 뻗은 직선 (짙은 남색)으로 표시된다.상대 습도는 대기 중의 수증기량과 공기가 포화되었을 때의 수증기량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22] 수증기 분압 ÷ 포화 수증기압으로 나타내며, 단위는 %RH이다. 방사상 (오른쪽 위로) 뻗은 곡선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비습은 습윤 공기 시료의 질량(건조 공기와 수증기 모두 포함)에 대한 수증기의 질량의 비율로 정의되며, 습도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항상 값이 더 낮다.[22]
2. 5. 1. 절대습도
수증기를 포함하는 건조 공기 단위 질량당 수증기의 질량으로, 수증기 밀도라고도 한다. 건조 공기 1 kg에 포함된 수증기량의 무게로, 단위는 kg/kg(DA)이다. DA는 dry air의 약자이다.[22]2. 5. 2. 상대습도
상대습도는 대기 중의 수증기량과 공기가 포화되었을 때의 수증기량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22] 수증기 분압 ÷ 포화 수증기압으로 나타내며, 단위는 %RH이다. 방사상 (오른쪽 위로) 뻗은 곡선 (빨간색)으로 표시된다.2. 5. 3. 비습도
비습(比濕)은 습윤 공기 시료의 질량(건조 공기와 수증기 모두 포함)에 대한 수증기의 질량의 비율로 정의되며, 습도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항상 값이 더 낮다.[22]2. 6. 비엔탈피
비엔탈피는 건조 공기 1kg당 건조 공기와 수증기의 총 에너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단위는 kJ/kg(DA)를 사용한다.[22] 비엔탈피는 습공기의 열 함량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기온과 습도가 높을수록 비엔탈피는 높아진다.[22] 예를 들어, 기온 25℃, 상대 습도 50%인 공기의 비엔탈피는 약 50kJ/kg(DA)이고, 기온 35℃, 상대 습도 50%인 공기의 비엔탈피는 약 80kJ/kg(DA)이다.[22]2. 7. 비체적
비체적은 건조 공기 1kg당 건조 공기와 수증기의 총 부피를 나타내는 값으로, 단위는 m3/kg(DA)이다. 비체적은 밀도의 역수와 같다.3. 습공기 선도의 역사
16세기와 17세기에 습도계와 온도계의 발명과 함께, 이 두 가지를 결합하려는 이론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1818년, 독일 발명가 에른스트 페르디난트 아우구스트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차가운 측정"을 의미하는 "사이크로미터(psychrometer)"라는 용어를 특허냈다. 사이크로미터는 건조한 공기가 증발을 촉진하는 반면, 습한 공기는 증발을 늦추는 원리에 기반한 습도 측정 기기이다.
3. 1. 초기 역사
16세기와 17세기에 습도계와 온도계의 발명과 함께, 이 두 가지를 결합하려는 이론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1818년, 독일 발명가 에른스트 페르디난트 아우구스트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차가운 측정"을 의미하는 "사이크로미터(psychrometer)"라는 용어를 특허냈다. 사이크로미터는 건조한 공기가 증발을 촉진하는 반면, 습한 공기는 증발을 늦추는 원리에 기반한 습도 측정 기기이다.3. 2. 에른스트 페르디난트 아우구스트
에른스트 페르디난트 아우구스트(Ernst Ferdinand August, 1795-1870)는 1818년 "차가운 측정"을 의미하는 "사이크로미터(psychrometer)"라는 용어를 특허냈다. 사이크로미터는 건조한 공기가 증발을 촉진하는 반면, 습한 공기는 증발을 늦추는 원리에 기반한 습도 측정 기기이다.3. 3. 윌리스 캐리어
3. 4. 리하르트 몰리에
리하르트 몰리에는 1923년에 몰리에 ''i''-''x''(엔탈피-습도 혼합비) 선도를 개발했다.[17] 이 선도는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네덜란드, 벨기에, 프랑스, 스칸디나비아, 동유럽 및 러시아에서 많이 사용되는 습공기선도의 대안이다.[18]습공기선도와 몰리에 선도의 기본적인 습공기 파라미터 데이터는 동일하다. 두 선도를 90도 회전하고 거울에 비추면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몰리에 선도의 좌표는 엔탈피와 습도비이며, 엔탈피 좌표는 왜곡되어 있고, 일정 엔탈피 선은 평행하며 균등한 간격을 갖는다. 1961년 이후의 ASHRAE 습공기선도는 유사한 플로팅 좌표를 사용하며, 일부 습공기선도는 건구 온도와 습도비 좌표를 사용한다.
4. 습공기 선도의 구성 및 활용
습공기선도는 일정한 압력(대기압) 하에서 습한 공기의 열역학적 상태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904년 윌리스 캐리어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다.[10] 이는 그래픽적인 상태 방정식이며, 다음과 같은 주요 속성들을 포함한다.
습공기 선도는 건구 온도, 습구 온도, 상대 습도, 습도비, 비엔탈피, 비체적 등 습공기의 다양한 상태량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습공기 선도를 이용하면 주어진 공기 상태를 찾고, 이를 통해 다른 속성값을 읽을 수 있다.
- 건구 온도 (DBT): 일반적인 온도계로 측정한 공기 온도로, 그래프의 가로축(x축)에 표시된다. 단위는 켈빈(K), 섭씨(℃), 화씨(℉), 랭킨(°R)이다. 건구 온도선은 수직에서 약간 기울어진 채로 서로 평행하지 않게 그려진다.[22]
- 습구 온도 (WBT): 단열 포화 과정을 거친 후 공기 시료의 온도로, 젖은 양말로 덮인 온도계의 판독값으로 측정된다. (습도계 참조) 습구 온도선은 엔탈피 선과 약간 다른 사선이며, 서로 정확히 평행하지 않다. 이 선들은 건구 온도(DBT) 지점에서 포화 곡선과 교차한다.[22]
- 이슬점 온도 (DPT): 습한 공기 시료가 수증기 포화에 도달하는 온도로, 이 지점에서 열을 더 제거하면 수증기가 응축된다. 이슬점 온도는 100% 상대 습도의 포화 곡선과 습도비 수평선이 만나는 지점으로, 완전 포화된 건구 온도 또는 습구 온도와 같다.
- 상대 습도 (RH): 동일 온도 및 압력에서 수증기의 몰 분율과 포화 습윤 공기의 몰 분율의 비율로, 백분율(%)로 표시된다. 상대 습도선은 쌍곡선 형태로 10% 간격으로 표시되며, 포화 곡선은 100% RH, 건조 공기는 0% RH이다.[22]
- 습도비 (절대 습도): 건조 공기 1단위 질량당 수증기 질량의 비율로, 그래프의 세로축(y축)에 표시된다. 단위는 건조 공기 1kg당 그램(g/kg(DA)) 또는 공기 1파운드당 곡물(gr/lb)이다. 습도비 선들은 차트의 수평선으로 나타나며, 건조 공기의 경우 0부터 오른쪽 세로축(ω축)에서 최대 0.03(lbmw/lbma)까지의 범위를 가진다.
- 비엔탈피: 공기 및 그 내부 수증기의 열을 포함하는 습윤 공기의 내부 에너지 합으로, 단위 질량당 열 함량이라고도 한다. 비엔탈피 선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대각선으로 아래로 그려진 서로 평행한 사선이며, 습구 온도 선과 평행하지 않다.[22] 단위는 공기 1kg당 줄(kJ/kg(DA)) 또는 건조 공기 1파운드당 BTU이다.
- 비체적: "건조 공기" 1단위 질량을 포함하는 혼합물(건조 공기 + 수증기)의 부피로, 단위는 건조 공기 1kg당 입방 미터(m3/kg(DA))이다. 비체적선은 거의 평행한 일련의 등간격 직선이다.
습공기선도에서 포화 곡선 위의 영역은 열 평형 상태의 포화 습윤 공기와 액체 물의 혼합물을 나타내는 2상 영역이다. 차트 왼쪽 상단의 각도기는 현열-총 열비(SHF)와 엔탈피 차이 및 습도 차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눈금이 있다.
습공기 선도는 비 엔탈피와 절대 습도를 좌표축으로 하는 사교 좌표계로 나타낸다.[22] 건구 온도 일정선은 약간 기울어져 있다. 기온과 습도가 높을수록 비엔탈피는 높아진다. 예를 들어, 기온 25℃, 습도 50%에서의 비엔탈피는 약 50 J/g DA이며, 기온 35℃, 습도 50%에서는 약 80 J/g DA, 기온 35℃, 습도 70%에서는 약 100 J/g DA로 나타난다.[22]
습공기 선도는 SI(미터법) 단위와 IP(미국/영국) 단위로 제공되며, 저온 및 고온 범위, 그리고 다양한 압력 조건에 맞게 제공된다.
습공기 선도는 건구 온도, 습구 온도, 상대 습도, 습도비, 비엔탈피, 비체적 등 습공기의 다양한 상태량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습공기 선도를 이용하면 주어진 공기 상태를 찾고, 이를 통해 다른 속성값을 읽을 수 있다.
- 건구 온도(DBT): 수직선으로 표시되며, 가로(수평) 축에 해당한다. 각 선은 일정한 온도를 나타낸다.
- 이슬점 온도(DPT): 주어진 상태에서 수평선을 따라 이동하여 100% 상대 습도(포화 곡선)와 만나는 지점의 온도를 읽는다. 이슬점 온도는 완전 포화된 건구 온도 또는 습구 온도와 같다.
- 습구 온도(WBT): 사선으로 표시되며, 건구 온도 지점에서 포화 곡선과 교차한다.
- 상대 습도(RH): 쌍곡선으로 표시되며, 10% 간격으로 나타난다. 포화 곡선은 100% RH, 건조 공기는 0% RH이다.
- 습도비: 수평선으로 표시되며, 일반적으로 건조 공기 질량당 수분 질량(kg/kg(DA) 또는 lbmw/lbma)으로 표현된다. 범위는 건조 공기의 경우 0부터 차트의 세로(수직) 축인 오른쪽 ''ω''축에서 0.03(lbmw/lbma)까지이다.
- 비엔탈피: 차트 전체에 걸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대각선으로 아래로 그려진 서로 평행한 사선으로 표시된다. 습구 온도 선과는 평행하지 않다.
- 비체적: 거의 평행한 일련의 등간격 직선으로 표시된다.
포화 곡선 위의 영역은 열 평형 상태의 포화 습윤 공기와 액체 물의 혼합물을 나타내는 2상 영역이다.
습공기 선도는 SI(미터법) 단위와 IP(미국/영국) 단위로 제공되며, 저온 및 고온 범위, 그리고 다양한 압력 조건에 맞게 제공된다.
예시:
- 상대 습도 결정: 건구 온도 25°C, 습구 온도 20°C인 공기의 상대 습도는 약 63.5%이다. 이 때 습도비는 건조 공기 1kg당 0.0126kg의 물이다.
- 온도 변화에 따른 상대 습도 변화: 고정된 수분비(습도비)에서, 습구 및 건구 온도선의 교차점에서 시작하여 상대 습도를 찾는다. 이후 수평 습도비 선을 따라 다른 건구 온도에서의 상대 습도를 찾을 수 있다.
- 제거/추가할 물의 양: 초기 및 최종 조건 간의 습도비 차이에 건조 공기의 무게를 곱하여 계산한다.
습공기 선도는 비 엔탈피와 절대 습도를 좌표축으로 하는 사교 좌표계로 나타낸 것이다. 건구 온도 일정선은 약간 기울어져 있다.[22]
기온과 습도가 높으면 비 엔탈피는 높다. 예를 들어, 기온 25℃, 습도 50%의 비 엔탈피는 약 50 J/g DA이고, 기온 35℃, 습도 50%의 비 엔탈피는 약 80 J/g DA이다. (기온, 습도) = (35℃, 50%)에서 온도만 낮춰 (25℃, 50%)로 냉각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약 30 J/g DA이다. 반면, (35℃, 70%)에서 온도와 습도를 모두 낮춰 (25℃, 50%)로 만들 때의 비 엔탈피 차이는 약 50 J/g DA가 되어, 습도를 낮추면서 온도를 낮추는 편이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22]
습공기선도는 비 엔탈피()와 절대 습도()를 좌표축으로 하는 사교 좌표계로 나타낸다.[22] 언뜻 보면 건구 온도와 절대 습도를 직교 좌표계로 나타낸 것처럼 보이지만, 건구 온도 일정선은 약간 기울어져 있다.
습공기선도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건구 온도: 수직으로 뻗은 녹색 직선으로, 일반적인 온도계가 나타내는 공기의 온도이다.
- 습구 온도: 비스듬히 오른쪽 아래로 뻗은 파란색 직선으로, 습구 온도계가 나타내는 공기의 온도이다.
- 상대 습도: 방사상으로 오른쪽 위로 뻗은 빨간색 곡선으로, 수증기 분압을 포화 수증기압으로 나눈 값이며, 단위는 %RH이다.
- 절대 습도: 수평으로 뻗은 짙은 남색 직선으로, 건조 공기 1kg에 포함된 수증기량의 무게를 나타내며, 단위는 kg/kg(DA)이다. (DA는 dry air의 약자)
- 비 엔탈피: 비스듬히 뻗은 검은색 직선으로, 건조 공기 1kg당 엔탈피를 나타내며, 단위는 kJ/kg(DA)이다.
- 비체적: 비스듬히 뻗은 녹색 직선으로, 공기 1kg의 체적을 나타내며, 단위는 m3이다.
상대 습도는 수직 건구 온도선과 대각선으로 아래로 기울어진 습구 온도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찾을 수 있다.[22] 예를 들어 미터법(SI)에서 건구 온도 25°C, 습구 온도 20°C일 때 상대 습도는 약 63.5%이다. 이 예에서 습도비는 건조 공기 1kg당 0.0126kg의 물이다.
온도 변화가 상대 습도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려면, 고정된 물 조성 또는 수분비의 공기에 대해 습구 및 건구 온도선의 교차점에서 시작 상대 습도를 찾는다. 다른 건구 온도에서 상대 습도는 건조 공기 1kg당 물 0.0126kg의 수평 습도비 선을 따라 찾을 수 있다.
상대 습도를 낮추거나 높일 때 제거하거나 추가할 물의 양은 초기 및 최종 조건 간의 습도비 차이에 건조 공기의 무게를 곱한 값이다.
기온과 습도가 높으면 비 엔탈피는 높다. 예를 들어, 기온 25℃, 습도 50%의 비 엔탈피는 약 50 J/g DA이고, 기온 35℃, 습도 50%의 비 엔탈피는 약 80 J/g DA, 기온 35℃, 습도 70%의 비 엔탈피는 약 100 J/g DA로 읽을 수 있다. (기온, 습도) = (35℃, 50%)에서 온도만 낮춰 (25℃, 50%)로 냉각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이들 공기의 비 엔탈피 차이인 약 30 J/g DA이다. 한편, 기온 (35℃, 70%)에서 온도와 습도를 모두 낮춰 같은 (25℃, 50%)로 만들 때의 비 엔탈피 차이는 약 50 J/g DA가 되어, 습도를 낮추면서 온도를 낮추는 편이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22]
4. 1. 좌표축
습공기 선도의 가로축은 건구 온도를 나타내며, 이 선들은 수직에서 약간 기울어진 채로 서로 평행하지 않게 직선으로 그려져 있다. 세로축은 습도비를 나타내며, 건조 공기 질량당 수분 질량으로 표현된다. 범위는 건조 공기의 경우 0부터 차트의 오른쪽 ''ω''축에서 0.03(lbmw/lbma)까지이다.
비 엔탈피(''h'')와 절대 습도(''x'')를 좌표축으로 하여 사교 좌표계로 나타낸 것이다. 언뜻 보면 건구 온도와 절대 습도를 직교 좌표계로 나타낸 것처럼 보이지만, 건구 온도 일정선은 약간 기울어져 있다.
4. 2. 주요 속성선
습공기선도는 일정한 압력 하에서 습한 공기의 열역학적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1904년 윌리스 캐리어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다.[10] 이는 그래픽적인 상태 방정식이며, 다음과 같은 주요 속성들을 포함한다.- 건구 온도 (DBT): 일반적인 온도계로 측정된 공기 온도로, 그래프의 가로축(x축)에 표시된다. 단위는 켈빈(K), 섭씨(℃), 화씨(℉), 랭킨(°R)이다. 건구 온도선은 수직에서 약간 기울어진 채로 서로 평행하지 않게 그려진다.[22]
- 습구 온도 (WBT): 단열 포화 과정을 거친 후 공기 시료의 온도로, 젖은 양말로 덮인 온도계의 판독값으로 측정된다. 습구 온도선은 엔탈피 선과 약간 다른 사선이며, 서로 정확히 평행하지 않다. 이 선들은 건구 온도(DBT) 지점에서 포화 곡선과 교차한다.[22]
- 이슬점 온도 (DPT): 습한 공기 시료가 수증기 포화에 도달하는 온도로, 이 지점에서 열을 더 제거하면 수증기가 응축된다. 이슬점 온도는 100% 상대 습도의 포화 곡선과 습도비 수평선이 만나는 지점으로, 완전 포화된 건구 온도 또는 습구 온도와 같다.
- 상대 습도 (RH): 동일 온도 및 압력에서 수증기의 몰 분율과 포화 습윤 공기의 몰 분율의 비율로, 백분율(%)로 표시된다. 상대 습도선은 쌍곡선 형태로 10% 간격으로 표시되며, 포화 곡선은 100% RH, 건조 공기는 0% RH이다.[22]
- 습도비 (절대 습도): 건조 공기 1단위 질량당 수증기 질량의 비율로, 그래프의 세로축(y축)에 표시된다. 단위는 건조 공기 1kg당 그램(g/kg(DA)) 또는 공기 1파운드당 곡물(gr/lb)이다. 습도비 선들은 차트의 수평선으로 나타나며, 건조 공기의 경우 0부터 오른쪽 세로축(ω축)에서 최대 0.03(lbmw/lbma)까지의 범위를 가진다.
- 비엔탈피: 공기 및 그 내부 수증기의 열을 포함하는 습윤 공기의 내부 에너지 합으로, 단위 질량당 열 함량이라고도 한다. 비엔탈피 선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대각선으로 아래로 그려진 서로 평행한 사선이며, 습구 온도 선과 평행하지 않다.[22] 단위는 공기 1kg당 줄(kJ/kg(DA)) 또는 건조 공기 1파운드당 BTU이다.
- 비체적: "건조 공기" 1단위 질량을 포함하는 혼합물(건조 공기 + 수증기)의 부피로, 단위는 건조 공기 1kg당 입방 미터(m3/kg(DA))이다. 비체적선은 거의 평행한 일련의 등간격 직선이다.
습공기선도에서 포화 곡선 위의 영역은 열 평형 상태의 포화 습윤 공기와 액체 물의 혼합물을 나타내는 2상 영역이다. 차트 왼쪽 상단의 각도기는 현열-총 열비(SHF)와 엔탈피 차이 및 습도 차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눈금이 있다.
비엔탈피와 절대 습도는 사교 좌표계로 나타내며, 건구 온도 일정선은 약간 기울어져 있다.[22] 기온과 습도가 높을수록 비엔탈피는 높아진다. 예를 들어, 기온 25℃, 습도 50%에서의 비엔탈피는 약 50 J/g DA이며, 기온 35℃, 습도 50%에서는 약 80 J/g DA, 기온 35℃, 습도 70%에서는 약 100 J/g DA로 나타난다.[22]
4. 3. 습공기 선도 읽는 법
습공기 선도는 건구 온도, 습구 온도, 상대 습도, 습도비, 비엔탈피, 비체적 등 습공기의 다양한 상태량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습공기 선도를 이용하면 주어진 공기 상태를 찾고, 이를 통해 다른 속성값을 읽을 수 있다.
- 건구 온도(DBT): 수직선으로 표시되며, 가로(수평) 축에 해당한다. 각 선은 일정한 온도를 나타낸다.
- 이슬점 온도(DPT): 주어진 상태에서 수평선을 따라 이동하여 100% 상대 습도(포화 곡선)와 만나는 지점의 온도를 읽는다. 이슬점 온도는 완전 포화된 건구 온도 또는 습구 온도와 같다.
- 습구 온도(WBT): 사선으로 표시되며, 건구 온도 지점에서 포화 곡선과 교차한다.
- 상대 습도(RH): 쌍곡선으로 표시되며, 10% 간격으로 나타난다. 포화 곡선은 100% RH, 건조 공기는 0% RH이다.
- 습도비: 수평선으로 표시되며, 일반적으로 건조 공기 질량당 수분 질량(kg/kg(DA) 또는 lbmw/lbma)으로 표현된다. 범위는 건조 공기의 경우 0부터 차트의 세로(수직) 축인 오른쪽 ''ω''축에서 0.03(lbmw/lbma)까지이다.
- 비엔탈피: 차트 전체에 걸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대각선으로 아래로 그려진 서로 평행한 사선으로 표시된다. 습구 온도 선과는 평행하지 않다.
- 비체적: 거의 평행한 일련의 등간격 직선으로 표시된다.
포화 곡선 위의 영역은 열 평형 상태의 포화 습윤 공기와 액체 물의 혼합물을 나타내는 2상 영역이다.
습공기 선도는 SI(미터법) 단위와 IP(미국/영국) 단위로 제공되며, 저온 및 고온 범위, 그리고 다양한 압력 조건에 맞게 제공된다.
예시:
- 상대 습도 결정: 건구 온도 25°C, 습구 온도 20°C인 공기의 상대 습도는 약 63.5%이다. 이 때 습도비는 건조 공기 1kg당 0.0126kg의 물이다.
- 온도 변화에 따른 상대 습도 변화: 고정된 수분비(습도비)에서, 습구 및 건구 온도선의 교차점에서 시작하여 상대 습도를 찾는다. 이후 수평 습도비 선을 따라 다른 건구 온도에서의 상대 습도를 찾을 수 있다.
- 제거/추가할 물의 양: 초기 및 최종 조건 간의 습도비 차이에 건조 공기의 무게를 곱하여 계산한다.
습공기 선도는 비 엔탈피와 절대 습도를 좌표축으로 하는 사교 좌표계로 나타낸 것이다. 건구 온도 일정선은 약간 기울어져 있다.[22]
기온과 습도가 높으면 비 엔탈피는 높다. 예를 들어, 기온 25℃, 습도 50%의 비 엔탈피는 약 50 J/g DA이고, 기온 35℃, 습도 50%의 비 엔탈피는 약 80 J/g DA이다. (기온, 습도) = (35℃, 50%)에서 온도만 낮춰 (25℃, 50%)로 냉각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약 30 J/g DA이다. 반면, (35℃, 70%)에서 온도와 습도를 모두 낮춰 (25℃, 50%)로 만들 때의 비 엔탈피 차이는 약 50 J/g DA가 되어, 습도를 낮추면서 온도를 낮추는 편이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22]
4. 4. 상태 변화 과정
습공기선도는 SI(미터법) 단위와 IP(미국/영국) 단위로 제공되며, 저온 및 고온 범위, 그리고 다양한 압력 조건에 맞게 제공된다.[22] 습공기 선도는 비 엔탈피()와 절대 습도()를 좌표축으로 하는 사교 좌표계로 나타낸다.[22] 언뜻 보면 건구 온도와 절대 습도를 직교 좌표계로 나타낸 것처럼 보이지만, 건구 온도 일정선은 약간 기울어져 있다.습공기선도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건구 온도: 수직으로 뻗은 녹색 직선으로, 일반적인 온도계가 나타내는 공기의 온도이다.
- 습구 온도: 비스듬히 오른쪽 아래로 뻗은 파란색 직선으로, 건습구 습도계의 습구 온도계가 나타내는 공기의 온도이다.
- 상대 습도: 방사상으로 오른쪽 위로 뻗은 빨간색 곡선으로, 수증기 분압을 포화 수증기압으로 나눈 값이며, 단위는 %RH이다.
- 절대 습도: 수평으로 뻗은 짙은 남색 직선으로, 건조 공기 1kg에 포함된 수증기량의 무게를 나타내며, 단위는 kg/kg(DA)이다. (DA는 dry air의 약자)
- 비 엔탈피: 비스듬히 뻗은 검은색 직선으로, 건조 공기 1kg당 엔탈피를 나타내며, 단위는 kJ/kg(DA)이다.
- 비체적: 비스듬히 뻗은 녹색 직선으로, 공기 1kg의 체적을 나타내며, 단위는 m3이다.
상대 습도는 수직 건구 온도선과 대각선으로 아래로 기울어진 습구 온도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찾을 수 있다.[22] 예를 들어 미터법(SI)에서 건구 온도 25°C, 습구 온도 20°C일 때 상대 습도는 약 63.5%이다. 이 예에서 습도비는 건조 공기 1kg당 0.0126kg의 물이다.
온도 변화가 상대 습도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려면, 고정된 물 조성 또는 수분비의 공기에 대해 습구 및 건구 온도선의 교차점에서 시작 상대 습도를 찾는다. 다른 건구 온도에서 상대 습도는 건조 공기 1kg당 물 0.0126kg의 수평 습도비 선을 따라 찾을 수 있다.
상대 습도를 낮추거나 높일 때 제거하거나 추가할 물의 양은 초기 및 최종 조건 간의 습도비 차이에 건조 공기의 무게를 곱한 값이다.
기온과 습도가 높으면 비 엔탈피는 높다. 예를 들어, 기온 25℃, 습도 50%의 비 엔탈피는 약 50 J/g DA이고, 기온 35℃, 습도 50%의 비 엔탈피는 약 80 J/g DA, 기온 35℃, 습도 70%의 비 엔탈피는 약 100 J/g DA로 읽을 수 있다. (기온, 습도) = (35℃, 50%)에서 온도만 낮춰 (25℃, 50%)로 냉각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이들 공기의 비 엔탈피 차이인 약 30 J/g DA이다. 한편, 기온 (35℃, 70%)에서 온도와 습도를 모두 낮춰 같은 (25℃, 50%)로 만들 때의 비 엔탈피 차이는 약 50 J/g DA가 되어, 습도를 낮추면서 온도를 낮추는 편이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22]
5. 공기조화의 기초 관계식
건공기의 엔탈피건공기의 엔탈피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여기서 는 건공기의 비열, T는 건공기의 온도이다.
습도비습도비()는 건공기 1kg에 포함된 수증기량을 kg 단위로 나타낸 값이다. 습도비는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
- : 수증기 질량
- : 건공기 질량
- : 수증기 분압
- : 건공기 분압
- : 전체 압력
- : 습공기의 체적
- : 수증기 기체 상수
- : 건공기 기체 상수
- : 절대온도
상대습도상대습도()는 수증기 분압()을 포화 수증기 분압()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한다.
:
:
5. 1. 건공기의 엔탈피
건공기의 엔탈피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여기서 는 건공기의 비열, T는 건공기의 온도이다.
5. 2. 습도비
습도비()는 건공기 1kg에 포함된 수증기량을 kg 단위로 나타낸 값이다. 습도비는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 : 수증기 질량
- : 건공기 질량
- : 수증기 분압
- : 건공기 분압
- : 전체 압력
- : 습공기의 체적
- : 수증기 기체 상수
- : 건공기 기체 상수
- : 절대온도
5. 3. 상대습도
상대습도()는 수증기 분압()을 포화 수증기 분압()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한다.:
6. 한국 기후와 공기조화
6. 1. 사계절과 공기조화
6. 2. 지역별 기후 차이
6. 3. 에너지 효율
7. 활용 분야
습공기선도의 원리는 기체-증기 혼합물로 구성된 모든 물리적 시스템에 적용되지만, 가장 일반적인 관심 대상 시스템은 난방, 환기 및 공조 및 기상학에 적용되기 때문에 수증기와 공기의 혼합물이다. 인간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의 열적 쾌적함은 주변 공기의 온도뿐만 아니라 (우리가 땀을 통해 몸을 식히기 때문에) 공기가 수증기로 포화된 정도에 크게 기인한다.
많은 물질은 흡습성이 있는데, 이는 물을 끌어당기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상대 습도에 비례하거나 임계 상대 습도 이상으로 물을 끌어당긴다. 이러한 물질에는 면, 종이, 셀룰로스, 기타 목제품, 설탕, 산화 칼슘(소석회) 및 많은 화학 물질 및 비료가 포함된다. 이러한 재료를 사용하는 산업에서는 이러한 재료의 생산 및 보관 시 상대 습도 관리에 관심이 있다. 상대 습도는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제조 구역에서 종종 제어되는데, 이는 매우 건조한 공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 방전에 의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제지 건조와 같은 산업 건조 응용 분야에서 제조업체는 일반적으로 건조 속도를 높이는 낮은 상대 습도와 배기 상대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에너지 사용량 사이에서 최적의 균형을 이루려고 한다. 많은 산업 응용 분야에서 제품을 망치거나 부식을 유발하는 결로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곰팡이와 균류는 상대 습도를 낮게 유지하여 제어할 수 있다. 목재를 파괴하는 균류는 일반적으로 75% 미만의 상대 습도에서는 성장하지 않는다.
7. 1. HVAC (난방, 환기, 공조)
습공기선도의 원리는 기체-증기 혼합물로 구성된 모든 물리적 시스템에 적용되지만, 가장 일반적인 것은 난방, 환기 및 공조에 적용되는 수증기와 공기의 혼합물이다. 인간의 열적 쾌적함은 주변 공기의 온도뿐만 아니라 공기가 수증기로 포화된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많은 물질은 흡습성을 띄는데, 이는 상대 습도에 비례하거나 임계 상대 습도 이상으로 물을 끌어당기는 특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물질에는 면, 종이, 셀룰로스, 기타 목제품, 설탕, 산화 칼슘(소석회) 및 많은 화학 물질 및 비료가 포함된다. 따라서 이러한 재료를 사용하는 산업에서는 생산 및 보관 시 상대 습도 관리가 중요하다.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제조 구역에서는 매우 건조한 공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 방전에 의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상대 습도를 제어한다.
산업 건조 응용 분야에서, 제조업체는 낮은 상대 습도를 통한 건조 속도 증가와 배기 상대 습도 증가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 감소 사이의 최적 균형을 추구한다. 많은 산업 응용 분야에서 제품 손상 및 부식을 유발하는 결로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곰팡이와 균류는 상대 습도를 낮게 유지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목재를 파괴하는 균류는 일반적으로 75% 미만의 상대 습도에서는 성장하지 않는다.
7. 2. 기상학
습공기 선도의 원리는 기체-증기 혼합물로 구성된 모든 물리적 시스템에 적용되지만, 가장 일반적인 관심 대상 시스템은 수증기와 공기의 혼합물이며, 기상학에 적용된다. 인간의 열적 쾌적함은 주변 공기의 온도뿐만 아니라 공기가 수증기로 포화된 정도에 크게 기인한다.7. 3. 산업 건조
제지, 섬유, 설탕, 산화 칼슘 등 많은 물질은 흡습성을 띄고 있어, 이들 물질을 다루는 산업에서는 생산 및 보관 과정에서 상대 습도 관리가 중요하다. 특히 제지 건조와 같은 산업 건조 응용 분야에서는 낮은 상대 습도를 유지하여 건조 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에너지 사용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진다. 또한,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제조 구역에서는 정전기 방전에 의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상대 습도를 제어하며, 제품 부식이나 결로 현상을 막는 것도 중요한 과제이다. 곰팡이나 균류는 상대 습도를 낮게 유지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는데, 목재를 파괴하는 균류는 일반적으로 75% 미만의 상대 습도에서 성장하지 못한다.7. 4. 기타
습공기선도의 원리는 기체-증기 혼합물로 구성된 모든 물리적 시스템에 적용되지만, 가장 일반적인 관심 대상 시스템은 난방, 환기 및 공조 및 기상학에 적용되기 때문에 수증기와 공기의 혼합물이다. 인간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의 열적 쾌적함은 주변 공기의 온도뿐만 아니라 (우리가 땀을 통해 몸을 식히기 때문에) 공기가 수증기로 포화된 정도에 크게 기인한다.많은 물질은 흡습성이 있는데, 이는 물을 끌어당기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상대 습도에 비례하거나 임계 상대 습도 이상으로 물을 끌어당긴다. 이러한 물질에는 면, 종이, 셀룰로스, 기타 목제품, 설탕, 산화 칼슘(소석회) 및 많은 화학 물질 및 비료가 포함된다. 이러한 재료를 사용하는 산업에서는 이러한 재료의 생산 및 보관 시 상대 습도 관리에 관심이 있다. 상대 습도는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제조 구역에서 종종 제어되는데, 이는 매우 건조한 공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 방전에 의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제지 건조와 같은 산업 건조 응용 분야에서 제조업체는 일반적으로 건조 속도를 높이는 낮은 상대 습도와 배기 상대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에너지 사용량 사이에서 최적의 균형을 이루려고 한다. 많은 산업 응용 분야에서 제품을 망치거나 부식을 유발하는 결로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곰팡이와 균류는 상대 습도를 낮게 유지하여 제어할 수 있다. 목재를 파괴하는 균류는 일반적으로 75% 미만의 상대 습도에서는 성장하지 않는다.
참조
[1]
서적
"psychron"
https://www.perseus.[...]
[2]
서적
"metron"
https://www.perseus.[...]
[3]
서적
The Evolution of Meteorology: A Look in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Weather Forecasting
2017
[4]
간행물
Guide to Meteorolo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Observation
WMO
2008
[5]
웹사이트
AMS Weather Glossary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11-09-18
[6]
웹사이트
http://www.che.iitb.[...]
2008-04-08
[7]
웹사이트
http://www.probec.or[...]
2008-04-08
[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8-04-10
[9]
서적
Dehumidification in Industrial and Building Applications
2012
[10]
학술지
Psychrometric chart celebrates 100th anniversary
http://www.hevac-her[...]
2004
[11]
웹사이트
Module 7: Applying the psychrometric relationships
https://www.cibsejou[...]
2021-10-13
[12]
서적
2001 ASHRAE Handbook – Fundamentals (SI)
Scott A. Zeh, Nancy F. Thysell, and Jayne E. Jackson
2001
[13]
서적
The Mechanical Engineers’ Handbook
John Wiley & Sons
2006
[14]
서적
ASHRAE Fundamentals Handbook
1997
[15]
웹사이트
Psychrometric Chart Tutorial
http://www.uwsp.edu/[...]
2010-11-20
[16]
서적
Hawaii Energy and Environmental Technologies (HEET) Initiative
2016-07
[17]
문서
"Ein neues diagram für dampfluftgemische."
1923
[18]
문서
2007
[19]
웹사이트
エンタルピーと空気線図について
https://www.apiste.c[...]
アピステテクニカルノート
[20]
문서
ギブスの相律によれば、成分数 C = 2、層の数 P = 1 であることから自由度 F = 3。全圧を固定することより自由度が1つ減り残り2つとなる。
[21]
학술지
新しく作った湿り空気線図とその使い方
http://www.shasej.or[...]
1951-08
[22]
웹사이트
空調プロセスと空気線図
https://www.apiste.c[...]
アピステテクニカルノー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