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노르니토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노르니토사우루스는 초기 백악기 바레미안절에 살았던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에 속하는 육식 공룡으로, 깃털의 흔적이 발견되어 주목받았다. 중국 랴오닝성 이셴 지층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깃털의 색상과 구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2009년에는 독을 가졌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2010년 연구에서 반박되었다. 시노르니토사우루스는 활공 능력과 주야활동성을 가졌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두 종이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깃털공룡 - 시노사우롭테릭스
시노사우롭테릭스는 초기 백악기 압트절에 살았던 작은 이족 보행 수각류 공룡으로, 깃털 화석이 발견된 최초의 공룡이며, 꼬리의 띠 색깔과 콤프소그나투스와 유사한 구조, 긴 꼬리가 특징이다. - 깃털공룡 - 벨로키랍토르
벨로키랍토르는 백악기 후기 동아시아에 서식한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의 공룡으로, 날렵한 몸놀림과 낫 모양의 발톱을 이용해 사냥했으며, 깃털 공룡이었고, 프로토케라톱스와 싸우는 화석을 통해 생태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지만, 영화 쥬라기 공원의 묘사는 실제와 차이가 있다. - 199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운도로사우루스
운도로사우루스는 후기 쥐라기 시대에 살았던 해양 파충류로, 불완전하게 융합된 좌골치골과 강한 치열을 가지고 있으며, 삼각형 이빨로 해양 생물을 잡아먹는 육식성 포식자로 추정되지만, 계통 발생적 위치는 아직 논쟁 중이다. - 199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밀로쿤밍기아
밀로쿤밍기아는 뚜렷한 머리와 몸통, 돛 모양의 등지느러미, 한 쌍으로 추정되는 배지느러미 주름을 가진 초기 척삭동물로, 아가미 새낭, V자 모양의 근절, 배척삭 등의 내부 기관을 갖추고 지느러미 방사구조가 없는 것이 특징이며 단 한 개체의 표본만이 발견되었다. - 백악기 전기 아시아의 공룡 - 시노사우롭테릭스
시노사우롭테릭스는 초기 백악기 압트절에 살았던 작은 이족 보행 수각류 공룡으로, 깃털 화석이 발견된 최초의 공룡이며, 꼬리의 띠 색깔과 콤프소그나투스와 유사한 구조, 긴 꼬리가 특징이다. - 백악기 전기 아시아의 공룡 - 프시타코사우루스
프시타코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 아시아에 살았던 앵무새 부리 모양의 특징을 가진 조반류 공룡 속으로, 다양한 종과 풍부한 화석 자료를 통해 생태 및 진화 연구에 기여한다.
시노르니토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inornithosaurus |
권위자 | Xu, Wang & Wu, 1999 |
타입 종 | Sinornithosaurus millenii |
타입 종 권위자 | Xu, Wang, & Wu, 1999 |
화석 범위 | 초기 백악기 (바렘절), 124.6 ~ 122 백만 년 전 |
분류 | |
종 | Sinornithosaurus millenii Xu, Wang, & Wu, 1999 Sinornithosaurus haoiana? Liu, Ji, Tang & Gao, 2004 |
크기 | |
길이 | 1.2m |
무게 | 3 ~ 5kg |
2. 발견 및 연구사
시노르니토사우루스는 1999년 중국 랴오닝성의 이셴 지층에서 쉬싱, 왕샤오린, 우샤오춘이 발견하여 학계에 보고되었다.[48] 이 지층은 이전에도 깃털 공룡 화석이 발견된 곳으로 유명하다. 모식종은 '시노르니토사우루스 밀레니이'(*Sinornithosaurus millenii*)이다.[41]
2004년에는 '시노르니토사우루스 하오이아나'(*S. haoiana*)가 새로운 표본 D2140을 기반으로 류진위안 등이 추가로 기재하였으나,[41] 두개골과 엉덩이의 특징에서 *S. millenii*와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2012년 터너 등은 *S. haoiana*의 특징들이 *S. millenii*에도 존재하거나 표본 간의 차이일 뿐이라고 판단하여 *S. haoiana*를 *S. millenii*의 동종이명으로 간주했다.[42]
'데이브'라는 별명을 가진 표본(NGMC 91)은 2001년 고생물학에서 지챵 등이 처음 기술하였는데,[43] 보존 상태가 매우 좋았지만 뼈가 부서져 있어 정확한 종을 판단하기 어려웠다. 초기에는 *S. millenii*와 유사하다고 여겨졌으나,[43] 이후 스티븐 체르카스 등은 이 표본을 마이크로랍토르 귀이(*Microraptor gui*)의 동종이명인 *크립토볼란스 폴리*(*Cryptovolans pauli*)로 분류하기도 했다.
하지만 2011년 필 센터는 모식 표본을 직접 검사한 결과 NGMC 91이 *S. millenii*와 동일한 특징을 공유한다고 결론지었다.[47] 2012년 터너 등도 NGMC 91이 *S. millenii*의 어린 개체라고 결론내렸다.[42]
3. 특징
''시노르니토사우루스''는 몸 전체가 깃털로 덮여 있었으며, 이 깃털은 현대 조류의 깃털과 유사한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몸통 깃털과 팔에 있는 깃털은 형태와 기능이 달랐을 것으로 추정된다.[6] 일부 과학자들은 깃털이 ''시노르니토사우루스''가 나무에서 뛰어내린 후 짧은 거리를 활공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7]
3. 1. 깃털
''시노르니토사우루스'' 표본은 몸 전체를 덮는 깃털과 날개를 형성하는 깃털의 흔적을 보존하고 있다. 이 깃털들은 같은 지질 퇴적물에서 발견된 새의 깃털과 형태가 구별되지 않았다.[6] 몸통 깃털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3cm~4.5cm였으며 두 가지 유형이 있었다. 첫 번째 유형은 현대의 솜털과 유사하게 여러 필라멘트가 "다발"로 합쳐져 형성되었다. 팔에 있는 깃털을 포함한 두 번째 유형은 주축(''rachis'')을 따라 연결된 필라멘트(''barbs'')의 열로 구성되어 현대 새 깃털과 구조가 유사했다. 그러나 비행 조류의 날개 깃털과 달리 날개깃이 연속된 깃털을 형성하기 위해 갖는, 작은 갈고리(''barbules'')가 있는 2차 분지가 없어 비행 깃털이 연속적인 날개를 형성하지 못했다.[6]
2010년 연구에 따르면 ''시노르니토사우루스''는 보존된 화석의 미세한 세포 구조 분석을 기반으로 몸의 다른 부위에 따라 색상이 크게 다른 깃털을 가지고 있었을 수 있다.[8] 일부 표본에서 발견된 막대형 및 구형 멜라노솜을 기반으로 과학자들은 ''시노르니토사우루스''가 검은색과 적갈색 깃털을 가지고 있었다고 해석했다.[9]
3. 2. 독의 가능성
2009년, 겅 푸(Empu Gong)가 이끄는 과학자팀은 잘 보존된 ''시노르니토사우루스'' 두개골 화석을 조사하여 이 공룡이 독을 가졌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들은 중간 턱뼈(상악) 치아 바깥쪽 표면에 뚜렷한 홈이 있고, 이 치아 바로 위에 독샘으로 추정되는 구멍이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겅과 동료들은 ''시노르니토사우루스''가 현대 뱀처럼 먹이를 사냥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10]
그러나 2010년, 페데리코 지아네키니(Federico Gianechini)가 이끄는 과학자팀은 이러한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들은 홈이 있는 치아가 ''시노르니토사우루스''만의 특징이 아니며, 다른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를 포함한 여러 수각류에서도 발견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치아의 길이와 독샘의 존재에 대해서도 반론을 제기했다.[11]
같은 학술지에서 겅과 그의 팀은 재평가를 통해 자신들의 연구 결과를 옹호했다. 그들은 홈이 있는 치아가 수각류에서 흔하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독이 특정 계통에서 유지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시노르니토사우루스'' 표본의 치아 위치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검토했다.[12] 그러나 이러한 홈이 있는 치아가 직접적인 독의 증거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13]
BBC 다큐멘터리 ''플래닛 다이너소어''에서는 시노르니토사우루스가 독니를 사용하여 제호로사우루스를 사냥하는 장면이 묘사되었지만, "독액 주머니가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곳", "아무래도 시노르니토사우루스는 독으로 먹이를 죽였던 것 같습니다"와 같이 단정적인 표현은 피했다.[36]
3. 2. 1. 더불어민주당의 입장
더불어민주당은 시노르니토사우루스의 독 연구 결과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객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일부 의원들은 시노르니토사우루스의 독 연구가 과장될 경우 고생물학 연구에 대한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4. 생태
''시노르니토사우루스''는 활공하는 수각류 미크로랍토르와 가까운 관계이므로, ''시노르니토사우루스'' 또한 활공을 했을 가능성이 여러 번 제기되었다.[37] 그러나 2009년 롱리치와 커리의 연구에서는 ''시노르니토사우루스''의 체중이 활공하기에는 너무 무거웠을 것이라고 지적했다.[38] 다만, 이 연구 이후 창유랍터와 같이 더 큰 활공성 공룡이 발견되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공막 고리와 현생 조류 및 파충류의 공막 고리를 비교한 결과, 시노르니토사우루스는 낮과 밤에 걸쳐 짧은 간격으로 활동하는 주야활동성(주간 활동성)을 보였을 수 있다.[14]Cathemerality|주간 활동성영어 즉, 짧은 간격으로 종일 활동했을 것으로 보인다.[40]
4. 1. 활공 능력
''시노르니토사우루스''가 활공을 할 수 있었을 가능성은, 마이크로랍토르와 같은 비행 또는 활공 드로마이오사우루스와의 밀접한 관련성 때문에 여러 번 제시되었다. Chatterjee와 Templin(2004)은 ''S. millenii''를 공중 이동에 대한 공기역학적 잠재력을 가진 공룡으로 분류했으며,[15] 이는 이후 대런 내쉬에 의해서도 언급되었다.[7] 한편 Longrich & Currie(2009)는 아마도 날기에는 너무 무거웠을 것이라고 주장했지만,[16] 이 연구는 뚜렷한 비행 능력을 가진 더 큰 마이크로랍토르 종인 ''창유랩터''의 공식적인 기술이 발표되기 전에 출판되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시노르니토사우루스''는 활공하는 수각류 미크로랍토르와 근연종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시노르니토사우루스'' 또한 활공 능력을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여러 번 제기되었다.[37] 그러나 롱리치와 커리에 의한 2009년 연구에서는 ''시노르니토사우루스''의 체중이 활공하기에는 너무 무겁다고 지적되었다.[38] 다만, 연구 이후 창구랍토르와 같이 더욱 대형의 활공성 공룡이 발견되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4. 2. 주행성/야행성
공막 고리를 시노르니토사우루스와 현생 조류 및 파충류의 공막 고리를 비교한 결과, 시노르니토사우루스는 낮과 밤에 걸쳐 짧은 간격으로 활동하는 주야활동성을 가졌을 수 있다.[14]Cathemerality|주간 활동성영어을 보였을 가능성이 시사된다. 즉, 짧은 간격으로 종일 활동했을 것으로 보인다.[40]5. 분류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에 속하는 시노르니토사우루스는 데이노니쿠스, 유타랍토르 등과 같은 근연 관계에 있다. 이들은 모두 특징적인 낫 모양의 발톱을 가진 민첩한 육식 공룡들이다.
시노르니토사우루스는 마이크로랍토리아(Microraptoria)에 속하는 다른 속들과 함께 조류와 가까운 진화적 관계를 보여준다. 2012년 분기도에 따르면, 시노르니토사우루스는 마이크로랍토르, 그라실리랍토르 등과 함께 마이크로랍토리아 분기군을 형성한다.[25]
2012년의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
|-
|
{| class="wikitable"
|-
| 샤오팅지아
|-
|
{| class="wikitable"
|-
| 우넨라기아아과
|-
|
{| class="wikitable"
|-
| 샨아그
|-
|
{| class="wikitable"
|-
! 진드로마에오사우루스류
|-
|
{| class="wikitable"
|-
| 사우르니톨레스테스아과
|-
|
벨로키랍토르아과 |
드로마에오사우루스아과 |
|}
|}
! 마이크로랍토리아
|-
|
{| class="wikitable"
|-
| 톈위랍토르
|-
|
{| class="wikitable"
|-
| 헤스페로니쿠스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마이크로랍토르 sp.
|-
|
마이크로랍토르 귀이 |
마이크로랍토르 자오이아누스 |
|}
|-
|
크립토볼란스 |
그라실리랍토르 |
시노르니토사우루스 |
|}
|}
|}
|}
|}
|}
|}
시노르니토사우루스에는 두 종이 기술되었다. 1999년에 기술된 모식종인 ''S. 밀레니''(S. millenii)와 2004년에 D2140 표본을 기반으로 기술된 ''S. 하오이아나''(S. haoiana)이다. ''S. 하오이아나''는 두개골과 엉덩이의 특징에서 ''S. 밀레니''와 달랐지만,[17] 2012년 터너(Turner) 등은 ''S. 하오이아나''의 특징이 ''S. 밀레니''에서도 나타나거나 여러 표본 사이에서 변동적이라고 보아 ''S. 하오이아나''를 ''S. 밀레니''의 주니어 동의어로 간주했다.[18]
"데이브"라는 별명이 붙은 NGMC 91 표본은 2001년 고생물학에서 지 챵과 그의 동료들이 처음 기술했다. 이들은 표본의 속이 불확실하다고 보았으나, ''S. 밀레니''와의 유사성을 언급하며 나이 차이 때문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20] 2002년 지(Ji)는 다른 과학자 팀과 함께 표본을 공식적으로 시노르니토사우루스로 분류했지만, 정확한 종은 의문이라고 생각했다.[21]
계통 발생 연구는 NGMC 91이 ''S. 밀레니''의 근친종이라는 생각을 뒷받침하지 않았다. 2004년 필 센터(Phil Senter)는 NGMC 91이 마이크로랍토르와 더 가깝다는 것을 발견했다.[22] 그러나 2011년 센터는 자신의 이전 연구가 해부학적 오해에 근거한 것이라고 밝히며, NGMC 91이 ''S. 밀레니''에 속한다고 결론지었다.[24] 2012년 터너 등도 NGMC 91이 ''S. 밀레니''의 아성체 표본이라고 결론지었다.[18]
6. 문화적 영향
BBC 다큐멘터리 플래닛 다이너소어에서 시노르니토사우루스가 제호로사우루스를 사냥하는 모습이 묘사되었지만, 실제로 독을 가졌는지는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6. 1.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BBC 다큐멘터리 플래닛 다이너소어에서는 시노르니토사우루스가 독니를 이용하여 제호로사우루스를 사냥하는 모습이 묘사되었다. 하지만 내레이션에서는 "독액 주머니가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곳", "아무래도 시노르니토사우루스는 독으로 먹이를 죽였던 것 같습니다"라고 설명하며, 독의 존재를 확실하게 단정 짓지 않았다.[36]참조
[1]
논문
Cretaceous age for the feathered dinosaurs of Liaoning, China
http://doc.rero.ch/r[...]
[2]
논문
Evolutionary radiation of the Jehol Biota: chronological and ecological perspectives
[3]
논문
A dromaeosaurid dinosaur with a filamentous integument from the Yixian Formation of China
[4]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http://worldcat.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논문
A new tiny dromaeosaurid dinosaur from the Lower Cretaceous Jehol Group of western Liaoning and niche differentiation among the Jehol dromaeosaurids
http://www.ivpp.cas.[...]
[6]
논문
Branched integumental structures in ''Sinornithosaurus'' and the origin of feathers
[7]
서적
Planet Dinosaur : The Next Generation of Killer Giants
https://archive.org/[...]
Firefly Books
[8]
논문
Fossilized melanosomes and the colour of Cretaceous dinosaurs and birds
http://oro.open.ac.u[...]
[9]
논문
Recent advances in amniote palaeocolour reconstruction and a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
[10]
간행물
The birdlike raptor ''Sinornithosaurus'' was venomous
https://doi.org/10.1[...]
[11]
논문
A reassessment of the purported venom delivery system of the bird-like raptor ''Sinornithosaurus''
[12]
논문
Evidence for a venomous ''Sinornithosaurus''
[13]
웹사이트
Re: Venom in Sinornithosaurus
http://dml.cmnh.org/[...]
[14]
논문
Nocturnality in Dinosaurs Inferred from Scleral Ring and Orbit Morphology
[15]
간행물
Feathered coelurosaurs from China: new light on the arboreal origin of avian flight
[16]
논문
A microraptorine (Dinosauria–Dromaeosauridae) from the Late Cretaceous of North America
[17]
논문
A new species of dromaeosaurids from the Yixian Formation of western Liaoning
http://www.cgs.gov.c[...]
[18]
논문
A review of dromaeosaurid systematics and paravian phylogeny
https://zenodo.org/r[...]
[19]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4
[20]
간행물
The distribution of integumentary structures in a feathered dinosaur.
[21]
논문
Restudy on a small dromaeosaurid dinosaur with feathers over its entire body
[22]
논문
Systematics and evolution of Dromaeosauridae (Dinosauria, Theropoda)
[23]
논문
A new look at the phylogeny of Coelurosauria (Dinosauria: Theropoda)
[24]
논문
Using creation science to demonstrate evolution 2: morphological continuity within Dinosauria (supporting information)
https://digitalcommo[...]
[25]
논문
New Dromaeosaurids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Utah, and the Evolution of the Dromaeosaurid Tail
[26]
간행물
Cretaceous age for the feathered dinosaurs of Liaoning, China
1999-07-01
[27]
논문
Evolutionary radiation of the Jehol Biota: chronological and ecological perspectives
[28]
간행물
A dromaeosaurid dinosaur with a filamentous integument from the Yixian Formation of China
1999-09-16
[29]
간행물
Cranial morphology of ''Sinornithosaurus millenii'' Xu ''et al.'' 1999 (Dinosauria:Theropoda:Dromaeosauridae) from the Yixian Formation of Liaoning, China
[30]
간행물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www.geol.umd.[...]
[31]
논문
Branched integumental structures in ''Sinornithosaurus'' and the origin of feathers
[32]
간행물
Fossilized melanosomes and the colour of Cretaceous dinosaurs and birds
http://oro.open.ac.u[...]
[33]
논문
The birdlike raptor ''Sinornithosaurus'' was venomous
[34]
논문
A reassessment of the purported venom delivery system of the bird-like raptor ''Sinornithosaurus''
2010-07-02
[35]
논문
Evidence for a venomous ''Sinornithosaurus''
2010-07-02
[36]
episode
空飛ぶ恐竜たち
https://www.hulu.jp/[...]
2020-03-25
[37]
서적
Feathered coelurosaurs from China: new light on the arboreal origin of avian flight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IN
[38]
간행물
A microraptorine (Dinosauria–Dromaeosauridae) from the Late Cretaceous of North America
[39]
간행물
Abdominal Contents from Two Large Early Cretaceous Compsognathids (Dinosauria: Theropoda) Demonstrate Feeding on Confuciusornithids and Dromaeosaurids
[40]
journal
Nocturnality in Dinosaurs Inferred from Scleral Ring and Orbit Morphology
[41]
journal
A new species of dromaeosaurids from the Yixian Formation of western Liaoning
http://www.cgs.gov.c[...]
[42]
journal
A review of dromaeosaurid systematics and paravian phylogeny
https://hdl.handle.n[...]
[43]
journal
The distribution of integumentary structures in a feathered dinosaur.
[44]
journal
Restudy on a small dromaeosaurid dinosaur with feathers over its entire body
[45]
journal
Systematics and evolution of Dromaeosauridae (Dinosauria, Theropoda)
[46]
journal
A new look at the phylogeny of Coelurosauria (Dinosauria: Theropoda)
[47]
journal
Using creation science to demonstrate evolution 2: morphological continuity within Dinosauria (supporting information)
[48]
journal
Evolutionary radiation of the Jehol Biota: chronological and ecological perspectiv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