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촌동 (서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촌동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속하는 행정동으로, 조선시대 새터말에서 유래했다. 1914년 고양군 신촌리가 되었고, 1936년 경성부에 편입되어 신촌정이 되었다가, 1946년 신촌동으로 개칭되었다. 현재 대현동, 대신동, 신촌동, 봉원동, 창천동 등 5개의 법정동을 관할한다. 서울 지하철 2호선과 경의선 신촌역이 위치하며, 신촌로에는 보행자 전용거리가 조성되어 있다.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가 위치하며, 젊은 층을 위한 상업 시설과 유흥 시설이 밀집해 있다. 또한 세브란스병원이 위치하며, 드라마 가을동화 촬영지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서대문구의 행정동 - 충현동
충현동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하며, 충정로동과 북아현3동이 통합되어 2008년 5월에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의소 세손 묘소와 관련된 지명 유래 및 지용 소공원 등의 명소가 있다. - 서울 서대문구의 행정동 - 북아현동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북아현동은 일제강점기 북아현정으로 불리다 1946년에 명칭이 변경되었고, 1964년 마포구 아현동 일부를 편입했으며, 교육기관과 아현가구거리, 아현웨딩거리 등의 명소가 있다. - 서울 서대문구의 행정 구역 - 홍제동 (서울)
홍제동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하며, 중국 사신이 머물던 홍제원에서 이름이 유래했고, 서울 지하철 3호선 역과 무악재 고개가 있는 지역이다. - 서울 서대문구의 행정 구역 - 충정로 (서울)
충정로는 서울 서대문구 아현삼거리에서 서대문역을 잇는 도로로, 민영환의 시호에서 유래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다케조에마치로 불렸다가 1946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 1984년 도로 구간 단축, 2010년 2개 이상 자치구 도로 고시, 2014년 버스전용차로 개통 등의 변화를 거쳤다. - 서울 서대문구의 법정동 - 홍제동 (서울)
홍제동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하며, 중국 사신이 머물던 홍제원에서 이름이 유래했고, 서울 지하철 3호선 역과 무악재 고개가 있는 지역이다. - 서울 서대문구의 법정동 - 봉원동
신촌동 (서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한글 표기 | 신촌동 |
한자 표기 | 新村洞 |
로마자 표기 | Sinchon-dong |
면적 | 2.63 |
세대 | 10,757 |
세대 조사일 | 2012.12.31. |
인구 | 20,009 |
인구 조사일 | 2022년 2월 |
법정동 | 대현동 대신동 신촌동 봉원동 창천동 |
통 | 37 |
반 | 238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92-8 |
동주민센터 홈페이지 | 신촌동 주민센터 |
![]() | |
행정 정보 |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시군구 | 서대문구 |
2. 유래 및 역사
1940년 7월 경성부 북부출장소 신촌정이 되었다가, 1943년 6월 경성부 서대문구역소 신촌정, 1945년 10월 구제(區制) 실시로 신설된 서대문구 신촌정이 되었다.[1]
2. 1. 유래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북부(西部) 연희방(延禧坊)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연희방 새터말이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에 편입되면서 고양군 신촌리가 되었다가, 1936년 1월 경성부 지역 확장으로 경성부에 편입되어 일본식 지명인 신촌정이 되었다.[1]1946년 10월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정(町)을 동(洞)으로 고칠 때 신촌동이 되었다.[1]
대골, 홍부뒷골 등의 자연마을과 버리고개, 알젓고개 등의 고개가 있었다. 버리고개는 수경원(綏慶園), 즉 장헌세자의 생모 영빈 이씨 무덤의 주룡(主龍)이므로 이 고개를 넘어가는 사람은 불경죄로 벌을 받았다는 데서 명칭이 유래한다. 신촌동 명칭은 조선시대 ‘새터말’이라 부르던 것을 한자명으로 ‘신촌’이라 표기한 데서 유래되었다.[1]
2. 2. 일제강점기
조선시대 한성부 북부(西部) 연희방(延禧坊)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연희방 새터말이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에 편입되면서 고양군 신촌리가 되었다가 1936년 1월 경성부의 지역 확장으로 경성부에 편입되어 일본식 지명인 신촌정이 되었다.[1]대골, 홍부뒷골 등의 자연마을, 버리고개, 알젓고개 등의 고개가 있었다. 버리고개는 수경원(장헌세자의 생모 영빈 이씨 무덤)의 주룡(主龍)이므로 이 고개를 넘어가는 사람은 불경죄로 벌을 받았다는 데서 명칭이 유래한다. 신촌동 명칭은 조선시대 ‘새터말’이라 부르던 것을 한자명으로 ‘신촌’이라 표기한 데서 유래되었다.[1]
2. 3. 해방 이후
1945년 10월 구제(區制) 실시로 신설된 서대문구 신촌정이 되었다.[1] 1946년 10월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정(町)을 동(洞)으로 고칠 때 신촌동이 되었다.[1]대골, 홍부뒷골 등의 자연마을, 버리고개, 알젓고개 등의 고개가 있었다.[1] 버리고개는 수경원(장헌세자의 생모 영빈 이씨 무덤)의 주룡(主龍)이므로 이 고개를 넘어가는 사람은 불경죄로 벌을 받았다는 데서 명칭이 유래한다.[1] 신촌동 명칭은 조선시대 ‘새터말’이라 부르던 것을 한자명으로 ‘신촌’이라 표기한 데서 유래되었다.[1]
2. 4. 행정 구역 변천
조선시대에 한성부 북부(西部) 연희방(延禧坊)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연희방 새터말이 경기도 고양군(高陽郡) 연희면에 편입되면서 고양군 신촌리가 되었다가 1936년 1월 경성부의 지역 확장으로 경성부에 편입되어 일본식 지명인 신촌정이 되었다.[1]1940년 7월 경성부 북부출장소 신촌정, 1943년 6월 경성부 서대문구역소 신촌정, 1945년 10월 구제(區制) 실시로 신설된 서대문구 신촌정이 되었다. 1946년 10월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정(町)을 동(洞)으로 고칠 때 신촌동이 되었다.[1]
2008년 5월 6일 신촌동과 행정동 대신동, 창천동을 통합하였다.[1]
날짜 | 내용 |
---|---|
2008년 5월 6일 | 대신동과 창천동이 통합하여 신촌동으로 명칭 변경 (조례 제765호) |
1962년 12월 28일 | 대신동 신설 |
1946년 | 현재의 대현동, 대신동, 봉원동, 신촌동으로 명명 |
1914년 |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대현리와 신촌리, 봉원리가 1936년 경성부 대현정과 신촌정, 봉원정으로 변경 |
행정동 신촌동은 5개의 법정동을 관할한다. 관할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1]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은 이대역과 홍대입구역 사이에 있다. 경의선 신촌역은 서울역과 가좌역 사이에 있으며, 서울과 도라산역을 연결한다.[1]
3. 행정 구역
4. 교통
주요 버스 정류장/터미널은 신촌 로터리에서 남쪽(여의도 방향)으로 약 100m 떨어진 경찰서 근처에 있다. 110A영어번 버스는 이태원으로 가며, 현대백화점 근처에서 탈 수 있다.
서울 최초이자 대구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2014년 1월 신촌로에 보행자 전용거리가 개장했다. 차도는 4차선에서 2차선으로 줄었고, 인도와 보행자 구역이 크게 확장되었다.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이 거리는 15인승 이상 버스, 보행자 및 자전거만 통행할 수 있다.[1]
4. 1. 지하철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은 이대역과 홍대입구역 사이에 있다.
경의선 신촌역은 서울역과 가좌역 사이에 있으며, 서울과 도라산역을 연결한다.[1]
4. 2. 버스
주요 버스 정류장/터미널은 신촌 로터리에서 남쪽(여의도 방향)으로 약 100m 떨어진 경찰서 근처에 있다. 110A영어번 버스는 이태원으로 가며, 현대백화점 근처에서 탈 수 있다.
서울 최초이자 대구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신촌로에 2014년 1월에 개장한 보행자 전용거리가 있다. 차도는 4차선에서 2차선으로 줄었고, 인도와 보행자 구역이 크게 확장되었다.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이 거리는 15인승 이상 버스, 보행자 및 자전거만 통행할 수 있다.[1]
4. 3. 대중교통전용지구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은 이대역과 홍대입구역 사이에 있다.
경의선 신촌역은 서울과 도라산역을 연결하며, 서울역과 가좌역 사이에 있다.
주요 버스 정류장/터미널은 신촌 로터리에서 남쪽(여의도 방향)으로 약 100m 떨어진 경찰서 근처에 있다. 110A번 버스는 이태원으로 가며, 현대백화점 근처에서 탈 수 있다.
서울 최초이자 대구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2014년 1월 신촌로에 보행자 전용거리가 개장했다. 차도는 4차선에서 2차선으로 줄었고, 인도와 보행자 구역이 크게 확장되었다.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이 거리는 15인승 이상 버스, 보행자 및 자전거만 통행할 수 있다.[1]
5. 명소 및 문화
신촌은 서울의 번화한 지역으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여러 백화점, 영화관, 쇼핑 지역이 있다. 연세로는 차 없는 거리로 지정되어 있다. 밤에는 네온사인으로 가득한 거리에 바, 노래방, PC방, DVD방, 포켓볼장과 식당들이 즐비한 주요 유흥가 중 하나이기도 하다.
5. 1. 상업 시설
신촌은 서울의 번화한 지역으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여러 백화점, 영화관, 쇼핑 지역이 있다.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 서강대학교, 명지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가 인근에 있다. 신촌은 밤에는 네온사인으로 가득한 거리에 바, 노래방, PC방, DVD방, 포켓볼장과 식당들이 즐비한 주요 유흥가 중 하나이기도 하다. 한국 최대 규모의 병원 중 하나인 세브란스병원은 신촌의 연세대학교와 연계되어 있다.현대백화점과 지상 통로로 연결된 Uplex도 이곳에 있다.[2]
5. 2. 교육 기관
신촌 지역은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 서강대학교, 명지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가 밀집해 있어 대학가로 유명하다.[2] 연세대학교와 연계된 세브란스병원은 한국 최대 규모의 병원 중 하나이다.[2]5. 3. 유흥 시설
신촌은 서울의 번화한 지역으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여러 백화점, 영화관, 쇼핑 지역이 있다. 또한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 서강대학교, 명지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가 인근에 있다. 신촌은 밤에는 네온사인으로 가득한 거리에 바, 노래방, PC방, DVD방, 포켓볼장과 식당들이 즐비한 주요 유흥가 중 하나이기도 하다.[2]5. 4. 의료 시설
세브란스병원은 연세대학교와 연계된 한국 최대 규모의 병원 중 하나로 신촌에 있다.[2]6. 대중문화 속 신촌
이화여자대학교 주변 거리와 지역은 SBS의 2001년 드라마 《가을동화》(이병헌, 최지우, 류시원, 신민아, 이정현, 이유진 주연)의 촬영지로 사용되었다.[3]
7. 국제 협력
참조
[1]
웹사이트
Yonsei-ro, Seoul’s First Transit Mall
http://kojects.com/2[...]
2014-07-17
[2]
웹사이트
Hyundai Department Stores-Shinchon location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Beautiful Days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2-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