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열은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선조와 광해군 시기에 관직을 시작하여 인조반정 이후 좌의정과 영의정을 역임했다. 1589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593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을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광해군 시대에는 경기도 관찰사, 형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인조반정 이후 호조판서, 한성부 판윤, 강화부 유수 등을 거쳐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에 이르렀다. 1639년에는 청나라 심양에 진하사로 다녀오기도 했다. 저서로는 방일주의와 남파상국문집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함경도관찰사 - 심수경
    심수경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명종 때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선조 때 우의정, 좌의정에 이르렀으며 청백리에 녹선되었고, 임진왜란 때 삼도도체찰사로 의병을 지휘하기도 했다.
  • 조선의 함경도관찰사 - 심의겸
    심의겸은 조선 명종과 선조 시대의 문신이자 서인의 영수로,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선조 때 김효원과의 갈등으로 서인을 이끌었고 척신 출신으로 사림 내에서 명망이 높았으나 강직한 성격으로 당쟁을 심화시켰다는 비판도 받는다.
  • 조선의 부총관 - 심강
    심강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중종의 부마이자 명종의 외삼촌이었으며, 딸이 경원대군의 부인이 되면서 왕실과 인연을 맺고 명종 즉위 후 청릉부원군에 봉해졌으나, 권력을 이용해 재물을 축적했다는 비판도 받았다.
  • 조선의 부총관 - 김만기 (조선)
    김만기는 조선 후기 문신이자 서예가로, 1653년 문과 급제 후 효종과 숙종 대에 걸쳐 요직을 역임하며 서인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고, 딸이 숙종의 비인 인경왕후가 되면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저서로는 《서석문집》이 있다.
  • 조선의 황해도관찰사 - 허균
    허균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로서, 홍길동전, 교산시화, 도문대작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조선의 황해도관찰사 - 심온
    심온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태종 때 중용되어 세종 즉위 후 영의정에 올랐으나 역모 혐의로 사사된 후 문종 때 복권되었으며, 드라마에서 재조명되기도 했다.
심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심열
한자 표기沈悅
인물 정보
출생일1569년
출생지조선
사망일1646년
사망지조선
국적조선
직업영의정
소속서인(西人)
가족 정보
아버지심충겸(沈忠謙) - 병조판서, 증좌찬성, 청림군(靑林君)
어머니전주 이씨 - 중종 왕자 봉성군의 딸
양아버지심예겸(沈禮謙) - 성천부사, 증영의정
양어머니연일 정씨 - 정숙(鄭橚)의 딸
배우자의령 남씨, 기계 유씨
자녀3남
양자심희세(沈熙世) -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심엄(沈㤿)의 아들, 홍문관 교리, 증이조판서
기타 정보

2. 가계 및 생애 초기

2. 1. 가계

2. 2. 선조, 광해군 대의 관직 생활

1589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선조 26년(1593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1594년 예문관 검열에 기용되었다.[3] 1597년 예조좌랑[4], 사관[5], 1600년 사헌부 지평[6], 이조좌랑[7], 이조정랑[8], 1601년 홍문관 교리[9], 세자시강원 문학[10], 홍문관 응교[11], 성균관 사성[12], 병조참지[13], 승정원 동부승지[14]를 거쳤다. 1604년 예조참의[15], 1605년 황해도 관찰사[16], 1606년 병조참의[17], 1607년 충청도 관찰사[18], 1608년 예조참판[19], 오위도총부 부총관[20]을 역임했다. 광해군 때에는 경기도 관찰사[21], 한성부 좌윤[22], 한성부 우윤[23], 황해도 병마절도사[24], 경상도 관찰사, 영건선수도감 제조, 예조참판, 예조판서, 5도 도검찰사(都檢察使), 형조판서, 함경도 관찰사 등을 지냈다.

3. 인조 대의 활동과 정치적 입장

3. 1. 인조반정 이후의 관직 생활

인조반정 직후, 심열은 경기도 관찰사[25]를 거쳐, 호조판서[26], 한성부 판윤[27], 형조판서[28], 강화부 유수[29], 공조판서[30], 판의금부[31], 지중추부사[32]를 역임하였다. 1638년 의정부 우의정[33]에 올랐으며, 호조판서[34]와 영경연관사[35]를 겸직하였다. 1639년 진하사(進賀使)로 청나라 심양에 다녀왔다.[36] 1640년 우의정을 스스로 사직하고, 판중추부사[37]를 거쳐, 1643년 의정부 좌의정[38]에 오르고, 곧 이어, 의정부 영의정[39]에 올랐다. 1644년 병이 심하여, 영의정을 스스로 사직하고, 좌의정[40]으로 체직되었다가, 영중추부사[41]로 전임되었다.

3. 2. 외교 활동

심열은 1639년 진하사(進賀使)로 청나라 심양에 다녀오는 등 외교 분야에서 활동했다.[36]

3. 3. 영의정 등 최고위 관직 역임

심열은 1638년 의정부 우의정[33]에 올랐으며, 호조판서[34]와 영경연관사[35]를 겸직하였다. 1639년 진하사(進賀使)로 청나라 심양에 다녀왔고[36], 1640년 우의정을 스스로 사직하고 판중추부사[37]를 거쳤다. 1643년 의정부 좌의정[38]을 거쳐 영의정[39]에 올랐으나, 1644년 병이 심하여 영의정을 스스로 사직하고 좌의정[40]으로 체직되었다가 영중추부사[41]로 전임되었다.

4. 가족 관계

심열심충겸과 중종 왕자 봉성군의 딸인 향주 전주 이씨 이개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인의 친할아버지는 심강이고, 친할머니는 효령대군의 5대손이자 전성군 이대(全城君 李薱)의 딸인 완산부부인 이희경이다. 외할아버지는 중종의 7남 봉성군 이완이며, 외할머니는 군부인 동래 정씨이다. 심충겸의 형인 심예겸에게 양자로 입양되었으며, 양어머니는 정경부인 연일 정씨이다.

정부인 의령 남씨는 부윤(府尹) 남언경(南彦經)의 딸이다. 계부인은 정경부인 기계 유씨로 유함(兪涵)의 딸이다. 심의겸의 아들 심엄의 아들인 심희세를 양자로 들였다.

측실로는 노비 출신 중생(仲生), 양민 출신 자근복(者斤福)과 구질개(仇叱介)가 있었다. 중생은 서장남 심정달을 낳았고, 자근복은 서차남 심정남을 낳았다. 구질개는 서장녀 심예이를 낳았다.

4. 1. 본인 및 배우자

심열심충겸과 중종 왕자 봉성군의 딸인 향주 전주 이씨 이개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인의 친할아버지는 심강이고, 친할머니는 효령대군의 5대손이자 전성군 이대(全城君 李薱)의 딸인 완산부부인 이희경이다. 외할아버지는 중종의 7남 봉성군 이완이며, 외할머니는 군부인 동래 정씨이다. 심충겸의 형인 심예겸에게 양자로 입양되었으며, 양어머니는 정경부인 연일 정씨이다.

정부인 의령 남씨는 부윤(府尹) 남언경(南彦經)의 딸이다. 계부인은 정경부인 기계 유씨로 유함(兪涵)의 딸이다. 심의겸의 아들 심엄의 아들인 심희세를 양자로 들였다.

측실로는 노비 출신 중생(仲生), 양민 출신 자근복(者斤福)과 구질개(仇叱介)가 있었다. 중생은 서장남 심정달을 낳았고, 자근복은 서차남 심정남을 낳았다. 구질개는 서장녀 심예이를 낳았다.

4. 2. 자녀

양자는 심의겸의 손자이자 심엄의 아들 심희세(沈熙世)이다. 심희세는 홍문관 교리를 지냈으며, 증이조판서이다. 심희세의 아들 심권(沈權)은 전라도 관찰사를 지냈으며, 증좌찬성이다. 심권의 아들 심봉서(沈鳳瑞)는 의금부 도사를 지냈으며, 증영의정이다. 심봉서의 아들 심호(沈浩)는 경종의 장인으로, 사옹원 첨정을 지냈으며, 증영의정, 청은부원군(靑恩府院君)이다. 심호(沈浩)의 딸은 단의왕후이며, 사위는 제20대 경종대왕이다. 심호(沈浩)의 또 다른 아들은 심유현(沈維賢)으로 담양부사를 지냈다.

서장남은 심정달(沈廷達, 1579 ~ ?)이며, 모친은 노비 출신 중생(仲生)이다. 서차남은 심정남(沈廷男, 1602 ~ ?)이며, 모친은 양민 출신 자근복(者斤福)이다. 서장녀는 심예이(沈禮伊, 1604 ~ ?)이며, 모친은 양민 출신 구질개(仇叱介)이다.

4. 3. 주요 가계도

심열의 조부는 명종의 국구 심강(1514~1567)이고, 조모는 효령대군의 5대손인 완산부부인 이희경(1511~1559)이다. 생부 심충겸(1545~1594)은 병조판서를 지냈고, 생모는 중종의 왕자 봉성군의 딸인 향주 전주 이씨 이개(1545~?)이다. 외조부는 중종의 7남 봉성군 이완(1528~1547)이며, 외조모는 군부인 동래 정씨이다. 숙부는 서인의 영수였던 심의겸이고, 고모는 명종의 왕비 인순왕후이다.

심열은 정경부인 의령 남씨와 정경부인 기계 유씨를 아내로 두었다. 심의겸의 아들 심엄의 아들인 심희세를 양자로 들였으며, 심희세는 홍문관 교리를 지내고 증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심희세의 아들 심권은 전라도 관찰사를 지냈고, 심권의 아들 심봉서는 의금부 도사를 지냈다. 심봉서의 아들 심호는 경종의 국구, 즉 장인이 되었으며, 심호의 딸은 단의왕후로 경종의 왕비가 되었다.

5. 저서


  • 방일주의(放逸奏議)
  • 남파상국문집(南坡相國文集)

6. 평가 및 논란

6. 1. 당대 및 후대의 평가

6. 2. 역사적 논란

참조

[1] 실록 《광해군일기》6년(1614) 9월 14일 7번째 기사 1614-09-14
[2] 실록 《광해군일기》14년(1622) 11월 5일 3번째 기사 1622-11-05
[3] 실록 《선조실록》27년(1594) 8월 17일 4번째 기사 1594-08-17
[4] 실록 《선조실록》30년(1597) 5월 5일 5번째 기사 1597-05-05
[5] 실록 《선조실록》30년(1597) 2월 18일 1번째 기사 1597-02-18
[6] 실록 《선조실록》33년(1600) 5월 11일 3번째 기사 1600-05-11
[7] 실록 《선조실록》33년(1600) 6월 6일 2번째 기사 1600-06-06
[8] 실록 《선조실록》33년(1600) 9월 13일 3번째 기사 1600-09-13
[9] 실록 《선조실록》34년(1601) 1월 30일 2번째 기사 1601-01-30
[10] 실록 《선조실록》34년(1601) 2월 4일 5번째 기사 1601-02-04
[11] 실록 《선조실록》34년(1601) 3월 19일 5번째 기사 1601-03-19
[12] 실록 《선조실록》34년(1601) 5월 3일 2번째 기사 1601-05-03
[13] 실록 《선조실록》34년(1601) 9월 6일 3번째 기사 1601-09-06
[14] 실록 《선조실록》34년(1601) 11월 23일 3번째 기사 1601-11-23
[15] 실록 《선조실록》37년(1604) 5월 7일 4번째 기사 1604-05-07
[16] 실록 《선조실록》38년(1605) 9월 25일 2번째 기사 1605-09-25
[17] 실록 《선조실록》39년(1606) 6월 23일 14번째 기사 1606-06-23
[18] 실록 《선조실록》40년(1607) 8월 18일 3번째 기사 1607-08-18
[19] 실록 《선조실록》41년(1608) 1월 4일 4번째 기사 1608-01-04
[20] 실록 《선조실록》41년(1608) 1월 14일 5번째 기사 1608-01-14
[21] 실록 《광해군일기》즉위년(1608) 4월 1일 5번째 기사 1608-04-01
[22] 실록 《광해군일기》즉위년(1608) 10월 8일 6번째 기사 1608-10-08
[23] 실록 《광해군일기》1년(1609) 5월 16일 1번째 기사 1609-05-16
[24] 실록 《광해군일기》1년(1609) 12월 6일 1번째 기사 1609-12-06
[25] 실록 《인조실록》1년(1623) 6월 26일 1번째 기사 1623-06-26
[26] 실록 《인조실록》2년(1624) 2월 14일 2번째 기사 1624-02-14
[27] 실록 《인조실록》3년(1625) 10월 6일 4번째 기사 1625-10-06
[28] 실록 《인조실록》3년(1625) 11월 23일 2번째 기사 1625-11-23
[29] 실록 《인조실록》5년(1627) 5월 11일 2번째 기사 1627-05-11
[30] 실록 《인조실록》8년(1630) 5월 17일 3번째 기사 1630-05-17
[31] 실록 《인조실록》14년(1636) 3월 22일 2번째 기사 1636-03-22
[32] 실록 《인조실록》14년(1636) 12월 21일 5번째 기사 1636-12-21
[33] 실록 《인조실록》16년(1638) 9월 15일 2번째 기사 1638-09-15
[34] 실록 《인조실록》16년(1638) 9월 16일 1번째 기사 1638-09-16
[35] 실록 《인조실록》16년(1638) 11월 6일 2번째 기사 1638-11-06
[36] 실록 인조실록 17년 7월 30일 3번째 기사 1639-07-30
[37] 실록 인조실록 18년 1월 25일 1번째 기사 1640-01-25
[38] 실록 인조실록 21년 3월 6일 2번째 기사 1643-03-06
[39] 실록 인조실록 21년 5월 6일 2번째 기사 1643-05-06
[40] 실록 인조실록 22년 3월 12일 1번째 기사 1644-03-12
[41] 실록 인조실록 22년 3월 14일 2번째 기사 1644-03-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