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레이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레이아는 고대 페르시아의 사트라피로, 현재 아프가니스탄의 하리강 계곡을 포함하는 지역이었다. 고대에는 비옥하고 포도주가 풍부한 곳으로 여겨졌으며, 동쪽으로는 파로파미사다에 산맥, 서쪽으로는 파르티아, 북쪽으로는 마르기아나와 히르카니아, 남쪽으로는 카르마니아와 드란기아나와 경계를 이루었다. 아르타코아나가 수도였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 또는 그의 후계자에 의해 알렉산드리아 아리아나(현대 헤라트)가 건설되었다. 아레이아는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에 페르시아의 일부였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셀레우코스 제국, 마우리아 제국, 파르티아 제국 등을 거쳐 쿠샨 제국에 정복되었고, 230년경 사산 제국에 넘어가 하레브로 불리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르만주 - 지로프트 문명
지로프트 문명은 이란 남동부에서 발견된 청동기 시대 문명으로, 기원전 2500년에서 기원전 2200년 사이에 전성기를 누렸으며, 아직 해독되지 않은 문자를 사용하고 메소포타미아 등지에서 발견되는 유물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 케르만주 - 밤 (이란)
밤은 이란 남동부 케르만 주에 위치한 도시로, 파르티아 제국 시대부터 역사를 지니며, 아르그-에 밤 고대 성채가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2003년 지진 피해를 입고 재건 중이며, 대추야자와 감귤류 재배지로,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지리사 - 파로파미사다이
파로파미사다이는 힌두쿠시 산맥 너머를 의미하는 고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힌두쿠시 산맥과 파미르 산맥에 걸쳐 카불 지방 등을 포함하며, 아케메네스 제국 등 여러 제국과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 아프가니스탄의 지리사 - 호라산
호라산은 6세기 사산 왕조 시대에 페르시아의 네 행정 구역 중 하나로 설립되어 니샤푸르, 헤라트, 메르브, 발흐 등의 주요 도시를 포함하며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거쳐 현대에는 타지크족 민족주의의 원천이자 아프가니스탄 페르시아어 사용 지역의 주요 부분으로 여겨진다.
아레이아 | |
---|---|
개요 | |
![]() | |
![]() | |
일반 정보 | |
공식 명칭 | }} |
국가 | 아케메네스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파르티아 제국 |
시대 | 고대사 |
수도 | 아르타코아나 (기원전 530년 - 기원전 330년) 알렉산드리아 (기원전 330년 - 3세기) |
존속 기간 | 기원전 530년경 - 3세기 초 |
멸망 원인 | 쿠샨 제국의 정복 |
현재 국가 | 아프가니스탄 |
역사 | |
시작 시기 | 기원전 530년경 |
종료 시기 | 3세기 초 (쿠샨 제국의 정복) |
2. 지리
아레이아는 고대 페르시아의 사트라피로, 주로 아프가니스탄의 하리강 계곡을 포함했다. (아리아노스에 따르면 '아레이아'는 전체 지역의 어원이 되었다.)[1] 고대에는 특히 비옥하고 포도주가 풍부한 곳으로 여겨졌다. 아레이아 지역은 동쪽으로는 산맥으로 파로파미사다에와, 서쪽으로는 파르티아, 북쪽으로는 마르기아나와 히르카니아와 구분되었으며, 남쪽으로는 사막이 카르마니아와 드란기아나와 구분했다.[2] 프톨레마이오스와 스트라본에 의해 매우 상세하게 묘사되었으며,[2] 오늘날 아프가니스탄의 헤라트 주와 거의 일치한다.
이 용어는 헤로도토스, 디오도로스, 스트라본, 아리아노스, 폼포니우스 멜라등 일부 작가에 의해 정확하게 사용되었다.
원래 수도는 아르타코아나였다.[3] 그 근처에 알렉산드로스 대왕 또는 그의 후계자에 의해 새로운 수도인 알렉산드리아 아리아나(현대 아프가니스탄 북서부의 헤라트)가 건설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이 지방의 부와 비옥함을 나타내는 여러 다른 도시들을 나열했다. 프톨레마이오스와 아리아노스에 따르면 가장 중요한 도시들은 다음과 같다:[4][5]
디스타 | 나바리스 | 타우아 | 아우가라 | 비탁사 | 사르마가나 |
시파레 | 라가우라 | 자무차나 | 암브로닥스 | 보가디아 | 바르프나 |
고다나 | 포라가 | 차트리사케 | 차우브리나 | 오르티아나 | 타우파나 |
아스탄다 | 아르티카우드나 | 아리아의 알렉산드리아 | 바바르사나 | 카푸타나 | 수시아 |
아리아 시비타스 | 바시카 | 소티라 | 오르베타네 | 니시비스 | 파라카나케 |
가리가 | 다르카마 | 코타케 | 트리바시나 | 아스타사나 | 지미라 |
2. 1. 주요 도시
3. 역사
아리아는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의 지역으로, 여러 왕실 비문에 포함된 지방 목록에 언급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다리우스 1세의 베히스툰 비문(기원전 520년경)이 있다.[6] 이 지역의 대표자들은 나크셰 로스탐과 페르세폴리스의 아케메네스 왕조 왕릉 부조에 묘사되어 있다. 그들은 스키타이 스타일의 옷(튜닉과 바지를 높은 부츠에 넣음)과 머리 주위에 꼬인 터번을 쓰고 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아리아는 분명 중요한 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사트라프 사티바르자네스가 다스렸는데, 그는 박트리아의 사트라프 베소스, 아라코시아의 바르사엔테스와 함께 제국 동부의 세 명의 주요 페르시아 관료 중 한 명이었다. 기원전 330년 말,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아리아의 수도 아르타코아나를 점령했다.[6] 이 지역은 셀레우코스 제국의 일부였지만 여러 차례 다른 세력에게 점령당했고, 기원전 167년에 마우리아 제국[6]과 파르티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아리아는 2세기 말에서 3세기 초 사이에 쿠샨 제국에 정복되었고, 쿠샨 제국은 이후 기원 230년경에 사산 제국에 이 지역을 잃었고, 그곳에서 하레브로 알려지게 되었다.[6]
3. 1.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
아리아는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의 지역으로, 여러 왕실 비문에 포함된 지방 목록에 언급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다리우스 1세의 베히스툰 비문(기원전 520년경)이 있다.[6] 이 지역의 대표자들은 나크셰 로스탐과 페르세폴리스의 아케메네스 왕조 왕릉 부조에 묘사되어 있다. 그들은 스키타이 스타일의 옷(튜닉과 바지를 높은 부츠에 넣음)과 머리 주위에 꼬인 터번을 쓰고 있다.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아리아는 분명 중요한 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사트라프 사티바르자네스가 다스렸는데, 그는 박트리아의 사트라프 베소스, 아라코시아의 바르사엔테스와 함께 제국 동부의 세 명의 주요 페르시아 관료 중 한 명이었다. 기원전 330년 말,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아리아의 수도 아르타코아나를 점령했다.[6] 이 지역은 셀레우코스 제국의 일부였지만 여러 차례 다른 세력에게 점령당했고, 기원전 167년에 마우리아 제국과 파르티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아리아는 2세기 말에서 3세기 초 사이에 쿠샨 제국에 정복되었고, 쿠샨 제국은 이후 기원 230년경에 사산 제국에 이 지역을 잃었고, 그곳에서 하레브로 알려지게 되었다.[6]
3. 2. 이후 역사
아레이아는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의 지역으로, 여러 왕실 비문에 포함된 지방 목록에 언급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다리우스 1세의 베히스툰 비문(기원전 520년경)에 언급되어 있다. 이 지역의 대표자들은 나크셰 로스탐과 페르세폴리스의 아케메네스 왕조 왕릉 등에 부조로 묘사되어 있다. 그들은 스키타이 스타일의 옷(튜닉과 바지를 높은 부츠에 넣음)과 머리 주위에 꼬인 터번을 쓰고 있다.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아레이아는 중요한 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사트라프 사티바르자네스가 다스렸는데, 그는 박트리아의 사트라프 베소스, 아라코시아의 바르사엔테스와 함께 제국 동부의 세 명의 주요 페르시아 관료 중 한 명이었다. 기원전 330년 말,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아레이아의 수도 아르타코아나를 점령했다. 이 지역은 셀레우코스 제국의 일부였지만 여러 차례 다른 세력에게 점령당했고, 기원전 167년에 마우리아 제국[6]과 파르티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아레이아는 2세기 말에서 3세기 초 사이에 쿠샨 제국에 정복되었고, 쿠샨 제국은 이후 기원 230년경에 사산 제국에 이 지역을 잃었고, 그곳에서 하레브로 알려지게 되었다.
참조
[1]
서적
Anabasis
[2]
서적
[3]
서적
Anabasis
[4]
웹사이트
European Cultural Heritage Online (ECHO), Ptolemaeus, Claudius, Geografia : cioè descrittione vniversale (universale) della terra; partita in due volumi, 1621, pages 114 & 115
http://echo.mpiwg-be[...]
[5]
서적
Encyclopédie méthodique ou par ordre de matières par une société de gens de lettres, de savants et d'artistes (1871), page 206
https://books.google[...]
[6]
서적
The Land of the Elephant Kings: Space, Territory, and Ideology in the Seleucid Empir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