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누아즈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누아즈리는 17세기 중후반 유럽에서 시작된 예술 및 장식 양식으로, 중국풍의 디자인과 문화를 모방한 것이다. 로코코 양식과 프랑수아 부셰 등의 예술가들의 작품을 통해 인기를 얻었으며, 동인도 회사를 통한 중국 상품 유입으로 대중화되었다. 시누아즈리는 유럽뿐 아니라 라틴 아메리카 등 세계적으로 나타났으며, 18세기에는 중국에서 서구 스타일 상품을 "옥시덴테리"라고 칭하며 상호 영향을 주고받았다. 르네상스부터 18세기까지 유럽 디자이너들은 중국 도자기를 모방하려 했으며, 19세기에는 아편전쟁으로 인해 쇠퇴했지만, 19세기 말에 다시 부활했다. 시누아즈리는 가구, 회화, 벽지, 패션,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비평가들은 특정 문학 스타일을 비판할 때 이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술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미술 - 붓
붓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짐승의 털을 묶어 만들며, 붓끝의 뾰족함, 가지런함, 둥글게 정리됨, 튼튼함의 사덕을 갖추어야 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시누아즈리 | |
---|---|
개요 | |
![]() | |
유형 | 미술 스타일 |
기원 | 17세기 |
문화적 기원 | 유럽 |
특징 | 중국 예술 및 디자인 모방 |
영향 받은 문화 | 중국 동아시아 |
역사 및 특징 | |
설명 | 시누아즈리(Chinoiserie)는 유럽의 예술 및 디자인에서 중국, 일본 및 기타 아시아 국가의 예술적 전통을 모방하거나 영감을 받은 스타일이다. 17세기 중반부터 유행하기 시작하여 18세기 절정을 이루었다. |
특징 | 이국적인 디자인 비대칭적인 형태 화려한 장식 옻칠 상상 속의 중국 생활 묘사 |
영향 | 가구 도자기 직물 건축 정원 디자인 |
주요 예술가 및 디자이너 | |
프랑스 | 장 앙투안 와토 프랑수아 부셰 |
영국 | 토머스 치펀데일 윌리엄 체임버스 경 |
독일 | 마티아스 다니엘 푀펠만 |
예시 | |
건축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중국식 마을 포츠담의 중국식 하우스 |
가구 | 치펀데일 스타일의 중국풍 의자 |
도자기 | 마이센 도자기의 중국풍 문양 |
정원 | 큐 가든의 중국식 탑 |
관련 용어 | |
자포니즘 | 일본풍 |
오리엔탈리즘 | 동양풍 |
2. 역사
마르코 폴로의 이야기가 유럽에 퍼진 후에도, 유럽인들은 상인과 외교 사절의 보고서를 통해서만 중국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17세기 후반부터 예수회 선교사들이 정보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그들의 선교 정보 수집과 언어 기록은 유럽 대중에게 중국 제국과 그 문화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했다.[10]
유럽인들은 동아시아에 대한 정확하지 않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정교하게 완성된 예술... [그리고] 베르사유 궁전보다 더 정교한 궁중 의식"을 가진 중국인들을 매우 문명화된 사람들로 여겼다.[11] 볼테르는 그의 저서 『중국 예술』에서 "우리가 글을 읽는 법을 몰랐던 4천 년 전에도 그들[중국인들]은 오늘날 우리가 자랑하는 모든 필수적인 유용한 것을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12] 인도 철학 또한 아서 쇼펜하우어와 같은 철학자들에게 존경받았는데, 그는 우파니샤드를 "최고의 인간 지혜의 산물"이자 "가장 유익하고 고양시키는 독서"로 여겼다.[13]
그러나 시누아즈리가 모두에게 인기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일부 비평가들은 이 스타일을 이성과 취향에서 벗어난 쾌락주의적이고 도덕적으로 모호한 세계로의 하락으로 보았다.[2] 그들은 시누아즈리에 고대 예술의 기반이 된 논리와 이성이 부족하다고 여겼다. 건축가 로버트 모리스는 시누아즈리가 "단순한 변덕과 공상으로 구성되어 규칙이나 질서가 없으며, 실행에 천재성이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했다.[2] 동양에 대해 더 고고학적인 견해를 가진 사람들은 왜곡되고 변덕스러운 시누아즈리 스타일을 실제 중국 예술과 건축에 대한 조롱으로 간주했다.[2] 또 다른 사람들은 시누아즈리에 대한 관심이 유럽 사회의 "문화적 혼란"을 나타낸다고 믿었다.[14]
르네상스 시대부터 18세기까지 서유럽 디자이너들은 중국 도자기의 정교한 기술을 모방하려 했지만, 완전히 성공하지는 못했다. 17세기 후반부터 티 세트를 중심으로 유럽의 채색 도자기에서 중국 도자기 디자인을 모방하기 시작하여, 1740년경부터 1770년경까지 로코코 시누아즈리가 크게 유행하였다.
17세기 초, 동인도 회사 활동이 활발했던 네덜란드와 영국 등에서 시누아즈리 징후가 나타났고, 17세기 중반에는 포르투갈에서도 나타났다. 델프트 등 독일 도시에서 만들어진 주석 유약 도자기에는 17세기 이후 청화백자처럼 흰색 바탕에 파란색 장식이 사용되었다. 마이센 도자기 등은 중국 접시, 꽃병, 찻잔 형태를 모방했다. 본격적인 시누아즈리 장식은 환상적인 산수 풍경에 거미줄 다리가 걸쳐 있고, 중국 관리가 꽃 우산을 쓰고 용과 봉황을 배경으로 대나무 정자에 앉아 있으며, 두루마리 끝에서 원숭이가 흔들리는 등의 환상적인 세계를 묘사했다.
독일과 러시아에서는 후기 바로크나 로코코 양식 궁전 정원에 중국식 별장이 건축되었다. 마드리드 근처 아랑후에스 궁전에는 중국풍 타일이 사용되었다. 스웨덴 드로트닝홀름 궁전과 러시아 예카테린궁에는 중국 마을이 만들어졌다. 토마스 치펜데일은 1753년부터 1770년경까지 중국풍 마호가니 가구를 제작했다. 이는 초기 청나라 가구를 재현한 것이지만, 조지 왕조 시대에는 영국 신사에게 맞는 가구에도 적용되었다. 시누아즈리는 중국풍 디자인뿐 아니라 일본 칠기를 모방한 니스, 주석 도금 그릇(데코파주), 장바티스트 필레망 판화 벽지, 도자기 인형, 테이블 장식도 포함했다.
벽난로 위에 작은 탑을 장식하는 것이 유행했고, 정원에는 실물 크기 탑이 세워졌다. 런던 큐 가든에는 윌리엄 체임버스 경이 설계한 그레이트 파고다가, 뮌헨 잉글리시 가든에는 탑이 세워졌다. 1770년대 이후 신고전주의가 등장하며 과장된 시누아즈리 가구 유행은 시들해졌다. 그러나 조지 4세는 브라이턴 로열 파빌리온 내부에 중국 공예품을 들였고, 우스터 도자기 공장은 이마리 색채 자기를 모방했다. 토론토 카사 로마 같은 호화 저택에는 시누아즈리 양식 객실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2. 1. 시누아즈리의 대중화
시누아즈리는 17세기 중후반 유럽의 예술과 장식에 등장했다. 아타나시우스 키르허의 연구는 오리엔탈리즘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시누아즈리의 인기는 18세기 중반 로코코 양식과 프랑수아 부셰, 토마스 치펜데일, 장바티스트 필레망의 작품과 관련되어 정점에 달했다. 또한 영국, 네덜란드, 프랑스, 스웨덴 동인도 회사를 통해 매년 유럽으로 들어온 중국과 인도 상품의 유입으로 인해 대중화되었다. 19세기 중반부터 1920년대까지 유럽과 미국에서 시누아즈리가 부활했으며, 오늘날에는 고급 인테리어 디자인과 패션에서도 볼 수 있다.

시누아즈리는 일반적으로 유럽 양식으로 이해되지만, 세계적인 현상이었다. 인도, 일본, 이란, 특히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시누아즈리의 지역적 변형이 발전했다. 마닐라 갈레온 무역을 통해 스페인 상인들은 마닐라에 기반을 둔 중국 상인들로부터 대량의 중국 도자기, 칠기, 직물, 향신료를 아카풀코, 파나마, 리마의 새로운 스페인 시장으로 가져왔다. 그러한 제품들은 푸에블라 데 로스 안헬레스에서 탈라베라 도자기를 만드는 세라믹 예술가와 같은 지역 예술가와 장인들에게 영감을 주었다.[5]
시누아즈리는 18세기 중국에서 중국 소비자를 위해 생산된 서구 스타일의 상품인 "옥시덴테리"(occidenterie)[6]와 어느 정도 유사했다. 강희제와 건륭제가 서양루의 건축에서 보여주듯이 이것은 상당한 관심사였지만, 궁정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옥시덴테리" 유물과 예술품은 국내에서 생산되었기 때문에 더 넓은 범위의 소비자들에게 접근할 수 있었다.[7]
18세기 유럽에서 시누아즈리가 널리 유행하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다. 유럽인들은 동아시아, 특히 중국과의 무역 확대로 새로운 문화에 대한 접근이 증가했지만 여전히 제한적인 상황 속에서 아시아에 대한 매력을 느꼈다. '시누아즈리'라는 용어에 나타난 '중국'은 유럽인들의 마음속에서 중국 자체뿐 아니라 일본, 한국, 동남아시아, 인도 또는 페르시아까지 포함하는 더 넓은 지역을 의미했다. 예술 분야에서 "동양"의 스타일은 영감의 원천으로 여겨졌다. 이미지가 풍부하고 조화로운 동양 스타일의 디자인은 이상적인 세계의 모습을 반영했고, 유럽인들은 자신의 문화를 재구성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얻고자 했다. 이러한 이유로 시누아즈리 스타일은 서구와 동구 간 교류의 중요한 결과로 간주된다. 19세기, 특히 후반기에 시누아즈리 스타일은 이국주의라는 일반적인 정의 아래 흡수되었다.[8]
'시누아즈리'라는 단어의 어원이 'Chine'(중국)임에도 불구하고, 17세기와 18세기 유럽인들은 중국의 실제 모습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동양', '극동' 또는 '중국'과 같은 용어는 모두 중국 문화를 주요 대표로 하는 동아시아 지역을 나타내는 데 동일하게 사용되었지만, 용어의 의미는 문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윌리엄 체임버스 경은 1772년 저서인 『동양 정원에 관한 논문』에서 중국을 일반적으로 '동양'으로 언급했다.[8] 17세기와 18세기 루이 14세 시대의 재정 기록에는 이미 'façon de la Chine'(중국식), 또는 'à la chinoise'(중국식으로 만든)와 같은 표현이 기록되어 있었다. 19세기에 'chinoiserie'라는 용어가 프랑스 문학에 처음 등장했다. 1836년에 출판된 소설 『L'Interdiction』에서 오노레 드 발자크는 중국식으로 만든 공예품을 가리켜 시누아즈리를 사용했다. 이때부터 이 용어는 중국식으로 제작된 물건을 의미하는 데 더 자주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때로는 작거나 값싼 우아한 물건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1878년 'chinoiserie'는 공식적으로 『Dictionnaire de l'Académie』에 등재되었다.[8]

마르코 폴로의 이야기가 퍼진 후에도 유럽인들이 가지고 있던 중국에 대한 지식은 주로 상인과 외교 사절의 보고서에서 비롯되었다. 17세기 후반부터 예수회 선교사들이 이러한 정보 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는데, 그들의 끊임없는 선교 정보 수집과 언어 기록은 유럽 대중에게 중국 제국과 그 문화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했다.[10]
유럽인들은 동아시아에 대한 부정확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것이 그들의 매력과 존중을 배제하지는 않았다. 특히 "정교하게 완성된 예술... [그리고] 베르사유 궁전보다 더 정교한 궁중 의식"을 가진 중국인들은 매우 문명화된 사람들로 여겨졌다.[11] 볼테르는 그의 저서 『중국 예술』에서 "사실 우리가 글을 읽는 법을 몰랐던 4천 년 전에도 그들은 [중국인들은] 오늘날 우리가 자랑하는 모든 필수적인 유용한 것을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12] 또한 인도 철학은 아서 쇼펜하우어와 같은 철학자들에게 점점 더 존경받았는데, 그는 우파니샤드를 "최고의 인간 지혜의 산물"이자 "세상에서 가능한 가장 유익하고 고양시키는 독서"로 여겼다.[13]
시누아즈리는 보편적으로 인기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일부 비평가들은 이 스타일을 "...이성과 취향에서 벗어나 쾌락주의, 감각과 여성적으로 인식되는 가치관에 기반한 도덕적으로 모호한 세계로의 하락"으로 보았다.[2] 고대 예술의 기반이 된 논리와 이성이 부족하다고 여겨졌다. 건축가이자 작가인 로버트 모리스는 그것이 "...단순한 변덕과 공상으로 구성되어 규칙이나 질서가 없으며, 실행에 천재성이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했다.[2] 동양에 대해 더 고고학적인 견해를 가진 사람들은 왜곡과 변덕스러운 접근 방식을 가진 시누아즈리 스타일을 실제 중국 예술과 건축의 조롱으로 간주했다.[2] 마지막으로, 다른 사람들은 시누아즈리에 대한 관심은 유럽 사회에 만연한 "문화적 혼란"을 나타낸다고 믿었다.[14]

시누아즈리의 인기 확산에 기여한 요소 중 하나는 18세기의 차 마시는 유행이었다.[29] 차를 마시는 여성적이고 가정적인 문화는 적절한 '시누아즈리 무대 연출'을 필요로 했다. 비버스에 따르면, "차 마시는 것은 교양 있는 사회의 근본적인 부분이었으며, 중국 수출품과 시누아즈리에 대한 관심은 차 마시는 의식을 위한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려는 욕구에서 비롯되었다."[2] 1750년 이후 영국은 매년 1,000만 파운드의 차를 수입하여 이 관행이 얼마나 널리 퍼져 있었는지 보여준다.[30] 시누아즈리 도자기(수출품과 유럽 모방품 모두)와 차 마시는 취향은 남성보다 여성과 더 관련이 있었다. 잉글랜드의 메리 2세, 그레이트브리튼의 앤 여왕, 헨리에타 하워드, 퀸즈베리 공작 부인 등 여러 귀족 여성과 사회적으로 중요한 여성들이 시누아즈리 도자기의 유명한 수집가였다. 이는 그들의 가정이 좋은 취향과 사교성의 본보기 역할을 했기 때문에 중요하다.[31] 포틀랜드 공작 부인 마가렛과 일체스터 백작 부인 엘리자베스 사이에 일본식 청백색 접시를 두고 치열한 경쟁이 있었던 역사적 사건은[32] 부유한 여성 소비자들이 구매력과 당시 유행을 만드는 데 있어 자신의 역할을 주장했음을 보여준다.
르네상스부터 18세기까지 서유럽의 디자이너들은 중국 도자기의 정교한 기술을 모방하려고 했지만, 일부 성공을 거둔 것에 불과했다. 그러나 17세기 후반부터 티 세트를 대표하는 유럽의 파이앙스(채색 도자기)에서 중국 도자기의 디자인을 그대로 모방하는 방법이 시작되어 로코코-시누아즈리가 큰 유행이 되었다(1740년경부터 1770년경).
17세기 초, 동인도 회사의 활동이 활발했던 네덜란드와 영국 등 지역의 예술에 시누아즈리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17세기 중반에는 포르투갈에서도 나타났다. 델프트 등 독일 도시에서 만들어진 주석 유약을 사용한 도자기에는 17세기 이후로 명나라 청화백자와 같은 백색 바탕에 청색 장식이 사용되었다. 마이센의 초기 도자기나 다른 도자기 생산지의 제품은 중국 접시, 꽃병, 찻잔의 형태를 정확하게 모방했다. 이것이 본격적인 시누아즈리 장식이 되면서, 환상적인 산수 풍경에 거미줄 다리가 걸쳐 있고, 그 속에서 중국 관리가 꽃 우산을 쓰고 용과 봉황을 배경으로 시원한 대나무 정자에 기대어 앉아 있으며, 두루마리 끝에서는 원숭이가 흔들리는 등의 환상적인 세계가 그려졌다.
독일과 러시아에서는 후기 바로크 양식이나 로코코 양식의 궁전 정원에 중국식 별장이 건축되었다. 마드리드 근처 아랑후에스 궁전에서도 벽면에 중국풍 타일이 사용되었다. 또한 스웨덴의 드로트닝홀름 궁전과 러시아의 예카테린궁에는 휴식을 위한 마을 전체를 중국풍으로 장식한 중국 마을이 만들어졌다. 토마스 숩펜데일은 1753년부터 70년경까지 창문과 테두리를 운문 세공으로 장식한 중국풍 마호가니 테이블과 캐비닛을 제작했다. 이들은 초기 청나라 학자들을 위한 가구를 그대로 충실하게 재현한 것이었지만, 조지 왕조 시대 중기에는 영국 신사에게 딱 맞는 사이드 테이블이나 낮고 넓적한 등받이가 있는 안락의자에도 적용되었다. 시누아즈리의 주류는 중국풍 디자인만이 아니었다. 일본의 칠기 공예를 모방한 니스나 주석 도금 마감의 그릇(데코파주)이나, 장-바티스트 피르망의 판화를 인쇄한 벽지, 도자기 인형이나 테이블 장식도 당시 잡지 등에서는 시누아즈리로 다루었다.
벽난로 위에 작은 탑을 장식하는 것이 유행이 되어, 정원에는 실물 크기의 탑이 세워지게 되었다. 런던 큐 지역에 있는 큐 가든에는 윌리엄 챔버스 경이 설계한 그레이트 파고다가 세워졌고, 같은 것이 뮌헨의 잉글리시 가든에도 세워졌다. 1770년대 이후에는 사실성을 중시하는 신고전주의가 등장하여, 오리엔탈 풍으로 과장되게 장식된 시누아즈리 가구의 유행은 시들해졌다. 그러나 영국 왕 조지 4세가 브라이턴의 로열 파빌리온의 내장에 중국 공예품에 많은 돈을 들였고, 우스터의 도자기 공장이 화려한 임리(이마리) 색채 자기를 모방하여 생산한 사례도 있다. 토론토의 카사 로마와 같은 호화 저택에서는 벽지에 봉황을 그려 시누아즈리 양식의 침대와 도자기를 갖추고, 모든 것을 시누아즈리 양식으로 한 객실을 만드는 경우가 있었다.
시누아즈리라는 단어는 어떤 종류의 중국을 소재로 한 소설에 대해 "틀에 박혔다"고 비판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어니스트 브램의 "카이룬" 시리즈, 배리 휴가트의 "이가오와 십우" 시리즈 등).
2. 2. 19세기 이후의 시누아즈리
19세기와 20세기에도 시누아즈리는 지속되었지만, 그 인기는 감소하였다. 시누아즈리 양식의 열렬한 지지자였던 조지 4세 국왕이 1830년에 사망한 후 중국풍 장식에 대한 관심은 크게 줄었다.[15] 1839년부터 1842년까지 영국과 중국 사이에 벌어진 아편전쟁은 무역을 방해하여 동양풍에 대한 관심을 더욱 감소시켰다. 중국이 수출입을 폐쇄하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시누아즈리는 과거의 유행이 되었다.19세기 말 영국과 중국의 관계가 안정되면서 시누아즈리에 대한 관심이 다시 살아났다. 예를 들어 알버트 공은 조지 4세의 브라이턴 왕실 별장에 있던 많은 시누아즈리 작품들을 더 접근하기 쉬운 버킹검 궁전으로 옮겼다. 시누아즈리는 현대화와 함께 빠르게 사라져가던 영국의 과거 식민지 영광을 떠올리게 하는 역할을 했다.[2]
작품명 | 제작 시기 | 재료 | 소장처 |
---|---|---|---|
-- | 1870년경 | 본차이나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뉴욕시) |
-- | 1870-1880년 | 자기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뉴욕시) |
-- | 1880년경 | 청동과 에나멜 | 시카고 미술관 (미국) |
-- | 1932년 | 벽지 | 렉스 위슬러 |
이 용어는 문학 비평에서도 사용된다. 소위 ‘관화체(Mandarin style)’는 “글을 말과 가능한 한 다르게 만들려는 문학 전문가들에게 사랑받는다.”[52] 비평가들은 얼네스트 브라마(Ernest Bramah)의 《카이 렁(Kai Lung)》 이야기, 배리 휴아트(Barry Hughart)의 『리 선생과 열 번째 소(Master Li & Number Ten Ox)』 소설, 그리고 스티븐 말리(Stephen Marley (writer))의 《치아 블랙 드래곤(Chia Black Dragon)》 시리즈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세련된 “중국풍(Chinese-esque)” 글쓰기 스타일을 묘사한다.[53]
[1]
웹사이트
Chinois
http://www.oed.com/v[...]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2015-12-09
3. 각 분야에서의 시누아즈리
시누아즈리는 17세기 중후반 유럽의 예술과 장식에 등장했다. 아타나시우스 키르허의 연구는 오리엔탈리즘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시누아즈리의 인기는 18세기 중반 로코코 양식과 프랑수아 부셰, 토마스 치펜데일(Thomas Chippendale), 장-바티스트 필레망의 작품과 관련되어 정점에 달했다. 또한 영국 동인도 회사,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프랑스 동인도 회사, 스웨덴 동인도 회사를 통해 매년 유럽으로 들어온 중국과 인도 상품의 유입으로 인해 대중화되었다. 19세기 중반부터 1920년대까지 유럽과 미국에서 시누아즈리가 부활했으며, 오늘날에는 고급 인테리어 디자인과 패션에서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럽 양식으로 이해되지만, 시누아즈리는 세계적인 현상이었다. 인도, 일본, 이란, 특히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시누아즈리의 지역적 변형이 발전했다. 마닐라 갈레온 무역을 통해 스페인 상인들은 마닐라에 기반을 둔 중국 상인들로부터 대량의 중국 도자기, 칠기, 직물, 향신료를 아카풀코, 파나마, 리마의 새로운 스페인 시장으로 가져왔다. 그러한 제품들은 푸에블라 데 로스 안헬레스에서 탈라베라 도자기를 만드는 세라믹 예술가와 같은 지역 예술가와 장인들에게 영감을 주었다.[5]
18세기 유럽에서 시누아즈리가 널리 유행하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다. 유럽인들은 동아시아, 특히 중국과의 무역 확대로 새로운 문화에 대한 접근이 증가했지만 여전히 제한적인 상황 속에서 아시아에 대한 매력을 느꼈다. '시누아즈리'라는 용어에 나타난 '중국'은 유럽인들의 마음속에서 중국 자체뿐 아니라 일본, 한국, 동남아시아, 인도 또는 페르시아까지 포함하는 더 넓은 지역을 의미했다. 예술 분야에서 "동양"의 스타일은 영감의 원천으로 여겨졌다. 이미지가 풍부하고 조화로운 동양 스타일의 디자인은 이상적인 세계의 모습을 반영했고, 유럽인들은 자신의 문화를 재구성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얻고자 했다. 이러한 이유로 시누아즈리 스타일은 서구와 동구 간 교류의 중요한 결과로 간주된다. 19세기, 특히 후반기에 시누아즈리 스타일은 이국주의라는 일반적인 정의 아래 흡수되었다.[8]
마르코 폴로(Marco Polo)의 이야기가 퍼진 후에도 유럽인들이 가지고 있던 중국에 대한 지식은 주로 상인과 외교 사절의 보고서에서 비롯되었다. 17세기 후반부터 예수회 선교사들이 이러한 정보 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는데, 그들의 끊임없는 선교 정보 수집과 언어 기록은 유럽 대중에게 중국 제국과 그 문화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했다.[10]
유럽인들은 동아시아에 대한 부정확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것이 그들의 매력과 존중을 배제하지는 않았다. 특히 "정교하게 완성된 예술... [그리고] 베르사유 궁전보다 더 정교한 궁중 의식"을 가진 중국인들은 매우 문명화된 사람들로 여겨졌다.[11]
시누아즈리는 보편적으로 인기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일부 비평가들은 이 스타일을 "...이성과 취향에서 벗어나 쾌락주의, 감각과 여성적으로 인식되는 가치관에 기반한 도덕적으로 모호한 세계로의 하락"으로 보았다.[2] 고대 예술의 기반이 된 논리와 이성이 부족하다고 여겨졌다. 건축가이자 작가인 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는 그것이 "...단순한 변덕과 공상으로 구성되어 규칙이나 질서가 없으며, 실행에 천재성이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했다.[2] 동양에 대해 더 고고학적인 견해를 가진 사람들은 왜곡과 변덕스러운 접근 방식을 가진 시누아즈리 스타일을 실제 중국 예술과 건축의 조롱으로 간주했다.[2] 마지막으로, 다른 사람들은 시누아즈리에 대한 관심은 유럽 사회에 만연한 "문화적 혼란"을 나타낸다고 믿었다.[14]
시누아즈리는 19세기와 20세기까지도 지속되었지만 인기는 감소했다. 시누아즈리 양식의 열렬한 지지자였던 조지 4세 국왕이 1830년 사망한 후 중국풍 장식에 대한 관심은 현저히 줄었다.[15] 1839년부터 1842년까지 영국과 중국 사이에 일어난 아편전쟁은 무역을 방해하여 동양풍에 대한 관심을 더욱 감소시켰다.
19세기 말 영국과 중국의 관계가 안정되면서 시누아즈리에 대한 관심이 다시 살아났다. 예를 들어 알버트 공은 조지 4세의 브라이턴 왕실 별장에 있던 많은 시누아즈리 작품들을 더 접근하기 쉬운 버킹검 궁전으로 옮겼다. 시누아즈리는 현대화와 함께 빠르게 사라져가던 영국의 과거 식민지 영광을 상기시켜 주는 역할을 했다.[2]-- -- -- -- -- -- --
프랑스 루이 15세(Louis XV of France)와 같은 여러 유럽 군주들은 시누아즈리가 로코코 양식과 잘 어울려 특별히 선호했다. 샹티이 성(Château de Chantilly)과 같은 곳의 방 전체가 시누아즈리 구성으로 꾸며졌고, 앙투안 와토(Antoine Watteau) 등의 예술가들이 이 양식에 뛰어난 장인정신을 더했다.[21] 뵈를리츠 성(Castle of Wörlitz)이나 필니츠 성(Castle of Pillnitz)과 같은 중앙 유럽의 궁전들은 모두 중국식 특징으로 장식된 방을 포함하고 있으며, 포츠담의 산수시 궁전에는 용의 집(Das Drachenhaus)과 중국식 정자(Das Chinesische Haus)가 있다.[22]
17세기와 18세기에 유럽인들은 중국 칠기 가구를 모방한 가구를 제작하기 시작했다.[23] 토마스 치펜데일(Thomas Chippendale)은 그의 디자인 책인 "신사와 캐비닛 제작자를 위한 지침서"를 출판하여 시누아즈리 가구의 생산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18세기 유럽 가정에서 벽지의 사용이 증가한 것도 시누아즈리 모티브에 대한 일반적인 매력을 반영한다. 중국 예술가가 만든 벽지에 대한 수요는 1740년부터 1790년 사이에 유럽 귀족들 사이에서 처음 시작되었다.[24] 나중에 시누아즈리 모티브가 있는 벽지는 인쇄가 가능해지고 다양한 등급과 가격으로 생산될 수 있게 되면서 중산층에게도 접근 가능해졌다.[25]
유럽에서 중국 및 동아시아 정원 디자인에 대한 이해는 ‘샤라와지(Sharawadgi)’라는 단어의 사용에서 잘 나타납니다. 이는 질서 없이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경관 디자인에서 미적으로 즐거운 불규칙성을 지닌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윌리엄 템플 경(Sir William Temple) (1628–1699)은 1685년에 쓰고 1690년에 출판한 그의 에세이 "에피쿠루스의 정원에 대하여(Upon the Gardens of Epicurus)"에서 이러한 작품을 언급하며 샤라와지라는 용어를 소개합니다.[27]
이러한 정원에는 다양한 향기로운 식물, 꽃과 나무, 장식용 바위, 물고기가 있는 연못이나 호수, 구불구불한 길이 자주 포함된다. 종종 담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정원에 배치된 건축적 특징으로는 종종 탑, 축하 행사나 휴일에 사용되는 의식당, 꽃과 계절적 요소가 있는 정자가 있다.[28]
런던의 큐 가든(Kew Gardens)과 같은 조경은 건축에서 중국적인 영향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정원 중앙에 있는 163피트 높이의 거대한 대탑은 윌리엄 체임버스가 설계하고 건설했으며, 강력한 영국 건축 요소를 보여주어 융합된 문화의 산물을 만들어냈다.
시누아즈리의 인기 확산에 기여한 요소 중 하나는 18세기의 차 마시는 유행이었다.[29] 차를 마시는 여성적이고 가정적인 문화는 적절한 '시누아즈리 무대 연출'을 필요로 했다. 비버스에 따르면, "차 마시는 것은 교양 있는 사회의 근본적인 부분이었으며, 중국 수출품과 시누아즈리에 대한 관심은 차 마시는 의식을 위한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려는 욕구에서 비롯되었다."[2] 1750년 이후 영국은 매년 1,000만 파운드의 차를 수입하여 이 관행이 얼마나 널리 퍼져 있었는지 보여준다.[30] 시누아즈리 도자기(수출품과 유럽 모방품 모두)와 차 마시는 취향은 남성보다 여성과 더 관련이 있었다. 여러 귀족 여성과 사회적으로 중요한 여성들이 시누아즈리 도자기의 유명한 수집가였다.[31]
이 용어는 또한 "중국식 스타일에서 유래한 직물, 패션 및 장식 예술 디자인"을 설명하는 데 패션 업계에서 사용된다.[33] 17세기 이후로 중국 예술과 미학은 예술가와 창작자, 그리고 서구 유럽에서 처음으로 동양 국가의 상품들이 널리 보급되면서 패션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34]
18세기와 19세기 내내 시누아즈리 패션은 프랑스에서 특히 유명했으며, 이 기간 동안 대부분의 중국풍 패션의 기원은 프랑스였다.[36]
20세기 초, 유럽과 패션 디자이너들은 유럽 중심주의 패션 세계 밖의 중국 및 다른 국가들에서 영감을 얻고자 했다. ''보그'' 잡지도 중국이 세계 패션에 미학적 영감을 제공했다는 점을 인정했다.[38] 이 기간 동안 중국 모티프는 유럽 패션에서 인기를 얻었다.[39] 중국과 중국인들은 미국 패션에 소재와 미학을 공급하기도 했다.[38]
서양에서 중국 및 동양 음악을 모방한 시도는 17세기 중반, 헨리 퍼셀(Henry Purcell)의 《요정의 여왕》(The Fairy-Queen, 1692)과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룩(Christoph Willibald Gluck)의 《중국 여인들》(Le cinesi, 1754)과 같은 오페라에서 처음 나타났다.[41]
20세기 초 프랑스 작곡가들은 서구의 당시 유토피아적이고 향수 어린 중국 풍경과 문화에 대한 견해에 따라,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의 《판화곡》(Estampes) 중 '파고다'(Pagodas, 1903)와 같은 작품을 만들었다.[45] 이후 세 가지 주요 20세기 음악 시누아즈리 작품이 등장했는데,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의 《대지의 노래》(Das Lied von der Erde, 1908), 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의 《나이팅게일》(The Nightingale, 1914), 그리고 자코모 푸치니(Giacomo Puccini)의 《투란도트》(Turandot, 1926)가 그것이다.[46]
중국 및 동아시아 음악의 영향은 뮤지컬 코미디(《게이샤》(The Geisha, 1896), 《중국 신혼여행》(A Chinese Honeymoon, 1899), 《추 친 초우》(Chu Chin Chow, 1916)), 틴 팬 알리(Tin Pan Alley)(조지 거슈윈(George Gershwin)의 《라임하우스 나이트》(Limehouse Nights, 1920)), 브로드웨이 뮤지컬과 재즈(《왕과 나》(The King and I, 1951), 《꽃피는 드럼 노래》(Flower Drum Song, 1958), 듀크 엘링턴(Duke Ellington)의 '아프로-유라시아 일식'(The Afro-Eurasian Eclipse) 중 '시누아즈리'(Chinoiserie, 1971))[49]에서 현대 록 음악(데이비드 보위(David Bowie)의 '차이나 걸'(China Girl, 1976) 등)까지 대중음악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났다.[50] 이러한 작품들은 종종 오리엔탈 리프(oriental riff)와 같이 5음 음계(pentatonic scale)를 사용하고, 종종 열린 평행 4도로 화성을 구성하는 등 중국 음악 스타일의 서구 문화적 속어를 통합한다.[51]
4. 비평
시누아즈리라는 단어는 어떤 종류의 중국을 소재로 한 소설에 대해 "틀에 박혔다"고 비판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어니스트 브램의 "카이룬" 시리즈, 배리 휴가트의 "이가오와 십우" 시리즈 등).
참조
[2]
서적
Chinese Whispers: Chinoiserie in Britain, 1650–1930
Royal Pavilion & Museums
[3]
웹사이트
Style Guide: Chinoiserie
http://www.vam.ac.uk[...]
2018-04-12
[4]
서적
Universal Principles of ART
Rockport Publishers
2015
[5]
서적
Made in the Americas: the new world discovers Asia
2015-01-01
[6]
학술지
Eighteenth-Century Easts and Wests: Introduction
https://www.jstor.or[...]
2014
[7]
학술지
Chinese Occidenterie: the Diversity of "Western" Objects in Eighteenth-Century China
https://www.jstor.or[...]
2014
[8]
서적
東方啓蒙西方 – 十八世紀德國沃里兹(Wörlitz)自然風景園林之中國元素(Dongfang qimeng Xifang- shiba shiji Deguo Wolizi (Wörlitz) ziran fengjing yuanlin zhi Zhongguo yuansu) (The East enlightening the West – Chinese elements in the 18th century landscape gardens of Wörlitz in Germany)
輔仁大學出版社(Furendaxue chubanshe; Fu Jen University Bookstore)
[9]
웹사이트
British Museum object
https://www.britishm[...]
[10]
서적
東方啓蒙西方 – 十八世紀德國沃里兹(Wörlitz)自然風景園林之中國元素(Dongfang qimeng Xifang- shiba shiji Deguo Wolizi (Wörlitz) ziran fengjing yuanlin zhi Zhongguo yuansu) (The East enlightening the West – Chinese elements in the 18th century landscape gardens of Wörlitz in Germany)
輔仁大學出版社(Furendaxue chubanshe; Fu Jen University Bookstore)
[11]
학술지
Chinoiserie
1941
[12]
서적
Essays in the History of Ideas
Johns Hopkins U. Press
[13]
서적
Oriental enlightenment : the encounter between Asian and Western thought
https://www.worldcat[...]
Routledge
1997
[14]
서적
Interracial Encounters: Reciprocal Representations in African and Asian American Literatures, 1896–1937
NYU Press
[15]
서적
Opium, Soldiers and Evangelicals: England's 1840–42 War with China and its Aftermath
Palgrave Macmillan
[16]
웹사이트
Rouen ware | pottery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07
[17]
웹사이트
Key Periods in the Development of Chinoiserie Style in the West – How Taste Travelled. Part I
https://www.decorati[...]
Decorative Fair
2021-09-03
[18]
웹사이트
Medici porcelain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13-07-22
[19]
학술지
"After the Chinese Taste": Chinese Export Porcelain and Chinoiserie Design in Eighteen-Century Charleston
https://www.jstor.or[...]
1999
[20]
서적
Chinoiserie: Commerce and Critical Ornament in Eighteenth-Century Britain
Manchester UP
[21]
웹사이트
chinoiserie
http://www.gotheborg[...]
Gothenborg.com
2007-09-17
[22]
서적
東方啓蒙西方 – 十八世紀德國沃里兹(Wörlitz)自然風景園林之中國元素(Dongfang qimeng Xifang- shiba shiji Deguo Wolizi (Wörlitz) ziran fengjing yuanlin zhi Zhongguo yuansu) (The East enlightening the West – Chinese elements in the 18th century landscape gardens of Wörlitz in Germany)
輔仁大學出版社(Furendaxue chubanshe; Fu Jen University Bookstore)
[23]
웹사이트
V&A · The influence of East Asian lacquer on European furniture
https://www.vam.ac.u[...]
2018-01-24
[24]
학술지
Wallpaper and its History
1961
[25]
서적
Behind Closed Doors
Yale UP
[26]
학술지
Japanese Art, Aesthetics, and a European Discourse: Unraveling Sharawadgi
http://ngjs.nl/files[...]
2014
[27]
서적
Upon the Gardens of Epicurus; or Of Gardening in the Year 1685
Simpson
[28]
간행물
Chinese Gardens
China Highlights
2015
[29]
웹사이트
Tea Tuesdays: How Tea + Sugar Reshaped The British Empire
https://www.npr.org/[...]
2015-04-07
[30]
학술지
English Tea Caddy
1979
[31]
학술지
Monstrous Beauty: Eighteenth-Century Fashion and the Aesthetics of the Chinese Taste
2002
[32]
학술지
Eastern Trade and the Furnishing of the British Country House
1989
[33]
서적
The Fairchild Dictionary of Fashion
http://fairchildpub.[...]
Fairchild Books
2011-02-17
[34]
서적
Luxury the Chinese way : new competitive scenarios
https://www.worldcat[...]
2016
[35]
서적
The Berg companion to fashion
https://www.worldcat[...]
2018
[36]
웹사이트
The Chinoiserie Paradox: Fashion Creating the Self Through the "Other" – Compass
https://wp.nyu.edu/c[...]
2022-07-15
[3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fashion industry
https://www.worldcat[...]
2017
[38]
학술지
From Costume to Fashion: Visions of Chinese Modernity in Vogue Magazine, 1892–1943
2017
[39]
서적
Beyond chinoiserie : artistic exchange between China and the West during the late Qing dynasty (1796–1911)
https://www.worldcat[...]
2019
[40]
웹사이트
Fashioning Empire: Chinese Chic
https://siliconvalle[...]
2021-04-29
[41]
서적
The Exotic in Western Music
1998
[42]
문서
Variations on a Chinese Theme
1912, 1943
[43]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Macmillan
1997
[44]
서적
Musical Encounters at the 1889 Paris World's Fair
https://boydellandbr[...]
2005
[45]
서적
Musical Exoticism
2009
[46]
학술지
The Twentieth Century: Orientalism and Musical Style
1998
[47]
문서
[48]
논문
Telling the Truth about Nixon: Parody, Cultural Representation, and Gender Politics in John Adams’s Opera Nixon in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1995
[49]
서적
Yellowface: Creating the Chinese in American Popular Music and Performance, 1850s-1920s
2005
[50]
방송
Chopsticks at Dawn
https://www.bbc.co.u[...]
BBC Radio 4
2010-06-08
[51]
웹사이트
How The 'Kung Fu Fighting' Melody Came To Represent Asia [transcript]
https://www.npr.org/[...]
NPR
2023-03-04
[52]
서적
Enemies of Promise
1938
[53]
문서
Chinese Gothic
[54]
서적
ビジュアル解説 インテリアの歴史
秀和システム
2011
[55]
서적
ビジュアル解説 インテリアの歴史
秀和システム
2011
[56]
서적
図説 啓蒙時代百科
原書房
2022-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