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트트라위던 VV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트트라위던 VV는 1924년 창단된 벨기에의 축구 클럽으로, 노란색과 파란색을 팀 색상으로 사용한다. 1966년 벨기에 1부 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1999년 벨기에 리그 컵에서 우승했다. 2017년 일본의 DMM 그룹이 구단을 인수하면서 일본 기업의 유럽 축구 클럽 운영 사례가 되었고, 데상트, 레벨 파이브 등 일본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현재 선수단에는 오가와 료야, 타니구치 쇼고 등 일본 선수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과거에는 레오폴트 아펠탄스, 오노 유지, 토미야스 타케히로, 엔도 와타루, 카마다 다이치 등이 소속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림뷔르흐주 (벨기에)의 스포츠 - K. 베를링언-호이스든-졸더
K. 베를링언-호이스든-졸더는 벨기에 축구 클럽으로, 1996-97 시즌 4부 리그 우승 후 3부 리그로 승격, K.F.C. 헬졸트와 합병하여 이름을 변경하고 1부 리그까지 승격했으나 재정난으로 2006년 해산되었으며, 이후 베르켄보스 V.V.가 KVV 호이스든-졸더로 명칭을 변경하여 클럽의 정체성을 계승했다. - 벨기에 프로 리그 구단 - RSC 안데를레흐트
RSC 안데를레흐트는 1908년에 창단된 벨기에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벨기에 프로 리그에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며, UEFA 컵 위너스컵 2회, UEFA컵 1회 우승을 차지했고, 로또 파크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벨기에 프로 리그 구단 - KRC 헹크
KRC 헹크는 1988년 창단된 벨기에의 축구 클럽으로, 벨기에 1부 리그에서 4회, 벨기에 컵에서 5회 우승했으며, UEFA 챔피언스 리그와 유로파 리그에 참가하고, 케빈 데 브라위너, 티보 쿠르투아 등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다.
신트트라위던 VV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Koninklijke Sint-Truidense Voetbalvereniging |
별칭 | De Kanaries (카나리아) |
창단일 | 1924년 2월 23일 |
홈 구장 | 스타연 |
수용 인원 | 14,600명 |
구단주 | DMM.com |
감독 | 펠리스・마주 |
리그 | 벨기에 프로 리그 |
웹사이트 | stvv.com |
클럽 색상 | 노랑, 파랑 |
경기장 | |
경기장 명칭 | [[File:Stayen business seats.jpg|250px]]대왕 와사비 스타연 스타디움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stvv2324h pattern_b1: _stvv2324h pattern_ra1: _stvv2324h pattern_sh1: _stvv2122h pattern_so1: _bluetops leftarm1: FFFF00 body1: FFFF00 rightarm1: FFFF00 shorts1: 0000FF socks1: FFFF00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stvv2324a pattern_b2: _stvv2324a pattern_ra2: _stvv2324a pattern_sh2: _stvv2223a pattern_so2: _stvv2223a leftarm2: 000000 body2: 000000 rightarm2: 000000 shorts2: 000000 socks2: 000000 |
현재 시즌 | |
시즌 | 2024–25 신트트라위던 VV 시즌 |
리그 순위 (2023–24) | 벨기에 프로 리그, 16개 팀 중 9위 |
소유 정보 | |
법인명 | DMM.com |
대표 | 무라나카 유스케 |
2. 역사
신트트라위던 VV(STVV)는 1924년, 신트트라위던 지역의 두 클럽 FC Union과 FC Goldstar가 합병하여 창단되었다. 클럽의 상징색은 도시의 색을 따라 노란색과 파란색으로 정해졌으며, 창단 당시 이름은 Sint-Truidense Voetbal Vereenigingnld이었다.
초기에는 레오폴트 아펠탄스와 같은 선수들이 활약했으며, 1948년 아펠탄스는 클럽 소속 선수 최초로 벨기에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1947년 클럽명을 현재와 같은 Sint-Truidense Voetbalverenigingnld으로 변경하였고, 1952년에는 처음으로 1부 리그로 승격하였다.
1959년 부임한 레이몽 괴탈스 감독의 지휘 아래 1966년 1부 리그 준우승이라는 구단 역사상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 1부와 2부를 오가는 시기를 겪기도 했으나, 1999년 벨기에 리그 컵 우승, 2008-09 시즌 벨기에 2부 리그 우승 및 2015년 1부 리그 재승격 등 꾸준히 성과를 내며 벨기에 축구계에서 입지를 다져왔다. 2008년에는 여자 축구팀 FCL 라피드 베제마알이 STVV 산하로 통합되었다.
2017년 11월, 일본의 DMM.com 그룹이 구단 경영권을 인수하며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는 일본 기업이 유럽 축구 클럽을 인수한 첫 사례로, 이후 STVV는 일본 선수들의 유럽 진출 교두보 역할을 하기도 했다.
2. 1. 창단 초기 (1924~1950년대)

신트트라위던 VV는 1924년, 신트트라위던의 두 클럽인 FC Union과 FC Goldstar가 합병하여 창단되었다. 클럽의 색상은 도시의 색상을 따라 노란색과 파란색으로 정해졌으며, 창단 당시 이름은 Sint-Truidense Voetbal Vereenigingnld이었다. 팀의 첫 경기는 세르클 톤게렌을 상대로 치러졌으나, 관중은 단 9명에 불과했다.
1930년대 후반부터 레오폴트 아펠탄스가 팀의 주요 선수로 활약하기 시작했다. 그는 1948년 11월 21일, 클럽 소속 선수로는 처음으로 벨기에 국가대표팀에 발탁되는 영예를 안았다.
1940년대 후반, 클럽은 벨기에 2부 리그로 승격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1947년에는 클럽 이름을 현재와 같은 Sint-Truidense Voetbalverenigingnld(신트트라위던 VV)로 변경했다. 이후 2부 리그에서 꾸준히 경쟁한 끝에, 5년 뒤인 1952년 리그 2위를 차지하며 창단 후 처음으로 1부 리그로 승격하는 데 성공했다.
2. 2. 레몽 괴탈스 감독 시대 (1959~1966)
1959년, 성공적인 감독 레이몽 괴탈스가 신트트라위던의 지휘봉을 잡았다. 그의 지도 아래 팀은 1965-66 벨기에 디비전 1 시즌 벨기에 1부 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구단 역사상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1]2. 3. 1970년대~2010년대: 부침의 시기
1966년 1부 리그에서 2위를 차지하며 성공적인 시기를 보낸 이후[1], 신트트라위던은 한동안 이전과 같은 꾸준한 성적을 유지하지 못하고 1부 리그와 2부 리그를 오가는 등 부침을 겪었다.
그러던 중 1999년 벨기에 리그 컵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잠시 성공을 맛보기도 했다.[2]
2000년대 들어서도 팀은 다소 불안정한 시기를 보냈다. 2001년에는 과거 팀의 골키퍼였던 자키 마티센이 감독으로 부임하여 3시즌 동안 팀을 이끌었으나, 이후 샤를루아로 떠났다.[1] 그의 후임으로 마르크 빌모츠가 임명되었지만 오래지 않아 해고되었고, 이후 가이 망겔쇼츠, 에디 레이마케르스, 피터 푸츠 세 명의 코칭 스태프가 임시로 팀을 지휘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1] 2004-05 시즌이 끝난 후에는 오스텐더 감독이었던 헤르만 페르뮐렌을 선임했으나, 팀 성적이 17위에 머무르자 2006년 2월 9일 결국 해임되었다.[1]

이처럼 잦은 감독 교체 등 어려움 속에서도 2008-09 시즌에는 벨기에 2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다시 1부 리그로 승격하는 성과를 거두었다.[3] 또한 2008년에는 FCL 라피드 베제마알의 여자 축구팀이 STVV 산하로 편입되기도 했다.[1]
2. 4. 일본 기업 인수와 변화 (2017~현재)
2017년 11월 15일, 일본의 전자상거래 기업인 DMM.com이 신트트라위던의 경영권을 인수했다. 이는 일본 기업으로서는 처음으로 유럽 축구 클럽의 경영권을 취득한 사례이다.[1] DMM은 벨기에 리그가 영어가 널리 사용되고, 실질적으로 외국인 선수 제한이 없으며, 유럽 각지로의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본인 축구 선수의 성장에 최적의 환경이라고 판단하여 인수를 결정했다.[1] DMM 인수 이후, 신트트라위던은 일본 선수들의 유럽 진출 교두보 역할을 하기도 했다.DMM 인수 이후 여러 일본 기업들이 스폰서로 참여하기 시작했다.
계약 연도 | 기업명 | 주요 내용 |
---|---|---|
2018년 6월 | 데상트 | 공식 용품 후원 계약 (엄브로 브랜드)[2] |
2018년 7월 | 레벨 파이브 | 공식 스폰서 계약 (유니폼 이나즈마 일레븐 로고)[3] |
2018년 9월 | 스카이퍼! JSAT | 파트너십 체결[4] |
2018년 9월 | H.I.S. | 파트너십 체결 (2018-2019 시즌 공식 관전 투어 실시)[5] |
2019년 7월 | 아사히카세이 그룹 | 공식 스폰서 계약 (아사히카세이 유럽, 아사히카세이 바이오프로세스 유럽, 아사히 포토 프로덕츠)[6] |
2020년 12월 | IKEUCHI ORGANIC | 공식 타월 스폰서 계약 (닛폰 방송 "올나잇 닛폰" 협업)[7] |
2022년 8월 30일에는 클럽의 이미지 걸로서 "신트트라위던 걸스"가 결성되었다.[8]
3. 역대 성적
시즌 디비전 벨기에 컵 리그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순위 2007-08 주필러 리그 34 6 9 19 32 58 27 17위 6라운드 탈락 2008-09 EXQI 리그 36 24 8 4 72 29 80 1위 5라운드 탈락 2009-10 주필러 프로 리그 28 12 6 10 35 35 42 5위 6라운드 탈락 2010-11 30 8 5 17 20 51 29 12위 6라운드 탈락 2011-12 30 3 10 17 32 61 19 16위 7라운드 탈락 2012-13 벨가콤 리그 34 17 6 11 54 36 57 4위 8강 탈락 2013-14 34 20 7 7 51 31 67 3위 4라운드 탈락 2014-15 34 24 7 3 62 28 79 1위 6라운드 탈락 2015-16 주필러 프로 리그 30 8 6 16 28 47 30 13위 7라운드 탈락 2016-17 30 8 6 16 35 48 30 12위 8강 탈락 2017-18 30 9 10 11 29 41 37 10위 7라운드 탈락 2018-19 30 12 11 7 47 36 47 7위 8강 탈락 2019-20 29 9 6 14 36 53 33 12위 7라운드 탈락 2020-21 34 10 8 16 41 52 38 15위 7라운드 탈락 2021-22 34 15 6 13 42 40 51 9위 6라운드 탈락 2022-23 34 11 9 14 37 40 42 12위 8강 탈락 2023-24 30 10 10 10 35 46 40 9위 16강 탈락
3. 1. 벨기에 국내 대회
3. 2. 유럽 대항전
신트트라위던 VV는 UEFA 인터토토컵에 총 2회 참가하였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통산 8경기를 치러 5승 3패, 15득점 8실점을 기록했다.
시즌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팀 | 홈 | 원정 | 합계 |
---|---|---|---|---|---|---|
1999 | UEFA 인터토토컵 | 1라운드 | 불가리아 스파르타크 바르나 | 6-0 | 2-1 | 8-1 |
2라운드 | 아르메니아 아라라트 예레반 | 3-1 | 2-0 | 5-1 | ||
3라운드 |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빈 | 2-1 | 0-2 | 2-3 | ||
2003 | UEFA 인터토토컵 | 2라운드 | 카자흐스탄 토볼 | 0-2 | 0-1 | 0-3 |
4. 선수단
신트트라위던 VV의 선수단은 벨기에 자국 선수를 중심으로 일본, 독일, 미국 등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일본 선수들이 다수 포함되어 활동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14][15] 자세한 현재 선수 명단 및 주요 과거 소속 선수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9월 6일 기준)
등번호 | 포지션 | 국적 | 선수명 | 비고 |
---|---|---|---|---|
2 | DF | 일본 | 오가와 료야 | ★ |
4 | DF | 알제리 | 지네딘 벨라드 | ★ |
5 | DF | 일본 | 타니구치 쇼고 | ★ |
6 | MF | 일본 | 야마모토 리히토 | ★ |
7 | MF | 알제리 | 빌랄 브라히미 | OGC 니스에서 임대 ★ |
8 | MF | 일본 | 후지타 조엘 치마 | ★ |
9 | FW | 우루과이 | 안드레스 페라리 | 비야레알 CF에서 임대 ★ |
11 | MF | 아르헨티나 | 이사이어스 델푸포 | |
12 | GK | 벨기에 | 조 코펜스 | |
13 | MF | 일본 | 이토 료타로 | ★ |
14 | MF | 벨기에 | 올리비에 뒤몽 | |
15 | FW | 미국 | 카베 자히로레슬람 | ★ |
16 | GK | 일본 | 레오 코쿠보 | ★ |
19 | DF | 벨기에 | 루이 파트리스 | R.S.C. 안데를레흐트에서 임대 |
20 | DF | 벨기에 | 레인 판 헬덴 | |
21 | GK | 벨기에 | 맛 레데파스 | |
22 | DF | 벨기에 | 볼케 얀센스 | |
23 | FW | 가나 | 조셀포 반스 | ★ |
24 | DF | 벨기에 | 데이비드 민돔베 | |
25 | DF | 벨기에 | 트리스탄 튜키 | |
27 | DF | 토고 | 프레데릭 아나누 | ★ |
31 | DF | 벨기에 | 브루노 고도 | 주장 |
33 | DF | 벨기에 | 알로이스 디리켄 | |
34 | DF | 벨기에 | 휴고 람보테 | |
37 | MF | 벨기에 | 아르투르 알렉시 | |
51 | GK | 벨기에 | 매트 렌드퍼스 | |
53 | FW | 벨기에 | 아담 나일리 | |
60 | MF | 벨기에 | 로버트-얀 판웨세마엘 | |
91 | FW | 벨기에 | 아드리아노 베르타치니 |
참고: 선수의 국적 표기는 국제 축구 연맹(FIFA)의 규정에 따른 대표팀 자격 규칙에 따른다.
★ 표시는 EU 외 국적 선수를 나타낸다.
4. 2. 주요 과거 소속 선수
- 일본 오노 유지 (2015-2016): 활동했다.
- 일본 토미야스 타케히로 (2018-2019): 신트트라위던에서 활약하며 유럽 무대에 데뷔했다. 이후 아스널로 이적하여 프리미어 리그에서 뛰는 등 성장세를 보였다.
- 일본 엔도 와타루 (2018-2020): 신트트라위던에서 뛰며 유럽 무대 경쟁력을 보였고, 이후 슈투트가르트를 거쳐 리버풀로 이적하여 2023-2024 시즌 EFL컵 우승에 기여했다.
- 일본 카마다 다이치 (2018-2019): 신트트라위던에서 임대 선수로 뛰며 공격형 미드필더로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후 프랑크푸르트에서 UEFA 유로파리그 우승을 경험했다.
- 일본 슈미트 다니엘 (2019-2023): 팀의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 일본 카가와 신지 (2022): 잠시 팀에 합류하여 경험을 더했다.
- 일본 오카자키 신지 (2022-2024): 베테랑 공격수로 활약하며 팀에 기여했다.
5. 역대 감독
감독 | 국적 | 임기 | 비고 |
---|---|---|---|
레몽 괴탈스 | 벨기에 | 1959–1966 | 팀의 전성기를 이끈 명장 |
워드 폴카르트 | 벨기에 | 1966–1969 | |
마르셀 페르캄멘 | 벨기에 | 1971–1973 | |
헤라르트 베르골츠 | 네덜란드 | 1979–1981 | |
빌프리트 판 모어 | 벨기에 | 1982–1984 | |
에릭 판레센 | 벨기에 | 1984–1985 | |
가이 망겔쇼츠 | 벨기에 | 1986–1990 | |
발터 메위스 | 벨기에 | 1990–1991 | |
오딜롱 폴레니스 | 벨기에 | 1991–1992 | |
루디 리벤스 & 마레크 즈유바 | 벨기에 & 폴란드 | 1992 | 공동 감독 |
알베르트 판 마르케 | 벨기에 | 1992 | |
마르틴 리펜스 | 벨기에 | 1992–1993 | |
가이 망겔쇼츠 | 벨기에 | 1992–1996 | 두 번째 임기 |
빌프리트 슬뢰르스 | 벨기에 | 1996 | |
프레디 스메츠 | 벨기에 | 1996–1997 | |
가이 망겔쇼츠 | 벨기에 | 1997 | 세 번째 임기 |
배리 헐쇼프 | 네덜란드 | 1997–1998 | |
폴 페테르스 | 벨기에 | 1998–1999 | |
윌리 레이데르스 | 벨기에 | 1999–2001 | |
쥘 크네펜 | 벨기에 | 2001 | |
재키 마티센 | 벨기에 | 2001–2004 | |
마르크 빌모츠 | 벨기에 | 2004–2005 | |
헤르만 페르뮐렌 | 벨기에 | 2005–2006 | |
에디 레이마에커르스 & 피터 보에츠 | 벨기에 & 벨기에 | 2006 | 공동 감독 |
토마스 카르스 | 벨기에 | 2006 | |
피터 보에츠 | 벨기에 | 2006 | 두 번째 임기 |
헨크 하우워르트 | 네덜란드 | 2006–2007 | |
발레르 빌렌 | 벨기에 | 2007 | |
피터 보에츠 | 벨기에 | 2007 | 세 번째 임기 |
데니스 판 바이크 | 네덜란드 | 2007–2008 | |
귀도 브레포엘스 | 벨기에 | 2008–2011 | |
프랑키 판 데르 엘스트 | 벨기에 | 2011–2012 | |
귀도 브레포엘스 | 벨기에 | 2012–2013 | 두 번째 임기 |
야니크 페레라 | 벨기에 | 2013–2015 | |
크리스 올로린 | 아일랜드 | 2015–2016 | |
이반 레코 | 크로아티아 | 2016–2017 | |
틴틴 마르케스 | 스페인 | 2017 | |
요나스 더 로에크 | 벨기에 | 2017–2018 | |
마르크 브리스 | 벨기에 | 2018–2019 | |
니키 헤이엔 | 벨기에 | 2019 | 잠정 감독 |
밀로시 코스티치 | 슬로베니아 | 2020 | |
케빈 머스캣 | 오스트레일리아 | 2020 | 짧은 기간 재임 |
피터 마스 | 벨기에 | 2020–2021 | |
베른트 홀러바흐 | 독일 | 2021–2023 | |
토르스텐 핑크 | 독일 | 2023–2024 | |
크리스티안 라탄치오 | 이탈리아 | 2024 | |
펠리체 마주 | 벨기에 | 2024– |
6. 스폰서 및 파트너십
2017년 11월 15일, 일본의 EC 사이트를 운영하는 DMM 그룹이 일본 기업으로서는 처음으로 유럽 클럽인 신트트라위던 VV의 경영권을 취득했다고 발표했다. DMM은 영어가 널리 사용되고, 실질적으로 외국인 선수 제한이 없으며, 유럽 각지로의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벨기에 리그가 일본인 축구 선수의 성장에 최적이라고 판단하여 인수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 2018년 6월 19일: 데상트와 공식 서플라이어 계약을 체결하여 엄브로 브랜드의 유니폼을 착용하게 되었다.
- 2018년 7월: 후쿠오카의 게임 회사인 레벨 파이브와 공식 스폰서 계약을 맺었다. 유니폼 오른쪽 쇄골 부분에 레벨 파이브의 축구 게임인 "이나즈마 일레븐" 로고를 부착했다.
- 2018년 9월 27일: 스카이퍼! JSAT 주식회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 2018년 9월 28일: 주식회사 H.I.S.와 파트너십을 맺고, 2018-2019 시즌 공식 관전 투어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 2019년 7월 10일: 아사히카세이 그룹의 유럽 법인들(아사히카세이 유럽, 아사히카세이 바이오프로세스 유럽, 아사히 포토 프로덕츠)과 공식 스폰서 계약을 체결했다.
- 2020년 12월 17일: IKEUCHI ORGANIC과 공식 타월 스폰서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의 일환으로 닛폰 방송의 라디오 프로그램 "올나잇 닛폰"과 협력하여 특별 콜라보 타월을 발매하기도 했다.
7. 제휴 클럽
8. 이미지 걸
신트트라위던 걸스는 2022년부터 활동을 시작한 클럽 홍보대사이다. 역대 멤버는 다음과 같다.
연도 | 기수 | 활동 멤버 |
---|---|---|
2022년 | 초대 | 유키네 마리나, 카메자와 안나, 시타미츠 리코, 카와세 모에, 아야세 마오, 사유리, 후지타 카스미, 타치바나 시온 |
2023년 | 2대 | 카메자와 안나 (연임), 쿠로키 레이나, 아논, 요네쿠라 미유, 유미카와 이치카, 마츠다 란, 이치노세 노코 |
2024년 | 3대 | 사카이 유리야, 마츠시마 카논, 시미즈 니나, 아키모토 유리, 아카기 아리사 |
참조
[1]
웹사이트
Het Stayen
https://web.archive.[...]
2018-03-30
[2]
웹사이트
Eerste Elftal
https://stvv.com/nl/[...]
[3]
웹사이트
Het Stayen
https://web.archive.[...]
2018-03-30
[4]
문서
IPA-nl
[5]
웹사이트
DMMは、なぜシントトロイデンを買収した? 同社取締役が語る真意
https://www.football[...]
[6]
웹사이트
DMMグループがベルギー1部リーグに所属するクラブの経営権を取得。様々な面での国際交流も図る
http://japan.footbal[...]
FootballTribe
2017-11-16
[7]
웹사이트
日本企業初の欧州クラブ経営「ここから、世界へ」(DMM塩谷雅子)
https://jspin.mext.g[...]
스포츠庁
2020-07-20
[8]
문서
[9]
뉴스
レベルファイブがベルギー1部リーグ所属のサッカークラブ STVV(シント=トロイデンVV)とオフィシャルスポンサー契約を締結。『イナズマイレブン』がユニフォームスポンサーに!
http://www.level5.co[...]
レベルファイブ
2018-07-17
[10]
뉴스
日本人5選手所属のシントトロイデンがスカパー!とパートナーシップ締結…全試合中継が決定
https://web.gekisaka[...]
ゲキサカ
2018-09-27
[11]
뉴스
シント・トロイデンとH.I.S.がパートナーシップ締結、11月に観戦ツアー実施
https://www.soccer-k[...]
サッカーキング
2018-09-28
[12]
웹사이트
初代シントトロイデンガールズが決定!
https://stvvgirls.jp[...]
STVVガールズ OFFICIALSITE
2022-08-30
[13]
문서
[14]
웹사이트
FIRST TEAM
https://stvv.com/nl/[...]
シント=トロイデンVV
2024-08-30
[15]
웹사이트
選手・スタッフ
https://stvv.jp/team[...]
シント=トロイデンVV
2024-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