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는 이란 남동부에 위치한 주로,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과 국경을 접한다.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사카족, 아르사케스 왕조, 사산 제국 등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슬람 정복 이후 사파리 왕조, 사만 왕조, 가즈나 왕조, 셀주크 왕조 등 다양한 왕조의 통치를 거쳤다. 1508년 사파비 왕조에 정복되었고, 1747년 나데르 샤의 암살 이후 칼라트 칸국의 일부가 되었다가 카자르 이란에 편입되었다. 현재는 이란에서 가장 넓고 가난한 주 중 하나이며, 발루치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산업은 발달되지 않았으나, 차바하르 항 개발 등을 통해 경제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주요 도시로는 자헤단, 자볼, 이란샤흐르, 차바하르 등이 있으며, 시스탄오발루체스탄 대학교, 자헤단 의과대학교 등 고등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 - 지로프트 문명
    지로프트 문명은 이란 남동부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 문명으로, 기원전 2500년에서 기원전 2200년 사이에 전성기를 누렸으며, 아직 해독되지 않은 문자를 사용하고 메소포타미아 등지에서 발견되는 유물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 - 자헤단 공항
    자헤단 공항은 이란 자헤단에 위치하여 이란 항공, 이란 에어투어, 이란 아세만 항공 등의 항공사들이 이란 내 주요 도시와 연결하며, 국제선으로는 두바이를 포함한 다양한 국내외 노선을 운영하는 이란의 주요 교통 관문이다.
  • 발루치스탄 - 발루치어
    발루치어는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북서부 이란어군에 속하며 이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의 발루치스탄 지역에서 발루치족이 사용하고,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문자를 사용하나 표준어는 확립되지 않았다.
  • 발루치스탄 - 발루치스탄주
    발루치스탄주는 파키스탄 남서부에 위치한 가장 넓은 주로,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며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경제 발전은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다.
  • 오만만 - 차바하르
    차바하르는 이란 남동부에 위치한 온화한 기후의 항구 도시로, 고대부터 무역항으로 기능했으며 현대에는 자유 무역 지대로 지정되어 인도와 협력하여 중앙아시아 및 아프가니스탄과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있다.
  • 오만만 - 푸자이라
    푸자이라는 아랍에미리트의 토후국으로 인도양과 접하며, 항만, 자유무역지대, 석유 산업을 기반으로 경제 활동이 활발하고, 푸자이라 항과 자유무역지대는 국제 무역과 투자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고, 재난 대비 체계 개선과 철도망 건설을 통해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스탄-에 시스탄 오 발루체스탄 (استان سیستان و بلوچستان)
로마자 표기Ostān-e Sīstān-o Balūchestān
발루치어 명칭سیستان ءُ بلۏچستان اوستان
발루치어 로마자 표기Sistàn o Balòcestàn ostàn 또는 Asli Baluchestan
위치이란
중심 도시자헤단
면적180,726 제곱킬로미터
인구 (2016년)2,775,014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구성발루치족, 시스타니족
시간대IRST
UTC 오프셋+03:30
ISO 3166-2IR-11
주요 언어발루치어, 페르시아어
HDI (2017년)0.688
HDI 순위31위
지도 정보
이란 내 시스탄 오 발루체스탄 주 위치
이란 내 시스탄 오 발루체스탄 주 위치
행정 구역
카운티 수26개
정부
주지사만수르 비자르
기타 정보
웹사이트해당 없음

2. 역사

베히스툰 비문페르세폴리스의 기록에 따르면, 시스탄다리우스 1세의 동부 영토 중 하나였다.[6] 시스탄이라는 이름은 서기 128년에 이 지역을 점령한 중앙아시아 부족인 사카족에서 유래했다.[6] 아르사케스 왕조 시대에 시스탄은 수렌-파흘라브 씨족의 본거지가 되었다.[6]

사산 왕조 시대부터 초기 이슬람 시대까지 시스탄은 상당히 번성했다.[6] 아르다시르 1세 치세 동안 시스탄은 사산 왕조의 관할 하에 들어갔고, 644년 아랍 무슬림들이 통제권을 얻었다.[6] 이후 야쿠브-이 라이스 사파리가 이 주의 총독이 되었으며, 사파리 왕조, 사만 왕조, 가즈나 왕조, 셀주크 왕조 등 다양한 왕조들이 이 지역을 지배했다.[6]

1508년, 사파비 왕조이스마일 1세가 시스탄을 정복했다.[6] 1747년 나데르 샤가 암살된 후, 시스탄과 발루치스탄은 칼라트 칸국의 일부가 되었다가[6] 이후 카자르 이란의 일부가 되었다.[6]

발루치스탄은 과거 "모카"로 불렸으며, 시간이 지나 "모크란"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발루치족이 정착하면서 현재의 발루치스탄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발루치스탄의 유적 조사를 통해 기원전 3000년경의 역사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지역은 이슬람 세력에게 정복된 것은 7세기 중반 우마르 이븐 알-카타브 시대였으며, 이후 부와이흐 왕조셀주크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2. 1. 고대

베히스툰 비문페르세폴리스의 기록에 따르면, 시스탄다리우스 1세의 동부 영토 중 하나였다.[6] 시스탄이라는 이름은 서기 128년에 이 지역을 점령한 중앙아시아 부족인 사카족에서 유래했다.[6] 아르사케스 왕조 시대에 시스탄은 수렌-파흘라브 씨족의 본거지가 되었다.[6] 자헤단자볼 사이의 샤흐레 수흐테에서는 지르프트 문화가 번성했다.

2. 2. 중세

사산 왕조 시대부터 초기 이슬람 시대까지 시스탄은 상당히 번성했다.[6] 아르다시르 1세 치세 동안 시스탄은 사산 왕조의 관할 하에 들어갔고, 644년 아랍 무슬림들이 통제권을 얻었다.[6]

두 번째 수니파 칼리프인 오마르 이븐 알-카타브의 치세 동안, 이 지역은 아랍인에게 정복되었고, 아랍 사령관이 총독으로 임명되었다.[6] 야쿠브-이 라이스 사파리가 이 주의 총독이 되었으며, 이후 여러 세기 동안 이 지역을 지배했던 사파리 왕조를 세웠다.[6] 사만 왕조, 가즈나 왕조, 셀주크 왕조와 같은 왕조들 또한 이 영토를 지배했다.[6]

서사시 샤나메에서 시스탄은 자블리스탄이라고 불리며, 저자 페르도우시는 자블리스탄을 신화적인 영웅왕 로스탐의 고향으로 묘사하고 있다.

2. 3. 근세

1508년, 사파비 왕조이스마일 1세가 시스탄을 정복했다.[6] 1747년 나데르 샤가 암살된 후, 시스탄과 발루치스탄은 칼라트 칸국의 일부가 되었다. 칼라트 칸국은 1896년까지 이 지역을 통치했다. 그 후, 시스탄은 카자르 이란의 일부가 되었다.[6]

2. 4. 현대

이란 혁명 이후, 주의 이름은 시스탄오발루체스탄으로 변경되었다. 최근에는 발루치족의 권리 확대를 요구하는 반정부 무장 조직 'Jundallah (Iran)|조드 알라|존돌라영어'(جنداللهfa, '신의 군대'라는 뜻)가 이 주에서 활발하게 게릴라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이란군 및 치안 부대와 전투를 벌이고 있다.[6] 이들은 이슬람 혁명 수비대를 대상으로 한 폭탄 공격도 감행하고 있다.[6]

3. 지리

서쪽으로 호르모즈간주, 케르만주와 접하고 있으며, 북쪽은 호라산에조누비주, 동쪽은 파키스탄발루치스탄주와 접하고 있다.[26] 남쪽으로는 오만만과 접한다.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는 이란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이며, 강수량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약간 증가하고, 해안 지역에서는 습도가 증가한다. 이 주는 다양한 방향에서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다. 시스탄 지역에서 부는 바람은 다음과 같다.


  • 레바르: 시스탄의 120일 바람 (발루치어)
  • 구세
  • 가브 코슈: 일곱 번째 바람
  • 남비: 남풍
  • 후샤크: 인도양의 습한 계절풍
  • 그리추: 북풍
  • 걀드: 서풍


이 주에는 여러 산이 존재하며, 타프탄 산과 같은 활화산도 보인다. 또한 여러 단층이 지나가는 것으로 여겨지며, 인근 지역은 지진 다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2013년에는 규모 7의 지진이 발생하기도 했다.

2023년, 시스탄 지역은 4월,[27] 6월,[26] 그리고 8월에 발생한 여러 차례의 먼지 폭풍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8월 10일부터 14일까지 발생한 먼지 폭풍으로 1120명이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자볼 기지에서는 바람이 시속 108kph까지 도달했고, 가시거리는 600m로 감소했다.[28]

4. 행정 구역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는 여러 개의 군(شهرستان, 샤흐레스탄)으로 나뉜다.[11][12][13]

4. 1. 행정 구역 목록



다음 표는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의 3번의 인구 조사에 걸쳐 나타난 행정 구역의 인구 변화 및 구조적 변화를 보여준다. 2016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시스탄오발루체스탄 주에는 26개의 군이 있다.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의 행정 구역
2006년[11]2011년[12]2016년[13]
밤푸르[14]
차바하르214,017264,051283,204
달간[15]62,81367,857
다슈티아리[16]
파누지49,161
골샨[17]
하문[18]41,017
히르만드[19]65,47163,979
이란샤흐르264,226219,796254,314
카쉬161,918155,652173,821
코나라크68,60582,00198,212
라샤르[20]
메흐레탄[21]62,75670,579
미르자베[22]45,357
니크 샤흐르185,355212,963141,894
님루즈[18]48,471
카세르-에 칸드[23]61,076
라스크
사라반239,950175,728191,661
사르바즈162,960164,557186,165
시브와 수란[21]73,18985,095
타프탄[24]
자볼317,357259,356165,666
자헤단663,822660,575672,589
자라바드[25]
제하크70,83975,41974,896
총계2,349,0492,534,3272,775,014


4. 2. 주요 도시

201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는 자헤단이며, 그 다음은 자볼, 이란샤흐르, 차바하르 순이다.[13]

다음은 2016년 기준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의 주요 도시 인구 순위이다.[13]

순위이름인구 (2016)
1자헤단587,730
2자볼134,950
3이란샤흐르113,750
4차바하르106,739
5사라반60,014
6카쉬56,584
7코나라크43,258
8잘레크18,098
9니크샤흐르17,732
10피신16,011


5. 인구

استان سيستان و بلوچستانfa의 인구는 2016년 기준으로 2,775,014명(704,888 가구)이다.[13] 2006년에는 2,349,049명(468,025 가구),[11] 2011년에는 2,534,327명(587,921 가구)이었다.[12] 주로 발루치족이 거주하며, 인구밀도는 12.6명/km2이다.

5. 1. 민족 구성

발루치족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며, 시스탄 페르시아인이 소수를 형성한다. 동부 고원과 이란샤흐르 인근의 쿠르드족, 파키스탄 국경을 따라 거주하는 브라후이족, 롬족과 같은 다른 민족 집단도 존재한다.[7] 발루치어를 사용하는 발루치족이 대부분이며, 인도아리아어 자드가리어를 사용하는 소규모 공동체도 있다. 발루치스탄은 "발루치의 땅"을 의미하며, 시스탄인은 이 지역에서 두 번째로 큰 민족 집단으로 페르시아어의 시스탄 방언을 사용한다. 주 내에서는 "바라후이"와 "발루치" 두 부족이 주요하다.

5. 2. 언어

발루치족은 주로 발루치어를 사용하며, 인도아리아어족의 자드가리어를 사용하는 소규모 공동체도 존재한다.[7] 시스탄인은 페르시아어의 시스탄 방언을 사용한다.

5. 3. 종교

시스탄오발루체스탄 주의 소수 민족인 시스탄인들은 시아파 무슬림이고, 주 내 발루치스탄 지역의 다수 민족인 발루치족은 수니파 무슬림, 특히 데오반디이다.[8][9][10]

6. 경제

오만만을 따라 위치한 주의 남부 해안


차바하르 군의 산맥


차바하르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는 이란의 31개 중에서 가장 가난하며, HDI 점수는 0.688이다.[2]

이 지역은 현재 이란에서도 가장 저개발 지역으로, 황량하고 빈곤한 지역이다. 이란 정부는 차바하르 자유 무역 산업 지대를 조성하는 등 새로운 계획을 시행해 왔다. 차바하르 항(Port of Chabahar)에 차바하르 자유 무역 지대(Chabahar Free Trade-Industrial Zone)를 설치할 계획이며, 이란-파키스탄 가스 파이프라인 등의 여러 계획을 통해 지원을 꾀하고 있다. 이 지역 내 자동차 공장 유치에 관한 협상도 현재 진행 중이다.

인도는 차바하르 항 정비에 5억달러를 투자하여 2017년 12월 3일에 개항식을 거행하였다. 향후 아프가니스탄 국경에 가까운 자헤단까지 약 500km의 철도 부설도 예정하고 있다. 이는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2016년 5월 이란 방문 시 표명한 계획으로, 인도는 적대 관계에 있는 파키스탄을 우회하여 아프가니스탄 등 중앙아시아와 무역을 확대할 수 있다.[36]

시스탄 자수는 이 지역의 고대 수공예품으로, 기원전 5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스키타이에서 유래되었다.[29]

6. 1. 산업

산업은 이 주에 새로운 분야이다. 노력의 결과로 세금, 관세 및 금융 인센티브가 더 많은 산업 투자를 유치하여 새로운 프로젝트, 새로운 생산 일자리 창출 및 산업 발전을 이끌었다. 가장 중요한 공장으로는 하루 2,600톤의 시멘트를 생산하는 카시 시멘트 공장과 3개의 다른 시멘트 공장이 있다.[29]

건설 중인 공장으로는 면직물 및 어망 제직 공장과 벽돌 공장이 있다.[29]

이 주는 크롬, 구리, 화강암, 안티몬, 활석, 망간, 철, 납, 아연, 주석, 니켈, 백금, 금 및 은과 같은 중요한 지질학적 및 금속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29]

이 주의 주요 광산 중 하나는 자헤단 북쪽 120km에 위치한 첼 쿠레 구리 광산이다.[29]

6. 2. 광업

이 주는 크롬, 구리, 화강암, 안티몬, 활석, 망간, 철, 납, 아연, 주석, 니켈, 백금, 금, 은과 같은 중요한 지질학적 및 금속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29] 자헤단 북쪽 120km에 위치한 첼 쿠레 구리 광산이 이 주의 주요 광산 중 하나이다.[29]

6. 3. 교통

자헤단은 지난 1세기 동안 파키스탄의 퀘타와 광궤 철도로 연결되어 왔다. 코바이트까지 주 1회 열차가 운행된다. 최근 밤 (이란)에서 자헤단까지 철도가 개통되었다.

시스탄오발루체스탄 주에는 두 개의 주요 여객 공항이 있다.

차바하르 항은 주 남부에 위치한 주요 항구이다. 인도는 이 항구에 5억달러를 투자하여 2017년 12월 3일에 개항식을 거행하였다. 향후에는 아프가니스탄 국경에 가까운 자헤단까지 약 500km의 철도 부설도 예정하고 있다. 이는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2016년 5월 이란 방문 시 표명한 계획이다. 인도는 적대 관계에 있는 파키스탄을 우회하여 아프가니스탄 등 중앙아시아와 무역을 확대할 수 있다.[36]

6. 4. 수자원 문제

سیستان و بلوچستان|시스탄오발루체스탄fa 주는 이란 수자원 공급 부문의 부패, 투명성 부족, 소외된 지역 사회에 대한 무관심, 그리고 정치적 편애로 인해 심각한 물 문제로 고통받고 있다. 혁명 수비대와 정치적으로 연관된 다른 단체들이 수자원을 통제하며, 공공의 필요보다는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위한 프로젝트를 우선시한다. 이들은 물 공급을 선호하는 지역으로 돌려 취약한 후제스탄과 시스탄오발루체스탄 주와 같은 지역에 물 부족을 야기한다.[34]

이란 중앙 정부는 산업 및 도시 중심지를 위해 물 배분을 우선시하며, 이는 종종 농촌 및 소수 민족에게 불이익을 준다. 이러한 그룹은 심각한 물 부족, 생태계 파괴, 생계 수단 상실에 직면해 있다. 이란의 물 정책은 댐 건설 및 대규모 물 공급 전환 프로젝트에 과도하게 의존하며, 이는 주로 정치적으로 연관된 기업과 도시 엘리트에게 혜택을 준다. 이는 강, 습지 및 기타 중요한 생태계의 고갈로 이어져 후제스탄과 시스탄오발루체스탄 주와 같은 지역에서 먼지 폭풍과 지반 침하를 심화시켰다.[35]

7. 문화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는 많은 학자, 설교자, 문학자 등을 배출한 지역이다. 시스탄 자수는 이 지역의 고대 수공예품으로, 기원전 5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스키타이에서 유래되었다.

7. 1. 주요 인물

파로히 시스타니, 야쿠브 이븐 알 라이스 알 사파르, 로스탐 등이 유명하다. 아야톨라 시스타니도 현재 이라크나자프에 있지만, 본주 출신이다.

7. 2. 고등 교육 기관

시스탄오발루체스탄 대학교, 차바하르 해양 대학교, 자볼 대학교, 이슬람 아자드 대학교 이란샤르, 이슬람 아자드 대학교 자헤단[32], 자헤단 의과대학교[33], 자볼 의과대학교, 차바하르 국제대학교, 벨라얏 대학교 이란샤르, 자헤단 다룰 울룸 자미아 등이 있다.

참조

[1] 지도 Sistan and Baluchestan Province https://www.openstre[...] 2024-05-24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3] 웹사이트 Approval of the organization and chain of citizenship of the elements and units of the national divisions of Sistan and Baluchestan province, centered in the city of Zahedan https://rc.majlis.ir[...] Ministry of Interior, Defense Political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Board 2023-12-29
[4] 웹사이트 معرفی استان سیستان و بلوچستان http://hprc.zaums.ac[...] 2021-03-13
[5] 웹사이트 آشنایی با استان سیستان و بلوچستان https://www.hamshahr[...] 2007-05-25
[6] 웹사이트 Brahui https://www.iranicao[...]
[7] 서적 The Baloch and others: linguistic, historical and socio-political perspectives on pluralism in Balochistan Reichert Verlag 2008
[8] 웹사이트 Sistan and Baluchestan Province https://www.tabnak.i[...] 2020-07-20
[9] 간행물 Ahmady, Kameel. A Peace-Oriented Investigation of the Ethnic Identity Challenge in Iran (A Study of Five Iranian Ethnic Groups with the GT Method), 2022, 13th Eurasian Conferences on Language and Social Sciences pp.591-624
[10] 웹사이트 Baluchistan {{!}} History, People, Religion, & Map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9-07
[11] 웹사이트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85 (2006) http://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09-25
[12] 웹사이트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0 (2011) https://irandataport[...]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12-19
[13] 웹사이트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5 (2016) https://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12-19
[14] 웹사이트 Letter of approval regarding reforms and divisional changes in Sistan and Baluchestan province https://www.qavanin.[...] Ministry of Interior, Council of Ministers 2023-04-07
[15] 웹사이트 Approval letter regarding the reforms of country divisions in Sistan and Baluchestan province, Iranshahr County https://rc.majlis.ir[...] Ministry of Interior 2023-04-07
[16] 웹사이트 Letter of approval regarding the country divisions of Chabahar County, Sistan and Baluchestan province https://qavanin.ir/L[...] Ministry of Interior, Council of Ministers 2023-04-07
[17] 웹사이트 Approval letter regarding some country divisions in Saravan County of Sistan and Baluchestan province https://dotic.ir/new[...] Ministry of Interior, Board of Ministers 2023-04-10
[18] 웹사이트 Carrying out national divisions about Saberi and Teymurabad and Nimruz and Hamun Counties of Sistan and Baluchestan province https://qavanin.ir/L[...] Ministry of Interior, Council of Ministers 2023-11-18
[19] 웹사이트 Reforms of country divisions in Sistan and Baluchestan Province, Zabol County https://qavanin.ir/L[...] Ministry of Interior, Board of Ministers 2023-12-31
[20] 웹사이트 Letter of approval regarding country divisions in Fanuj and Nik Shahr Counties in Sistan and Baluchestan province https://qavanin.ir/L[...] Ministry of Interior, Council of Ministers 2023-04-07
[21] 웹사이트 The approval letter of the Ministers of the Political-Defense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Board regarding some changes and divisions of the country in Sistan and Baluchestan province https://lamtakam.com[...] Ministry of Interior, Political-Defense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Board 2023-12-30
[22] 웹사이트 Seven new counties were added to the map of country divisions http://www.dolat.ir/[...] Ministry of Interior, Board of Ministers 2023-04-10
[23] 웹사이트 Carrying out reforms of country divisions in Sistan and Baluchestan province https://qavanin.ir/L[...] Ministry of Interior, Council of Ministers 2023-12-31
[24] 웹사이트 Approval letter regarding the country divisions of Khash County of Sistan and Baluchestan province https://rc.majlis.ir[...] Ministry of Interior, Council of Ministers 2023-12-30
[25] 웹사이트 National divisions in Dashtiari and Chabahar Counties of Sistan and Baluchestan province https://dotic.ir/new[...] Ministry of Interior, Council of Ministers 2023-04-07
[26] 뉴스 Storm in Sistan sent 330 people to medical centers https://www.tabnak.i[...] Tabnak 2024-04-09
[27] 뉴스 The storm sent 99 people to the hospital in Sistan region https://www.tabnak.i[...] Tabnak 2024-04-09
[28] 웹사이트 1120 people went to hospital in Sistan and Baluchistan https://www.tabnak.i[...] Tabnak 2024-04-09
[29] 웹사이트 هفت‌هزار سال هنر در یک سرزمین https://www.isna.ir/[...] 2022-10-07
[30] 문서 Projects http://www.investini[...] Invest Iran
[31] 웹사이트 From Gwadar to Chabahar, the Makran Coast Is Becoming an Arena for Rivalry Between Powers https://thewire.in/s[...]
[32] 웹사이트 دانشگاه آزاد اسلامی واحد زاهدان http://www.iauzah.ac[...] 2021-11-25
[33] 웹사이트 Zahed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zdmu) http://www.zdmu.ac.i[...] 2021-11-25
[34] 간행물 25 Countries, Housing One-Quarter of the Population, Face Extremely High Water Stress https://www.wri.org/[...] 2023-08-16
[35] 웹사이트 Water, Corruption, and Security in Iran https://www.newsecur[...] 2024-11-14
[36] 뉴스 イランにインド支援の港 中央アジアに直通路、影響力強める中国牽制も https://www.sankei.c[...] 産経新聞ニュース 2017-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