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쑹저위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쑹저위안은 중화민국의 군벌이자 정치가로, 국민군, 국민당, 제29군에서 활동했다. 산둥성 출신으로, 펑위샹의 국민군에서 복무하며 군 경력을 시작했다. 국민군 시절 산시성 주석을 역임했으며, 국민당으로 전향 후 제29군을 이끌었다. 만리장성 방어전에서 일본군에 맞서 싸웠으나, 루거우차오 사건 이후 일본군에 패배하여 군대가 궤멸되었다. 이후 여러 질병으로 고통받다 1940년 쓰촨성 몐양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거우차오 사건 관련자 - 무타구치 렌야
    일본 제국 육군 장군 무타구치 렌야는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 노구교 사건과 임팔 작전 등 주요 사건에 관여했으며, 전후 전쟁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그의 군사적 능력과 작전 실패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루거우차오 사건 관련자 - 무토 아키라
    무토 아키라는 일본 제국 육군 중장으로, 극동 국제 군사 재판에서 A급 전범으로 사형 판결을 받고 스가모 형무소에서 교수형에 처해진 인물이다.
  • 중국의 군인 - 김책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가이자 북한의 군인, 정치인인 김책은 만주에서 항일 투쟁 후 소련에서 김일성과 함께 활동했으며, 해방 후 북한 건국에 참여하여 부수상 겸 산업상, 한국 전쟁 전선사령관을 역임했고 사후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다.
  • 중국의 군인 - 제 환공
    제 환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제후이자 춘추오패의 첫 번째 패자로, 관중을 등용하여 제나라를 강성하게 만들고 초나라의 남진을 저지하는 등 춘추 시대 초반 질서 확립에 기여했으나, 관중 사후 정치적 혼란과 후계자 다툼으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쑹저위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송철원 장군
본명송철원
출생1885년 10월 30일
사망1940년 4월 5일
출생지산둥성러링 시
사망지쓰촨성몐양 시
닉네임송철원
군사 경력
소속청나라
중화민국
복무 기간1907년–1940년
최종 계급육군 상장
지휘 부대국민혁명군 제29로군
참전신해혁명
북벌
중원대전
국공내전
장성 항전
중일 전쟁
노구교 사건
베이핑-톈진 전투
수훈청천백일훈장
기타
이후 활동군사 고문

2. 생애

쑹저위안은 산둥성 라오링현 출신으로, 어린 시절 유교 서당에서 교육을 받았다. 1904년 베이징의 군사 학교에서 공부하며 루젠장의 총애를 받았고, 1912년 펑위샹의 상사로 군 생활을 시작했다.

1917년 장쉰의 장훈 복벽을 진압하고, 1921년1922년에는 각각 산시 독군 천수번과 허난 독군 자오티를 격파하는 공을 세워 제25혼성여 여장으로 승진했다.[3] 1924년 베이징 정변 이후 펑위샹이 군대를 국민군으로 개편하면서 쑹저위안은 국민군 제11사 사장이 되었고,[3] 러허 도통에 취임했다.[3]

1926년 펑위샹 하야 후, 쑹저위안은 국민군을 이끌고 북방 군벌과 싸우며 전력을 유지하여 중국 국민당의 북벌에 기여했다.[3] 1927년 펑위샹 복귀 후 국민군은 국민혁명군 제2집단군으로 개편되었고, 쑹저위안은 제4방면군 총지휘와 산시성 정부 주석을 맡아 성내 질서를 안정시켰다.[3]

1930년 펑위샹의 쿠데타 실패 후, 쑹저위안은 중국 국민당으로 전향하여 제29군을 이끌고 만주국에서 일본에 대항했다. 1932년 차하얼성 정부 주석을 겸임하고,[1] 1933년 만리장성 방어전(熱河長城之戰)에서 일본군에 맞서 싸웠으나 패배했다.

1935년 도이하라-친더춘 협정(친토 협정)으로 차하얼성 정부 주석에서 파면되었으나, 메즈-허잉친 협정(허메이 협정) 이후 핑진 위수 사령, 지차 정무위원회 위원장, 지차 수정공서 주임을 겸임하며 허베이성을 자립 세력권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일본과의 관계에서 딜레마에 빠졌다.

1937년 루거우차오 사건 발발 후, 쑹저위안은 일본군과의 인맥을 통해 정전을 시도했으나, 제29군의 반일 감정과 일본군의 공격으로 실패했다. 장제스의 설득으로 항전을 결심했으나, 제29군은 패배하여 베이징과 톈진을 포기했다.

중일 전쟁 기간 동안 제29군은 일본군에 밀려 산둥성으로 후퇴했으나, 한푸취의 비협조로 궤멸되었다. 남은 병력은 게릴라전을 전개했으나 큰 피해를 입었다.[1] 쑹저위안은 1938년 전선에서 물러나 사실상 은퇴했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산둥성 라오링현 북서쪽의 자오홍 마을에서 태어난 그는 어머니 쪽 삼촌이자 옌산현의 전통적인 유교 서당 선생에게 교육을 받았다. 1904년(20세), 루젠장이 베이징에 설립한 군사 학교에서 공부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루의 총애를 받았다. 1912년, 루와 펑위샹의 군대가 재편되었고, 이들은 당시 위안스카이의 부하가 되었으며 펑이 쑹의 상사였다.

2. 2. 국민군 시절

1917년 장쉰의 장훈 복벽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다.[3] 1921년에는 전 산시 독군 천수번을, 1922년에는 허난 독군 자오티를 격파하는 데 군공을 세워 제25혼성여 여장으로 승진했다.[3] 1924년 10월 베이징 정변 이후 펑위샹이 자신의 군대를 국민군으로 개편하면서 쑹저위안은 국민군 제11사 사장이 되었고,[3] 이듬해 러허 도통에 취임했다.[3]

1926년 1월, 펑위샹이 하야하고 국민군 장군들이 북방 군벌과 싸울 때, 쑹저위안은 서로 총사령 등을 맡아 전선에서 분투했다.[3] 국민군은 베이징을 포기하고 난커우를 거쳐 수이위안 방면으로 철수했지만, 쑹저위안 등의 활약으로 괴멸되지 않고 전력을 유지했으며, 이는 중국 국민당의 북벌에 도움이 되었다.[3]

같은 해 9월, 펑위샹이 복귀하여 우위안 선사를 통해 국민군을 국민연군으로 개편하고 국민당에 가입했다.[3] 1927년 펑위샹의 군은 국민혁명군 제2집단군이 되었고, 6월에 쑹저위안은 제4방면군 총지휘를 맡았으며, 11월에는 산시성 정부 주석에 취임하여 성내 독립군과 비적을 소탕하고 질서를 안정시켰다.[3]

2. 3. 국민당 전향과 제29군

1930년 펑위샹장제스에 대항하여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실패하자, 쑹저위안은 중국 국민당으로 전향하였다. 그의 군대는 제29군으로 지정되었고, 산시성 남부에 주둔하며 만주국에서 일본에 대항하여 열하성과 차하얼성의 국경을 책임졌다.

2. 4. 차하얼성 주석과 만리장성 방어전

1932년 7월, 쑹저위안은 차하얼성 정부 주석을 겸임했다.[1] 1933년, 장쉐량의 명령에 따라 베이핑 부근에 주둔하며 일본군에 대비했다.[1] 같은 해 2월 18일, 장쉐량이 발표한 항일 전문에 이름을 올렸다.[1] 3월에는 일본군에 맥없이 대패한 완푸린을 대신하여 쑹저위안이 이끄는 제29군이 시펑커우 등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항전하여 선전했다. (장성 항전)[1] 비록 최종적으로 방어선이 뚫려 쑹저위안은 퉁저우로 철수했지만, 이 전투는 중국 국내 여론으로부터 큰 칭찬을 받았다.[1]

쑹저위안은 1932년 말 일본이 차하얼 성을 침공했을 당시 차하얼 성 주석이었다. 그는 더 잘 무장한 일본군에 비해 열악한 장비를 갖추고 있었지만, 만리장성 방어전(熱河長城之戰)으로 알려진 전쟁에서 제29군을 이끌고 침략에 맞섰다.

2. 5. 지차정무위원회 시절

1935년 (민국 24년) 6월, 장베이 사건의 사후 처리를 위해 쑹저위안의 측근인 친더춘이 중국 측 대표로 일본 측 대표인 도이하라 겐지와 협상하여 도이하라-친더춘 협정(친토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협정으로 쑹저위안은 차하얼성 정부 주석에서 파면되었으나, 7월 메즈-허잉친 협정(허메이 협정)에 의해 국민당(국민정부)의 주력군은 허베이성에서 철수하게 되었다. 그 결과, 비직계인 쑹저위안이 핑진 위수 사령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말, 쑹저위안은 지차 정무위원회 위원장을 겸임하고, 더 나아가 핑진 위수 사령을 개편한 지차 수정공서 주임에 임명되었다. 이로써 쑹저위안은 허베이성을 강력한 자립 세력권으로 만들어 장제스의 중앙 정부가 쉽게 손을 댈 수 없도록 했다. 동시에 국민당, 중국 공산당, 일본을 포함한 국내외의 각종 정치 세력을 상대로 복잡한 협상을 담당해야 했다. 또한 지차 정무위원회 설립으로 항일 운동을 단속하는 등 일본에 대해 타협적인 태도를 보였다.

일본에 대해서는 완전한 적대적 태도를 취할 수도 없고, 평화적인 자세를 취하면 국내 여론의 공격을 받는다는 딜레마에 빠졌다. 1936년 (민국 25년) 8월 19일의 쑹저위안 위원장 환영 연회에는 쑹저위안과 친더춘에게 일본 측에서는 이마이 다케오, 무타구치 렌야, 가와베 쇼조, 마쓰무라 다카요시, 가와고에 시게루 등이 참석했다. 또한 쑹저위안은 베이징 무관인 이마이 다케오[1], 중국 주둔군의 다시로 간이치로, 카즈키 기요시, 하시모토 군, 제29군 군사 고문인 사쿠라이 도쿠타로와는 관계가 좋았다.

1937년 (민국 26년) 7월, 루거우차오 사건이 발발한 후, 쑹저위안은 일본군 측과의 인맥을 활용하여 일단 정전에 들어갔다. 7월 18일 쑹저위안은 카즈키 기요시 중장에게 사죄하고[2], 19일에는 정전 협정을 체결했다. 그러나 제29군은 반일 감정으로 인해 여러 차례 발포를 반복했고, 일본군의 주요 공격 목표 중 하나가 되었다. 쑹저위안은 어려운 정치 환경 속에서 잠시 고향으로 돌아가는 등 항전 태도 결정에 주저했다. 그러나 제29군의 내부 기풍은 강한 항일이었고, 일본군도 공격 의사가 명확했기 때문에 평화 등 충돌 회피 방안은 취할 수 없었다. 장제스는 정전 협정에 반발하여, 베이징에 파견된 슝빈은 7월 22일, 톈진에 있던 쑹저위안을 베이핑으로 불러 항전을 결의해야 한다고 설득했다[3]。쑹저위안도 이 설득에 의해 비로소 중앙의 굳은 결의를 이해하고 항전의 마음을 굳혔다. 그러나 결국, 쑹저위안이 이끄는 제29군은 일부 지역에서 격렬하게 항전했으나, 패배하여 베이핑, 톈진을 포기했다.

2. 6. 중일 전쟁과 루거우차오 사건

루거우차오 사건에서 쑹저위안이 지휘하는 제29군은 일본 관동군의 주 공격 대상이었다. 패배 이후 제29군은 병력이 절반으로 줄었고, 진푸 철로를 따라 베이핑-한커우 작전을 펼치는 일본군에 밀려 산둥성으로 후퇴했다. 그러나 산둥성 주석이자 일본과 비밀리에 내통했다는 의혹을 받던 한푸취는 쑹저위안에게 황허 강 도하를 금지했다. 이로 인해 제29군은 1937년 12월과 1938년 1월에 걸쳐 스자좡에서 궤멸되었다. 남은 병력은 일본 제국 육군과 교전하며 큰 피해를 입었고, 1938년 2월 허난성과 산시성 경계의 산악 지대로 후퇴하여 게릴라전을 전개했다.[1]

쑹저위안은 이후 여러 질병에 시달렸고, 구이린, 충칭, 청두 등지에서 치료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결국 쓰촨성 몐양에서 5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이후 쑹저위안은 제1집단군 총사령관으로 다시 일본군과 맞섰으나, 1938년에도 패배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했다. 같은 해, 쑹저위안은 스스로 사임하고 전선에서 물러났으며, 병세까지 악화되어 사실상 은퇴했다.[1]

3. 말년과 죽음

루거우차오 사건에서 쑹저위안의 제29군은 일본 관동군의 주 공격을 받았다. 패배 후 그의 군대는 절반으로 줄어들었고, 진푸 철로를 따라 베이핑-한커우 작전 동안 일본군에게 쫓겨 산둥성으로 들어갔다. 그러나 성 주석이자 일본과의 은밀한 연루 혐의를 받던 한푸취는 쑹저위안이 황허 강을 건너는 것을 금지했고, 그 결과 제29군은 1937년 12월과 1938년 1월에 스자좡에서 궤멸되었다.[1] 남은 병력들은 일본 제국 육군과의 전투에서 여러 손실을 입었고, 1938년 2월 허난성과 산시성 경계의 산악 지역으로 후퇴한 후 게릴라전에 투입되었다.[1]

쑹저위안은 곧 여러 질병으로 고통받았고, 구이린, 충칭, 청두에서 여러 차례 치료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940년 4월 5일, 쓰촨성 몐양에서 향년 56세(만 54세)로 병사했다.[2] 사후 국민정부로부터 육군 상장 서열 1급이 추증되었다.[2] 쑹저위안은 제1집단군 총사령관에 취임하여 일본군과의 싸움에 다시 참여했으나,[2] 1938년에도 패배하는 등 부진하여 같은 해에 스스로 사임하고 전선에서 물러났으며, 병까지 겹쳐 사실상 은퇴했다.[2]

참조

[1] 문서 宋哲元の娘の結婚式に今井武夫夫妻は招待された。
[2] 서적 昭和精神史 文藝春秋 1996-04
[3] 서적 蔣介石秘録下 サンケイ新聞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