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윤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윤호는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다. 충암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4년 LG 트윈스에 입단하여 1995년 1군에 데뷔했다. 2001년 세이브 1위, 다승 공동 1위, 승률 1위를 기록하며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으나, 이후 부진을 겪었다. 2008년 SK 와이번스로 이적했지만 팔꿈치 부상으로 은퇴했다. 2013년 SK 와이번스에 복귀하여 2014년 시즌 후 방출되었다. 은퇴 후에는 LG 트윈스 관련 상품을 개발하고, 충암중학교 야구부 인스트럭터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청구초등학교 동문 - 권광민
권광민은 2008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 시카고 컵스, 질롱 코리아, 스코어본 하이에나들을 거쳐 2022년 한화 이글스에 재입단하여 1군 무대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선수이다. - 서울청구초등학교 동문 - 김동규 (야구 선수)
김동규는 2023년 LG 트윈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 키움 히어로즈로 이적했으며, 서울청구초등학교, 영남중학교, 성남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23년과 2024년 두 시즌 동안 6경기에 출전한 대한민국 야구 선수이다. - KBO 세이브상 수상자 - 선동열
선동열은 아마추어 시절부터 야구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MVP를 수상했고, KBO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KBO 리그 통산 평균자책점 1.20, WHIP 0.80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웠으며, 은퇴 후에는 프로 야구팀 감독과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위원 겸 KBO 기술위원이다. - KBO 세이브상 수상자 - 오승환
오승환은 대한민국 출신의 야구 선수로, 투수로서 KBO, NPB, MLB에서 활약했으며, KBO 통산 300세이브를 최초로 달성하고 한미일 통산 400세이브를 기록했다. - KBO 승률상 수상자 - 선동열
선동열은 아마추어 시절부터 야구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MVP를 수상했고, KBO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KBO 리그 통산 평균자책점 1.20, WHIP 0.80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웠으며, 은퇴 후에는 프로 야구팀 감독과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위원 겸 KBO 기술위원이다. - KBO 승률상 수상자 - 오승환
오승환은 대한민국 출신의 야구 선수로, 투수로서 KBO, NPB, MLB에서 활약했으며, KBO 통산 300세이브를 최초로 달성하고 한미일 통산 400세이브를 기록했다.
신윤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선수명 | 신윤호 |
원어명 | Shin Yun-Ho |
국적 | 대한민국 |
출신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신장 | 186 |
체중 | 85 |
수비 위치 | 투수 |
투구 | 우 |
타석 | 우 |
프로 입단 연도 | 1994년 |
드래프트 순위 | 1994년 고졸우선지명 (LG 트윈스) |
첫 출장 | KBO / 1995년 |
마지막 경기 | KBO / 2014년 9월 10일 사직 대 롯데전 구원 |
계약금 | 8,800만원 |
연봉 | |
선수 경력 | |
선수 경력 | LG 트윈스 (1994년 ~ 2008년) SK 와이번스 (2008년, 2014년) |
획득 타이틀 | |
획득 타이틀 | KBO 다승·승률 1위, 골든 글러브(2001) 골든 글러브(2001) |
2. 선수 경력
신윤호는 충암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졸우선 지명을 받아 1994년 LG 트윈스에 입단하였다. 1995년 처음으로 1군에 올라왔으나, 루키 시절에는 특별한 성적을 내지 못했다. 1996년 말 현역으로 입대해 철원에서 복무하다가 허리 부상으로 의병 제대하였다.[1] 김성근 감독 대행 부임 이후 기량이 향상되어, 2001년 32SP(18세이브, 14구원승)로 세이브 1위, 15승 6패를 기록하며 손민한과 함께 공동 다승 1위와 승률 1위(0.714)를 달성, 3관왕에 올랐다. 평균자책점은 리그 2위였다. 그해 골든 글러브 투수 부문을 수상했고, MVP 부문은 이승엽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2002년에는 부진하였고, 2008년 시즌 중 방출되었다. 이후 SK 와이번스로 이적하였으나 별다른 활약 없이 팔꿈치 부상으로 은퇴했다. 2013년 10월 27일 SK 와이번스에 복귀하였으나,[2] 2014년 시즌 후 방출되었다. 14시즌 동안 통산 275경기에 등판해 28승 20패, 28세이브, 6홀드, 296탈삼진, 5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 1. LG 트윈스 시절
충암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졸우선 지명을 받아 1994년에 입단하였다. 1995년에 처음으로 1군에 올라왔으나, 루키 시절에는 특별한 성적을 내지 못했다. 1996년 말에 현역으로 입대해 철원에서 복무하다가 허리 부상으로 의병 제대하였다.[1] 당시 수석코치였던 김성근이 감독 대행을 맡은 후 기량이 많이 향상되어, 2001년에는 32SP(18세이브, 14구원승)로 세이브 1위, 15승 6패를 달성하며 손민한과 함께 공동 다승 1위와 승률 1위(0.714)를 기록하며 3관왕에 올랐다. 평균자책점은 리그 2위였다. 그 활약으로 그 해 골든 글러브 투수 부문을 수상했고, MVP 부문은 이승엽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다음 해인 2002년에는 4승 3패, 1세이브, 6점대 평균자책점 6.45를 기록하며 다시 내리막길을 걸었고, 2008년 시즌 중 방출됐다.2. 2. SK 와이번스 시절
김성근 감독이 이끌던 SK 와이번스로 이적하였으나 별다른 활약 없이 팔꿈치 부상으로 그 해 1군 2경기에 그친 후 은퇴했다.2. 3. SK 와이번스 복귀
2013년 10월 27일에 입단 테스트를 거쳐 SK 와이번스에 복귀하였다.[2] 2014년 시즌 후반기 2경기에 등판해 승패 없이 9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고 시즌 후 방출되었다. 14시즌 동안 통산 275경기에 등판해 28승 20패, 28세이브, 6홀드, 296탈삼진, 5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3. 야구선수 은퇴 후
은퇴한 뒤 친형인 신재승이 운영하는 실사 출력 전문 업체에 입사해 LG 트윈스 관련 상품을 개발했다. 이후 충암중학교 야구부 인스트럭터 및 사회인 야구를 계속해 오다가 2013년에 한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현역 복귀를 선언했다.
4. 출신 학교
참조
[1]
뉴스
2001 프로야구 투수 3관왕 LG 신윤호
http://sports.news.n[...]
동아일보
[2]
뉴스
신윤호, 은퇴 후 5년 만에 SK 복귀‥ 투수 3관왕 실력 보여주나
https://news.naver.c[...]
한국경제T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