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킴어는 고전 티베트어에서 파생된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지만, 음운과 어휘는 고전 티베트어와 다르다. 국제 SIL은 시킴어의 문자 체계를 "Bodhi style"이라고 부른다. 시킴어는 자음, 모음, 성조를 가지고 있으며, 주변 언어인 존카어, 네팔어, 티베트어 등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부탄의 언어 - 타망어
    타망어는 네팔에서 널리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이며, 여러 방언과 세부 방언으로 나뉘고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르며 성조 언어에 속하고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된다.
  • 인도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인도 - 림부어
    림부어는 네팔과 인도 시킴 주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림부 문자를 사용하며, 교착어적 특징을 보이고 다양한 방언과 함께 교육을 통해 사용이 장려된다.
  • 네팔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네팔의 언어 - 림부어
    림부어는 네팔과 인도 시킴 주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림부 문자를 사용하며, 교착어적 특징을 보이고 다양한 방언과 함께 교육을 통해 사용이 장려된다.
시킴어
지도
기본 정보
이름시킴어
다른 이름덴종카
고유 이름Lhokä
사용 지역시킴주
네팔
부탄
민족부티야인
사용자 수70,000명 (2001년)
언어 분류
어족시나·티베트어족
어파티베트·카나우르어파
어군티베트어군
하위 언어티베트 제어
Dzongkha–Lhokä
문자 체계
문자티베트 문자
국가
사용 국가시킴주
언어 코드
ISO 639-3sip
Glottologsikk1242
Glottolog 참조Sikkimese
기타
주의IPA

2. 표기 체계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로 표기하며, 국제 SIL은 이 문자 체계를 "Bodhi style"이라고 부른다.[2][4][5]

2. 1. 티베트 문자와의 관계

시킴어는 고전 티베트어에서 유래한 티베트 문자로 쓰이지만, 시킴어의 음운과 어휘는 고전 티베트어와 분명히 다르다.[2][4][5] 국제 SIL은 시킴어의 문자 체계를 "Bodhi style"이라고 부른다. SIL에 따르면, 2001년 시킴 주 부티야인의 문해율은 68%였다.

3. 음운

시킴어는 다양한 자음과 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성조를 통해 의미를 구별한다.[5]

자세한 내용은 "자음"과 "모음"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3. 1. 자음

시킴어의 자음 체계는 Yliniemi (2005)와 van Driem (1992)의 연구를 바탕으로 정리되었다.[5] 시킴어는 순음, 치음/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으로 구분된다. 또한, 무성음, 유성음, 유기음, 무기음 등의 구분이 있다.

시킴어 자음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자음 목록"의 표를 참고하라.

3. 1. 1. 자음 목록

시킴어 자음은 양순음, 치음/치경음, 설측음, 치경구개음/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으로 분류된다. 비음,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유음, 접근음 등이 있다.[5]

colspan=2|양순음치음/
치경음
설측음치경구개음/
구개음
연구개음성문음
비음무성
유성
파열음무성
무기
ཏྲ
무성
기음
ཐྲ
유성དྲ
무성화དྲ
파찰음무성
무기
무성
기음
유성
무성화
마찰음무성
유성
유음무성
유성
접근음



무성화 자음은 약한 기음을 가진 기음이며, 낮게 발음된다. 무성화 자음은 고전 티베트어의 유성 자음이 무성화된 흔적이다. 음운론적으로 이들을 무성음으로 취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역사적으로 'ny'에 해당하는 자음은 /n/ 또는 /ŋ/로 합쳐져 음운적으로는 소멸되었다. /n/과 /ŋ/은 /i, y, j/ 앞에서 모두 /ɳ/이 된다.[5]

모음 사이의 유성 파열음은 유성 마찰음으로, 무성 기음은 무성 마찰음으로 나타난다.

음절 말에는 /m/, /n/, /ŋ/, /N/ (비모음화), /P/ (/p/), /K/ (/k/ 또는 /ʔ/로 합쳐짐), /ʔ/ (/ʔ/), /r/, /l/이 있지만, /l/은 문화적 어휘에 한정된다.

3. 2. 모음

시킴어의 모음은 전설, 중설, 후설으로 나뉘며,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등의 구분이 있다.

전설중설후설
고모음ཨི|iboཨུ|ubo
중모음ཨེ|eboཨོ|obo
저모음ཨ|ɐbo



티베트 문자아부기다이므로, ཨ|ɐbo는 별도로 표기되지 않는다.[5]

3. 2. 1. 모음 목록

시킴어 모음은 전설, 중설, 후설로 나뉜다. 각 모음은 무원순, 원순으로 나뉠 수 있다. 모음은 장단을 구분한다. 티베트 문자아부기다이며, a는 표기되지 않는다.[5]

아래 표는 Yliniemi (2005)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시킴어 모음 체계이다.[5]

전설중설후설
무원순원순무원순원순
고모음ི|iboུ|yboུ|ubo
중모음ེ|eboོ|øboོ|obo
저모음ེ|ɛbo



위 표에서 이탤릭체로 표시된 ེ|ɛbo는 ེ|ebo의 변이음일 가능성도 있다.[5]

3. 3. 성조

시킴어에는 높낮이 두 가지의 성조가 있으며, 높은 성조는 다시 높고 평평한 성조와 높고 내리는 성조로 나뉜다. 무성의 파열음·마찰음 및 l̥|bo、r̥|bo、h|bo로 시작하는 음절은 항상 높고, 유성 또는 무성화된 폐쇄음 및 r|bo는 항상 낮다. 이것을 높이의 차이가 아니라 발성의 차이로 간주할 수도 있다.

4. 주변 언어와의 관계

시킴어는 존카어와 어휘 공통률이 65%로, 화자들은 존카어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반면 표준 티베트어와는 어휘 공통률이 42%에 불과하다. 시킴어는 인접한 요르모어와 타만어의 영향도 받고 있다.[2][4]

시킴어 화자들은 100년 이상 네팔어티베트어 화자들과 밀접하게 접촉하며 이들 언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2]

4. 1. 존카어와의 관계

시킴어 화자는 존카어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으며, 두 언어의 어휘 공통률은 65%이다.[2] 이에 비해 표준 티베트어와는 42%밖에 어휘가 공통되지 않는다. 또한, 시킴어는 인접한 요르모어와 타만어의 영향을 받고 있다.[2][4]

4. 2. 표준 티베트어와의 관계

시킴어 화자는 존카어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으며, 두 언어의 어휘 공통률은 65%이다. 이에 비해 표준 티베트어와의 어휘 공통률은 42%이다.[2][4]

4. 3. 기타 언어와의 관계

시킴어는 존카어와 어휘 공통률이 65%로, 화자들은 존카어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반면 표준 티베트어와는 어휘 공통률이 42%에 불과하다. 시킴어는 인접한 요르모어와 타만어의 영향도 받고 있다.[2][4]

시킴어 화자들은 100년 이상 네팔어티베트어 화자들과 밀접하게 접촉하며 이들 언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2]

참조

[1] 논문 Prosodic analysis and Asian linguistics: to honour R. K. Sprigg
[2] 웹사이트 Sikkimese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11-04-16
[3] 서적 第二回チベット旅行記 講談社学術文庫
[4] 간행물 The Sikkimese Bhutia http://himalaya.soca[...] Namgyal Institute of Tibetology
[5] 논문 Preliminary Phonological Analysis of Denjongka of Sikkim https://helda.helsin[...] University of Helsinki 2011-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