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도군 (허베이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도군은 중국 허베이성 싱타이 시를 중심으로 존재했던 행정 구역이다. 전한 시대에 처음 설치되어, 광천국, 신도국 등으로 이름이 바뀌며 17개의 현을 관할했다. 후한 시대에는 낙성국, 안평국, 안평군으로 개칭되었으며, 서진 시대에는 안평국, 장락국, 장락군으로 불렸다. 북위 시대에는 장락군으로 당나라 시대에는 기주로 개칭되었다가, 신도군으로 다시 바뀌는 등 여러 차례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었다. 621년 당나라가 두건덕을 평정하면서 기주로 개칭된 이후 신도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베이성의 군 - 탁군
    탁군은 중국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의 바오딩 시, 창저우 시, 헝수이 시 일대에 해당한다.
  • 허베이성의 군 - 중산군
    중산군은 전한부터 수나라까지 존속하며 현재 허베이성 중남부에 위치했던 중국의 옛 군으로, 시대에 따라 행정구역과 소속 현에 변화가 있었고, 후한 말 흑산적의 주요 거점, 조위와 서진 시대 제후국, 오호십육국 시대 여러 나라의 영역으로 편입, 북위 시대 정주 소속 등의 변화를 겪다가 수나라 때 폐지되었다.
  • 산둥성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산둥성의 군 - 제북군
    제북군은 진나라가 제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군으로, 전한 시대에는 제북나라로 바뀌었으며, 유흥거의 반란으로 폐지되었다가 제북군과 제남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
신도군 (허베이성)
개요
이름신도군(信都郡)
위치현재의 허베이성 형수이시 지저우구, 자오창현, 헝수이시 타오청구, 신지시 일대
존속 기간전한 ~ 북위
역사
기원진나라의 거록군(鉅鹿郡)
전한기원전 201년, 한고제가 양나라 한신을 거록군으로 봉함
기원전 196년, 한신 모반 사건 이후 폐지
신도국기원전 180년, 여태후가 자신의 조카 여록을 신도후로 봉하면서 신도국 설치
기원전 177년, 여록이 제북왕으로 옮겨가면서 폐지
신도군 재설치기원전 155년, 경제가 자신의 아들 유승을 신도왕으로 봉하면서 신도국 설치
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 진압 후 신도군으로 변경
속주기주(冀州)
수(隋)개황 초기에 폐지
당(唐)천보 연간에 심주(深州)로 개칭
북위신도군에 속현 9개 존재
행정 구역
전한신도(信都)
섭(嗫)
도향(都鄉)
숙택(束 Guide)
역향(歷鄉)
남궁(南宮)
무읍(武邑)
관진(觀津)
고역(高 Guide)
궤양(蒯 Guide)
요양(饒陽)
안향(安鄉)
하박(下 Guide)
성향(成鄉)
북위신도(信都)
남궁(南宮)
무읍(武邑)
고읍(高邑)
요양(饒陽)
안국(安國)
박록(博鹿)
무수(武遂)
하읍(下邑)
주요 인물
전한한신
여록
유승

2. 역사

한나라 고조 때 신도군이 설치되었다. 기원전 155년 (경제)에 유팽조가 광천왕이 되면서 '''광천국'''이 설치되었다[9].[ 기원전 37년] (건소)에 유여가 신도왕이 되면서 '''신도국'''이 설치되었다[10]. 전한의 신도국은 기주에 속했으며, 신도, 역, 부류, 벽양, 남궁, 하박, 무읍, 관진, 고제, 광천, 낙향, 평제, , 서량, 창성, 동창, 수의 17개 현을 관할했다. 왕망 때 신박군으로 개칭되었다[11]

후한이 건립되자 신도군으로 개칭되었다. 72년 (영평 15년)에 유당이 낙성왕이 되자 신도군은 '''낙성국'''으로 개칭되었다[12].122년 (연광)에 유득이 안평왕이 되자 '''안평국'''으로 개칭되었다[13] 후한의 안평국은 신도, 부성, 남궁, 부류, 하박, 무읍, 관진, 경, 당양, 무수, 요양, 안평, 남심의 13개 현을 관할했다[14].184년 (중평)에 '''안평군'''으로 개칭되었다.

265년 (태시)에 사마부서진의 안평왕이 되면서 '''안평국'''으로 다시 개칭되었다[15].284년 (태강)에 사마점이 장락왕이 되면서 '''장락국'''으로 개칭되었다. 서진 말년에 '''장락군'''이 되었다. 서진의 장락군은 신도, 하박, 무읍, 무수, 관진, 부류, 광종, 경의 8개 현을 관할했다[16]

북위 때 장락군은 당양, 조강, 부류, 색로, 광천, 남궁, 신도, 하박의 8개 현을 관할했다[17]

583년 (개황)에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장락군은 폐지되어 기주에 편입되었다. 607년 (대업)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기주는 신도군으로 개칭되었다. 신도군은 장락, 당양, 형수, 조강, 무읍, 무강, 남궁, 빈강, 녹성, 하박, 조, 부성의 12개 현을 관할했다[18]

621년 (무덕)에 당이 두건덕을 평정하면서 신도군은 기주로 개칭되었다. 742년 (천보)에 기주는 신도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 (건원)에 신도군은 기주로 개칭되어 신도군의 호칭은 사라졌다[19]

2. 1. 전한

한나라 고조 때 신도군이 설치되었다. 기원전 155년 (경제)에 유팽조가 광천왕이 되면서 '''광천국'''이 설치되었다[9].[ 기원전 37년] (건소)에 유여가 신도왕이 되면서 '''신도국'''이 설치되었다[10]. 전한의 신도국은 기주에 속했으며,[20]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65,556호, 304,384명이 있었다.[21][20]

서울은 신도현이며, 신도, 역, 부류, 벽양, 남궁, 하박, 무읍, 관진, 고제, 광천, 낙향, 평제, , 서량, 창성, 동창, 수의 17개 현을 관할했다. 왕망 때 신박군으로 개칭되었다[11]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신도현信都縣헝수이 시 지저우 구고장하(故漳河)와 고호지(故虖池)가 모두 북쪽에 있어 동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우공》의 강수(絳水)도 바다로 들어간다.
역현歷縣헝수이시 구청 현 북
부류현扶柳縣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북서
벽양현辟陽縣헝수이시 짜오창 현 남서
남궁현南宮縣싱타이시 난궁 시 서
하박현下博縣헝수이 시 선저우 시 남동
무읍현武邑縣헝수이시 우이 현 북동
관진현觀津縣헝수이시 우이 현 동
고제현高隄縣헝수이시 짜오창 현 북동
광천현廣川縣헝수이시 짜오창 현 북동
악향현樂鄕縣헝수이시 선저우 시 동
평제후국平隄侯國헝수이시 징 현 남서
도후국桃侯國헝수이시 북서
서량후국西梁侯國신지 시 남
창성후국昌成侯國헝수이시 지저우 구 북서
동창후국東昌侯國헝수이시 우이 현 북동
수현脩縣헝수이시 징 현 남


2. 2. 신

왕망(王莽)이 신도군을 신박군(新博郡)으로 고치고, 현(縣)들의 이름을 고쳤다.[11]

전한
신도신박정(新博亭)
역녕(歷寧)
벽양악신(樂信)
남궁서하(序下)
하박윤박(閏博)
무읍순환(順桓)
관진삭정정(朔定亭)
악향악구(樂丘)
환분(桓分)
동창전창(田昌)
수치(脩治)


2. 3. 후한

후한이 건립되자 신도군으로 개칭되었다. 72년(영평 15년)에 유당이 낙성왕이 되자 신도군은 '''낙성국'''으로 개칭되었다.[12] 후한 명제 시기 '''낙성군(樂城郡)'''으로 개명되었다가 122년(연광 원년) '''안평국(安平國)'''으로 개명되었으며 탁군의 일부 현들이 본군으로 이관되었다.[22] 122년(연광)에 유득이 안평왕이 되자 '''안평국'''으로 개칭되었다.[13]

13현 91,440호 655,180명을 거느렸다.[22]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신도현信都縣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부성현阜城縣신지 시 왕구진 북창성현(昌城縣)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남궁현南宮縣싱타이시 난궁 시 서
부류현扶柳縣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북서
하박현下博縣헝수이 시 선저우 시 남동
무읍현武邑縣헝수이 시 우이 현
관진현觀津縣헝수이시 우이 현 동
당양현堂陽縣싱타이 시 신허 현거록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무수현武遂縣헝수이 시 우창 현 북서하간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요양현饒陽縣헝수이 시 라오양 현옛이름은 요(饒)로 탁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무루정(蕪蔞亭[23])이 있다.
안평현安平縣헝수이시 안핑현탁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남심택현南深澤縣스자좡시선쩌현 동탁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후한의 안평국은 신도, 부성, 남궁, 부류, 하박, 무읍, 관진, 경, 당양, 무수, 요양, 안평, 남심의 13개 현을 관할했다.[14] 184년(중평)에 '''안평군'''으로 개칭되었다.

2. 4. 위진

위나라에서는 기주 자사의 치소를 신도로 옮겼다. 서진 시기 일련의 행정개편을 겪으면서 안평군은 5개 속현을 잃었다. 개편 이전 안평군은 신도현, 부류현, 하박현, 무읍현, 관진현, 무수현, 광종현, 경현, 안평현, 요양현, 남심택현, 부성현, 남궁현, 당양현을 관할했다. 이후 안평현, 요양현, 남심택현은 박릉군으로, 부성현은 발해군으로 이관되었고, 남궁현, 당양현은 폐지되었다.[24] 안평군은 8현 21,000호를 거느렸다.[24] 284년(태강 5년) 군명이 '''장악군(長樂郡)'''으로 개명되었다.[25]

서진 시기 장악군(구 안평군)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신도현信都縣헝수이 시 지저우 구
하박현下博縣헝수이 시 선저우 시 남동
무읍현武邑縣헝수이 시 우이 현서진 무제 말기 때 무읍군으로 이관되었다.[25]
무수현武遂縣헝수이 시 우창 현 북서서진 무제 말기 때 무읍군으로 이관되었다.[25]
관진현觀津縣헝수이 시 우이 현 동서진 무제 말기 때 무읍군으로 이관되었다.[25]
부류현扶柳縣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북서
광종현廣宗縣싱타이 시 웨이 현 동위나라거록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경현經縣싱타이 시 광쭝 현



265년(태시)에 사마부서진의 안평왕이 되면서 '''안평국'''으로 다시 개칭되었다.[15] 284년(태강)에 사마점이 장락왕이 되면서 '''장락국'''으로 개칭되었다. 서진 말년에 '''장락군'''이 되었다.[16]

2. 5. 북조

석륵이 기주를 점령하면서 후조의 관할로 들어왔다가 후조가 염위전연에게 무너진 뒤엔 전연이 차지했다.[25] 이후 전진에 소속되었다가 전진이 무너진 뒤 후연을 세운 모용수가 이곳을 차지하고 신도현에 기주자사부를 두었다.[25] 397년(황시 2년) 북위 도무제 탁발규에 의해 신도가 점령되면서 북위의 땅으로 넘어갔다.[25]

8현 35,683호 143,145명을 거느렸다.[25] 과거 장악군에 속했던 현은 다음과 같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당양현堂陽縣싱타이 시 신허 현 북서서진초에 폐지되었던 당양현을 복구했다. 형구(荊丘)가 있다.
조강현棗强縣헝수이 시 짜오창 현서진시기 광천군에 통폐합되있었다가 415년(신서 2년) 광천현에 통폐합되었다. 498년(태화22년) 광천현이 복구되었다. 자조성(煑棗城)이 있다.
부류현扶柳縣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북서442년(태평진군 3년) 당양현을 통폐합했다가
삭노현索盧縣서진시기 광천군에 속했다가 415년 광천현을 통폐합했다. 498년 복구되었다. 삭노성이 있다.
광천현廣川縣헝수이 시 짜오창 현 동
남궁현南宮縣싱타이시 난궁 시 북서서진에서 폐지됐던 것을 복원했다.
신도현信都縣헝수이 시 지저우 구무양성(武陽城), 안성(安城), 그리고 피양성(辟陽城)이 있으며 기주 자사부가 있는 곳이다.
하박현下博縣헝수이 시 선저우 시 동


2. 6. 수

수나라는 583년(개황 3년) 군제를 폐지하면서 장락군을 폐지, 기주(冀州)에 편입시켰다.[18] 607년(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기주는 신도군(信都郡)으로 개칭되었다.[18] 신도군은 장락(長樂), 당양(堂陽), 형수(衡水), 조강(棗强), 무읍(武邑), 무강(武强), 남궁(南宮), 빈강(賔强), 녹성(鹿城), 하박(下博), 조(蓚), 부성(阜城)의 12개 현을 관할했다.[18]

621년(무덕 4년), 당나라가 두건덕을 평정하면서 신도군은 기주로 개칭되었다.[19] 742년(천보 원년), 기주는 신도군으로 개칭되었다가,[19] 758년(건원 원년) 다시 기주로 개칭되면서 신도군의 이름은 사라졌다.[19]

수나라때 신도군(信都郡)은 12현 168,718호를 거느렸다.[26]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장악현長樂縣헝수이 시 지저우 구북제에서 부류현을 통폐합했다. 개황초에 폐현되었다가 신도현에서 장악현을 분리신설하면서 등장했다. 그리고 596년(개황 16년) 본현에서 담성현(潭城縣)을 분리신설했다. 대업초에 담성현은 폐지되었고 신도군을 세웠다.
당양현堂陽縣싱타이 시 신허 현 북서북제시기 폐지되었다가 596년 복구되었다.
형수현衡水縣헝수이 시 서596년 설치되었으며 헝수이 시의 전신이다.
조강현棗强縣헝수이 시 짜오창 현 동북제에서 삭노현, 광천현을 통폐합시켰다.
무읍현武邑縣헝수이 시 우이 현북제에서 폐지된 것을 586년(개황 6년) 복구되었다. 그리고 북제 관진현의 고지를 흡수했다. 596년 무강현에서 창정현(昌亭縣)을 분리신설했으나 대업초에 폐지되었다.
무강현武强縣헝수이 시 우창 현 서남무읍군의 치소가 있었다. 북제에서 무읍군을 폐지한 뒤 무수현을 통폐합했다.
남궁현南宮縣싱타이 시 난궁 시 북서북제에서 폐지했다가 586년 복구되었다.
녹성현鹿城縣헝수이 시 선저우 시 서북제에서 교현(鄥縣)을 안국현(安國縣)으로 개명했고 586년 안정현(安定縣)으로 개명했다. 598년(개황 18년)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596년 안성현(晏城縣)을 설치했다가 대업초에 폐지했다.
하박현下博縣헝수이 시 선저우 시 동남
수현蓚縣헝수이 시 징 현585년(개황 5년) 수현(脩縣)에서 수현(蓚縣)으로 바뀌었다. 596년 관진현(觀津縣)을 분리신설했으나 대업초에 폐지했다.
부성현阜城縣헝수이 시 푸청 현


2. 7. 당

기주 참조.

3. 장관

3. 1. 광천상

신도강후(新都彊侯) 강(彊)은 기원전 71년 당시의 인물이다. 충랑은 기원전 52년에 사망하였다.

3. 2. 신도태수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Han
[3] 서적 Book of Later Han
[4] 서적 Book of Han
[5] 서적 Book of Later Han
[6] 서적 Book of Wei
[7] 서적 Book of Jin
[8] 서적 New Book of Tang
[9] 서적 漢書
[10] 서적 漢書
[11] 서적 漢書
[12] 서적 後漢書
[13] 서적 後漢書
[14] 서적 後漢書
[15] 서적 晋書
[16] 서적 晋書
[17] 서적 魏書
[18] 서적 隋書
[19] 서적 旧唐書
[20]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21] 서적 한서
[22]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23] 문서 無蔞亭이라고 적기도 했다
[24]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25]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26]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