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드리파가 말하기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그르드리파가 말하기를은 '승리를 이끄는 자'를 의미하며, 고 에다에 수록된 시이다. 이 시는 파프니르가 말하기를 다음에 이어지며, 브륀힐드의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시구르드가 브륀힐드를 발견하는 내용을 다루며, 룬 문자의 마법적 사용법, 시구르드와 시그르드리파의 대화, 격언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시는 룬 마법에 대한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으며,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 지크프리트에 영향을 미쳤다.
시그드리파(Sigrdrífa)는 "승리로 이끄는 자"를 의미하며[2] (또는 "승리를 재촉하는 자", "승리를 선동하는 자"[3]), 파프니르가 말하기를non (44절)과 시그르드리파가 말하기를non 4절에만 등장한다.
〈시그르드리파가 말하기를〉은 〈파프니르가 말하기를〉 다음에 끊김 없이 이어지며, 편집자들에 따라 제목의 위치에 대한 의견이 다르다. 보존 상태는 《고 에다》 중에서 가장 혼란스러우며, 결말 부분은 왕의 필사본에서 유실되었으나, 후대의 종이 필사본을 통해 보완되었다.[1] 이 시는 원래 관련이 없는 여러 시들을 편집한 것으로 보이며, 《볼숭 사가》의 저자가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18개의 연을 인용하고 있다.[1]
2. 명칭
파프니르가 말하기를non에서는 일반 명사, 즉 발키리의 동의어일 수 있지만, 시그르드리파가 말하기를non에서는 힐드르non 또는 브륀힐드non로 알려진 발키리의 이름으로 명시적으로 사용된다.[2] Bellows (1936)는 sigrdrífanon가 브륀힐드의 별칭임을 강조한다("두 번째 발키리"가 아님).[4]
이 시에서 에다 (산문 에다)에서는 브륀힐드라고 불리는 발키리를 시그드리파라고 부른다. 시그드리파(Sigrdrífa)는 승리(sigr)와 일으키는 것(drífa)의 합성어이다.[17] 이 호칭은 『파프니르의 말』 제44연과 『시구르드의 말』 제4연에서만 나타난다. 『파프니르의 말』에서는 발키리를 가리키는 일반 명사처럼 사용되고 있지만, 『시구르드의 말』에서는 분명히 『에다』에서의 힐드 또는 브륀힐드의 별명으로 사용되고 있다.[18]
3. 내용
6-12절에서 브륀힐드는 시구르드에게 룬 문자의 마법적 사용법을 가르치며, 5절과 13-19절에는 관련 없는 출처에서 룬 지식에 대한 유사한 구절이 추가되었다. 이 구절은 보존된 역사적인 룬 마법에 관한 가장 풍부한 자료이다.[1]
22절부터 보존된 텍스트의 끝까지는 로드파프니르의 말non과 유사한 일련의 조언이 이어진다. 이 구절은 브륀힐드 단편과 관련이 없는 첨가물일 가능성이 높으며, 원래 텍스트에 삽입된 여러 구절을 포함한다.[1]
3. 1. 구성
텍스트의 기본은 시구르드가 브륀힐드를 발견하는 것을 다룬 시이지만, 이 서사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것은 5개의 연(2-4, 20-21)뿐이다.[1] 1절은 시구르드와 브륀힐드에 관한 다른 시에서 가져온 것으로 추정된다.[1] 많은 비평가들은 6-10절이 브륀힐드의 헬로이드non와 동일한 원본 시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주장한다.[1]
6-12절에서 브륀힐드는 시구르드에게 룬 문자의 마법적 사용법을 가르친다.[1] 5절과 13-19절에는 관련 없는 출처에서 룬 지식에 대한 유사한 구절이 추가되었다.[1] 이 구절은 보존된 역사적인 룬 마법에 관한 가장 풍부한 자료이다.[1]
22절부터 보존된 텍스트의 끝까지는 로드파프니르의 말non과 유사한 일련의 조언이 이어진다.[1] 이 구절은 브륀힐드 단편과 관련이 없는 첨가물일 가능성이 높으며, 원래 텍스트에 삽입된 여러 구절을 포함한다.[1]
3. 2. 시그르드리파의 술 이야기
시구르드가 시그드리파를 깨운 후, 시그드리파는 세 개의 연을 통해 말한다. 시그르드는 그녀 옆에 앉아 그녀의 이름을 물었고, 그녀는 미드가 가득 찬 뿔잔을 들고 그에게 기억의 술을 주었다.[5] 벨로우즈는 2~4연이 "고대 노르드 시 중 최고"라고 언급했으며,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 ''지크프리트'' 3막의 많은 부분을 구성하는 기초가 되었다고 말했다. 이 단편은 보존된 노르드 신들에 대한 몇 안 되는 직접적인 호칭 중 하나이며, 때때로 "이교도 기도"라고 불리기도 한다.[5]
3. 3. 룬 문자
룬 문자는 여러 상황에서 사용되는 마법적인 힘을 가진 문자로 묘사된다. 5절에서 시그드리파는 시구르드에게 룬으로 마법을 건 술을 건네준다.[12] 6절에서는 칼자루에 "승리의 룬"(아마도 ''t'' 룬)을 새겨 티르 신의 가호를 받으라고 조언한다.[13]
시그드리파는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룬 문자에 대해 언급한다.
13-14절은 오딘이 룬 문자를 발견한 것에 대한 시에서 따온 것으로 보이며,[14] 15-17절, 18-19절은 룬 문자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다른 시에서 가져온 것이다. 특히 18-19절은 룬 문자가 아스 신족, 엘프, 바니르 및 인간에게 전해진 과정을 묘사한다.
3. 4. 격언
20-21절은 다시 이야기 틀의 설정으로, 브륀힐드가 시구르드에게 선택을 하도록 요청하는 내용이다.
이들은 22-37절(하지만 그 중 22-28절과 29절의 첫 줄만이 Codex Regius|코덱스 레기우스la에 보존되어 있다)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소개 역할을 하며, 이 부분은 격언 형식의 성격을 띤다.
Loddfáfnismálnon과 마찬가지로, 이 텍스트는 하나에서 열하나까지 번호가 매겨진 조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번호가 없는" 25, 27, 30, 34, 36절은 벨로우즈(Bellows, 1936)에 의해 삽입된 것으로 간주된다.
제20-21 연은, 시그드리파가 시구르드에게 선택을 강요하는 액자식 구성의 장면으로 돌아간다. 이 부분은 금언적인 성질을 가지며, 이 이후의 텍스트(왕의 필사본에 현존하는 것은 제22 연에서 제29 연의 초두까지)의 도입부가 된다. 『로드파프니르의 말』과 마찬가지로, 1에서 11까지 번호가 매겨진 조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번호가 매겨지지 않은 제25, 27, 30, 34 연은, 나중에 덧붙여진 것으로 생각된다.
참조
[1]
문서
The title {{lang|non|Brynhildarljóð}} is used especially in reference to those parts of the {{lang|non|Sigrdrífumál}} which are quoted in the {{lang|non|Völsunga saga}}. See Pétursson (1998), I.460f.
[2]
서적
The Nibelungen Tradition: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3]
문서
Orchard (1997:194). Simek (2007:284).
[4]
문서
"Even its customary title is an absurd error. The mistake made by the annotator in thinking that the epithet "sigrdrifa", rightly applied to Brynhild as a "bringer of victory", was a proper name has already been explained and commented on (note on Fafnismol, 44). Even if the collection of stanzas were in any real sense a poem, which it emphatically is not, it is certainly not the "Ballad of Sigrdrifa" which it is commonly called. "Ballad of Brynhild" would be a sufficiently suitable title, and I have here brought the established name "Sigrdrifumol" into accord with this by translating the epithet instead of treating it as a proper name". "Victory-bringer: the word thus translated is in the original 'sigrdrifa.' The compiler of the collection, not being familiar with this word, assumed that it was a proper name, and in the prose following stanza 4 of the Sigrdrifumol he specifically states that this was the Valkyrie's name. Editors, until recently, have followed him in this error, failing to recognize that "sigrdrifa" was simply an epithet for Brynhild. It is from this blunder that the so-called Sigrdrifumol takes its name. Brynhild's dual personality as a Valkyrie and as the daughter of Buthli has made plenty of trouble, but the addition of a second Valkyrie in the person of the supposed "Sigrdrifa" has made still more". (Bellows 1936)
[5]
문서
Steinsland & Meulengracht 1998:72
[6]
서적
Sæmundar Edda
1867
[7]
웹사이트
De gamle Eddadigte
https://heimskringla[...]
1932
[8]
서적
The Elder Eddas of Saemund Sigufsson
Norroena Society
1906
[9]
문서
Bellow's translation "her daughter" i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text as referring to [[Jörd]]. [[Sophus Bugge]] (1867) has argued against this interpretation, as the Earth is addressed directly in the following stanza. The literal meaning of {{lang|non|nipt}} is "female relative" more generally and may refer to a sister, daughter or sister's daughter. The translation by [[Benjamin Thorpe]] renders the word as a proper name, as ''Nipt''.
[10]
웹사이트
The Poetic Edda
http://www.sacred-te[...]
1936
[11]
서적
Runor: Historia, tydning, tolkning
1998
[12]
문서
Jansson; 1987: p.15
[13]
문서
Jansson; 1987: p.15
[14]
문서
Bellows (1936). In brackets are the lines considered "spurious additions" to stanza 19 by this editor, who however cautions that "the whole stanza is chaotic".
[15]
문서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p143。
[16]
문서
''「ブリュンヒルドの歌(Brynhildarljóð)』という題は、『シグルドリーヴァの言葉』のうちヴォルスンガ・サガに引用された部分を指して特に使われる。''Pétursson (1998), I.460f.を参照。
[17]
서적
The Nibelungen Tradition: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8]
문서
ベローズによれば、古エッダの編纂者は、ブリュンヒルドを形容する別名でしかないシグルドリーヴァを、このヴァルキュリャ固有の名前であると勘違いしているという。(Bellows 1936)
[19]
문서
Steinsland & Meulengracht 1998:72
[20]
서적
Runor: Historia, tydning, tolkning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