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한첩 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한첩 곤은 효종, 현종, 숙종, 인선왕후, 명성왕후, 인현왕후가 숙휘공주에게 보낸 한글 어찰 36통을 모아 엮은 책이다. 이 책에는 효종 어찰 2통, 현종 어찰 3통, 숙종 어찰 6통, 인선왕후 어찰 18통, 명성왕후 어찰 2통, 인현왕후 어찰 5통이 수록되어 있다. 정제현의 후손 정진석의 지문을 통해 제작 내력을 알 수 있으며, 국립청주박물관 소장의 숙명신한첩, 오죽헌시립박물관의 명안공주 관련 유물과 함께 조선 왕실 한글 어찰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간 - 숙명신한첩
    숙명신한첩은 조선 시대 서첩으로, 보물로 지정된 후 서첩의 성격과 내용에 따라 명칭과 번호가 변경 및 정정되었다.
  • 계명대학교 소장품 - 대장일람집
    대장일람집은 불교 경전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책으로, 고려본은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석가모니 부처의 계보와 수행, 불상 조성의 공덕 등을 다룬다.
  • 서간집 - 숙명신한첩
    숙명신한첩은 조선 시대 서첩으로, 보물로 지정된 후 서첩의 성격과 내용에 따라 명칭과 번호가 변경 및 정정되었다.
  • 서간집 - 빈센트 반 고흐의 편지
    빈센트 반 고흐의 편지들은 화가 빈센트 반 고흐가 가족, 동료들과 주고받은 서신으로, 그의 예술관, 인생관, 작품 활동에 대한 고민과 열정이 담겨 있으며, 반 고흐 미술관에 보관되어 연구 자료로 활용된다.
신한첩 곤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신한첩 곤
신한첩 곤
이름신한첩 곤
한자 표기宸翰帖 坤
유형보물
지정 번호1946
지정일2017년 10월 31일
주소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동산도서관 (신당동, 계명대학교성서캠퍼스)
시대조선시대
소유자계명대학교
관리자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수량1 첩
좌표
이전 정보
이름 (이전)신한첩-신한첩 곤
한자 표기 (이전)宸翰帖-宸翰帖 坤
유형 (이전)보물
번호 (이전)1629-2
지정일 (이전)2010년 1월 4일
해제일 (이전)2017년 10월 31일

2. 내용 구성

『신한첩 곤(宸翰帖 坤)』은 효종, 현종, 숙종, 효종비 인선왕후, 현종비 명성왕후, 숙종비 인현왕후가 효종의 넷째 딸 숙휘공주에게 보낸 한글 편지를 모은 어찰첩이다. 숙휘공주는 정제현과 혼인하였다.

이 첩은 정제현의 후손 정진석이 1802년에 쓴 한글 지문(識文)을 통해 제작 내력을 알 수 있으며, 숙명신한첩, 명안공주 관련 유물과 함께 조선 왕실의 한글 편지를 살펴볼 수 있는 귀한 자료이다.

수록된 어찰은 모두 36통으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보내는 사람관계받는 사람편수
효종아버지 : 딸숙휘공주2
인선왕후어머니 : 딸18
현종오빠 : 여동생3
명성왕후올케 : 시누이2
숙종조카 : 고모6
인현왕후조카며느리 : 시고모5


2. 1. 효종 어찰 (2통)

아버지로서 딸 숙휘공주에게 보내는 따뜻한 정이 담긴 어찰이다. 효종이 숙휘공주에게 보낸 어찰은 2통이다.

2. 2. 현종 어찰 (3통)

현종이 오빠로서 여동생 숙휘공주에게 보낸 다정한 어찰 3통이다.

2. 3. 숙종 어찰 (6통)

숙종이 고모인 숙휘공주에게 보낸 어찰 6통이다.[1] 조카로서 고모에게 안부와 존경을 담아 작성했다.[1]

2. 4. 인선왕후 어찰 (18통)

어머니로서 딸 숙휘공주에게 보내는 애틋한 마음이 담긴 어찰이다.

보내는 사람관계받는 사람편수
인선왕후어머니 : 딸숙휘공주18


2. 5. 명성왕후 어찰 (2통)

올케로서 시누이 숙휘공주에게 보내는 정중한 어찰이다.

2. 6. 인현왕후 어찰 (5통)

인현왕후가 조카며느리로서 시고모 숙휘공주에게 보낸 공손한 어찰 5통이다.

3. 제작 내력 및 가치

宸翰帖 坤중국어은 효종, 현종, 숙종, 효종비 인선왕후, 현종비 명성왕후, 숙종비 인현왕후가 효종의 넷째 딸 숙휘공주에게 보낸 한글 어찰(편지)을 모은 것이다. 숙휘공주는 연일 정씨 인평위(寅平尉) 정제현(鄭齊賢)과 혼인하였다.

이 첩은 앞쪽에 실린 정제현의 후손 정진석(鄭晉錫, 1779~?)이 1802년에 쓴 한글 지문(識文)을 통해 제작 내력을 알 수 있다. 지문에는 “건(乾)인 즉 사조(四祖) 어필(御筆)이시오 곤(坤)인 즉 육성(六聖) 언찰(諺札)이시라”라고 적혀 있는데, ‘사조 어필’은 국립청주박물관에 소장된 효종·현종·장렬왕후·인선왕후의 어찰을, ‘육성 언찰’은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 소장된 효종·현종·숙종·인선왕후·명성왕후·인현왕후의 어찰을 가리킨다.

이 어찰첩은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숙명신한첩, 오죽헌시립박물관의 명안공주 관련 유물(보물 제1220호)과 함께 조선 왕실의 한글 어찰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1]

참조

[1] 웹인용 문화재청고시제2009-129호(국가지정문화재<국보> 지정) https://web.archive.[...] 2010-01-04
[2] 웹인용 문화재청고시제2017-130호(국가지정문화재<국보, 보물> 지정 및 변경) https://web.archive.[...] 2017-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